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성범 ( Kim Sung-bum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ADHD 아동 어머니 127명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양육태도의 관계에서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또한 ADHD 아동 어머니의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우울과 정적인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 우울과 양육태도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은 높아지며,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우울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단독으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보다,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가 함께 영향을 미칠 때 양육태도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여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양육태도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bearing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mothers with ADHD child. The studying of previous research and theories found that variables in depression, parenting stress, child-bearing attitude and their relations were set for the study target.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27 mothers with ADHD child. And they were given a questionnaire which was later collected for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sobel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bearing attitude. And also there was a negative co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child-bearing attitude. But there was a positive co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Seco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ADHD child had a direct impact on the depression. Thir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ADHD child had a direct impact on the child-bearing attitude. Fourth, the child-bearing attitude of mothers with ADHD child directly affected the depression. Fifth, child-bearing attitude partially mediated the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mothers with ADHD child.

      • KCI등재

        부모교육 병행 미술치료가 ADHD경향 아동의 뇌기능지수, 사회적 유능성 및 어머니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양원영,원희랑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rt therapy with parent education for brain quotient of ADHD tendency children, social competence promotion and mother's-rearing attitudes. The object of study is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who are diagnosed with ADHD at the age of eight living in the P city. They had no chemical therapeutic treatment due to their parents' disapprove, demonstrating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lthough teachers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sultation as the study target displayed worsening behaviors recently. The art therapy is focused on attachment relationship and parental childrearing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of ADHD. The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composing a total of 100 minutes including 60 minutes of children art therapy and 40 minutes of maternal education in the total of 16 sessions including the first interview; of these were three sessions of mother-child art therapy. Research tools were implemented before/after on EEG, social competence scale, children and youth behavior rating scale, HTP (House-Tree-Person) examination, parental childrearing, and analyzed behaviors and attitudes by session according to art therapy step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with Parent Education on demonstrated improvement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the brain quotient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y. Second, the art therapy with parent education demonstrated promotional effects on the social competence promotion of the brain quotient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y. Third, the art therapy with parent education showed positive effect on mother's-rearing attitudes. Fourth, the behaviors and attitudes of ADHD tendency children by session reduced erratic and aggressive self-centered behaviors and enhanced self-expression as well as consideration.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nly by art therapy with parent education and complicated to generalize as it is a single case. 본 연구는 부모교육 병행 미술치료가 ADHD경향 아동의 뇌기능 지수, 사회적 유능성 증진, 어머니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학년 남자아동으로, 8세 때 ADHD진단을 받았으나 부모의 부인으로 약물 등 치료적 처치를 받은 적이 없고 최근에 문제행동이 심해져 교사가 상담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부모는 부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였다. 본 미술치료는 ADHD의 환경적 요인에 근거하여 부모양육태도 및 애착관계에 중점을 두었으며, 치료진행은 주 1회로 아동 미술치료 60분, 어머니 교육 40분으로 총100분간 진행하였으며, 첫 면접을 포함하여 총 16회기 실시하였고 이 중 3회는 모자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뇌파검사, 사회적 유능성 척도, HTP그림검사, 부모양육태도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미술치료단계에 따른 행동 및 태도를 회기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병행 미술치료가 ADHD경향 아동의 뇌기능지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병행 미술치료가 ADHD경향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 병행 미술치료가 어머니양육태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ADHD경향 아동의 회기별 행동 및 태도는 산만하고 공격적이며 자기중심적인 행동이 감소하고 자기표현이 증가하고 배려심이 향상되었다.

      • KCI등재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 사례연구

        양경애 ( Kyung Ae Yang ),김성화 ( Seong Hwa Kim ),이화영 ( Haw Young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어머니가 아동을 양육하면서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살펴보고자 10명의 ADHD 아동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ADHD 아동을 양육하면서 겪는 어머니의 어려움은 구체적으로 학업, 시간관리, 또래관계, 가족관계, 의사소통 등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첫째, 학업 영역에서는 학업성취, 숙제, 학습 환경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둘째, 시간 관리 영역에서는 등교 전과 방과 후, 여가시간 관리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셋째, 또래관계 영역에서는 또래관계 유지하기와 대화 기술, 자기 통제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넷째, 가족 관계의 영역에서는 형제와의 문제와 아버지, 친척들과의 관계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다섯째,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듣기 태도, 적절한 말하기, 상대방 말의 의도 파악하기, 반응하기에서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에게 어려움이 되는 장면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 아동 양육에 있어 아동의 특성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iculties of being suffered by mothers` rearing children with ADHD. Interview was carried out by using non-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10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interview, the difficulties of being suffered by mothers` rearing children with ADHD were indicated to be five spheres specifically such as schoolwork, time management, peer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First, in the sphere of schoolwork, the difficulty was complained in academic achievement, homework, an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in the sphere of time management, the difficulty was complained in before going to school, after school, and leisure time management. Third, in the sphere of peer relationship, the difficulty was complained in keeping peer relationship, communication skill, and self-control. Fourth, in the sphere of family relationship, the difficulty was complained in problem with sibling and relationship with father and relatives. Fifth, in the sphere of communication, the difficulty was complained in the listening attitude, speaking properly, grasping counterpart`s talking intention, and reacting. This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the scenes of becoming difficulties to the mothers who bring up children with ADHD, thereby being expected to be likely able to be applied to useful basic data in seeking a support program, which can understand children`s characteristics more easily and can be utilized positively in the field as for rearing children.

      • KCI등재후보

        ADHD 아동 어머니의 대처경험에 관한 연구

        박지희,구차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6 No.1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contribute to formulating theories on the types and coping process of mothers who have ADHD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by analyzed mothers' coping process of ADHD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from April to August in 2011, personal information and interview records of participants, etc. The data has been analyzed simultaneously with data collec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has continuously been conducted. As a result of research, 123 concepts, 30 subordinates and 16 categories have been derived in open coding. As a consequence of category analysis by paradigm in axis coding, causal condition is 'facing', and core phenomena consist of 'blame','avoiding', 'burden' ,'difficulty', 'writhing', and contextual conditions are composed of 'ignorance' and 'straggling'.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re 'responsibility','disposition', 'support system', accordingly ' heading to the world', 'expectation,'endurance' appear. 본 연구는 ADHD 아동 어머니들의 대처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ADHD 아동 어머니의 대처 유형과 대처과정에 대한 이론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 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1년 4월부터 8월까지 심층면접과 참여자들의 개인정보기록, 참여자의 면담기록 등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료 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 123개의 개념과 30개의 하위 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결과 인과적 조건으로는 ‘맞닥뜨림’, 중심현상은 ‘탓’, ‘회피함’, ‘짐’, ‘어려움’, ‘몸부림 침’ 맥락적 조건으로는 ‘무지’, ‘낙오’였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책임감’, ‘기질’, ‘지지체계’이었으며, 그 결과 ‘세상 속으로 나아가기’, ‘기대’, ‘감내’로 나타났다.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에 따른 어머니의 ‘마음갉기’경험

        정정숙,조원일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22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8 No.1

        This study had aimed to promote a new ADHD view and social welfare suggestions by in-depth exploration of the opportunity for a mother, the main caregiver of child diagnosed with ADHD, to obtain critical knowledge of the existing and current pathological treatment of ADHD. This study analyzed data obtained through interview with five mothers who experienced drug treatment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based on Mad Studies analysis framework, and finally derived 43 semantic units, 17 subcategories, 8 categories, and 3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n practical implications, social support and parent education for emotional distress of parents are need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 urgently needed to prevent stigma effect in the diagnosis and prescription of mental health medicine. Social implications include rigorous consideration and critical reflection on the substance of drug therapy in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and above all, the view of finding positive aspects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is indispensabl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ADHD as one of the aspects of diversity and respect for human being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a creative diagnosis of experts in the diagnosis method of ADHD. The mother's mind-reading experience revealed in this study is exactly in line with the disability perspective in the area of mental disorder, while the realization of the change in perception of ADHD suggested a shift to a disability paradigm expressed in Mad Studies perspective. 이 연구는 ADHD로 진단을 받은 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에게 있어 자신의 아이가 ADHD로 진단을 받은 시점에서부터 아이에게 약물치료를 선택하게 된 계기와 그 과정에서의 ‘마음갉기’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Mad Studuies의 분석 틀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에 참여한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를 경험한 어머니 5명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43개 의미단위, 17개의 하위범주, 8개의 범주, 3개의 구분으로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였다. 실천적 함의로 부모의 정서적 고통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단 및 처방에 있어 낙인효과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의 보호가 절실하다. 사회적 함의는 ADHD 진단을 받은 아동의 약물치료의 실체에 관한 엄밀한 고찰과 비판적 성찰, 그리고 무엇보다도 ADHD 진단 아동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찾는 시각이 불가결하다. 더불어 다양성의 일면으로 ADHD의 존중과 인간의 다양한 측면의 하나로 인정해야 함도 중요하다. 또한, ADHD의 진단방식에 있어 전문가의 창의적인 진단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밝힌 어머니의 마음갉기 경험은 정신장애 영역에서의 장애학적 시각과 정확히 맥을 같이 한다. 이것이 본 연구와 관련되는 지점은 ADHD에 대한 인식변화의 깨달음은 Mad Studies적 시각으로 표현되는 장애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근거이론을 이용한 ADHD 아동양육경험

        김형숙(Kim Hyung-Suk)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4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문학적 맥락에서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ADHD 아동을 둔 어머니 1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관찰 등 삼각 검증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방법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은 ‘멍에를 안고 헤쳐 나아감’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양육과정은 부정, 시도, 폭발, 포기, 수용의 5단계로 나타났다.<BR>  ‘멍에를 안고 헤쳐 나아감’의 유형은 수용형, 소극적 수용형, 갈등 노력형, 방황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수용형의 참여자들은 종교지원과 사회적 지지망의 지원을 강하게 받으면서 자녀의 진단과 사회적 편견과 사회교육제도가 미비한 현실을 받아들인다. 소극적 수용형의 참여자들은 네 가지 유형 중 어머니의 수용력이 가장 큰 유형으로 자녀의 ADHD 진단을 수용하지만 어떤 변화를 시도하기보다 수용상태로만 머물러 있는 유형이다. 이는 사회적 지지망과 종교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기인한다. 갈등 노력형은 자녀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지만 장애나 병으로 인정하는 것을 꺼리는 참여자이다. 이들은 남편의 지원을 받아 터트리기와 좌절하기의 전략은 약하고 드물게, 내려놓기의 전략은 강하게 사용하여 멍에를 헤쳐 나아가고 있었다. 방황형은 어머니의 수용력, 사회 지지망의 지원, 종교 지원 어느 것 하나 지원이 없는 참여자다. 이들은 진단을 받았지만 여전히 ADHD 자녀양육에 대하여 방황하면서 자녀양육을 멍에로 가장 힘들게 경힘하고 있었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develop theories on child rearing experiences in mothers with ADHD children in the socia-cultural contexts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riangulation including in 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Participants consisted of 18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DH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groun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aring experience in ADHD children"s mothers was found to be a process of having the central phenomenon of bearing a yoke appearing.<BR>  "Breaking through with embracing the yoke"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receiving type, passive receiving type, conflicting and struggling type, and wandering type. Receiving type participants have strong religious support and the support.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accept the diagnosis of ADHD, social prejudice and inadequate social education system Passive receiving type participants are most receptive among the four types but they just receive the diagnosis of ADHD but stay in the state of reception. This is because of the absence of social support network and religious support. Conflicting and struggling type participants know that their children have a problem but are reluctant to accept it as a disability or disease. They are weak in the strategies of bursting and frustrating with the husband"s cooperation, and endure the yoke using the strategy of putting down. Wandering type participants do not have any of mother"s receptiveness, support from social support network and religious support. They admit diagnosis but still do not know how to rear their ADHD children, experiencing the yoke of child rearing in the most difficult way.

      • KCI등재

        초등학생 ADHD 자녀 양육에 관한 어머니 경험 연구

        윤정연,유미숙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5 놀이치료연구 Vol.19 No.3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parenting children with ADH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participants were runn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 data. As a result, mothers raising their ADHD children were found and tried a variety of ways with medication so that the symptoms of ADHD in children can be mitigated, school activities and tutoring, writes the nerve to teachers and child friends, everything as a student this The child was one of the ways that allow and positions. These participants can see that the same experience with the ‘normal world’ into better go for ‘window’ and a projection advances holding a ‘shield’ in the ‘other world’. This system can support the provision of social support to children and parents around the school for the ADHD child care are desperately needed. 본 연구는 ADHD 아동양육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초등학생 ADHD 자녀를 둔 어머니를 연구참여자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는 질적연구방법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ADHD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은 자녀의 ADHD 증상이 완화될 수 있도록 약물치료와 함께 다양한 방법을 찾아 시도하며, 학교활동과 학습지도, 교사와 자녀 친구들에게 신경을 쓰며, 이 모든 것이 학생으로서의 자녀가 자리매김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의 하나였다. 이들 연구참여자들은 ‘다른 세계’에서 ‘보통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창’과 ‘방패’를 들고 전진하는 투사와 같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DHD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지원으로 학교를 중심으로 아동과 부모를 지지할 수 있는 체계마련이 절실히 필요하다.

      • KCI등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현,박신영,김종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있는 미술치료센터와 00학교의 Wee센터에서 ADHD로 치료와 상담을 받고 있는 아동의 어머니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간, 총 12회기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효능감 척도와 대인관계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분석으로는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양적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각 회기의 모든 활동들을 관찰 및 기록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을 둔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가족효능감, 사회효능감과 같은 효능감 향상과 만족감, 감정이해, 의사소통, 개방성과 같은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대상의 수가 적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지만 ADHD 아동을 양육하면서 대부분 양가감정에 시달린 경험을 있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이들의 사회․정서적 안정 및 개선에 긍정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psychoanalytic integrative arts psychotherapy program that make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Bot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y are use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meaning of the depression intervention by clarifying the meaning that the depression is a self-strategy in which the deprivation of object is connected with that of ego, and by clarifying the meaning of integrative arts psychotherapy as both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cognition-affection-behavior and the therapeutic approach combining cinema therapy and art therapy. Secondly, the study offers a successful practical system of the depression intervention by revealing i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s through SGDS⋅KHTP⋅Daily Assessment Checklist after practicing the intervention of 14 sessions for the 7 aged persons with depression. Thirdly, the psychoanalytic integrative arts psychotherapy for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revalorizes the therapeutic and social meanings of the intervention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holding environment with good-enough therapists. Hopely, the value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fessional interdisciplinary and multidisciplinary researches for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 KCI등재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성범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ffect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mothers with ADHD child.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39 mothers with ADHD child in 'D' city.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sobel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effectivenes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arental effectiveness. But there was a negative co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Secondly,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ADHD child had a direc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Thir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ADHD child had a direct impact on the parental effectiveness. Fourth, the parental effectiveness of mothers with ADHD child direc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Fifth, parental effectiveness partially mediated the parent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with ADHD child.

      • KCI등재

        어머니의 역기능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아동의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ADHD관련문제의 직렬다중매개효과

        백성은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6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fo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n term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smart-media addiction and ADHD-related behaviors. The study sample was 537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ten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erial multiple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the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media addiction and ADHD-related behaviors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Third, in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t was found that smart-media addiction and ADHD-related behaviors mediate it in series. These results provid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o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especial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mart-media addiction and ADHD-related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