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분기말까지 누적소폭이익 기업의 연차보고이익 분포의 특성 -이익유연화를 중심으로-

        박종일,전규안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1

        Prior research examines whether firms manage earnings to meet or beat certain benchmarks (e.g., profitability, earnings increases, and analysts’ forecasts). Building on the results of Burgstahler and Dichev (1997) show that there is a large discontinuity, or kink, in the annual earnings distribution around zero. Degeorge et al. (1999) find similar evidence using quarterly earnings distributions. Also, prior research examines whether manage earnings the fourth quarter earnings to use the last chance to meet or beat certain benchmarks. Specifically, prior research examines whether firms that unmanaged earnings are small loss of the cumulative earnings distribution at the end of the first three quarters report small profits annual earnings to avoid negative earnings surprises by managing the fourth quarter earnings (Kerstein and Rai 2007 ; Park and Jeon 2010). Whereas, we investigates whether firms with small cumulative profits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quarter manage fourth quarter earnings to income smoothing. We argue that such firms are the most likely not to manage earnings upward or downward, still at the stay. One particular manifestation of earnings management is smoothing or managing reported earnings to achieve a certain earnings targets across accounting periods. Tucker and Zarowin (2006) report that the changes in the current stock prices of higher smoothing firms contain more information about these firms’ future earnings than do the changes in the current stock prices of lower smoothing firms. Taken collectively this study support the notion that income smoothing represents an efficient vehicle for managers to reveal private information. We then test whether firms shift abnormally within the fourth-quarter earnings distribution to achieve annual profits corresponding to the smallest profit level considered. Further, we extend the earnings distribution approach to identifying earnings management by examining changes to the earnings distribution, not just the earnings distribution itself, and also extends Kerstein and Rai (2007). Our logistic regression results provide strong evidence that firms with the smallest cumulative profits (small profits level at the end of the third-quarter, unmanaged earnings are small profits more than prior year earnings at the end of the third-quarter, and unmanaged earnings are small beating profits more than analyst’s forecasts at the september) also report the smallest annual profits at an abnormally high rate in order to income smoothing. That is, for the benefit of the firms contains more private information about their future earnings. Overall, our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a control group (large cumulative profits or small cumulative losses at the first three quarter), a high proportion of firms with small cumulative profits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quarter report small annual profits rather than large annual profits or small annual losses. Therefore,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earnings management literature. 본 연구는 분기별 이익과 연차이익 자료를 이용하여 분기별 이익에서 소폭이익(small profit)을 실현한 기업들이 최종 연차보고이익에서 이익을 유연화 하는가를 검증하였다. 과거의 관점과 달리 최근 연구들에서는 기업이 이익유연화(income smoothing)를 할수록 투자자들에게 미래 이익정보력을 향상시키며(Tucker and Zarowin 2006), 자본비용은 감소된다는 실증적 증거를 보고하였다(Li and Richie 2009). 또한 분기별 이익 자료를 이용한 선행연구들에서는 3분기말까지 소폭손실(small loss)을 기록할 경우 자본시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negative earnings surprises)를 회피하기 위하여 경영자는 마지막 기회(last chance)인 4분기에서 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박종일과 전규안 2010 ; Kerstein and Rai 2007). 이러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3분기말까지 누적된 이익이 소폭이익을 이미 실현시킨 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기업이 연차보고이익에서도 계속 소폭이익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익유연화 현상을 검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 9년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중에서 금융업을 제외한 이용가능한 표본을 대상으로 Kerstein and Rai(2007)의 방법을 원용하되, 이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분기까지의 누적순이익이 소폭이익 구간에 있는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최종 연차보고이익 역시 소폭이익 수준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관찰되어 이들 기업은 이익유연화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분기까지의 관리전 예상 연차이익이 전기순이익에 비해 약간 초과한 소폭이익증가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유의하게 연차보고이익에서도 소폭이익 수준을 계속 유지하는 이익유연화를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분기까지의 관리전 예상 연차이익이 9월말에 예측된 재무분석가의 연차 순이익보다 약간 초과된 소폭이익달성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유의하게 연차보고이익도 소폭이익 수준을 계속 유지함으로써 이익유연화를 실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3분기까지의 누적순이익이 소폭이익에 있거나, 관리전 이익이 전기순이익보다 약간 증가된 소폭이익증가 기업이거나, 그리고 관리전 이익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를 약간 초과한 소폭이익달성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과 비교해서 최종 연차보고이익을 각각 더 증가시키지 않거나(소폭이익 구간 이상의 기업과 비교해서), 더 감소시키지 않고(소폭손실 기업과 비교해서) 4분기 이익을 관리하여 소폭이익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보고함으로써 자본시장의 투자자들에게 자사의 미래이익에 관한 전망을 전달하기 위해 이익유연화를 실현한다는 발견이다. 본 연구는 이익유연화와 관련한 국내외 실증적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문헌들에 대하여 추가적이고 차별화된 증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또한 이 분야의 선행연구인 Kerstein and Rai(2007)의 연구보다 확장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한다는 점은 추가적인 공헌점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