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8선 월경의 (비)가시화와 서사적 정당성 -분단 체제 성립 전후 38선 월경 서사를 중심으로

        오태영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3

        The 38th parallel was a dividing line defined by the military necessity for the presence and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ost-Asia-Pacific War as part of US policy toward Asia. On the 38th parallel, Soviet and American troops were pearled and occupied north and south.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Military Administration, movements for the elimination of the 38th parallel have been active in South Korean society. The 38th parallel was a barrier to building an independent state through national unification. Therefore, the Koreans who were liberated but did not achieve independence must be abolished the 38th parallel for independence. However,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trusteeship system, the 38th parallel acted as a dividing line of ideology that strengthened the exclusive hostility of the two Koreas. Accordingly, the 38th parallel acted as a dividing line of ideology that strengthened the exclusive hostility of the two Koreas. In the narrative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divis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act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has been captured in the context of national suffering. At that time, the last and painful process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showed a direction from north to south. And it became visible by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that prepares for the ethnicity of South Korean society, and obtained narrative justification. But among them, the Japanese, who were old-time colonists, or those who practiced illegal crossing, had vaguely left behind traces. Their crossing the 38th parallel remained vaguely, though not specifically described, but existed. In that sense, the narrative of crossing the 38th parallel had the effect of justifying the behavior and desires of menstruating individuals and groups at the national level. 38선은 아시아-태평양전쟁 전후 처리 과정에서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의 일환으로 전개된 미군의 한반도 주둔․점령을 위한 군사상의 필요에 의해 획정된 분할선이었다. 38선을 기준으로 이북과 이남에 소련군과 미군이 진주․점령하고, 군정청이 설치되어가는 가운데 남한사회에서는 38선 철폐를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났다. 38선은 민족의 통일을 통한 독립국가 건설의 장벽으로서 해방은 되었지만 독립은 달성하지 못한 조선인들에게 독립을 위해 반드시 철폐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신탁통치 체제가 강고화되어가면서 38선은 남북한의 배타적 적대관계를 강화하는 이념의 분할선으로 작동하였다. 1948년 단독정부 수립, 남북한 분단 체제의 성립을 전후 한 시기에 생산된 38선 월경 서사에서 38선 월경의 행위는 민족 수난사의 맥락 속으로 포섭되어갔다. 그때 지난하고 고통스러운 38선 월경의 과정은 북에서 남으로의 방향성을 띄었고, 남한사회의 민족-됨을 예비하는 인구의 이동으로 가시화되어 서사적 정당성을 획득했다. 하지만 그 가운데에는 구식민자였던 일본인이나 불법적인 월경을 감행하는 잠상꾼들이 비록 흐릿하게나마 그 흔적을 남기고 있었다. 그들의 38선 월경은 구체적으로 서사화되어 제시되지 않은 채 비가시적인 것들로 남아 있었지만 엄연히 존재했다. 그런 점에서 38선 월경 서사는 월경하는 개인과 집단의 행위와 욕망을 민족적 층위에서 정당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발휘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해방 직후 우익 민족주의자들의 38선 철폐운동과 한반도 분단에 대한 좌익의 입장

        박명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9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41 No.1

        This paper examined Korean people’s shock at the 38th parallel that immediately followed the Liberation and the right wing nationalists’ corresponding response. The 38th parallel was a operation line created by the US and Soviet forces to disarm the Japanese army, but the Soviet Union turned it into a borderline, which stopped the exchang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Many North Koreans sought freedom fled South, and many Koreans felt the 38th parallel presaged the division of a nation. An Jaehong’s National Party was the first to seriously raise objections against 38th parallel and proposed its abolishment. The National Party saw the Soviet Union’s occupation of North Korea as a hindrance to an integrated nation-state that transcends class hierarchy, so the National Party argu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Military Government. The individual that raised more concrete objections against the 38th parallel and its abolishment, making it into an international issue was Syngman Rhee. Rhee, who worried that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sacrificed in the international politics, argued the need to uncover why the 38th parallel was created and to demand accountability; so, he made the Society for Rapid Realization of Independence (SRRI), that, on behalf of the people, would raise the issue of the 38th parallel with the Far East Advisory Committee and Moscow’s foreign ministers conference. Kim Koo was also recognized that the elimination of the 38th parallel was an important issue following Liberation, however he did not propose specific measures to address this other than the proposal to establish Chungching’s Provisional Government to deal with the problem. What did Park Hon-yong of the Communist Party of Korea think about this problem? The Communist Party claimed that the Soviet forces entered North Korea to expunge the pro- Japanese faction and liberated the proletariat. The Communist party argued that the real unification would come through People’s Government North of the 38th Parallel being also established in the South. In conclusion, if the rightist position was “Abolition of the 38th parallel first and Government Establishment after”, the leftist’s position was “Government Establishment first and Abolition of the 38th parallel after.” 본 논문은 해방 직후 38선으로 인한 한민족의 충격과 여기에 대한 우익 민족주의자들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38선은 미군과 소련군이 일본군 무장해제를 위해서 만든 작전선이었으나 소련은 이것을 경계선으로 만들어서 남북의 교류를 중단시켜 버렸다. 많은 북한인들이 자유를 찾아서 월남하였고, 많은 한국민들은 38선을 보면서 민족의 분단을 예감하였다. 안재홍의 국민당은 처음으로 38선 철폐를 본격적으로 제기하였다. 국민당은 소련의 북한 점령은 초계급적 통합민족국가 형성에 장애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통일군정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8선 철폐문제를 보다 구체적이며, 국제적으로 제기한 사람은 이승만이다. 한반도가 국제정치의 희생이 되는 것을 염려했던 이승만은 왜 38선이 만들어졌는가를 밝혀내서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독립촉성중앙회의를 만들어 전 민족의 이름으로 이 문제를 극동자문위원회와 모스크바 3상회의에제기하고자 하였다. 김구 역시 38선 철폐가 해방 후 가장 중요한 문제임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그는 임시정부를 수립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는 것외에는 특별한 대책을 내 놓고 있지 못 했다. 조선공산당의 박헌영은 이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했을까? 공산당은 소련군이 북한에 진주하여 친일세력을 청산하고, 무산자의 해방을 가져왔다고주장하며 진정한 통일은 38 이북의 인민정부가 남한에서도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해방 직후, 우익은 38선 철폐를 통한 남북 교류에 많은 관심이 있었다면, 좌익은 각종 혁명의 수행을 통한 인민공화국 건설에 집중하였다고 본다.

      • KCI등재

        북한의 38선 접경지역 정책과 접경사회의 형성 : 1948~1949년 강원도 인제군을 중심으로

        김재웅(Kim Jae-woong)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8

        국제적 냉전시대의 개막에 앞서 미소 간 타협의 결과로 획정된 38선은 남북 분단 상황의 고착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 해방 후 38선은 남북교류의 통로이자 다양한 유형의 남북관계를 창출한 공간적 접점으로 기능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관념적 경계로서 38선이 지닌 위상과 의미에 보다 주목하는 경향을 보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진전된 국제질서의 재편 과정과 결부해 남북 분단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을 다룬 기존 연구들에서, 38선은 공간적 · 물리적 실체라기보다 미소의 한반도 관련 협약을 명문화하기 위한 일종의 편의적 기준선 혹은 관념적 경계선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해방 후 38선 접경지역은 온갖 유형의 남북교류와 남북관계가 창출된 역동적 공간이었다. 이 연구는 그간 관념적 대상의 지위에 머물러 있던 38선에 대한 인식과 접근방식을 극복하고, 보다 실재적이며 구체적인 공간으로서 해방 이후 한국전쟁 전까지 38선이 수행한 역사적 기능에 주목하고자 한다. After liberation, the 38th parallel dividing Korea contributed to adherence of two separate nations. Because South and North Korea intended to build political, economic, social systems opposing the other party and therefore looked upon counterpart as an enemy, control systems to prevent diverse intercourses between both were established solidly in border near the 38th parallel. Such control systems had influence on creating the peculiarity of a border regions. Residents in a border regions located in South Korea were inclined toward conservative right wing ideology corresponding with that of their state. On the other hand counterparts in North Korea tended to be inclined toward radical left wing ideology. Of course such phenomena have relation with the peculiar sides of a border society like a defensive system by civilians, the heavy mobilization of civilian efforts, a series of military collis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over 1949 and so on. Therefore class struggle and Anti-Spy Struggle in border regions were evolved differently in comparison with other regions over the 38th parallel. The radical evolvement of class struggle and Anti-Spy Struggle were supported by young Communists, rising by change of leadership inside border regions. A target region examined by this study on a region bordering the 38th parallel is Injae-gun, Kangwon-do. Injae-gun area is sufficient for conditions as a border region as well as has left abundant documents showing North Korea's policies toward the 38th parallel between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Also above documents are useful for describing the evolvement course of revolution in border regions adjacent to the 38th parallel in North Korea. Illuminating the essential qualities of the North Korean revolution by means of a specific case on border region is another target of this study.

      • KCI등재

        북한의 경계·국경 인식과 북·중 접경지역 경비(1945~1947) - 국경경비대를 중심으로

        김선호(Kim Seonho)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해방 당시 한국의 정치세력들은 38선을 자본주의진영과 사회주의진영을 구분하는 사상적 경계이자 새로운 냉전질서의 경계로 인식했다.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은 민주기지론에 따라 혁명기지인 38선 이북지역과 이남지역의 공간적 동일성을 강조했다. 반면에 독립동맹은 동북혁명기지론에 따라 혁명기지인 만주지역과 38선 이북지역의 공간적 동일성을 강조했다. 이 같은 경계 인식의 연속선상에서 북조선분국은 38선을 ‘경계선’으로 인식했고, 독립동맹은 38선을 ‘국경선’으로 인식했다. 북·중 접경지역에 대한 경비는 1945년 9~11월 동안 소련군이 전담하다가 12월부터 북한정치세력이 조직하기 시작한 국경경비대가 담당했다. 접경지역의 제1선은 1946년 6월까지 국경경비대가 담당했으나, 1946년 7월부터 중국 국민당이 접경지역을 점령하자 소련군이 담당했다. 또한 북한정치세력은 1947년부터 중국국민당이 동북지역을 대부분 점령하자 국경경비대 대신 인민집단군을 접경지역에 전면적으로 배치했다. 그리고 북한정치세력은 1946년부터 중국공산당과 중국국민당의 월경행위에 대해 각각 제한적 허용정책과 전면적 저지정책을 구사하였다. 북조선분국은 38선을 한반도의 지리적 경계로 인식한 것과 달리 북·중 접경지역을 한반도에 건설할 국민국가와 중국의 국경으로 인식했으며, 이와 같은 인식에 따라 이 지역을 경비하는 부대에 “국경”이라는 용어를 부여했다. 1945~1947년 당시 북·중 접경지역은 국제법상의 국경은 아니었지만, 북한은 이 지역을 ‘내재적 국경’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북한의 국경은 국민국가수립 이전에 내재적으로 출현하였다. At the time of liberation, Korean political forces thought the 38th parallel to be the boundary of the Cold War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capitalism camp and the socialism camp. The North Korean Branch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NKB) emphasized the spatial identity of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North Korean base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Independent League(KIL) emphasized the spatial identity of Manchuria and the north of the 38th line according to the Manchurian revolutionary base theory. Under such a perception of boundaries, the NKB recognized the 38th parallel as a ‘boundary line’, and the KIL recognized the 38th parallel as a ‘border line’. The NKB recognized recognized the border area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s the border of the national state to be built on the Korean peninsula. The border area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as a border line that existed in the minds of the NKB. Since the North Korean political forces considered the Yalu River and the Tumen River as borders, it gave the unit guarding the area the term “border”. North Korean political forces have established border guards to create a boundary between the outside and inside of sovereignty. The border security system of North Korea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China civil war. North Korea allowed menstruation in the Chinese communist army, but stopped menstruation in the Chinese nationalist army. Between 1945 and 1947, border area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was not a border for international law, but North Korea recognized the region as an ‘immanent border’. However, North Korea did not regard it as a solid line that could not cross the border. The border of North Korea appeared intrinsically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state, and it was not a solid boundary but a cracked boundary.

      • KCI등재후보

        한반도의 분단과 모스크바 외상회의

        박명수(Park, Myung-soo)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20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42 No.1

        종전 직후 미국의 한반도 정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38선이 한반도의 분단을 가져 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 국무성은 이미 얄타회담에서 미국과 소련 사이에 맺은 공동신탁통치 약속을 내세워서 일차적으로 38선을 철폐시키고, 통일행정부를 만들어 신탁통치를 실시하고, 이어 독립정부를 만들려고 하였다. 여기에서 신탁통치는 38선 철폐를 위한 수단이었다. 소련은 미국의 38선 철폐에 대한 입장을 듣고, 오래 동안 여기에 대해서 침묵하였다. 원래 소련은 신탁통치에 반대한다는 입장이었으나 이것을 수용해야 할 경우에는 소련이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소련은 신탁통치를 받아들이되, 이것이 실질적으로 소련의 입장에 유리하도록 만들려고 하였다. 그래서 소련은 모스크바 회의에서, 미국 측이 주장했던 38선 철폐와 통일행정부 문제는 무력화시키고, 자신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정부수립(사실은 인민정부수립)과 미소공위문제는 전면에 내세우게 되었다. 결국 신탁통치라는 이름은 들어있지만 처음부터 한국인들 중심으로 정부를 수립한다는 점에서 신탁통치라는 의미는 사라지고 말았다. 결국, 모스크바 외상회의는 소련의 의도대로 진행되었고, 이 다음의 정국은 소련에 의해서 주도되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모스크바 회의에서 한반도의 통일과 서구식 민주주의적인 정부를 세우려는 미국의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된 것이다. Immediately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US policy on the Korean Peninsula was to ensure that the 38th parallel line would not bring about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S State Department had tried to use the promised joint trustee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t the Yalta Conference to firstly abolish the 38th parallel line, begin a unified administration, implement trusteeship, and establish an independent Korean government. Here, the rule of trusteeship was a means to abolish the 38th parallel line. The Soviet Union, after hearing the United States’ position on the abolition of the 38th parallel line, remained silent about it for a long time. Originally, the Soviet Union was in a position to oppose trusteeship, but if it had to be accepted, the Soviet Union had to take the initiative. Therefore, the Soviet Union accepted the rule of trusteeship and attempted to make it practically advantageous to the Soviet Union. Thus, at the Moscow conference, the Soviet Union denied the United States’ claim of the 38th parallel line abolition and establishment of a unified administration. Furthermore, it brought to the forefront the established government (in fact, the People’s Government) and the US-Soviet Joint Commission. In the end, the claim of trusteeship was included, but the meaning of trusteeship perished in that it established a government centered on Koreans from the beginning. Eventually, the Moscow Foreign Ministers Conference proceeded as intended by the Soviet Union, and the next political situation was led by the Soviet Union. In this regard, the United States’ plan to establish a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 Western-style democratic government at the Moscow meeting was disrupted.

      • KCI우수등재

        미국의 38선 획정 원인과 목적(1943~1945)

        박다정 역사학회 2023 역사학보 Vol.- No.260

        Following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in December 1941, the United States requested the Soviet Union to enter the war against Japan for an early end to the war and minimization of its own casualties. Furthermore, at the Yalta Conference in February 1945, the Soviet Union pledged to enter the war against Japan within three months of the defeat of Germany. Subsequently, on June 18, President Truman approved a plan to not participate in any military ac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iting the massive sacrifice of American troops that would ensue. However, on August 11, the day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first announced its intention to surrender, President Truman ordered a direct landing on the peninsula. The State-War-Navy Coordinating Committee and the Joint Chiefs of Staff soon decided that the 38th demarcation line would be the dividing line between the Korean occupation of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The U.S. decision to draw the 38th parallel was influenced by the issues of postwar handling of Poland, distribution of Italian colonies, distrust of the Soviet Union that had accumulated during the negotiation of the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Alliance, and development of the atomic bomb by the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demarcating the 38th parallel was 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trusteeship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war, which had already been agreed upon by the Allies. The demarcation of the 38th parallel was a means of forcing the Soviet Union to implement the international trusteeship and did not mark the beginning of a U.S.-Soviet confrontation or the Cold War.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이 발발한 이후, 미국은 전쟁의 조기 종결과 자국민의 희생 최소화를 위해 소련에 대일참전을 요청했으며, 1945년 2월 개최된 얄타회담에서 소련은 독일 패망 3개월 이내에 대일전에 참전할 것을 약속하였다. 이후 6월 18일, 트루먼 대통령은미군의 막대한 희생이 예상된다는 것을 이유로 한반도에 대한 군사작전에 참여하지 않는방안을 승인하였다. 그러나 일본 정부가 첫 항복 의사를 밝혀온 다음 날인 8월 11일, 트루먼 대통령은 한반도에 대한 직접 상륙을 지시했으며, 곧이어 3부조정위원회와 합동참모본부는 38선을 분계선으로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는 방안을 결정하였다. 미국의 38선 획정 결정에는 폴란드의 전후 처리문제, 이탈리아의 식민지 분배문제, 중소우호동맹조약의 협상 과정을 통해 누적된 소련에 대한 불신 및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38선 획정을 통해 연합국 사이에 기존에 합의된 전후 한반도에 대한 4대국신탁통치를 원활히 이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었다. 미국의 38선 획정은 4대국 신탁통치의 실시를 소련에 강제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며, 미·소 대립 혹은 냉전의 시작을 의미하는것은 아니었다.

      • KCI등재

        “중앙집권화 된 행정부”와 한반도의 분단

        박명수(Park, Myung-Su)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2 No.-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 정책의 핵심은 미국, 영국, 중국,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신탁통치였다. 이런 신탁통치는 한반도의 분열을 가져 올 수 있다. 그래서 미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중앙집권적인 행정부”를 설립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미국이 이런 정책을 고려한 것은 한반도 전체에 미국의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함과 한반도가 하나의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공동체라는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비록 한반도에 여러 국가의 군대가 진주하지만 미국은 이런 정책을 통해서 하나의 독립된 국가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 소련은 한반도에 하나의 중앙정부를 갖기 보다는 북한에 친소적인 정부를 만들기를 원했고, 결국 이런 소련의 정책은 미국의 요청을 거부하도록 만들었다. 소련은 미소 간에 확정된 38선을 통하여 우선 북한에 친소정부를 만들려고 했다. 해방 이후 하지는 미국무성으로부터 소련과 협력하여 하나의 중앙집권적인 행정부를 만들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소련군 사령관 치스차코프는 본국으로부터 여기에 대한 지시를 받은바 없다는 이유로 미국과의 대화를 거부해 버렸다. 그 후 이 문제는 한반도에 있는 미소 양군 사령관의 문제가 아니라 미소 양국 정부의 문제로 이관되었다. 미국은 38선의 획정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한반도의 분할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력했지만 소련의 거부로 실패하고 말았다. 한반도에 38선을 소련에 제안한 것은 미국이지만 38선을 이용해서 북한에 친소정부를 만들고, 분단을 고착화시킨 것은 소련이다. Both before and after liberation (1945), the central policy of the USA toward Korea was a trusteeship made up of four nations: the United States, Britain, China, and the Soviet Union. This trusteeship could lead potentially towar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o the United States attempted to solve this problem by establishing and leading a "centralized administration." The USA was considering such a policy as a means of spreading American influence throughout the entire Korean peninsula, viewing it as a whole community, politically, culturally, and economically. Even though there might be military forces from various nations on the peninsula, the US still thought it possible to create an independent nation through implementing their policies. Rather than follow this principle, the Soviet Union desired to set up the single government for North Korea as a pro-Soviet nation, rejecting the USA"s request. After liberation the US State Department ordered John R. Hodge, US Commander in Korea to cooperate with the Soviet Union and attempt to make a single, centralized administration, but in the end the Soviet Commander Chistyakov refused to talk with the US because Stalin had not ordered him to do so. Until the present, this issue has been related to the problem of establishing separate governments, and not as a problem of having separate military commanders. In spite of the separation along the 38th parallel, the US tried not to actually divide the Korean peninsula, but its attempt failed when the Soviet Union rejected its plan. Although it was the US that proposed the 38th parallel separation, it was the Soviet Union that used the dividing line to establish a Soviet-allied government in North Korea, thus making the actual division.

      • KCI등재

        38선 분쟁과 접경지역 위기에 대처한 북한의 민간인 동원정책

        김재웅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논총 Vol.45 No.-

        Troubles of various types occurred in border regions adjacent to the 38th parallel after liberation and ex post facto measures show clearly adherence process of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fter demarcation of the 38th parallel, intensification of complications and conflic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complete equipment of defensive and mobilizational system for safeguard of own country and so on reveal that geographical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gradually developed for establishment of heterogeneous regimes. Border regions adjacent to the 38th parallel are symbolical spaces showing concrete aspects of mobilization policies of civilians and a mechanism of formation of mobilization system in North Korea. North Korean civilians living at border regions extremely being damaged by military collis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ere annoyed by stronger human and material mobilization than other regions of the State. Public opinion was so bad that popular discontents were erupted. How could North Korea suppress popular discontents and then establish everyday and permanent mobilization system under such conditions? This study intends to illuminate how those goals were solved by North Korea. Establishment of mobilization system in border regions adjacent to the 38th parallel was core goal for maintenance of defensive strength and unification of civilians. This study pursuing formative process of mobilization system in North Korea pays attention to chief subject and ideology of mobilization and values rationalizing it and so on. 해방 이래 38선 접경지역에서 발생한 여러 유형의 분쟁들과 그에 따른 사후 조치들은 남북 분단이 고착화돼가는 과정을 선명히 보여준다. 38선 획정 이후의 미소 간 남북 간 갈등 고조와 무력 충돌의 격화, 체제 보위에 요구된 방위체계 정비와 동원체제의 확립, 반체제행위 범주의 확장을 통한 각종 방어기제 확립 등은 남북의 지리적 분단이 점차 이질적 체제의 형성으로 발전해 갔음을 드러낸다. 38선 접경지역은 북한이 주목한 민간인 동원정책의 구체적 양상과 동원체제의 형성 메커니즘을 선명히 보여줄 수 있는 상징적 공간이다. 남북 간 군사 충돌로부터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접경지역민들은 역설적이게도 여느 지역보다 강도 높은 인적․물적 동원에 시달렸다. 불평불만이 끊이지 않았을 만큼 민간의 여론은 좋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민간의 불평불만을 잠재우고 일상적․항구적 동원체제를 확립할 수 있을까? 필자의 관심은 북한이 고민한 이 과제가 과연 어떤 방법을 통해 해결되었는지 밝히는데 있다. 접경지역 동원체제의 확립은 지역민들의 체제 내 통합과 방위력 유지에 요구된 핵심 과제였다. 접경지역 동원체제의 형성과정과 작동방식을 추적하고 있는 이 연구는 동원의 주요 대상, 동원 이데올로기, 동원을 합리화한 가치체계 등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38선 접경지역 동원체제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한편, 그것이 북한의 일반적 동원체제와 비교해 어떠한 유사성과 차이점을 보이는지 가늠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탈냉전과 38선 획정의 재조명

        김영호(Youngho Kim)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0 국가와 정치 Vol.16 No.-

        이 논문은 방대한 미국 외교문서들을 바탕으로 38선 획정을 연구한 국내 최초의 기념비적 연구 성과인 이용희(李用熙)의 「38線劃定 新稿」를 탈냉전 시점에 재조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글은 냉전 종식 이후에 공개된 소련을 비롯한 공산권 문서들에 기초하여 그의 논문이 갖고 있는 학문적 의의를 살펴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은 그의 논문이 갖고 있는 문제 의식과 핵심적 주장들을 최근 공개된 새로운 문서들과 연구 성과들에 기초하여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그의 논문이 미국이라는 강대국 정치의 입장을 대변한 군사편의주의설에 함몰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그 이후 등장한 수정주의적 편향성을 극복할 수 있는 독창적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다음으로 이 논문에서 제시된 그의 주장이 냉전 종식 이후 새롭게 공개된 자료들에 비추어볼 때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는지 평가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그의 논문이 그의 전체 학문세계에서 차지하는 의의를 평가하고 향후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revisit the decision to draw the 38th parallel with specific reference to "A New Thesis on the 38th Parallel" written by Professor Yong Hee Lee. His article is a monumental academic achievement on the subject. This article seek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his article by using the declassified document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His article criticizes the "military expediency theory" on the 38th parallel. It also provides an original perspective to overcome the revisionist interpretations of the Cold War. This article will concludes by assessing the importance of the article in his overall academic achievements.

      • KCI등재

        DMZ 탄생의 역사적 난제와 해결방안

        정주신(Chung, Joo-Shin)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1 한국과 국제사회 Vol.5 No.5

        이 글은 미소군정의 한반도 분단과 38°선 획정, 6.25전쟁을 회고하면서 DMZ 탄생의 역사적 난제와 해결방안을 고찰하는 데 근본적인 연구의 목적을 지닌다. DMZ 연구를 위해서는 한반도 분단과 관련된 역사적 난제들을 풀어나가야 한다. 38°선도 그렇고, MDL도 그렇고, DMZ도 그렇고, 외세나 외세에 합작한 결과물이 결국은 한반도 분단과 분열을 가져왔다는 생각이다. 이 뜻은 아직도 한반도는 통일이나 통합의 실체가 민족 내부이기보다는 외세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한반도 분단과 관련된 역사적 난제들을 풀어나가는 노력은 좀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 글에서 38°선을 소환한 이유도 DMZ와 맥락을 같이 하기 때문이다. 결국은 한반도의 평화나 통일을 위해서는 38°선과 6.25전쟁, MDL과 DMZ를 새롭게 개진해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분단 76년 정전 68년이 되었지만 한반도는 달라진 게 없다. 과거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위한 6자회담도 소환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ifficulties and solutions to the birth of the DMZ while recall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38° line of the U.S.-Soviet military government, and the Korean War. For DMZ research, historic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solved. The 38° line, the MDL, the DMZ, and the result of the joint venture with foreign powers and foreign powers eventually led to division and Conflic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means that the reality of unification or integ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determined by foreign powers rather than within the people. However, efforts to solve historic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re rarely seen. The reason why the 38° line was summoned in this article is because it is in the same context with the DMZ. In the end, it is thought that it is time to renew the 38° line, the Korean War, and the MDL and DMZ for peace o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76 years since the division and 68 years of cease-fire, but nothing has chang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ast, six-way talks for denuclearization and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also be summ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