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斯盧 6村의 위치에 대한 試論

        박홍국,정상주,김지훈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3 新羅文化 Vol.21 No.-

        이제부터 신라 고대사 연구와 관련하여 斯盧 6村의 위치를 추정한 견해는 多數이지만, 아직까지 누구나 수긍할 만한 견해는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本槁에서는 기왕의 견해를 一瞥하고 斯盧6村의 위치를 비정할 때에 고려되어야 할 문헌ㆍ지리적인 요소ㆍ기원전후의 유적분포상태 등을 참고하여 지도 7과 같이 各村의 위치를 비정하여 보았다. 이와 함께 三國遺事의 記事는 6村의 범위를 지나치게 확대하거나 부분적으로 의문이 가는 記述이 있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진행될 6村 위치비정작업에는 史學ㆍ考古學ㆍ地理學ㆍ地質學을 포함한 관련 학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본다. Until now, there are many presumptive opinions of the sites of Sam Six Villages(斯盧6村 ) in relation co the study of ancient Shilla(新羅) history, but one of them is not convinced. We give a searching glance at the existed opinions, and then compare and fix each site of Sara Six Villages(斯盧6村 ) as the map 7 revel11s. referring to the literature, geographical elements and the distribution of relics before and after the Christian era. And also we think the description of Sam Six Villages(斯盧6村) in Samgukyusa(三國遺事) is very exaggerated or doubtful partly. It is indispensable that many scholars of history, archaeology. geography and geology participate more positively in the work to compare and fix the sites of Saro Six Villages(斯盧6村 )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신라의 6村과 山嶽祭祀

        채미하(Chai, Mi-ha)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본 논문에서는 우선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기록에 보이는 6촌을 비교ㆍ검토하였는데, 두 史書에 보이는 6촌과 관련된 기록은 서로 차이가 있으며, 《삼국유사》 내용에서는 착오도 발견되었다. 하지만 《삼국유사》에는 《삼국사기》에 보이지 않는 내용도 반영되어 있었다. 그리고 6촌장의 초강지와 6촌의 촌명을 통해 무산대수촌을 제외한 5촌의 위치가 알천 북쪽내지는 알천과 가까운 지역이라고 하였다. 다음으로 원래의 6촌 사회는 조선유민들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6촌 안에는 다양한 세력들이 존재하게 되었고, 6촌 세력의 시조는 天에서 峰 또는 山과 연결되어 그들의 시조신화가 변하였다고 하였다. 그리고 선도산의 서술성모설화는 신라 중고기를 전후한 시기에 혁거세ㆍ알영세력과 6촌 세력과의 관계가 새롭게 규정된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6촌 사회는 시조의 초강지나 그 지역의 산들을 신성시하였고 그곳에 제사지내면서 그들의 공동체를 공고히 하였다고 보았다. 그렇지만 신라는 이들 산악을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하였는데, 이것은 각 지역이 신라의 지배에 들어갔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다른 5촌과는 달리 알천양산촌(양부) 지역의 산악은 신라 국가제사에 편제되지 않았다. 이것은 알천양산촌(양부)이 다른 5촌(부)과는 그 위상이 달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였다. This study first compared and studied myths of Six Chons recorded in Samguksagi and Samgukyusa, and the records related to Six Chons in those two history books had differences each other and the wrong point was found in Samgukyusa. However Samgukyusa had some contents which are not reflected in Samguksagi. And the location of Six chons except Moosan desoochon was the north of Alcheon of near Alcheon by Chogangji of chief of Six chons and by the names of Six chons. Secondly, the original society of Six chons was formed by the migrants of Choseon and united the aboriginal with ideas of “Cheon”. But there existed various influences in Six chons as the society of Six chons developed, and the progenitor of Six chons was related with ‘peak’ or ‘mountain’ so the myths of progenitor was changed accordingly. And the myth of Seosoolseongmo in Seondo mountain was the one regulated the relationship of Hvukgeose. Alyoung influence and Yookchon influence in the midst period of Silla. Meanwhile, the society of six chons sacred the birthplace of progenitor or the near mountains and performed rites to them, which consolidated their community. But Silla organized these mountains under national rites which symbolically showed each region was belonged to the power of Silla. However, the mountain near Alcheon yangsanchon(Yangbu) was not organized under the national rites of Silla far from other five chons. this meant Alcheon yangsanchon(Yangbu) was superior to other five chons(bu) in its position.

      • KCI등재

        居西干期 干層의 동향을 통해 본 斯盧 6村의 성격

        이부오(李富五)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이 논문은 건국기사에 반영된 자료의 층위를 바탕으로 居西干期 사로국의 지배구조에 대한 이해의 단서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혁거세거서간조는 다양한 저본을 누층적으로 활용했다. 그 결과 B.C.2세기 말~A.D.1세기에 걸친 거서간의 탄생과 재위 과정이 집약되어 있다 《삼국유사》는 고려 초까지의 6부에 초점을 맞춰 건국과 관련된 저본을 상대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했다. 두 자료에 반영된 가공의 요소를 가려내 사로 6촌과 거서간기의 실제 상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B.C.2세기 말 이후 경주분지에서는 토착세력인 고허촌의 소벌공 집단이 소읍락들로 구성된 蘇代聯合體를 이끌었다. 소별공 집단은 이 단위정치체를 기반으로 上位 干層을 형성했고, 나머지 촌장으로 기록된 세력은 대체로 중하위 간층을 이루었다. 이후 朝鮮遺民이 새롭게 정착하면서 유이민 세력이 상위 간층을 형성했다. 건국기사의 사로 6촌은 토착세력과 유이민 세력을 포함해 경주 분지에서 성장한 일부 상위 간층과 중하위 간층을 가리킨다. 이들은 소읍락 내에서 우세한 가계집단을 대표했다. 경주분지 외곽에서는 다수의 단위정치체가 존재했고, 자치적 기반을 유지한 토착 간층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다. 조선유민이 증가하면서 경주분지와 그 외곽에서는 상호 이해관계를 조절할 필요성이 생겼다. 기원전후 철기의 생산ㆍ유통이 증가하면 그 필요성은 더욱 확대되었다. 이는 지리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던 경주분지의 중심지 기능을 부각시켰다. 그 중에서도 남산 서록 일대의 혁거세ㆍ알영 등으로 상징되는 유이민 집단은 서북한 지역에서의 정치적 경험과 군사적 기반을 바탕으로 간층 사이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했다. 경주분지의 토착 상위 간층이 이들의 우위를 인정하면서 중하위 간층과 함께 거서간을 추대하였다. 경주분지 외곽의 간층은 자치권을 유지한 채 거서간의 출현을 용인했다. 사로 6촌의 거서간 추대 기사는 이상의 과정을 경주분지로 한정시켜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거서간의 출현은 1차국가적 요소를 기반으로 2차국가가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거서간기 기사에 언급된 6부는 거서간의 지배대상으로서, 그리고 간층의 근거지로서 이중성을 띠었다. 사로국의 지배권은 복수의 가계집단으로 구성된 고허촌의 거서간 집단과 알영 집단을 중심으로 안정되었다. 고허촌은 양산촌과 함께 중고기에 와서 각각 사탁부와 탁부라는 신라 국가의 중심공간으로서 확인된다. 이는 신라 6부의 연원을 파약하는 데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고려의 경주 6부 마을들의 위치와 신라의 6부

        鄭演植 ( Chung Yeon-si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오래 전부터 신라 6부와 6촌의 위치를 찾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었다. 그중에는 고려의 경주 6부와 그에 소속된 15촌을 통해 간접적으로 찾으려는 시도도 있었다. 고려 6부에는 위치가 확실한 촌이 대개 하나 이상 있어서 部의 위치도 대강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흥부는 위치를 알 수 있는 촌이 하나도 없어 막연히 경주 중심부로 추정해 왔지만, 석연치 않은 점들이 있었다. 그래서 예전의 지형도와 지명 조사를 참고하고, 지명 표기에 사용된 한자의 음운을 분석하여 15촌 가운데 13촌의 위치를 찾아보았다. 그랬더니 모량부의 후신인 장복부 외에는 고려의 부는 그 전신인 신라의 부와 위치가 일치하지 않았다. 특히 梁部의 후신이라는 중흥부의 촌들은 경주 중심부가 아니라 동해안 쪽의 감포읍과 양북면에 있었다. 따라서 고려 경주 6부의 위치로 신라 초기 6부를 찾아낼 수는 없다.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find the locations of the six villages (六村) and the six districts(六部) of Silla in various ways for a long time. Some tried to find them by way of searching 15 villages at the six districts in Gyeongju of Goryeo. Most districts of Goryeo having one or more villages of which location was certain could be found easily. But Jungheung-bu(中興部) was not, so researchers thought it might lie to the center of Gyeongju, for it was the predecessor of Ryang-bu(梁部) which was the strongest political group of Silla. Its location was still in doubt though. Referring to old maps and surveys of old place names and analyzing the phoneme of the Chinese characters used for the name of 15 villages, I searched 13 villages. Finally, I found that the locations of districts of Goryeo and Silla did not coincide except Jangbok-bu(長福部) of Goryeo and Moryang-bu(牟梁部) of Silla. Especially, the villages of Jungheung-bu did not lie to the center of Gyeongju but to the east side of it. I suggest we should give up finding the locations of the six villages and six districts of Silla by searching the six districts in Gyeongju of Goryeo.

      • KCI등재

        신라 건국과 斯盧 6村

        文暻鉉(Moon, Kyung-hyun)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신라 수도 경주에 6부-6촌이 존재했다. 그 시작을 기원 1세기라 하나 나의 연구로는 6부는 4세기 이후에 만들어졌으며, 6부에 姓이 생긴 것은 신라 통일 이후라고 보겠다. 그리고 신라에서 촌이란 용어가 사용된 것은 적어도 6세기 이후에라야 가능하다. 사서에는 신라 건국을 기원전 1세기라 하나 기원후 4세기경에 역사적인 건국을 했다고 보겠다. 건국설화에는 박씨가 왕족이었다고 하였으나, 연구결과 김씨 왕족이 시조 이후 신라를 실질적으로 통치했다는 것이 이 연구의 개요이다. The Salo six village-groups existed in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dating from the first century B.C However, my study shows that the Salo came into existence after the fourth century and the family names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My study also shows that the term “chon” (meaning ‘village’ in Sino-Korean) was used after the sixth century. Though it is generally claimed that Silla was established in the first century B.C., I argue that the historic foundation took place circa fourth century. I also claim that the royal Kim’s reigned over Silla after the progenitor, unlike the legend on the foundation of Silla saying the the Park’s were the royal family.

      • KCI등재

        신라 초기의 國邑과 6村

        박대재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4 新羅文化 Vol.43 No.-

        This study analyzes a possibility that the early Silla(斯盧國)'s Guk-eup(國邑, prime town of a polity) had a dual structure comprised of Goheo-chon(高墟村 or Saryang-Bu; 沙梁部) and Yangsan-chon(楊山村 or Gŭpryang-Bu; 及梁部) before the fourth century. From Hyukgeose(赫居世), the founder of Silla, to Talhae(脫解) Isagŭm, the palace, Kŭmseong(金城) was conceivably located in Goheo-chon. This fact indicates that Goheo-chon was the center of political affairs among the six villages, of which Silla consisted. When Wǒlseong(月城) was built and used as a palace from the 22nd year of Pasa(婆娑) Isageum(A.D. 101), the center of Guk-eup was moved to Yangsan-chon, where the new palace was located. Yet the Goheo-chon's significance in the political affairs was not faded away, as it carried on its role as a ritual site. Thus it is supposed that the village was being included in the boundary the capital, since a progenitor's tomb and Na-jung(Na Well; 蘿井) was located in Goheo-chon, sites which had a strong connection to the founder of Silla. Additionally, there were ritual sites for Alyoung(閼英), the queen consort of Hyukgeose in the village. When Jungsadang(政事堂) was established in the fifth year of Ilsung(逸聖) Isagŭm(138), the Goheo-chon momentarily resumed its role of the political center until the reign of Adalla(阿達羅) Isagŭm. Still, Bulhyu(伐休) Isagŭm rebuilt the palace of Wǒlseong in the 13th year of his reign(196) and the center of Guk-eup returned to Yangsan-chon again. Hence, the bounds of Guk-eup embraced the two villages, while the center was shuttling between Kŭmseong and Wǒlseong. In the third year of Cheomhae(沾解) Isagŭm(249), Yangsan-chon fortified its role of the political center after establishing Namdang(南堂) on the southern region of Wǒlseong. Meanwhile, Goheo-chon, where once the progenitor's tomb, Na-jung, and Alyoung-jung assembled, could not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olitical center anymore. Still, the village maintained its role as a center of ritual ceremony. This kind of phenomenon, a coexistence of a political center with a ritual center, is a universal structure for ancient cities. The characteristic that Guk-eup consists of two Bu(部), namely Saryang-Bu and Gŭbryang-Bu was a foundation for the structure that six Bu constitutes Silla's capital city(王都) after the fourth century. Unlike the capital cities of Koguryǒ and Paekch'e consisted of five Bu, Silla's included six of them. It is because, in addtion to the original two Bu, four more villages from four directions joined in the structure of Guk-eup like other countries, which originated the capital city with six Bu. The development from Guk-eup with two Bu to the capital city with six Bu was presumably the result at the early fourth century, considering the record that the name Silla(新羅) came from meaning "including all four sides(Manglasabang; 網羅四方)" in Samguk yusa.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Silla in Samguk sagi, there were overlapping records about the time when the name of the dynasty was officially decided. The first is the tenth year(307) of Girim(基臨) Isagŭm, and then the name was again proclaimed in the fourth year(503) of King Jijeung(智證). These repeated proclamations were, arguably, that the former implied the formation of the six Bu, while the latter meant reorganization of the local country into castles(城) and villages(村).

      • KCI등재

        경주의 두 곳 빈지(賓之)와 본피(本彼), 벽진(碧珍)의 뜻

        정연식 ( Chung¸ Yeon-si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2 No.-

        빈지(賓之)는 신라 6촌 가운데 하나였던 본피부(本彼部) 돌기촌[珍支村]의 별명이다. 경주에는 두 빈지가 있었다. 하나는 과거에 돌기촌이라 부른 석계리 주변에, 또 하나는 괘릉 주변에 있었다. 석계리 주변 빈지는 경주 중심부에서 동면의 마을 가운데 가장 먼 곳에 있었고, 괘릉 주변 빈지는 노동3방에서 가장 먼 곳에 있었다. 한국에는 빈지라는 지명이 붙은 곳이 많은데, 모두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빈지는 멀리 떨어지다는 뜻의 일본어 hanare(離れ)의 원형인 고대일본어의 *pana와 함께 원시알타이어 *piŋa에서 유래되었다. 賓之는 멀리 떨어진 곳을 뜻한다. 本彼는 후기상고음으로는 *pənpra로 재구된다. 本[*pən]의 음은 賓[*pin]과 유사하고, 彼[*pra]는 r-음운도치로 ‘벌’을 뜻하는 고대국어 *par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本彼는 ‘멀리 떨어진 벌’을 뜻한다. 한편 벽진가라[碧珍伽耶]는 후에 본피현(本彼縣)이 되었으므로 碧珍도 本彼와 연관되어 있다. 碧珍[*praktЩn]은 고대국어 *parktur을 표현한 글자로 추정된다. 碧[*prak]는 고대국어 *park를 표현한 글자이며 *park은 아득히 멀다는 뜻의 일본어 haruka(遙か)와 함께 멀다는 뜻의 원시알타이어 *phira-khV에서 유래되었다. 그리고 珍[*tЩn]은 들을 뜻하는 *tur/*tɨr를 표현한 글자로 추정된다. 따라서 碧珍은 아득히 먼 들을 뜻한다. 멀리 떨어진 곳 *pinʦi(賓之), 멀리 떨어진 벌 *pənpar(本彼), 아득히 먼 들 *parktur(碧珍)과 같은 고대국어는 모두 알타이어의 흔적을 보이고 있다. Binji (賓之) was another name of Dolgi-chon (珍支村) in Bonpi-bu (本彼部), one of the six villages of Silla. There were two Binjis in Gyeongju (慶州). One was located around Seokgye-ri (石溪里) called Dolgi-chon and the other around Gwaereung (掛陵). The former was the farthest village in Dongmyeon (東面) away from the center of Gyeongju, and the latter was the farthest zone among three zones of Nodong (路東) in Dongmyeon. So many Bingjis in Korea are far off from the center of counties too. Binji derives its name from Proto-Altaic *piŋa meaning ‘separate, emit’ together with Old Japanese *pana-, prototype of ‘hanare (離れ)’ meaning separated. ‘本彼’ could be reconstructed as *pənpra in Late Old Chinese. The phonetic transcription of ‘本[*pən] is similar to that of 賓[*pin] meaning ‘separated away’ and 彼[*pra] seems to be used to express Old Korean *par meaning ‘plain’ by r-metathesis. Byeokjin-gara (碧珍伽耶) was renamed Bonpi-hyeon (本彼縣), so 碧珍 seems to be related to 本彼. 碧[*prak] was used to express Old Korean *park, and it was derived from Proto-Altaic *phira-khV meaning ‘faraway’ together with Old Japanese *paruka, prototype of ‘haruka (遙か)’. Old Korean *pinʦi (賓之) means far-off place, *pənpar (本彼) far-off plain, and *parktur (碧珍) faraway field. Three Old Korean words show the traces of Altaic language.

      • KCI등재

        한국 고대 시조신화를 통해 본 성별관계와 권력관계의 상관성-신라와 고구려의 비교-

        김현정 한국고대학회 2019 先史와 古代 Vol.- No.60

        본고는 국가 시조신화에 반영된 신라와 고구려의 성별관계와 권력관계를 살펴보고, 그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연구 결과 시조신화 내용에서 성별관계와 권력관계, 여성관과 타인관은 상호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라의 시조신화에서는 출현시기와 상징성에 있어서 왕인 혁거세와 왕비인 알영의 신격 수준이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이는 신화기록상 혁거세 출현 이전에 선주하고 있었던 6촌장에게도 신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연결되었다. 경주 동쪽 지역에서 발견된 3기의 비석에는 6세기 초반까지 신라 6부의 장들이 왕과 함께 통치주체세력으로서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 시조신화에 6촌장들의 천손신화가 포함되게 한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한다면, 시조신화에서 알영의 위상 역시 신라 지배층 여성의 역사적 실재 지위를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고구려의 경우, 시조신화 상 여성주인공격인 유화는 첫 등장부터 권력관계로서의 젠더관계, 즉 주체로서의 남성과 객체로서의 여성이라는 관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또한 유화는 지상계에서 인간들을 처음으로 마주할 때 이미 엄한 아버지 하백으로부터 받은 징벌의 흔적을 낙인처럼 지닌 채 손상된 신격을 보였다. 어머니 유화의 발휘되지 못한 신성성에도 불구하고, 주몽은 신성혈통을 증명하듯 신이한 옆구리 탄생­난생­급속 성장­출중한 재능 발현을 거쳐 성장한 후 영능의 힘으로 부여를 탈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성함을 표출하는 데 있어 이러한 성별간의 비대칭적 관계는 신화에서 해모수와 하백, 주몽과 송양왕 관계에서도 드러났다. 각자의 신성함의 정도는 객관적인 능력의 나열이 아닌, 경쟁적인 대결의 행위 속에서 명확한 승자와 패자로 서열화 되어서 표현되었다. 상호관계에 있어서도 신라와 고구려의 신화 내용은 다른 점을 보였다. 신라의 경우, 상호 협력관계가 특징이었다. 알영은 혁거세와 함께 분업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동통치를 수행하였고, 혁거세․알영과 선주민은 양육과 선정(善政)이라는 도움을 서로 받으며 공생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고구려 시조신화에서의 상호관계는 높은 긴장도가 특징이었다. 유화는 해모수­하백­금와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린되는 삶을 살게 되는데, 그 배경적 원인은 부여의 가부장제라고 할 수 있었다. 유화가 신으로서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은 주몽의 위기 극복 과정에서 보여준 결정적 조력자의 역할 때문이었다. 유화는 살해의 위협을 받는 주몽에게 탈출을 종용하였고, 주몽이 새로운 땅에서 성공적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비둘기를 통해 곡물 종자를 전해주었다. 이 행위를 통해 유화는 모성의 상징이자 생명과 풍요(다산)의 신이라는 위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유화의 유린당하는 전반기의 삶이나 신으로서의 위상을 발휘하는 후반의 삶 모두 남성 가족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러한 유화의 종속적 존재가치는 남성에게 편중된 성별 권력관계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몽과 고구려 선주민집단 사이에서도 긴장적 경쟁관계가 나타났다. 신화 줄거리상 주몽에게 주변세력과의 평화로운 공존은 염두에 없는 듯 보였다. 새롭게 정착한 고구려에서 주몽은 무력을 통하여 주변세력을 통합해 나갔다. 이는 ‘이주해 온’ 새로운 지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 of Shilla and Goguryeo as reflected in their founding myths, and to confirm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hem. The study showed that gender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as well as the view of women and the view of the other-as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founding myths were closely interrelated. In the founding myths of Shilla(新羅), King Hyeokgeose(赫居世) and Queen Alyoung(閼英) were deified to largely similar degrees in their portrayals in terms of symbolism and date of appearance. In mythological records, this is connected to how deity status was also conferred to the chieftains of the six clan society villages called ‘Yuk-Chon(6村)’, who predated the arrival of Hyeokgeose. The records on the three stele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ju show that along with the king, the leaders of the six political units called ‘Yuk-Bu(6部)’ were also recognized as ruling powers up until the early 6th century. If this historical fact provide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myth of the heavenly provenance of the 6 chieftains were included in Shilla’s founding myth, Alyoung’s status in the founding myth maybe regarded as reflecting the actual historical status of women among the ruling class of Shilla. In contrast, starting from her very first appearance, the treatment of the female protagonist of Goguryeo(高句麗)’s founding myth, Yuhwa(柳花), is blatantly indicative of gender relations as a power relation - with the male as the subject and the female as the object. Furthermore, even when she first came into contact with earthly people, Yuhwa’s divinity was portrayed as being damaged due to the stigma-like vestige of the punishment she received from her harsh father, Habaek(河伯). Despite the failed manifestation of his mother’s divinity, Jumong(朱蒙) performs various heroic feats that appear to demonstrate his divine lineage-such as hatching from an egg laid from his mother’s flank, accelerated growth, extraordinary talent, and his escape from Buyeo by virtue of his supernatural power. This gender asymmetry in how divinity is manifested in the myths is also appar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aemosoo(解慕漱) and Habaek, and Jumong and King Songyang(松讓). The degrees of divinity of each of these figures were not expressed as enumerations of objective abilities but as clear distinctions between winners and losers amid acts of rivalrous conflict. The contents of the myths of Shilla and Goguryeo also differ in terms of mutual relationships. Shilla was characterized by relationships of mutual cooperation. Alyoung did co-rule with Hyeokgeose in what is presumed to be a division of duties. Also, Hyeokgeose and Alyoung had a cooperative relationship of co-existence, exchanging help in the form of nurturing and good rule, with the original residents represented by 6 chieftains. Mutual relationships in Goguryeo’s founding myths were characterized by high tension. In the course of her life, Yuhwa was sequentially violated by Haemosoo, Habaek, and Geumwa. The patriarchy of Buyeo may be regarded as the background reason for this. The opportunity for Yuhwa to recover her divine status amid her woeful state arrives via Jumong’s quest to overcome his crisis. Yuhwa urges Jumong, who was being threatened with assassination, to escape. She also sends him grain seeds by way of pigeons so that he might have a successful start in a new land. It is through such actions that Yuhwa gained her status as a maternal symbol and a deity of life and fertility. However, both the violation in the earlier half of her life and the divine status in the latter half of her life are attributable to the male family. Thus, the dependent value of Yuhwa’s existence may be regarded as reflecting male-centric gender relations. A tense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rivalry is also appar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

      • KCI등재

        역사음운학과 고고학으로 탐색한 閼川 楊山村

        정연식(Chung, yeonsik)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0

        ‘閼川 楊山村’의 楊山은 산줄기 끝에 뻗어 나온 ‘버든산/버들산’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나정 유적이 혁거세가 태어난 우물인가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나, 구덩이에서 발견된 불 먹은 돌, 불탄 목재와 토층구조로 보아 우물이었음이 확실하다. 그리고 나정이 양산 기슭에 있었다고 하므로 그렇다면 결국 양산은 남산 전체 또는 남산의 금오봉을 가리키는 말이었을 것이다. 이제까지 閼川을 대개 북천으로 인식했으나 그렇다면 ‘알천 양산촌’은 ‘북천 남산촌’이 되는데 이는 성립되기 어려운 말이다. 음운학적으로 보건대 閼川은 본류 하천이라는 뜻의 [<SUP>*</SUP>arnar]의 표기수단으로, 及梁은 西梁(西川)을 뜻하는, [<SUP>*</SUP>kərpturk] 또는 그와 가까운 음의 표기수단으로 추정된다. 결국 알천, 급량은 모두 서천을 뜻한다. 그리고 알천이 북천이라는 증거로 삼았던 원성왕 즉위 기사는 김주원이 京北 ‘20리’에 살았다는 점을 주목하면 증거가 될 수 없다. 알천(서천)과 양산(남산) 사이의 오릉, 나정 주변에는 도당산토성, 남산토성과 같은 초기 군사유적이 있고 최근에는 탑동에서 원삼국시기의 토광목관묘가 발견되어 그곳을 신라 건국 초기 세력의 중심지로 볼 근거가 마련되었다. 양산촌 세력은 초기에 남산 기슭 식혜골 주변의 山谷間에 자리잡고 있다가 오릉 근처 개활지로 주거 영역을 넓혔던 것으로 추정되며, 점차 세력이 강성해지자 정치적, 군사적 영향력을 효율적으로 행사하기 위해, 남천을 건너 경주분지로 진출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楊山(Yangsan) is read as ‘beodeulsan’ by translating the Chinese characters into Korean. It means the mountain extended from mountain range, so it indicated the Namsan Mountain in Gyeongju. Najeong(蘿井) site at the foot of the Namsan Mountain has been doubted if it was the well, but it must be the well where the founder of the Silla dynasty was born judging from the burnt stones, burnt woods, and the layer of the earth founded at the hollow. Alcheon(閼川) has been recognized as the Northern Stream till now. If so, ‘Alcheon Yangsanchon’ which was one of the six villages in the early era of the Silla dynasty become a strange word, for it means the village at the foot of the Southern Mountain by the Northern Stream. 閼川 is read as [<SUP>*</SUP>arnar], and it means the main stream, which was the Western Stream in Gyeongju. 及梁(Geupryang) means the Western Stream too. The phonetic value of 及 was [*grVp] in Old Chinese and the main vowel V is the central vowel like <SUP>*</SUP>ə, <SUP>*</SUP>ɨ, <SUP>*</SUP>ɯ. 及[<SUP>*</SUP>grVp] in Old Chinese sounds like [<SUP>*</SUP>kVrp] to Korean people’s ear by Rmetathesis and [<SUP>*</SUP>kVrp] was the old form of [kal] which means the west in Korean dialect. So Geupryang as well as Alcheon means the Western Stream in Gyeongju. Many relics of the early Silla dynasty like Oreung Tombs, Najeong Well and Tapdong site where the pit tomb with wooden coffin is located at the northwestern foot of Namsan Mountain. Besides there are early fortifications like Dodangsan Wall, Namsam Wall and Weolseong Wall built with earth. Therefore the northwestern foot of Namsam Mountain is believed to be the place where Yangsanchon village was located in the early Silla dynast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