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이용진,이종혁,유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3

        In modern society, which is rapidly changing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periences in high-tech core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the Internet of Things and autonomous car are being emphasized. However, in Korea's middle school education, it is only a superficial education such as explanation of related terms, and there is a lack of experience-oriented teaching-learning programs that can actually experience or design principles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interlocking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re technology and interlock proc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mprov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iteracy. The study procedure was progressed in four stages of literature reviews, study design,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using the ASSURE model and completing the final teaching-learning program. Thus, in phase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core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analyzed and the related study was analyzed. In the study design phase, Data sensing, Internet communicati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selected as the interlocking technology element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to develop the tools for examining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phase, the ASSURE model was applied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to improve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completing the final teaching-learning program phas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verifi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of the class, and as a result,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terlocking technology literacy.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locking technology process area had a great effect on the sub-area. 4차 산업혁명을 통해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자동차 등과 같은 첨단 핵심기술에 대한 경험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중등 교육에서는 첨단 핵심기술의 용어 설명과 같은 피상적인 교육에 그치고 있으며, 실제로 첨단 핵심기술에 대한 원리를 경험하거나 직접 설계해 볼 수 있는 체험 위주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를 활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중학생의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과 연동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의 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문헌 고찰, 연구 설계, ASSURE 모형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최종 교수․학습 프로그램 완성의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 고찰 단계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요소를 분석하고 교육 분야에서 관련 선행 연구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 설계 단계에서는 중학교 기술교육에서의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로 데이터 센싱, 인터넷 통신,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선정하였으며, 기술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ASSURE모형을 적용하여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교수․학습 프로그램 완성 단계에서는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실제 수업 적용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의 향상 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연동기술요소 활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 중 4차 산업혁명 연동과정 영역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제4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 방안

        윤현석 ( Hyun-seok Yoon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集 Vol.25 No.2

        제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I), 블록체인,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활용되어 우리의 삶을 비롯하여 기존의 산업구조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들은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및 기술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런데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과 기술은 기존의 산업과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정부 정책은 기존의 생산ㆍ수요ㆍ경쟁방식에 최적화되어 있어 제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산업 및 기술 분야를 포섭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제4차 산업혁명에서 나타나는 산업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신산업의 출현에 적합하도록 제도적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정부는 기업의 투자 및 연구개발을 유인하기 위해 현행법상 지원방식에 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산업의 세제지원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행 조특법에 대해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및 기술 분야를 활성화하기 위한 세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행 조특법상 신성장ㆍ원천기술 뿐만 아니라 사업화 시설에 대한 열거주의 방식은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 및 기술 분야의 전체, 그리고 계속적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산업 및 기술 분야에 대응할 수 없다. 따라서 현행 세제지원방식이 연구개발 등을 뒤처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외방식(Negative System)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조특법상 신성장ㆍ원천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한 투자의 범위는 유형자산ㆍ무형자산의 투자를 포함하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 이용을 통한 투자에 대해서도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제4차 산업혁명에서는 소프트웨어 또는 연구소 등을 소유하지 않고 공유를 통한 연구개발, 위탁 또는 공동으로 하는 연구개발 등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기업 간의 공동연구와 위탁연구에 대한 세액공제의 요건을 완화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현행 조특법은 제조업 관점에서 신성장 연구개발 대상기술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산업과 관련된 서비스개발에 대한 연구개발 활동에 대해서는 세액공제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4차 산업혁명 산업과 관련된 서비스개발에 대해서도 연구개발 활동으로 인정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신성장ㆍ원천기술의 범위를 선정할 때에는 관련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새로이 등장하는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산업과 기술 또는 서비스가 신성장ㆍ원천기술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기술 등에 대한 세제지원 여부를 판단할 때에도 제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문가를 다수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cluding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I), blockchain, and cloud. These technologies are bringing tremendous changes to our lives and the existing industrial structures. Not only companies but also countries are actively investing in industrie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although industrie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industries,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is optimized for the existing production, demand, and competition methods. Industrial and technical field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often not included in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industries that appea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to suit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needs to change the support method under the current law to induce investment and R&D by companies. This study proposes a tax support plan to revitalize the industrial and technical field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e current law, which is not outside the scope of tax support for existing industries. First, under the current law, the enumerationist method of not only new growth and source technologies, but also commercialization facilities cannot respond to the entire industry and technology field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the newly emerging industries and technology fields. Since such a support method can act as a factor that lags behind R&D, it is necessary to convert it to a negative system. In addition, the scope of investment to commercialize new growth and source technologies should be able to provide tax support not only for investment in facilities, that is, tangible assets, but also for investment costs for the use of related services. Nex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R&D through sharing without owning software or research centers, etc., or joint R&D. There is a need to relax the requirements for tax credit for research and commissioned research.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law defines target technologies for new growth R&D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re may be cases where tax credits are not received for R&D activities related to service development related to the service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service development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Finally, when selecting the range of new growth and source technologies, relevant experts must actively participate so that newly emerging industries, technologies or servic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selected as new growth and source technolog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large number of experts closel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tax support for related technologie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사이버네틱스-기계적 기술체계에서 자기조직적 기술체계로-

        문종만 ( Moon Jong Ma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0 No.68

        2016년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물결이 한국 사회를 강타했다. 스위스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의제로 ‘4차 산업혁명의 이해’가 상정된 직후부터였다. 공교롭게도 이 시점은 2008년 미국의 글로벌 위기로 금융화 중심의 전 지구적 경제 기획이 몰락했지만 새로운 대안이 부재했던 위기 상황에서 새로운 타개책이 절실했던 때이기도 했다. 그 후부터 지금까지 4차 산업혁명은 한국 사회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2016년 커다란 관심을 한 몸에 받았던 4차 산업혁명은 2017년 하반기부터는 주요 언론을 중심으로 불투명한 미래를 대변하는 천덕꾸러기처럼 대접받고 있다. 1년 사이의 이런 온도의 변화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더 나아가 과연 4차 산업혁명은 향후 한국 사회 에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낼 것인가?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역사적, 원리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이 접근법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 아래 수많은 요소가 난마처럼 얽혀 공진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시점과 너무나 가까워서 역사적 회고나 성찰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역사적, 원리적 관점을 바탕으로 패러다임의 전환과 기술체계의 변동을 비교·고찰한다. 17세기부터 19세기말까지 지배적 세계관이었던 뉴턴의 단순성 패러다임은 20세기 초 새로운 복잡성 패러다임으로 이행했는데, 이런 변화는 기술체계의 전환, 즉 기계적 기술체계에서 자기조직적 기술체계로의 전환을 동반했다. 이런 비교·고찰을 함으로써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기술 변동의 함의를 이해하고 미래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offers a new philosophical approach for explaining the system of technology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Since 2016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one of the hottest topics in Korea. This in two ways; first, all the government agencies recognized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as a tremendous opportunity to overcome the current recession; second, people believed that one major role of it is to challenge the deepest assumptions which permeate our attempt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world. The expectation that technology will change everything has been amplified. What such claims mean and what their consequences will be considered throughout this paper. Its overall aim is to outline the era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the challenges that it makes and the opportunities that it offers our society with regard to a specific set of problems and concerns. As opposed to the fact that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was a recent phenomenon, I aim to demonstrate that it has a history, as does the concept of technology. In doing so, I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rapid technological change surrounding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by comparing the transition of the paradigm of simplicity to the paradigm of complexity. The paradigm of simplicity means Newtonian science which is rooted in physics and mathematics. From the 17<sup>th</sup> century to the end of the 19<sup>th</sup> century, Newtonian science has shown us a world simple and predictable. When it comes to the laws of the motion, the core of the paradigm of simplicity suggests that the world is a well-behaved machine. It offers the promise of a law-abiding and predictable universe, a belief strengthened by the notion that relationships between cause and effect are simple, clear, and linear. And I regard as the core system of the paradigm of simplicity as a mechanical system of technology. The mechanical system of technology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1) human control, 2) components with different functions, 3) repeatability and permanence. But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there was a shifting paradigms.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quantum mechanics, and non-equilibrium thermodynamics have completely changed the view of the world. As the science philosopher Hans Reichbach has mentioned, there was "transition from causal laws to probability laws". And then it has introduced the paradigm of complexity, a new achievement in philosophy and science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sup>th</sup> century. Regarding the paradigm of complexity, it has shown us a world far more complex and unpredictable than Newton’s physics can explain. And in this process, a new theory called Cybernetics was born. In 1948, invented by Nobert Wiener, this is the science of communications and automatic control systems in both machines and living things. To put it another way, the key words here are ‘entropy’, ‘feedback’, and ‘information’ as they indicate the interweaving of the notion of communication and control in both machines and living things. Cybernetics focuses on how systems use information and control action to steer towards and maintain their goals, while counteracting various disturbances. And this cybernetic feedback proces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lf-organizing system of technology. The self-organizing system of technology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1) limited control, 2) cybernetics network, 3) autonomy and persistence. Departing from this distinction, I then focus on the implication of the technical system in the era of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system and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Self-driving Car, 3D printers, etc. And in order to explain the strained relationship between paradigm and system of technology, I use a historical and principle approach which is to view the current rapid technological changes such as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or digital transformation from a wider perspective. As a result, this study will show meaningful results on what the current meaning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is and what the future direction will be.

      • KCI등재

        유통 물류 기업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혁신 특성에 대한 연구

        장병열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23 유통물류연구 Vol.10 No.3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will increase in the future in the distribution logistics industry innovation. Innovation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oT, big data, and virtual augmented reality is fundamentally changing the source of value creation in the distribution logistics industry. In this stud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distribution logistics companie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pplication area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other service industries. In addition, changes in technology compan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distribution logistics and changes in distribution logistics by detailed industry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 of companies developing or utiliz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in the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dustry was as low as half of other service industries, and the rate of increas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nies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service industries, and the gap was widening. Cloud and big data accounted for about half of the total, and the importance of cloud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in terms of changes in technology. Compared to other service industries, in the distribution and logistics industry, the relative proportion of cloud and mobile 5G amo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was high, and the relative propor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lock chain was low.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distribution logistics industry, the detailed distribution logistics industry was analyzed to have differentiated innovation characteristics, indicating that specialized support measures for each detailed industry were need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specialized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support was needed to reflect the typ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distribution logistics industr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ICT 융합 체육 수업의 미래 전망 : 초연결, 초지능, 초실감 기술을 중심으로

        박세원(Park, Se-Won)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3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기술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체육수업의 미래를 탐색함으로써 ICT 융합 체육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 및 ICT 융합 체육 관련 정책 문서, 전문 서적, 논문 등을 통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기술 및 체육 수업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기술 발달 단계별 ICT 융합 체육 수업 시나리오와 체육과 영역별 ICT 융합 체육 수업 시나리오를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특징은 지능화(Intelligence Digital Transformation)에 있으며, 초연결, 초지능, 초실감 기술로 구분된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기술 발달에 따른 ICT 융합 체육 수업의 모습은 교육트랜스폼으로 인해 교육의 울타리를 확장하고, 개별맞춤식 교육을 실현하며, 흥미 기반 학습을 지향하게 된다. 셋째, 4차 산업혁명 시대 체육과 영역별 ICT 융합 체육 수업은 건강 영역의 건강관리시스템 구축, 도전 영역의 개별맞춤형 도전 학습, 경쟁 영역의 실감 체험형 e스포츠 리그, 표현 영역의 창의·융합형 메이커교육, 안전 영역의 시뮬레이션형 안전체험학습이 기대된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ICT 융합 체육 발전을 위한 기술의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CT convergen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re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ploring the futur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m. For this study, the changes in core technologie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investig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rough policy documents, specialized books, and thesi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ICT convergence physical education. Then, the scenarios for ICT convergen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stage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CT convergen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each physical education part were describ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s characterized by intelligence digital transformation, and is divided into hyper-connectivity, super-intelligence, and ultra-reality technologies. Second, the ICT convergen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xpands the barriers of education, realizes personalized education, and aims for interest-based learning. Thir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CT convergenc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each part of physical education are the establishment of a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e health part, individually customized challenge learning in the challenge part, a realistic experience-type e-sports league in the competition part, and a creative-convergence-type maker education in the expression part. In addition, simulation-type safety experience learning in the safety part is expec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a method of utilizing technology for the development of ICT convergence pysical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의 역할과 방향

        윤승태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8

        With the unimaginably rapid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ompanies which predicted a change and dominated the market in advance although political and economic predictions missed the mark globally are strengthening their control over the market and many countries of the world are struggling to us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ir key industries.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s a new insight on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human values beyond the boundary between industry and technology different from the past three industrial revolutions, it will come as a more intensified conflict across the entire areas of church. In such situations, the current Korean churches began practical theology-based discussions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religious world needs to explore alternatives more actively at the overall level. The role of church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does not lie in knowing how to use scientific technology. More essentially, it lies in what alternatives churches can look for against uncertainty and imbalance as much as they change at rapid rat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looks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and proposes the role of Korean churches in two direction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first is Christian spiritual restoration, which puts its basis on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Christian spirituality needs to be restored because churches have a mission to preach that humans are a creation of God that scientific technology cannot replace although it continues to evolve and spiritual beings that can get acquainted with God. The second is coping actively with social changes and reinforcing community spiri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hurches need to be a community that can communicate more, and be flexible and autonomous in forming a relationship.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Korean churches have to start again from spiritual restoration and community. They have to play their role with interests in people, society, and scientific technology that they had missed outside the church walls so far. Churches, as a spiritual community will have to carry out their mission with spirituality and sociality combined by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practicing sociality in the relationship with neighbor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상상할 수 없는 빠른 속도로 도래하면서 세계적으로도 정치와 경제적 예측이 빗나가지만, 변화를 먼저 예측하고 선점한 기업들은 이를 활용하여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고 있고, 세계 주요국들은 앞 다투어 국가별 핵심 산업 분야를 주축으로 4차 산업혁명을 활용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지난 세 차례의 산업혁명 때와는 다른 산업과 기술의 경계 문제를 넘어 인간 존재와 가치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교회도 전 영역에 걸쳐 더욱 심화한 갈등으로 다가올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한국교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실천신학적 논의를 시작하였으며, 교계의 전체적인 차원에서 연합하여 더 적극적으로 대안을 모색해나갈 필요가 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교회의 역할은 과학기술 개발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있지 않다. 그보다 본질적인 것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만큼 커지는 불확실성과 불균형에 대하여 교회가 어떤 대안을 모색할 수가 있느냐 하는 점이다. 본고에서 저자는 4차 산업혁명의 특징과 한국교회 현실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한국교회가 두 가지 방향에서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첫째는 교회의 신앙 본질에 기반을 두는 기독교 영성 회복이다. 기독교 영성 회복이 필요한 이유는 과학기술이 끊임없이 진화하며 발전을 해도 인간은 과학기술이 존재와 가치를 대신할 수 없는 창조주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피조물이자, 인간만이 하나님과 만남과 교제를 나눌 수 있는 영적 존재임을 전해야 하는 사명이 교회에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공동체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회는 더욱 소통하고 공감하며, 관계 형성에 탄력적이고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의 공동체가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한국교회는 기독교 영성 회복과 공동체성을 강화하는 일부터 다시 출발해야 한다. 그동안 교회가 교회 울타리 밖에서 놓치고 있던 사람과 사회와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두고 사명과 소명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영적 공동체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회의 자기 정체성 확립과 이웃과의 관계에서 사회성을 실천함으로 영성과 사회성을 겸비하고 균형을 이루는 선교적 사명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특수교육공학의 방향

        김용욱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1

        The acceleration of social change i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s requiring stronger changes in education than before. The arrival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utilizes the Interne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has brought about an overall chang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direction of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curriculum,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cannot be irrelevant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presently somewhat inadequate to cope with the changing social and educational paradigm. Particularly, even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where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fully utilized, there is little specific discussion. Therefore, this study deals with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irst, review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change, the sub-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counter measures of special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mmarizes educational philosophy and goals, curriculum,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welfarein consider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aper, proposes the direction for the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by critically reviewing the flow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In this process, it is a limitation that can’t point out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which is a subcategory of education but is a upper category of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It is recommended that the future study should focus o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based on hierarchy and continuity of education, speci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chnology. This study will be considered as a foundation of a series of studies.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사회적 변화의 가속화는 교육에서의 변화를 이전보다는 더욱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교육 분야에서의 전반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현재 교육환경, 교육과정, 교육내용과 방법 등에 걸쳐 교육의 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반면 특수교육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절대 무관할 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변화하는 사회적, 교육적 패러다임에 견주어 다소 미흡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이 온전하게 활용될 수 있는 특수교육공학 분야에서조차도 구체적인 논의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특수교육공학의 방향을 다루었다. 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개관해 보고, 이에 따른 교육 변화의 방향을 가늠해보고, 특수교육의 하위범주이며,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특수교육공학의 대응방안을 논의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진행된 관련 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의 교육철학 및 목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복지의 방향을 정리하며 교육방향의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변화 방향이라는 큰 틀에 맞추어 컴퓨터를 중심에 놓고 한국 특수교육공학의 흐름을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특수교육공학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육의 하위 영역이면서 특수교육공학의 상위 범주인 특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 점은 한계임을 인정하며 향후 연구는 교육, 특수교육, 특수교육공학의 위계성과 연속성에 기초하여 체계적인 특수교육공학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으면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일련의 연구에 대한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기업가치 성장과 재무자산의 관점에서 바라본 4차 산업혁명 파급 효과” 에 대한 실증 연구논문 (제조기업에서의 지식 가치 창출 활동 및 재무정보의 시계열 변화 중심으로)

        서영호,배기수 한국창업학회 2023 한국창업학회지 Vol.18 No.1

        The European Patent Office Secretariat (EPO) analyzed the global patent database in time series and defined 2010 as the time wh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began to spread rapidly. Through this study, it was demonst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value creation activities and financial information that "wheth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has a practical ripple effect throughout the manufacturing sector from 2010".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influence of knowledge assets for the corporate value growth& management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time serie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corporate growth & financial factor /asset structure. From 1980 to 2020, the level of intellectual property creation activities and financial information of KOSPI/KOSDAC listed manufacturers were collected quantita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of 2010year). For each group, the level of knowedge value creation activies(intellectual property), asset level, and asset structure's impact on corporate value growth(market capitalization)& management performance(net profit)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ased on statistical processing. By deriving correlation and polynomial regression equations for each group and comparing them between the two groups, we could quantitatively grasp the type of change in the regression model and the financial factors that i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rporate growth value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gree to which knowledge value creation activities contributes to corporate value growth (market capitaliz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net income) increased further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 particular, knowledge value creation actitvities showed a clear increase in corporate value growth (market capitalization) rather than management performance (net income). Based on the European Patent Office's study for patent DB that is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spread tim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value growth and financial assets. And also, this study is helpful in quantitatively studying the corporate value growth model reflecting financial factors linked to the increasing trend of knowledge value creation activit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유럽 특허 사무국(EPO)에서는 글로벌 특허 데이터베이스를 시계열 분석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확산된 시점을 2010년 이후로 정의하였고, 본 연구를 통하여 “2010년부터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제조 분야 전반에 실질적인 파급 효과를 내고 있는지”를 지식 가치 창출 활동과 재무 정보의 관점에서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전후하여 지식 가치 창출 활동이 기업가치 성장 및 경영성과에 미친 영향력의 수준을 재무요소/자산구조와의 관계 측면에서 시계열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80년부터 2020년에 이르기까지 국내 상장 제조기업이 가지는 지식 가치 창출 활동 수준과 재무정보를 정량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2010년을 경계로 4차 산업혁명 전/후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대해, 지식 가치 창출 수준 및 강도, 자산 수준, 자산 구조가 기업가치 성장 및 경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항 회귀식을 각 그룹 별로 도출하여, 전/후 두 그룹 간에 비교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급격히 확산된 2010년 이후의 회귀모델의 변화 형태와 기업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준 재무요인의 영향력 변화 수준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지식 가치 창출 활동 수준이 기업가치 성장과 경영성과에 기여하는 정도가 4차 산업혁명 기술 확산된 시기 (2010년) 이후에는 더욱 증가하였고, 특히 지식 가치 창출 활동 수준 (지식자산)은 경영 성과(당기순이익)보다 기업가치 성장(시가총액)에 뚜렷한 증가를 나타냈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확산 시점에 대한 유럽 특허청의 특허 DB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지식 가치 창출 활동을 기업가치 성장과 재무자산의 관점에서 실증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산업 전반으로 확산된 시점(2010년)을 실증적으로 규명해볼 수 있었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식 가치 창출 활동 증가 추세와 연동된 재무 인자들을 반영한 기업가치 성장 모델을 정량화하는 시도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목회의 새 전망: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김정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one of the hot topics currently drawing worldwide attention. In all disciplines of the world, including Korea, research and discussions are underway on what to prepare and how to respond to the great changes in the world brought o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first looked at the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an analysis of leading technologies, and major issues that developed during this period. In these situations, I examined areas, tasks and directions of the educational ministry as practical theology. This paper has been divided into five parts: I. Introduction: I raised research motivations and problem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this paper. II. The Main Issu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ost prominent concer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overed across three themes. 1. The Mean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 discuss the views of three scholars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introduce and analyze concepts of three dominant scholars, including Alvin Toffler's "The Third Wave"(1980),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2011), and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2016). 2. The Main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ere I present three domains of technology, including the physical sphere, digital sphere, and biological sphere. 3.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hree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SAI) vs. Weak Artificial Intelligence(WAI), and Issues in Education are examined. III.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s concerns in Education: Three Educational concerns are presented as follows. 1. Educational concerns of Jeremy Rifkin’s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2. Educational concerns of Klaus Schwab’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3. Educational concerns of Kore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IV. Educational Ministry Tasks of the Korean Church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Here I discuss three themes pertaining to new situations of Educational Ministry as follows. 1. Historical awareness and self-consciousness of Christian Church. 2. Educational ministry in new situations, caring and nurturing. V. Conclusion: Finally I insist that despite the benefits and convenience of innovative technologies offered to u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twenty-first century, we must once again reflect on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ducation ministry as a source of caring for excluded and alienated human beings. 오늘날 제4차 산업혁명’은 전 지구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뜨거운 관심사들 가운데 하나이다. 한국을 포함하여 세계의 모든 학문 분야에서는 제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세상의 큰 변화에 대하여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자는 먼저,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과 그 주요 기술들의 내용,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실천신학으로서 교육목회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과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다섯 부분으로 전개되었다. I. 들어가는 말에서는 연구 동기와 문제를 제기하였다. II.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이슈들에서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1. 제4차 산업혁명의 의미에 대한 세 학자들의 견해를 논의하였다. 1980년 앨빈 토플러의 ‘제3물결’, 2011년 제러미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 2016년 클라우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2. 제4차 산업혁명의 주요 테크놀로지들에서는 물리학 기술, 디지털 기술, 생물학 기술 등을 소개하였다. 3.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 강한 인공지능 vs. 약한 인공지능, 인공지능과 교육에서의 이슈 등을 다루었다. III.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분야의 관심에서는 1. 리프킨의 3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관심, 2.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3.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사회에서의 교육적 관심 등을 소개하였다. IV. 제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교회 교육목회의 과제에서는 1. 기독교회의 역사의식과 자의식, 2. 새로운 상황과 교육목회: 돌봄과 양육 등을 논의하였다. V. 나가는 말에서는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의 우리에게 선사한 혁신적 기술들의 혜택과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배제되고 소외된 인간에 대한 관심과 돌봄으로서 교육목회의 과제와 방향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성찰함으로 글을 마쳤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윤선중 ( Sun-jung Yoon ),서종현 ( Jong-hyen Seo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1 中小企業硏究 Vol.43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업과 비 4차 산업혁명기업 간의 경영성과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표본은 기술보증기금이 자체적으로 기술평가를 거쳐 기술혁신기업 및 4차 산업혁명기업으로 분류한 2,543개 기업의 현장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혁신역량 변수에는 연구개발 인력 규모, 연구개발 조직 수준, 지식 재산권수, 무형자산 비율, 지식자산 금액, 연구개발 투자금액, 연구개발 집약도 라는 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4차 산업혁명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연구개발 조직 수준 요인을 제외한 요인들 모두가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특히, 지식자산 금액이 경영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업과 비 4차 산업혁명기업 간 평균 비교 분석에서는 4차 산업혁명기업이 보다 경영성과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how the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ffects management performance. It also analyze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 in business performance betwe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nd the non-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The samples for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in-situ data of 2,543 enterprises classified as technical innovation enterprise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through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s in-house technical evaluation. Variables for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were analyzed using variables such as the size of manpower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leve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the number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ratio of intangible assets, the amount of knowledge properties, the amou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and the intensiveness degre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erms of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on business performance, all factors except for the leve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were found to affect business performance, which supported the study hypothesi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knowledge properties has had a relatively greater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the averag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nd the non-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confirme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conducted higher values in the business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