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민과 함께 혼돈 속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의미와 과제

        홍원표,온정덕 한국교육과정학회 2024 교육과정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 체계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향후 국가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축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국민과 함께 하는 교육과정 개발’을 표방하면서 이전의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비해 참여 주체와 의견 수렴의 폭을 넓혔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표면적인 변화를 넘어 2022 개정 교육과정 거버넌스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했으며, 어떤 의미와 과제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개정 과정에 직접 참여했던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확인할 필요가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위치에서 교육과정 개정에 참여했던 13명의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수집된 질적면담자료를 활용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거버넌스 체계가 갖고 있는 가능성과 한계, 향후 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숙의에 참여하면서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주인의식이 높아졌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특히 교사들은 국가 교육과정과 학교 교육과정을 순환적 관점에서볼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반면 일부 참여자들은 거버넌스의 구조적 한계 때문에 피상적인 숙의에 그칠 수밖에 없었으며, 특히 이해관계가 우선할 경우 교육과정에 대한 공론의 장이 형성되기 어려웠다는점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갖고있는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고,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는 국가 교육과정 개정 주체가 교육부에서 국가교육위원회로 이관된 상황에서 교육과정 개정의 시행착오를 방지하고 연속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and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national curriculum governanc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dvocated “curriculum revision with the people” attempting to engage more people and collect wider opinions. However, to understand how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overnance system worked and what possibilities and limits it had,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voices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revis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ies, limitations, and future task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overnance system using qualitative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13 research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curriculum revision at various stages. Many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ir understanding and ownership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creased as they participated in deliberations on curriculum revision. It is also notable that the teachers were able to recognize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curricululm and school curriculum. However, some participants mentioned that it was difficult to have deeper and more engaging deliberations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governance. They also noted that open and meaningful discussions of the curriculum were hampered, especially when interests took preced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erives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ance and presents implications for futur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 KCI등재후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구현된 계승과 혁신의 양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박채형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4 초등교육연구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general guideline of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herits and innovates from the general guideline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is purpose, concor network analysis and eigenvector centrality network analysis in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as a method. The results obtained the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nodes highlighted in the eigenvector centrality network of the general guideline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most notable of the seven blocks that make up its concor network was the ‘core issue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followed by ‘basic direction of the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ir implementing principles’. Second, the concon network in the general guideline of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herited the previous route of emphasizing the implementing principl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but there was an innovative line that assume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free semesters of middle school as two ax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rd, while the concor network of the general guideline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akes ‘career’ as an important direction for curriculum activities for school subjects, the Concor network of the general guideline of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ighlights ‘life’, ‘cooperation, and ’community’inheriting ‘career’ as its top priority. The general guideline of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r the various issues that make up it need to be understood and settled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inheritance and innovation.

      • KCI등재

        국가수준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와 쟁점에 관한 소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선아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90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본격적인 현장 적용을 앞둔 현 시점에서 미술과 교육과정의 해석과 실행에 관한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총론에서 요구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방향을 어떻게 미술 교과의 특수성 안에서 이해하고 반영할지의 과제를 마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시 개정을 거듭해 온 미술과 교육과정의 쟁점을 ‘국가’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되돌아보고, 미술 교과에 적합한 교육과정 이론을 고찰하여 미술과의 특수성을 반영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문헌 분석을 토대로 중앙집권적 교육과정 체제와 총론-각론 교육과정의 관계 속에서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격을 고찰하고, 예술적 교육과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기초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내용 체계를 분석하여, ‘교육내용에서 수행 중심으로의 전환’과 ‘학문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전환’의 2가지 주요 변화를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쟁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체제적인 관점에서 미술과교육과정을 조망함으로써, 교과의 특수성을 반영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행 방향을 논의할 수 있는 어젠다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학생의 상호작용 속에서 순환적으로 구성되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도하는 교사의 교육과정 읽기를 돕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egins, there is a demand for the discourse on the interpretation and execution of the National Art Curriculum. Particularly, there is a challenge in integrating the general dire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while properly reflecting the uniqueness of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standard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appl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at reflect the uniqueness of art by examining suitable curriculum theories for art education. Furthermore, it discusses about the concept of artistic curriculum as an alternative theory that reflects standardization issues in art education, and investigates the direction of restructuring the Art Curriculum at the teacher’s level. The research results are two-fold: firstly, the need to restructure the Art Curriculum focusing on performance in art-making; secondly, the shift from the disciplinary structure to learners is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from a systematic perspective, it presents an agenda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Nationa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uniqueness of art. Furthermore, the result can serve as a resource to assist teachers in interpreting curriculum as they attempt to reconstruct the Art Curriculum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a cyclical process.

      • KCI등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5·6학년용 미술 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김해경(Hai Kyung Kim),전수현(Soo Hyeon Jeon),송명길(Myung kil Song)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6 No.-

        The Aesthetic Experience/Experience area, which first appeared when the Content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t has been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Experience area is ambiguous and overlapped with other areas, Expression and Appreciation. School teachers also indicated the area is the most difficult when designing the curriculum, and it was also selected as the most problematic area in the study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Textbooks are an important method to deliver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to classroom.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imply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nto art textbooks in order to support practicing the national curriculum. First,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perience area for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for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Next, according to the criticism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Experience area has low connectivity and hierarchy,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for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e 3rd and 4th grade level and the middle school level. Based on analyzing the previous and new Curricular, we suggested how to apply Aesthetic Experience area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nto new art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by referring art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based on the previous Curriculum. As a result, these are suggested to apply to develop new art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1) digital devices should be used for sensory exploration, 2)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s and thinking should be supplied, 3) activities to decode denoted meaning implied in visual culture should be included, and 4) opportunities to find and make meanings as exploring objects and environments should be included. 제7차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를 도입하면서 처음 등장한 미적 체험/체험 영역은 미술과 고유의 특성이 드러나는 영역이면서도 표현, 감상과 달리 영역 구분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현장에서도 교육과정 설계 시 가장 어려움이 많은 영역이었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영역으로 꼽혔다. 이런 상황에서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수업에 녹아내게 하는 중요한 도구이기에 현장에서 미적 체험 영역 지도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는 미적 체험 영역을 교과서로 구현할 때 주목해야 하는 부분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5·6학년군 체험 영역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5·6학년군 미적 체험 영역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미적 체험 영역이 연계성과 위계성이 낮다는 지적에 따라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5·6학년군 미적 체험 영역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3·4학년군과 중학교와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용 미술 교과서 6종을 참고하여 차기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5·6학년용 미술 교과서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1) 감각적 탐색에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고, 2) 감각과 사고의 관계를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고, 3) 시각 문화에 내포된 의미를 찾아보도록 하며, 4) 대상과 환경을 탐색하며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을 교과서에 반영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22년 종교 교육과정 : 종교인 만들기와 ‘유사종교’ 발명 교육

        고병철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on religions. The perspective of this reflection is that since the religious curriculum is meant to be a national curriculum, it should be applicable to all high school students, be shareable, and function as a place for meta-reflection regarding the proper use of the category of religion. For this purpose, I reviewed the form and content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Section 2. The form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looks similar to the previously utilized curriculum. However, the main change is that the subject of religions was arbitrarily placed into the category of ‘subjects for choosing a career.’ And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has two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tent: the orientation of ‘making religious people (spiritual formation)’ and the reemergence of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In Section 3, I delved into the orientation of 'making religious people through religious reflec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this process, I discovered that the concept of ‘reflection as a metacognitive technology,’ which was the core of the prior curriculum and school education, was transformed into the concept of ‘religious reflection,’ and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were also added. In Section 4, I delved into the dichotomy of ‘religion and pseudo-religion.’ ‘Pseudo-religion’ is a new focus in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this process, I revealed that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is a combination of an outdated administrative ter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Japan’s occupation of Korea, and as such, the term is inherently value-laden and harmful. I also revealed that determining ‘pseudo-religion’ in school education regenerates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General’s biased attitudes toward Korean religions and forces teachers to ‘invent’ (detect or personally appraise) modern day pseudo-religions through arbitrary judgements. The ‘curriculum to emphasize religious reflection and detect pseudo-religions in order to create religious people’ can distort the subject of relig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as into a ‘subject for religion (promotion or degradation).’ If this distortion continues, the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on religions existing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will eventually become a subject of debate. 이 글의 목적은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의 형태와 내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에 있다. 성찰의 관점은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인 이상 모든 고등학생에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하고, 공유될 수 있어야 하며, 종교 범주를 활용한 성찰의 장(場)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제2장에서는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의 형태와 내용을 고찰하였다. 형태상으로는 종래 교육과정과 유사하다는 점과 함께, 특히 종교 과목을 ‘진로선택’에 배치한 근거가 약하다고 지적하였다. 내용상 특징으로는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과 ‘유사종교’론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내용상 특징 가운데 ‘종교적 성찰을 통한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을 위해, 기존 교육과정의 핵심인 ‘메타 인지적 기술로서의 성찰’ 개념을 ‘종교적 성찰’로 변형시키고 영성과 종교성 개념을 추가했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내용상 특징 가운데 ‘종교와 유사종교’의 이분법을 고찰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유사종교’ 개념이 조선총독부의 행정 용어(‘종교유사의 단체’)에 ‘해롭다는 인식’이 결합된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학교교육에서 ‘유사종교’를 판별하려는 것이 종교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태도를 재생하는 것이고, 교사에게 종교와 유사종교를 판별하는 ‘자의적’ 기준을 만들어 끊임없이 유사종교를 ‘발명’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결과적으로,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이 ‘종교적 성찰을 통해 종교인을 만들면서 유사종교를 발명하려는 교육과정’이라면, 종교 과목은 ‘종교를 위한 과목’이라는 시선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시선이 정당성을 얻게 된다면 향후 사회적 논제는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에 존재해야 하는지의 여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국가 수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 2023 교육학논총 Vol.44 No.0

        이 연구는 국가 수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1차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약 70년 동안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을 통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때 신설되어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별활동은 1차 교육과정 때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 50년 넘게 편제되었다. 특별활동의 목표는 2차 교육과정 때 처음 제시되었고, 4차 교육과정 때 총괄목표와 하위목표 체계가 정립되었다. 6차 교육과정 때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5대 체제가 정립되어 일부 용어 변경과 체제 통합을 거쳐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이어지고 있다. 시간 배당 기준도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 때 가장 많은 시간이 배정되었다. 안전한 생활 시수가 창의적 체험활동에 배당되었기 때문이다. 내용 체계는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로 가장 많은 변화를 겪었다.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자율활동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자율·자치활동으로 변경되었다. 개념상 자율과 자치를 굳이 병립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25년간 대영역에 편성되었던 봉사활동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동아리활동의 하위영역으로 편성되어 봉사활동의 위상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평가가 하나의 체제로 독립되지 않고 설계 및 운영의 하위 체제에 배치되어 평가의 역할이 위축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타당하고 합리적인 근거 없이 정부의 교육정책에 따라 임시방편적으로 개정된 측면이 없지 않다. 향후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개정 시 시대정신과 학계 및 일선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체계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the national curriculum. Extra-curricular activity was introduced in the 1<sup>st</sup>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07 curriculum.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was newly introduced in the 2009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22 curriculum. In the 6<sup>th</sup> curriculum, the system composed of characteristic, objective,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was established. In the 2015 curriculum, 6 core competences including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were introduced. In the 2022 curriculum, only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the 6 core competences was changed into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system of general objective and sub-objectives was established in the 4th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22 curriculum. The system of content has undergone the most changes. In the 2022 curriculum, the system of content was composed of autonomous·self-government activity, club activity, career activity. The merging of autonomous activity with self-government activity cannot be considered valid and rational. Service activity which was a large domain in the 2015 curriculum was placed in the sub-domain of club activity in the 2022 curriculum. So,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activity will be weakened in school.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sirable human character, core competence, general objective and sub-objectives,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are integrated more systematically. There is also a need for considering the spirit of the time as well as the voices of the academia and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future revisions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계획안과 주요안의 관계에 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박채형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3

        교육부는 2021년에 시차를 두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예고안과 그것의 시안을 순차적으로 발표하였다. 이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각각의 관심사를 비롯하여 양자의 관련과 차이를 확인하는 일에 목적을 두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예고안은 4대 중점 과제로 대변되고 있지만, 그것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새로운 거버넌스가 교육과정을 겨냥한 사회적 요구와 교육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일로 바로 그 중점 과제를 재편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주요안 또한 4대 개정 중점과 추진 과제로 압축되고 있지만, 그것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새롭게 구축된 거버넌스와 그것이 앞세우는 비교과 활동을 비롯하여 거기에 이어지는 4가지 당면한관심사로 원래 문서의 중점 과제를 재편하고 있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각각의 문서가 담고 있는 이러한 관심사와 더불어 양자 사이의 관계도 보여준다. 즉,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예고안이 대안적 거버넌스를 내세우면서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다양한 영역의 요구를 강조한다면, 그것의 주요안은사전에 구축된 대안적 거버넌스를 이어가는 가운데 교육이념과 핵심역량을 비롯하여 교과활동의 방향과 비교과활동의 방향으로 예고안의 다양한 요구를 구체화하고 있다는 것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시각이다. 교육부가 고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의 이러한 시각을 기반으로 한층더 충만하기를 기대한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nnounced the Preliminary Document and the Pre-release Document fo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21 sequent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ests of each docu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preliminary document consists of four major tasks: improving the curriculum revision system, laying the foundations for cultivating future competencies, customizing education for each student, and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to realize the new curriculum. However, Semantic Network Analysis is used to reorganize the documents so that the new governance accommodates social and educational demands in the curriculum, forming a consensus on them. The pre-release document is also being condensed into four major tasks: establishing a curriculum for the future, strengthening 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learner, supporting autonomous innovation for all schools, and supporting effective responses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hapes the document into six categories: newly established governance for curriculum development,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t emphasizes, and the four immediate concerns that follow. Semantic Network Analysis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ocuments as well as the interests that each document embodies. That is to say, it shows that if the preliminary document emphasizes the needs to b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suggesting alternative governance, the pre-release document embodies the various needs in the direction of curricular and non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educational ideal and core competencies succeeding to the alternative governance. It is hoped that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be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ill be filled based on the view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2015, 2022 개정교육과정 총론의 특징 및 향후 과제 분석

        이지은(Jieun Lee)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3 미래사회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최근 개정한 2022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국제비교하여 두드러지는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의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와 같이 국가 수준에서 교육과정 문서를 제시하고 있는 6개국(영국, 뉴질랜드, 호주, 싱가포르, 일본, 홍콩)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중점사항, 학교급별 교육과정, 비교과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와 다른 국가에서는 공통적으로 공동체 의식, 교과의 심층적 이해, 미래 대비, 맞춤형 교육과정을 강조하였으며, 동일한 교과가 많은 공통점이 있었다. 차이점의 경우, 아시아 국가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에서 규정하는 사항이 많았으며,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교육과정의 비중이 높았다. 다른 국가의 경우, 각국가의 사회·문화적 특징과 강조점에 따라 다른 교과를 제공하기도 하였으며, 학교에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새 교육과정에서 변화를 보인 교과목과 자율성에 대해 검토하고, 기존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과 지원도 지속해야 할 것이다. 국가뿐만 아니라 교육청과 교사의 노력도 함께 이루어질 때 현행 교육과정과 새로운 교육과정이 잘 안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is research adopted international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present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explore their future tasks. For this, this paper compare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ith those of the six countries (UK, New Zealand, Australia, Singapore, Japan, and Hong Kong) in light of curricular points and goals, school curricu?lum, and non-subject curriculum. The results find that similar to Korea, other countries also underscore community spirit, deep understanding of subjects,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tailored curriculum. In addition, there are same subjects among the countries as well. Unlike in the other countries,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stipulates many com?mon rules for students, and the percentage of common curriculum is higher. Other coun?tries provide different subjects based on their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points, and give more autonomy to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recategorizing the subjects and giving more autonomy to schools. In addition, when efforts from both the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s are exerted, the pres?ent and future Korean curriculum will function well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지리교육계의 대응 중간 점검과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의 시사점

        박종희 한국지리학회 2022 한국지리학회지 Vol.11 No.1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of the draft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November 24, 2021), the direction of the birth of high school geography elective courses is significant. It is the most meaningful step that academia, including the Geography Teachers Network, researchers at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Evaluation, and the Korea Geograph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ssociation, responded in solidarity with the Future Geography Education Development Committee. As a result, A global citizens and geography, Exploration of Korean geography, Exploration of the future of cities, Travel geography, Climate change and a sustainable world were created in the high school elective subjects. However, the designation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 standard t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rganization table”) and the separation and division of middle school society and the marking of textbooks remain as target points to be achieved continuously. If there is no improvement in the questions for evaluat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high school geography classes are feared to disappear until 2027, when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fully applied. In addition, the launch of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in July 2022 means a change from the ‘curriculum of power’ to the ‘curriculum of politics’. It is time to pay attention and recognize the launch of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in order to clear the task of geographic education. In order to spread the right to speak about the curriculum, I would like to think about what geographers should have.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사항 시안 발표(2021년 11월 24일)에 의하면 고등학교 지리 선택과목들의 탄생은 유의미하다. 지리교사네트워크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진, 그리고 대한지리학회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등 학계가 미래지리교육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연대하여 하나처럼 대응한 것은 가장 뜻깊은 발자취이다. 그 결과 고교 선택과목에서 세계시민과 지리, 한국지리 탐구, 도시의 미래 탐구, 여행지리, 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 세계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교육과정 편제 기준표 표기와 중학 사회 분리・분책 및 교과서 기명은 지속적으로 요구하여 이루어야 할 목표 지점들로 남아 있다. 대수능 평가 문항 개선이 없다면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완전히 적용되는 2027학년도까지 고교 지리 수업은 소멸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불어, 2022년 7월 국가교육위원회의 출범은 ‘권력의 교육과정’에서 ‘정치의 교육과정’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지리교육의 과제를 청산하기 위하여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에 관한 관심과 인식이 필요한 시점이다. 교육과정에 대한 발언권을 확산시켜나가기 위하여 지리인들이 가져야 할 것은 무엇인가 고민하고자 한다.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핵심 아이디어 탐색

        이경원,김아영,김완수,김철호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5

        This study explores the key ideas that execute a centr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iculum in line with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derive key ideas that reveal the essentials and structure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he key ideas are terms that complement the diffusion and transferability of the ‘key concepts’ introduced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and uses the ‘big idea’ of the understanding by design curriculu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2022 Revision Curriculum seeks to strengthen students's subject specific competency through key ideas that are highly transferable and support lasting understanding. To establish key ideas for each domains, we can utilize key concepts, generalized knowledge,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refer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oral education and previous studie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by presenting key ideas for each domai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 will be able to present a more radical level of big ideas that acording with the character and goals of the curriculum. We look forward to triggering various studies related to this through the search for moral education key ideas to further enhance the integration and connection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본 연구는 2022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에 맞추어 교육과정 구축의 중핵 역할을 하는 핵심 아이디어를 탐색하여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본질과 얼개인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한다. 핵심 아이디어는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핵심 개념’의 확산성과 전이 기능이 보완된 용어로서, 이해 중심 교육과정의 ‘빅 아이디어’ 개념을 이론 배경으로 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전이가 높고 영속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핵심 아이디어를 통해 학생들의 실제적인 교과 역량을 강화하려고 한다. 도덕과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성취 기준 등을 참고할 수 있으며, 도덕과의 이론적 배경 및 도덕과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던 선행 연구들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영역별 핵심 아이디어를 제시함으로써 교과 성격과 목표에 부합하는 내용 체계 개발의 근본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도덕과 핵심 아이디어의 탐색으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을 촉발하여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합성과 연계성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되길 고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