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eorienting ReOrienting the 19th Century : Reappraisal of the 19th Korea

        강성호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3 인문학술 Vol.10 No.-

        This article treats with his description about 19th century Korea, and the 19th Century Crisis thesis of Korea in ReOrienting the 19th Century. ReOrienting the 19th Century. ReOrienting criticizes the Euro-centric stagnation thesis. ReOrientings description of 19th century Korea is as much insufficient as ReOrient. There is not any progress in description of the 19th century Korea in ReOrienting, buy it is noteworthy for Frank to use notion of "Northeast Asia' and "that East Asian System, in relation to Korea. The 19th century crisis thesis faced has been criticized in various ways. First, the numbers of case study that the 19th century crisis thesis of Korea depended on are too small to generalize it. Second, the other case studies such as Park Family in Matjil Villiage Yecheon County and Kim Clan at Keumgye-ri, Andong thesis are contrary to the crisis thesis and show that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19th century. Third,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bout scale of population increase between these views, they all insisted that population of Choson increased in thel^century. Fourth, the disorder of financial redistribution system of the 19th century Korea like Hwangok should not be exaggerated but be reconsidered in broader perspective. With these arguments, we will also suggest that the 19th century Korea was not in crisis, but continued to work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until 1876 or 1894.

      • KCI등재

        조선시대 19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의의

        박정숙 한국동양예술학회 2024 동양예술 Vol.62 No.-

        본 연구는 19세기의 한글 간본문헌에 나타나는 한글 서체의 변천 과정을 추적하고 그 양상을 점검하여 조형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대상 자료는 19세기에 간행된 한글 간본문헌 가운데 국가기관, 불암사 등의 사찰, 학부편집국, 선교회, 각 방각소 및 특정 개인이 간행한 문헌에서 선정하였으며, 홍성원이 간행한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1804)을 시작으로 연활자본인 『독립신문』(1899)에 이르기까지 약 1세기 동안에 간행된 문헌 100여 종을 발굴하여 서지사항과 주제를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19세기는 18세기 한글문헌 중흥기인 영ㆍ정조 시대와는 달리 내용에 따라 간행 형태와 방식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 한글 문헌 간행의 변환기(1801~1899)라고 할 수 있다. 초기에는 관판본이 몇몇 종류에만 그치고 중기부터 방각본 소설 등 여러 양상으로 나타나지만, 방각본의 경우 실용성이 강조되어 서체미는 상대적으로 쇠퇴하였다. 또한 천주교의 유입으로 인해 서양으로부터 납활자가 도입되고 여러 종류의 서적이 간행되면서 한글 간본문헌의 다양화 시대가 열리게 된 것이다. 뿐만아니라 국가에서 주도한 교육기관이 생기면서 교과서가 발행되어 서체적으로도 매우 주목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다양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 19세기 한글 간본문헌 서체의 특징과 서예사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1. 19세기 간본은 목판본, 활판본, 연활자본이 함께 출현한 시기이다. 2. 19세기 한글 간본문헌에는 초기 한글 자형인 훈민정음해례본체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지고 균형 잡힌 필서체의 자형으로 변화된 시기이다. 3. 도교에 관련된 간행물들이 성행하였고, 고소설의 방각본이 유행하기 시작하였으며, 19세기 후반의 『소학독본』(1895),『상례언해』(1870),『천로역정』(1895) 등에서는 각기 다른 간행 방법에 대한 서체를 볼 수 있다. 예컨대 조형적, 시각적 완숙미가 돋보이는 균형 잡힌 자형인 명조체가 나타나고 『경석자지문』(1882)에는 연활자로 주조된 완벽한 현대 궁체의 모습을 보이고 있어, 한글 문헌이 궁체로 간행된 간본은 대개 19세기 문헌들이라 할 수 있다. 4. 학부편집국에서는 교과용 도서를 운각인서체자 활자를 사용하여 국한 혼용체로 간행하였 으나 자획이 기계적이어서 자형이 조화롭지 못하고 조악한 조형을 보이기도 한다. 5. 19세기 한글 간본문헌 서체의 특징은 각 문헌의 문자는 작으면서 필획과 자형이 유연한 서체가 등장하고, 방각 소설의 등장과 서양종교의 출현으로 인한 연활자의 도입으로 인해 인쇄방식에 따른 서체의 특징이 다양하다. This study aims to trace the changing process in the Hangeul calligraphic script that appears in published Hangeul documents from the 19th century, examine their change aspects, and reveal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target materials were the documents published by national institutions, Buddhist temples such as Buramsa Temple, Hakbupyeonjipguk, missionary societies, commercial printing offices, and specific individuals among the Hangeul documents published in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I discovered documents from Annotated Thousand Character Classic(1804) published by Hong Seongwon to Dongnipsinmun(1899), a lead type printed edition, over 100 kinds of literature published over about a century and categorized and organized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the topics. The 19th century can be said to be a period of transformation(1801-1899) in the publication of Hangeul literature, in which many changes occurred in the form and method of publication depending on the content, unlike the reign of King Jeongjo and Yeongjo, the period of revival of Hangeul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In the early days, there were only a few types of government-printed books, and from the middle period, commercially printed novels appeared in various aspects. However, in the case of commercially printed books, practicality was rather significant, so the beauty of calligraphic script declined relatively. In addi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Catholicism, various types of books were published in lead type print from the West, so printed literature in Hangeul became more diverse. Furthermore, as the government establishe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ublished textbooks, this period drew great attention in terms of calligraphic scripts. Due to these facto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ligraphic script of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19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ir significance in calligraphy history are as follows. 1. In the 19th century, woodblock, letterpress, and lead-type printed books appeared together. 2. In the 19th century, all traces of Hunminjeongeum Haeryebon script, the early Hangeul character shape, completely disappeared from the published Hangeul documents, and the character shapes changed into the balanced handwriting script. 3. Publications related to Taoism became prevalent, and commercially printed editions of classical novels became popular. In the late 19th century, different editions of books such as Sohakdokbon(1895), Sangryeeonhae(1870), and Pilgrim's Progress(1895) show the different scripts by different publication methods. For example, the Myeongjo font, a balanced character form that stands out for its formative and visual maturity, appears. Gyeongseokjajimun(1882) shows a perfect modern court-style calligraphic script cast with lead type, so most of the copies of Hangeul literature published in the court-style script of Hangeul calligraphy were probably printed and published in the 19th century. 4. Hakbupyeonjipguk published textbooks in a mixed script of Hangeul and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using Ungaginseocheja font. The shapes were not harmonious and sometimes showed shoddy form because the strokes were artificial. 5. The size of the characters is small, and the strokes and shapes become flexible. The characteristics of fonts vary depending on the printing method due to the introduction of lead-type print through the emergence of commercially printed novels and Western religions.

      • KCI등재

        19~20세기 초 규훈서 연구

        황수연 ( Su Yeon Hwa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4

        본고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규훈서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시기 규훈서의 특징과 의의를 살피기 위해 작성되었다. 19세기~20세기 초는 여성 교육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었고 여성 교육 담론이 활성화되었으며 교육 텍스트가 양산되는 등 특기할만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에 비해 이 시기 여성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15세기부터 18세기에 제작된규훈서를 살핀 선행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이전 시기에 비교해 19~20세기 규훈서의 지속적 측면과 변화된 면모를 살펴 규훈서를 사적으로 조망하였다. 본 연구에서 19~20세기 초 개인이 작성한 규훈서 총 23편의 목록을 제시하였고 규훈서의 작자, 구성과 서술 방식, 내용을 살핌으로써 규훈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작자는 사대부 유학자가 여전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전 시기에 비해 신분이 다양해졌다. 15~18세기의 작자가 유교 이념을 보급하고 내재화하기 위해 규훈서를 작성한 반면, 19~20세기 초 작자는 유교 이념을 회복하여 무너지는 국가와 윤리의 기강을 바로 세우고자 규훈서를 작성하였다. 戒/誡, 訓, 鑑, 範, 須知등의 제명에 따라 규훈서의 구성과 서술 방식이 달라지며 서간과 유서의 형식도 존재한다. 항목화 되고 간략화 되는 특성과 하강의 구조를 갖고 있는규훈서도 보인다. 규훈서에서 효와 열, 남녀의 분별 등의 가치가 여전히 중요시되며 강조되고 있으나 보수적인 유교 이념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내용이 보이기도 한다. 부부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남편과 아내모두 자신의 책임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 이는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순종을 요구하던 모습과는 다른 지점을 보이는 것이다. 교육주체자로서의 어머니의 역할을 강조하고, 금기 조항이 새롭게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은 당시의 세태를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규훈서를 통해 여성의 일상생활과 문화를 엿볼 수 있고 여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양상을 추적할 수 있어 규훈서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깊이 있는 연구를 위해 규훈서 자료의 적극적인 발굴과 가훈서, 수신서, 전통 윤리교육서, 계녀서, 여성 작가 규훈서 등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up the list of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in the 19th~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and to clarit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em. There were the heighten of the interest and the activated discourse about the women`s education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e text of the women`s education were mass-produced in that time. However, there are few study about the text of the women`s education. As the follow-up study, this research surveyed the continuous and changed aspects of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I suggested total 23 lists of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which was written by the individual. I studied the writer, composition, the narrative style and the contents of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There were the many nobleman who were a Confucian scholar as a the writer still, but there were the various status person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While the writer in the 15th thru 18th wrote the text of the women`s education to extend and internalize the Confucianism, the writer in the 19th~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made them to revive and to make declining discipline stand up. The composition and the narrative style depends on the title like 戒/誡, 訓, 鑑, 範, 須知. There were the letter form and the last will and the testament style. Some text ha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ation and simplicity. Some text had the structure of descent. The value like the filial duty, integrity and the distinction between sexes were emphasized still in the text of the women`s education, but there were deviational contents from the Confucianism. Some writer mentioned that if a couple keep the conjugal relations well, the husband and the wife had to accomplish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each other. This mention shows different point from the one-side demand on the wife in the 15th thru 18th. The stress on the role of the mother as an educator and new forbidden behavior appeared. These situations reflected social conditions of that time. Because we can know the daily life and the culture of the women`s through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and chase the change of the realization of the women`s, the study on th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has the important meaning. We have to find the more texts on the women`s education and need to compare with the text on the family education, the traditional moral texts, female writer`s text on the women`s education.

      • KCI등재

        18~19세기 서울 남촌(南村) 남고시사(楠皐詩社)의 형성과 활동

        진민희 ( Jin¸ Min-hui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서울 전역에서 열린 다양한 詩會의 양상은 여러 선행 연구들을 통해 꾸준히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서울 남촌지역의 詩社는 도성 내 다른 지역 시사에 비하여 심도 있는 고찰이 이뤄지지 못했고 이마저도 주로 19세기 후반기 시사에 집중되었다. 이에 본고는 조선 후기 남촌의 전반적 풍경을 먼저 설명한 후,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활동한 楠皐詩社를 발굴해 조명했다. 남고시사 연구는 19세기 문학사와 서울 문화사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되리라 기대한다. 남고시사는 18세기 후반, 심능숙의 부친인 沈允之 대부터 南皐, 혹은 南園이라 불리는 好賢坊(會賢坊) 小公洞 저택에서 시작되었다. 심윤지 대의 시회는 서울 남촌의 지역성을 강조하는 ‘南皐詩社’로 칭해졌다. 남고시사가 결성된 시기의 주요 참여자는 權常愼ㆍ金相任ㆍ金相休ㆍ洪漪ㆍ李嶾[李平凉] 등이었다. 19세기에 이르러 심능숙이 南皐詩社를 계승하여 집회 장소를 ‘楠皐’로 개칭하고 시회의 규모를 더욱 확장ㆍ발전시켰다. ‘楠’자는 심능숙에 의해 사용된 것이므로, 당대 문인들역시 심윤지 대의 시사와 구분하여 ‘楠皐詩社’로 명하였다. 심능숙은 당세에 이름난 시인이면서 악곡ㆍ연주ㆍ작사 등의 음악적 재능, 화훼에 대한 애호, 『參同契』와 같은 선가 지향적 취향, 奇人에 대한 동경, 야담과 소설 창작 등 당대에 유행한 문화적 현상을 선두에서 이끄는 인물이었다. 楠皐詩社의 전성기에는 權復仁ㆍ李載毅ㆍ金箕黙ㆍ金箕書ㆍ鄭世翼ㆍ趙寅永ㆍ趙徹永ㆍ李明五 등의 대표적 문사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시사 말기에는 徐有英ㆍ李晩用ㆍ金魯謙ㆍ宋祥來 등 19세기 한국학계가 주목하는 문인들이 활동했다. 남고시사는 청송 심씨 후손에게 직접 계승되지 못하였으므로 심능숙사후에는 자연적으로 해체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기존 남고시사의 동인이었던 서유영ㆍ홍한주ㆍ이만용ㆍ송주헌ㆍ홍재봉 등이 새로 ‘南社’를 열어 모임을 이어나갔다. The aspects of various poetry clubs held throughout Seoul have been constantly revealed through prior studies. However, the poetry clubs in Namchon(南村), Seoul were not studied in depth compared to other poetry clubs in Seoul, and even this was mainly concentrated on the poetry clubs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paper first describes the overall landscape of Namch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n deals with the Namgopoetry club(楠皐詩社), which was active throughout the late 18th and 19th centuries.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of the Namgo-poetry club will be a way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19th-century literature history and Seoul's cultural history. Namgo-poetry club began in the late 18th century at the Hohyeonbang(好賢坊) Sogongdong Mansion called Namgo(南皐) or Namwon(南園) from Shim Yun-Ji, Shim Neung-sook's father. Shim Yun-ji's poetry club was called ‘Namgo-poetry club(南皐詩社)’, which emphasized the locality of Namchon(南村) in Seoul. The main participants of the time when the 南皐詩社 was formed were Kwon Sang-shin, Kim Sang-im, Kim Sang-hyu, HongUi, and Yi Eun[Lee Paerang-e]. In the 19th century, Shim Neung-sook succeeded the 南皐詩社 and renamed it 楠皐詩社, further expanding the size of it and developing it. Since ‘楠’ was used by Shim Neung-sook, writers of the time called it 楠皐詩社 distinguished from Shim Yun-ji's poetry club. Shim Neung-sook was a renowned poet and leading the cultural phenomenon that was popular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musical talent such as playing music and writing music, fondness for flowers, the taste of taoist ideology such as 『ChamDongGye(『參同契』)』, yearning for a hermit(奇人), and creation of stories and novels. During its heyday, many representative writers such as Kwon Bok-in, Lee Jae-ui, Kim Ki-mook, Kim Ki-seo, Jung Se-ik, Jo In-young, Cho Chul-young, and Lee Myung-oh participated in the club. In the later period, writers who received attention in 19th-century Korean studies such as Seo Yoo-young, Lee Man-yong, Kim No-kyum, and Song Sang-rae were active. Since the 楠皐詩社 was not directly inherited by the descendants of Cheongsong Shim, it was forced to disband naturally after the death of Shim Neung-sook. However, Seo Yoo-young, Hong Han-ju, Lee Man-yong, Song Ju-heon and Hong Jae-bong, who were participants of the 楠皐詩社, held a ‘Namsa(南社)’, a new poetry club. The fact that many of the key writers in southern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from the 楠皐詩社 is also a good example of the influence of it in the 19th century literary history.

      • KCI등재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기억과 반응 - 19세기 콜레라의 유행과 <변강쇠가>를 중심으로 -

        오성준(Oh, Seong-jun)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본 논문은 전염병 체험의 기억이 형상화된 작품으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에 주목하여, 19세기 조선에 유행했던 콜레라의 실상 위에서 <변강쇠가>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기억과 반응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먼저 19세기 조선의 콜레라 대유행과 관련된 기록들을 통해 전염병의 시작과 전파 속도 및 범위, 증상과 대상을 중심으로 전염병 체험이 집단의 기억 속에 각인된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평안도에서 시작된 콜레라가 엄청난 속도를 자랑하며 19세기 조선 사회 전체에 큰 고통과 수많은 시체를 남겼던 사실, 그리고 상층보다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현실에 놓여있었던 하층 민중들에게 더 큰 피해를 주었던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체험이 당시 조선 사람들에게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방불케하는 공포와 불안의 기억을 남겼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염병 체험의 기억이 <변강쇠가>에 형상화된 흔적을 살펴보았다. <변강쇠가>의 전반부에서는 평안도라는 작중 공간 설정, 접촉으로 인한 대량의 죽음을 중심으로 전염병의 기억이 작품 속에 형상화된 모습을 확인했다. 작품의 중반부에서는 강쇠의 죽음을 둘러싸고 전염병이 남긴 고통의 증상 및 빠른 전파 속도와 관련된 기억, 그리고 ‘가난한 자의 역병’이라는 씁쓸한 현실에 대한 기억이 형상화의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품의 후반부에서는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존하는 공간 설정, 땅과 사람에 붙어버린 시체의 모습, 이를 갈아 없애는 결말에 콜레라로 인해 시체가 범람했던 19세기의 흔한 풍경이 투영되어있음을 확인했다. 이후 전대미문의 전염병 충격에 대한 반응이 <변강쇠가>에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특히 공동체 경계 안에 있는 존재들이 공론을 통해 옹녀와 강쇠를 타자화하고 처리하는 과정에 주목했다. ‘우리’와 ‘그들’ 사이에 놓인 담장이 더욱 높고 견고해지는 모습을 통해, 전염병에 대한 반응으로서‘차별과 배제의 논리’가 <변강쇠가>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대처할 수 없는 위기의 상황마다 ‘차별과 배제의 논리가’ 등장하는 역사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19세기 조선 사회에서 콜레라라는 전대미문의 질병이 빚어낸 인간성의 비극을 <변강쇠가>가 잘 보여주고 있다고 보았다. 19세기의 콜레라와 21세기의 코로나19, 전염병이라는 유사한 위기 상황에 서 질병에 대한 반응이 보여주는 ‘인간성의 수준’은 200년 전과 비교했을 때19세기의 콜레라와 21세기의 코로나19, 전염병이라는 유사한 위기 상황에서 질병에 대한 반응이 보여주는 ‘인간성의 수준’은 20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나아졌는가? 여전히 차별과 적대, 그리고 혐오와 배제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변강쇠가>가 던지는 이상의 질문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변강쇠가>는 19세기 조선 사회의 콜레라 대유행이 남긴 기억과 이에 대한 반응을 작품 전체에서 문학적으로 잘 형상화하고 있으며, 전염병의 기억 위에서 인간의 문제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문학사에서 ‘질병 문학’을 논할 때, 19세기를 대표하는 ‘전염병 서사’로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얼마나 나아졌는가? 여전히 차별과 적대, 그리고 혐오와 배제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변강쇠가>가 던지는 이상의 질문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변강쇠가>는 19세기 조선 사회의 콜레라 대유행이 남긴 기억과 이에 대한 반응을 작품 전체에서 문학적으로 잘 형상화하고 있으며, 전염병의 기억 위에서 인간의 문제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문학사에서 ‘질병 문학’을 논할 때, 19세기를 대표하는 ‘전염병 서사’로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mories and reaction to the disease in Pansori Byeongangsoi-ga based on the facts of cholera pandemic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First, through the records related to the cholera pandemic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we looked at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ectious disease experience imprinted in the memory of the group, focusing on the starting point, the speed and spread range, symptoms and objects. It was confirmed that cholera, which started in Pyeongando, boasted a tremendous speed and left great pain and numerous corpses in the entir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class people who were in a difficult economic condition were damaged more than the upper class.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experience left the memories of fear and anxiety reminiscent of PTSD to the Joseon people at that time. Based on this, This study looked at the traces of the memories of the infectious disease experience in Byeongangsoi-ga. In the first half of Byeongangsoi-ga, the memory of the infectious disease was confirmed through the setting of death due to contact, mass death, and the starting space(Pyeongando). In the middle of the work, it can be seen that memories related to the symptoms of the pain left by the contagious disease, the rapid spreading speed, and bitter reality of “the plague of the poor” are the main elements of the form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on scenery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body was flooded, is projected into the space wh e re the living and the dead coexist, the appearance of the corpse stuck to the ground and people, and the ending of grinding away teeth. After that, I tried to understand how the reaction to the shock of the infectious disease was revealed in Byeongangsoi-ga.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by which people in the boundaries of the community otherize Ongnyeo and Gangsoi through public opinion.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fence between ‘we’ and ‘them’ becoming taller and more soli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gic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as leading the way in response to the epidemic.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historical cases in which the logic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ppears in, Byeongangsoi-ga shows the tragedy of humanity caused by the unprecedented disease of cholera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In a similar crisis situation of cholera in the 19th century and COVID-19 in the 21st century, How much has the ‘level of humanity’ which can be confirmed by the response to the disease improved compared to 200 years ago? Are the logics of discrimination and hostility, hatred and exclusion still in operation? The above questions posed by Byeongangsoi-ga have great implications even today. As such, Byeongangsoi-ga literately well portrays the memories of the cholera pandemic in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their reactions to it, and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uman problems based on the memory of the epidemic. In this regard, when discussing “disease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Pansori Byeongangsoi-ga can be “epidemic narrative” representing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명대 백화단편소설의 번역과 전유

        김소정(Kim, So-Jung)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2 No.-

        본고는 명대 백화단편소설이 18세기에 최초로 영어로 번역된 이후 20세기 전반기까지 약 200년 동안 영어권 독자들에게 수용되어간 상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명대 백화단편소설은 서양인 선교사의 선교활동과 유럽의 제국주의적 확장정책이 시작될 무렵에 번역되기 시작하여, 19세기와 20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번역되어왔다. 본고에서는 번역본이 나온 시간적 순서에 따라 번역의 맥락과 특징 그리고 전유 양상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18세기에 나온 최초의 번역은 불역본을 통한 간접번역이었으며, 19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중국원전에서 직접 번역하기 시작했고 원문에 충실한 번역태도가 나타났다. 19세기까지 번역의 주체는 모두 서양인이었으며, 발표지면은 대부분 대중적인 신문잡지였고, 출판지역은 영국 런던, 오스트레일리아 세일, 일본 요코하마,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중국의 홍콩, 광동, 상해 등 글로벌 국제도시에 두루 걸쳐있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인 번역가가 비로소 출현하였고 앤솔로지 형식의 단행본이 많이 출간되었으며 번역가의 번역의도에 따라 명대 백화 단편소설은 충실하게 또는 자유롭게 번역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in which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began to be translated at the beginning time of missionary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and European imperialist expansionism. Since the first translation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it has been continuously translated during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s a result,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was appropriated by the times that encountered unexpected Western readers.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context of translation, translation strategy and appropriation aspects of the English translation version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first translations were published through indirect translations based on French translations. Since the 19th century, a direct translation based on the Chinese original text appeared, the principle of faithful translation was emerg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ll translators were Westerners, and most of the translations were enclosed in popular newspaper or magazine, and the publishing areas spanned global cities such as London in England, Sail in Australia, Yokohama in Japan, Edinburgh in Scotland, Hong Kong, Guangdong and Shanghai in China. By the 19th century, Chinese Vernacular short stories has been widely spread to global cities. Compared to Western translators, Chinese translators did not appear until the 20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the translators preferred direct translation rather than indirect translation, and many anthology-type books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translation aim of the translator, domestication or foreignization strategy in translation was determin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target language culture, the extent of appropriation has often increased.

      • KCI등재

        명대 백화단편소설의 번역과 전유 ― 18C-20C 전반기 영역본(英譯本)을 중심으로

        김소정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2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in which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18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began to be translated at the beginning time of missionary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and European imperialist expansionism. Since the first translation appeared in the 18th century, it has been continuously translated during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s a result, Vernacular short stories from Ming dynasty was appropriated by the times that encountered unexpected Western readers.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context of translation, translation strategy and appropriation aspects of the English translation version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first translations were published through indirect translations based on French translations. Since the 19th century, a direct translation based on the Chinese original text appeared, the principle of faithful translation was emerg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ll translators were Westerners, and most of the translations were enclosed in popular newspaper or magazine, and the publishing areas spanned global cities such as London in England, Sail in Australia, Yokohama in Japan, Edinburgh in Scotland, Hong Kong, Guangdong and Shanghai in China. By the 19th century, Chinese Vernacular short stories has been widely spread to global cities. Compared to Western translators, Chinese translators did not appear until the 20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the translators preferred direct translation rather than indirect translation, and many anthology-type books were published. According to the translation aim of the translator, domestication or foreignization strategy in translation was determin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target language culture, the extent of appropriation has often increased. 본고는 명대 백화단편소설이 18세기에 최초로 영어로 번역된 이후 20세기 전반기까지 약 200년 동안 영어권 독자들에게 수용되어간 상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명대 백화단편소설은 서양인 선교사의 선교활동과 유럽의 제국주의적 확장정책이 시작될 무렵에 번역되기 시작하여, 19세기와 20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번역되어왔다. 본고에서는 번역본이 나온 시간적 순서에 따라 번역의 맥락과 특징 그리고 전유 양상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18세기에 나온 최초의 번역은 불역본을 통한 간접번역이었으며, 19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중국원전에서 직접 번역하기 시작했고 원문에 충실한 번역태도가 나타났다. 19세기까지 번역의 주체는 모두 서양인이었으며, 발표지면은 대부분 대중적인 신문잡지였고, 출판지역은 영국 런던, 오스트레일리아 세일, 일본 요코하마,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중국의 홍콩, 광동, 상해 등 글로벌 국제도시에 두루 걸쳐있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중국인 번역가가 비로소 출현하였고 앤솔로지 형식의 단행본이 많이 출간되었으며 번역가의 번역의도에 따라 명대 백화단편소설은 충실하게 또는 자유롭게 번역되었다.

      • KCI등재

        19세기 문학의 '불편함'에 대하여 : 그로테스크한 경향과 관련하여

        정환국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 한국문학연구 Vol.0 No.36

        이 글은 19세기 문학의 ‘불편함’에 대해서 논의한 것이다. 불편함이란 텍스트 안의 인물들이 맞닥뜨린 현실과 그 반응이기도 하면서, 이들과 마주한 독자의 심리까지 포함하는 용어이다. 여기서 거론한 「변강쇠가」, 「장끼전」, 「덴동어미화전가」, 「노처녀가(2)」는 모두 19세기의 문제적인 작품들인데, 주인공들은 그들의 심리와 행동을 불편한 방식으로 드러낸다. 이들은 대개 병을 앓거나 질병에 노출되어, 이른바 ‘불온한 몸’으로 형상화된다. 이 불온한 몸은 복잡하고 불편한 현실을 대변하는, 말하자면 사회의 병리적 시선이 이들 불온한 몸에 투과된 양태로 나타났던 것이다. 더군다나 이 불온한 몸과 병리적 시선의 맞은 편에 여성을 위치시킴으로써 문제의 심각성이 배가되는 양상이다. 특히 ‘개가(改嫁)’는 다른 어떤 현실보다도 더 문제보다도 현실로 여성들에게 육박해 왔던 바, 이에 대한 반응은 19세기를 이해하는 작은 실마리이기도 하다. 확실히 이들 여성들은 개가를 기존의 질서체계와는 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인다. 이 지점에서 전통적인 질서의 하나였던 개가는 아주 불편한 이데올로기로 이해되기에 이른다. 이 글은 이와 같은 19세기 몇몇 문학 작품의 불편함을 그로테스크(Grotesque)한 성격으로 파악하였다. 그로테스크한 성격 중 괴기성(怪奇性)보다는 곤혹스럽고 불편한 지점에 착목한 예이다. 한편 이 글은 19세기 문학의 다면성을 환기하고자 하는 의도와 함께 우리 문학의 그로테스크한 면을 본격적으로 논의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기획된 시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앞으로 이에 대한 관심과 심도 있는 연구가 요청된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role of ‘Inconveni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grotesque in 19th century Korean literature. The term ‘Inconvenience’ refers to not only the reality and the response to the literary characters but also the readers' feeling when they encounter the character. Byeongangsoe_jeon, Jangkki_jeon, Dendongeomihwajeon_ga, Nocheo-nyeo_ga Ⅱ - such works are remarkable examples of the grotesque in 19th century Korean literature. The characters show us their unstable mind and action in many different ways. They are described as ‘defective bodies’ caused by diseases. In various ways, these characters reveal the uncomfortable reality of society. In other words, the writer's pathological view of society is uncovered through the characters' defective bodies. To speak seriously, in the 19th century, Most women tended to be borne as a n inconvenient reality of life. Especially, the social prohibition against remarriage was gaining influence. For this reason, there action to remarriage problem in the text could be a clue understanding the social reality of the 19th century. The female characters accepted this remarriage differently than in the past. This remarriage, which was one of the typical social systems, seems to be a very inconvenient ideology. The characteristic of grotesque developed from the inconvenience which is shown in 19th century Korean literature. This example focuses not on the part of freak but rather on the embarrassment and inconvenience that are characteristic of grotesque. The aim of this examination of ‘Inconvenience’ is to both arouse concern for the various aspects of the 19th century Korean literature and to establish the function of the grotesque in the works of that period. It requires continuous interest and careful research.

      • KCI등재

        19세기 중?후반의 척독집 수용과 편찬

        이기현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8 No.-

        This dissertation i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Chukdok(尺牘) in the late Joseon Dynasty(朝鮮) as it studies the compilation and enjoyment of Chukdok collection(尺牘集) in the latter period of 19th century. Having looked into the knowledge of educated men on Chukdok(尺牘), it discovers that Chukdok(尺牘) in the latter period of 19th century maintained original and distinctive expression while it attempted to include profound contents within liberal structures beyond individual's sincere expression, pursued in the 18th century Sopum Chukdok(小品尺牘). This dissertation is divided into 'the adoption and compilation of Chinese Chukdok collection(尺牘集)' and 'the compilation and enjoyment of Korean Chukdok collection(尺牘集).' The former part is to deal with 'Chukdok collection(尺牘集) widely read by educated men prior to the 19th century,' 'newly adopted and popular Chukdok collection(尺牘集) in the latter perio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compilation of Chukdok collection(尺牘集) beyond the adoption of Chinese Chukdok collection(尺牘集).' The latter part is to focus on 'the compilation of individual Chukdok collection(尺牘集),' 'the selective compilation of renowned works,' and 'Chukdok(尺牘) compiled by Chinese and Korean.' Among the Korean Chukdok(尺牘), Kim, Jung-hee's work was one of the most transcribed Chukdok(尺牘) in the 19th century. It indicates that the contemporary people loved Chusa Chukdok(秋史尺牘) and Chusa Chukdok(秋史尺牘) contained various elements of culture and art which the contemporary people were interested in. 이 논문은 조선후기 척독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일환으로 19세기 중·후반 척독집의 편찬과 향유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19세기 중후반 문인들의 척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바, 19세기 중후반의 척독은 18세기 소품척독에서 추구하던 개인 감정의 진솔한 표현을 넘어서 자유로운 형식 속에 다양하고 깊이 있는 내용들을 포함하고자 했으며, 참신하고 개성 있는 표현이 여전히 주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척독집의 편찬과 향유에 대해서는 ‘중국 척독집의 수용과 편찬, 우리나라 척독집의 편찬과 향유’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중국 척독집의 수용과 편찬은 ‘19세기 이전부터 문인들이 즐겨 읽던 척독집, 19세기 중후반 새롭게 수용되거나 유행한 척독집, 중국 척독집의 수용을 넘어서 재편찬한 척독집’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척독집의 편찬과 향유 양상은 ‘개인 척독집의 편찬, 유명인들의 척독 선집 편찬, 중국인과 조선인의 척독을 함께 편찬’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우리나라 문인들의 척독 중에는 김정희의 것이 특히 많이 필사되어 향유되었다. 이는 당시 사람들의 秋史尺牘에 대한 애호와 함께 여기에 당대 사람들이 선호하는 문화, 예술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楚玉'와'옹녀' : 19세기 비극적 자아의 초상

        정환국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한국문학연구 Vol.0 No.33

        이 글은 19세기의 작품 「포의교집」과 「변강쇠가」의 여주인공 초옥과 옹녀를 통해 19세기 비극적 자아의 상을 그려 본 것이다. 더불어 두 작 품을 '19세기'라는 복잡한 시기를 읽는 유용한 자료로 거론해 보자는데 초점이 놓여 있다. 「포의교집」과 「변강쇠가」는 그 성립과정과 내용 또한 상당한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두 주인공, 초옥과 옹녀는 19세기 시정사회와 유랑사회에서 기존의 생활방식을 벗어난 탈주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또한 두 작품은 기존 이데올로기의 핵심적 사안 중에 하나인 '정절'의 문제를 들추어내 주인공을 괴롭힌다. 여기서 초옥과 옹녀는 기존의 정절을 여지없이 재해석하거나 거부한다. 그런데 바로 이런 면모가 그녀들을 당대 사회에서 고립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리하여 마침내 초옥과 옹녀는 이 탈주를 통해서 이전과 다른 차원의 고독한 자아로 탄생한다. 이들은 현실과 치열한 분투를 통해서 스스로의 고립을 자초하고 있으며, 거기서 철저한 고독을 체화한다는 점에서 기존 전기소설적인 고독성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고독성(또는 비극성)은 전대 소설의 고독성과도 다르며, 향후 근대 공간에서 형성된 '여성'과도 변별된다. 결국 초옥과 옹녀는 19세기 사회라는 독자적인 시기의 인물로 이해될 필요가 있으며, 그녀들 또한 19세기 사회를 새롭게 이해하도록 요구한다. This study describes the tragic image of self in the 19th century through 'Cho-ok' and 'Ong-nyeo', which are the heroines of 「Po - Eui - Gyo - Jip」 and 「 the Story of Byun Gang-swoi」 written in the 19th century. It focuses on using these two works as helpful materials for analyzing the complex period of ‘the 19th century’, The creation progress and details of 「Po - Eui - Gyo - Jip」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tory of Byun Gang-swoi」. Nevertheless, the two heroines, 'Cho-ok' and 'Ong-nyeo' had one thing in common since they attempted escape from the traditional lifestyle of the city-governed and wandering society in the 19th century. Both of the works address the issue of 'faithfulness', which was one of the main agendas of the traditional ideology. For 'Cho-ok' and 'Ong-nyeo', however, faithfulness is nothing but a discarded relic from the previous age. They start to be left out from the society by reanalyzing or rejecting the traditional faithfulness. Eventually, they are born again as lonely selves in a dimension different from the past through the escape. The loneliness expressed by these works are different from the one of the plain-old novels since the two heroines bring isolation upon themselves by fiercely fighting against the reality and accustom themselves to extreme loneliness. Thus, their loneliness or traged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vious-generation novels. Also, the heroines are different from the female characters created in the modem age. 'Cho-ok' and 'Ong-nyeo' need to be understood as characters from a unique period of the 19th century, and require us to understand the society of the 19th century from a new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