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9년 천안문 운동의 성격과 역사적 의미: ‘사회주의민주’의 구현을 위한 체제 내 민주화 운동

        이홍규 ( Lee Hong Gyoo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19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4 No.-

        올해는 1989년 천안문 운동이 발발한 지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89년 천안문 운동은 당시 중국공산당이나 서구 언론이 공히 간주한 것처럼 공산당에 대항한 반체제 운동이 아니었다. 본고는 1989 천안문 운동이 ‘사회주의민주’를 실현하려는 체제 내 민주화 개혁 운동이었음을 주장한다. 필자는 이를 위해 1989년 천안문 운동 전후의 중국 내의 여론조사나 국내외 신문기사 등 1차 자료를 최대한 수집, 해석하여 이러한 주장을 증명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1989년 천안문 운동을 반체제 운동으로 규정하는 중국공산당 현 지도부의 강경한 해석은 ‘사회주의민주’ 구현을 위한 정치개혁의 가능성이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This article insists that Tiananmen movement in 1989 was not rebellious to CCP, even i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Western medias all had regarded as an dissident movement. This paper claims that it means pro-democracy movement within the socialist regime to realize 'the socialist democracy'. I proved this claim objectively by Utilizing as much primary data as possible, such as opinion polls in China and newspaper articles around the period of 1989 Tiananmen movement. In conclusion, the strong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CCP leadership, which defines the 1989 Tiananmen Movement as an anti-regime movement, means that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reform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ist democracy" has decreased.

      • KCI등재

        1989년 천안문 운동의 성격과 그 역사적 의미

        이홍규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19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4 No.-

        This article insists that Tiananmen movement in 1989 was not rebellious to CCP, even i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Western medias all had regarded as an dissident movement. This paper claims that it means pro-democracy movement within the socialist regime to realize 'the socialist democracy'. I proved this claim objectively by Utilizing as much primary data as possible, such as opinion polls in China and newspaper articles around the period of 1989 Tiananmen movement. In conclusion, the strong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CCP leadership, which defines the 1989 Tiananmen Movement as an anti-regime movement, means that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reform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ist democracy" has decreased. 본고는 1989년에 발발한 천안문 운동이 중국 공산당이나 서구 언론이 공히 간주한 것처럼 공산당에 대항한 반체제 운동은 아니었음을 주장한다. 본고는 1989 천안문 운동이 '사회주의민주'를 실현하려는 체제 내 민주화 개혁 운동이었음을 주장한다. 본고는 이를 위해 1989년 천안문 운동 전후의 중국 내의 여론조사나 국내외 신문기사 등 1차 자료를 최대한 수집, 해석하여 이러한 주장을 증명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1989년 천안문 운동을 반체제 운동으로 규정하는 중국공산당의 강경한 해석은 ‘사회주의민주’ 구현을 위한 정치개혁의 가능성이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 1989년 민주화 혁명 이후 루마니아어에 나타난 전문용어의 변화 양상 : 기술용어를 중심으로

        엄태현(Oum,Tae-hyu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3 동유럽발칸학 Vol.5 No.2

        본 논문은 루마니아의 1989년 혁명과 그로인한사회적변화가언어미친영향을 기술 분야의 전문용어에 중점을 두어 연구한 것이다. 루마니아 사회는 1989년 이후 급격한 정치-경제 시스템의 변동을 겪게 되며 그 여파는 사회의 각 분야에 미쳤으며 언어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여러 언어적 요소 가운데 그 변화는 주로 어휘 부분에 집중되어있는데 이는 어휘 부분이 현실을 반영하면서 가장 쉽게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용어를 크게 사회과학 분야와 기술 분야로 분류하여 바라볼 때 사회과학 분야의 전문용어는 기술 전문용어에 비해서 좀 더 사회와 깊은 연관성을가지고있으며좀 더일반 어휘에 가까운 특성을 보인다. 기술 분야의 전문용어는 물론 언어적 규범 내에서 의미작용을 하지만 기술 분야의 지식체계에 많은 부분 연동되어있고 이에 의해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루마니아어에서 기술 전문용어의 가장 큰 특징은 조어 방법에서 나타난다. 루마니아어는 라틴어적 특성상 접미사를 통한 파생법이 가장 생산적인 조어법이 지만 기술 용어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는 합성어가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루마니아어는 근대화는 초기에 전문용어를 받아들이는데 다소 혼란상이 있었으나 점차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기 시작하였고 공산주의 기간에 국가적 차원에서 전문용어의 통일화 작업을 벌이면서 각 분야의 전문용어는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발전하게 되었다. 1989년 혁명이후의 기술 분야 전문용어의 가장 큰 특징은 어원적으로 영어 영향의 급격한 증가이며 조어 법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높은 합성어 비율이다. 혁명이후 루마니아의 기술 분야 전문용어는 과거 근대화 초기에 그랬듯이 혼란상을 보였으나 점차 루마니아어 체계내로 받아들여지면서 발전해가고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changes in Romanian language, concentrated on transitions in technical terminologies since the 1989 democratic revolution. Romanian society has experienced a critical changes in politico-economical systems after 1989 revolution. The transition of politico-economical system influenced also their language. Language change was most apparent in vocabulary because vocabulary is flexible and could be changed easily reflecting the changing realities. Technical Terminology functions in the framework of linguistic norm, but it is also deeply related to the knowledge system of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s of Romanian technical terminology are shown from the word formation rules. Romanian language has a very productive suffixes in general vocabulary, but in the field of technical terminology the compound terms are over exceeds the derivatives. From the beginning of the modernization of Romanian language, has had some confusions in accepting terminology from foreign languages, but they overcome this soon and established a systematic way of creating terminology in to their language structure. The characteristics of Romanian language after the 1989's revolution could be represented by English influences and compound terms.

      • KCI등재

        1989-2019년 『통일문제연구』 논문 집필진이 분석한 지역과 주제의 변화

        김석향 평화문제연구소 2019 統一問題硏究 Vol.31 No.2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academic authors and their topics on history of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9. For the last 30 years of history,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printed 71 issues from vol. 1 to vol. 31. Over the years, 778 authors wrote 690 articles 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Who wrote which topics? Why the topics were chosen by those authors? Is there any academic trends over the 30 years of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history? These are the questions for this article to try to analyze. This articles, in that sense, shall be a serial follower of “Transition of Korean Unification Discourses during the Post-Cold War Era,” written by Kyung Jei-hee and Kim Chae-Han (2014) and “Who Wrote Academic Articles 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5: Review from a Perspective of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written by Kim Seok Hyang (2015). This article will show who wrote those academic articles for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for the last 30 years, which topics they did analyze and why. It will also show if there would be any academic trends, from 1989 to 2019. By doing so, this article shall show the “when, where, who, what, how, and why” wrote those academic works for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9. 이 글은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분야의 전문학술지 『통일문제연구』 창간호인 1989년 제1권 제1호 이후 30년이 지난 시점인 2019년 제31권 1호에 이르기까지 이 학술지에서 게재했던 논문 총 690편을 대상으로 집필진이 관심을 가지고 분석했던 지역과 주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전체적인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앞서 『통일문제연구』 2014년 제26권 2호에 나왔던 경제희․ 김재한의 논문 “탈냉전시대 통일문제 논의의 변천: 『통일문제연구』 25년을 중심으로” 및 2015년 제27권 2호에 등장하는 김석향의 논문 “『통일문제연구』 논문에 나타나는 집필진의 특성과 사회과학방법론의 적용 및 활용 동향 분석” 등 두 편에 이어 지난 30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분야 학술 담론의 동향을 분석하는 성격을 지닌다. 이 글에서는 『통일문제연구』 30년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서 누가, 언제, 어느 지역을 분석하는 논문을 발표했는지, 또 어떤 유형의 주제를 분석하는 동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려 한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통일문제연구』 집필진이 특정 지역과 주제를 분석하는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 사회적 배경을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한 걸음 더 나아가 1989년 이후 2019년에 이르는 30년 동안 『통일문제연구』 집필진으로 누가, 언제 활발하게 활동했는지, 그들의 특성이 논문의 주제를 선정하고 분석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과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 동향을 서술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결국 이 글은 지나간 30년 동안 『통일문제연구』 논문을 매개로 삼아 1989년 이후 2019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우리 사회 내부의 통일 및 남북한 관계 분야에서 언제(when), 누가(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 왜(why) 분석하고 글로 발표해 왔는지 되짚어 보는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 KCI등재

        중국 지식인들의 1989 천안문 사건 재해석:자유민주주의 운동론과 신좌파적 해석을 중심으로

        하남석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6 중소연구 Vol.40 No.1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1989 is still taboo in China. The incident was quite serious enough to shake the root of China and Chinese Communist Party, but mentioning the incident was taboo and has been forgotten in silence over time. Existing researches on Tiananmen Square Protests, especially Western researches tend not to overcome the theory of civil society/theory of modernization approach. Especially in the same period of late 1980, there were extensive student led democratic movements in East Asian Developmental Dictatorships including Korea and Taiwan, and anti-socialist revolution in Eastern Europe, which led Tiananmen Square incident placed in the similar context, and raised the tendency to understand the incident by the civil society/modernization approach. But,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1989 like otherwise public revolts. To overcome the limit of a Western liberal view and reinterpret Tiananmen Square Protest of 1989 critically, one of the most important is to review the analysis and criticism of Tiananmen Incident made by Chinese critical intellectuals unnoticed concerning their researches and introduce them. So, this study reviewed reinterpretations made by Chinese intellectuals in two ways; (1) liberal democratic view such as Wang Dan, Liu Xiaobo, (2) new leftist view such as Wang Hui, Wang Shaoguang and Li Minqi. 1989년 천안문 사건은 중국과 중국 공산당을 근본부터 뒤흔든 사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대륙에서는 그에 관해 논하는 것은 금기시되어왔다. 그로 인해 천안문 사건에 대한 언급이나 연구는 주로 중국 대륙 외부에서 이뤄져왔다. 중국 외부의 기존의 천안문 사건에 대한 연구 경향들은 대체로 시민사회론적 접근/근대화론적 접근이 주를 이루었으며, 중국 문화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전통 문화적 접근이나 정치 엘리트 파벌 간의 권력투쟁으로 바라보는 관점 역시 존재했다. 하지만 이런 그동안의 연구들은 천안문 사건의 당사자들의 경험과 얘기들을 많이 담고 있지 못하다는 외재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1989 천안문 사건을 직접 주도하거나 경험했던 중국 지식인들의 천안문 사건 재해석 담론에 주목하여, 그 입장들을 억압적인 중국의 국가를 비판하는 자유민주주의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입장과 보다 계급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당시 시장화 정책을 비판하는 신좌파적 입장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또 이들 각각의 입장에서의 1989 천안문 사건 해석들이 현재 중국에 대한 정치사회적 분석에 줄 수 있는 함의들을 검토해본다.

      • 6.4天安門사건의 始末과 실패배경

        김택중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논총 Vol.18 No.-

        In the consequence of distresses had been accumulated since Chinese economy open policy adopted in 1976, the protest for democracy arose in June 4th of 1989. It is called as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1989 as taking a opportunity of Hu Yaobang death, who had defined as a pro-liberal political leader during period of 1980's. It ended with a tragedy. The tragedy had been predicted from core- demonstrators in the knowledge, which the government was not plausible taking a flexible response upon the protest which the government has a very rigid policy against agitations. They pre-knowledged Chinese government has a strong infrastructure based on the peculiar cultural and political tradition since Han dynasty. Chinese supreme authority couldn't find a decent way to release the controversial: the sheer protest demanding open and democratic policy not for the rebellious one. However, there are several causes that democratic movement couldn't avoid the disastrous end. First, leading-demonstrators didn't cognize government structure- monolithic political system and the bureaucratical tradition in that moment. Secondly, it was a provocation against the supreme authority had been represented under one party autocratic policy. Add to above, anarch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was seemed to inflict the unification of China regarding as a prior concept of the government and majority of the people of China. If protester request for reforming the policy rather than cling into the personal impeachment considered as the constitutional threat, they might had obtain the path of government reform for democracy. In bringing up the personal impeachment against supreme authority assumed as one of their strategy the core might acknowledged to receive fatal consequence. Even admitting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1989 revealed as a most tragedy contained other distracting causes, there are many optimistic factors about open- policy in the processing that no one could devaluate the patriotic motivation of the movement. With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1989 as a momentum for protesters, they apparently realized their society more accurate in the point of time and gained more extensive foresight of China as being a substance with long duration of it's own historical bearing from various disturbances. Furthermore, they recognised their capacity for the future and defects of their own strategy. In these sense,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1989 gave them vivid lessons allow to keep their noble and firm belief for future process and operations. Since the tragic moment, vast majority of Chinese has provoked into deliberating the subjects of Democracy, Freedom, and human rights with mature thought and contemplation, the same subjects had been buried in Chinese from 5.4 movement. Meanwhile,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1989 brought a considerable turning point for the political leaders, so they enable making true efforts to recognize what people want the most, to find defects upon political structure and eventually willing to reform their policy as people of China should be respected and protected in their freedom and human rights as much as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country. In addition, Chinese supreme policy against 6.4 demonstration and the following execution displayed strong prohibition further inflicting and mal policy to Chinese authority among Chinese co-related states which is Hong kong, Taiwan, so on.

      • KCI등재

        1989년 루마니아 혁명의 성격 규명 및 이를 통한 북한 체제전환에 대한 시사점 도출

        엄태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1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ue nature of the Romanian revolution of December 1989 and the essential aspects of destruction of Romanian politico-economic system. I will reexamine the diverse analysis which were presented until now and by adding newly discovered archive materials related I will try to reach to the substantial truth of the 1989 Romanian revolution. This study is not only for the Romanian modern history but also for the comparison study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n Case which is considered very similar with Ceauşescu regime of Romania. For these purposes, I will examine the Romanian Revolution of December 1989 and concrete situations of before and after Revoluti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destruction of Romanian politico-economic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1989년 말 루마니아에서 발생한 민주화 혁명의 실체를 밝히고 이 혁명을 기폭제로 이루어진 루마니아 체제 붕괴의 동인(動因)이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 측면을 살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89년 혁명과 관련된 다양한 분석이 제기되고 있는 바 이를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하며, 추가적으로 새롭게 발굴된 문한자료 분석과 주요 인사들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89년 혁명의 실체적 진실에 좀 더 다가서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성과가 단지 루마니아의 현대사의 한 부분을 연구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와 유사한 상황에 있는 북한 체제를 비교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북한의 체제전환에 있어서 하나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위해서 루마니아 민주화 혁명 및 혁명 전후의 구체적인 상황들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혁명 당시 루마니아의 내부적인 상황에 주목하여 체제붕괴의 동인을 규명함과 동시에 외부적 측면에서 89년 혁명과 관련된 동유럽의 체제붕괴 도미노 현상이 루마니아 혁명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1989년 이후 현대미술’의 담론의 전개양상 (I) 개념미술과 비판적 전환

        김기수(Ki-Soo Kim) 현대미술학회 2015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9 No.2

        본 논문은 개념미술이 미술의 ‘비판적 전환’을 가져오게 하는데, 특히 ‘1989년 이후 현대미술’이 동시대의 지배체제, 즉 글로벌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로부터 유래하는 다양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방향으로 전개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추적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우선 개념미술이 서구권에서는 1960년대 68운동, 베트남전쟁이 기폭제가 되어 기존의 제국주의적, 모더니스트 문화제도에 대해 근본적으로 반성하려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그리고 비(非)서구권에서는 1960, 70, 80년대에 광범위하게 출현한 군부정권에 대한 민주주의적 저항의 물결 속에서 움트기 시작한 미술운동으로 파악하며, 그것이 어떻게 ‘비판성’과 ‘동시대성’이라는 두 개의 축을 견지하며 1980년대 포스트모더니즘과 1990년대 현대미술의 중대한 토대가 되었는지를 계보학적으로 규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본장(II)에서 첫째, 리파드(Lucy Lippard)와 알베로(Alexander Alberro)의 시각을 빌려, 각각 어떻게 개념미술이 모더니스트 미술제도로부터의 다양한 ‘탈출시도’로서 전개되었는지, 어떻게 그러한 시도가 기존의 미술계에 대한 ‘제도비판’의 형식으로 전개되었는지를 검토하고, 둘째, 알베로와 캄니처(Luis Camnitzer)의 논의에 의거하여, 198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어떻게 개념미술가들이 페미니즘, 인종차별주의, 성차별주의 등의 동시대 문제를 다루었는지, 어떻게 개념미술이 지정학적으로 서구를 넘어 남미, 아시아 등의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왔는지를 논의하고, 셋째, 알베로와 오스본(Peter Osborne)의 분석에 따라 ‘1989년 이후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각각 어떻게 개념미술가들이 제도비판을 한층 정교하게 발전시켜왔는지, 또한 그것을 넘어 행동주의 미술을 확대시켜왔는지에 대해, 어떻게 1980년대 포스트모던 아트를 ‘포스트-개념미술’로 대치시키려 하는지, 나아가 ‘1989년 이후 컨템퍼러리 아트’를 ‘포스트-개념미술’로 정의하려 하는지를 차례로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1960, 70년대를 전후로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전개된 개념미술 운동이 심미성을 주창했던 모던 아트로부터 비판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미술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추동했으며, ‘1989년 이후 현대미술’의 담론의 주축이 되었고, 오늘날 비판적 미술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풍부하게 하는 동력이었음을 확인한다.

      • KCI등재

        특집논문 : 『통일문제연구』 논문에 나타나는 집필진의 특성과 사회과학방법론의 적용 및 활용 동향 분석

        김석향 ( Seok-hyang Kim ) 평화문제연구소 2015 統一問題硏究 Vol.27 No.2

        이 글은 통일 관련 전문학술지 『통일문제연구』 창간호인 1989년 제1권 제1호 이후 25년이 지난 시점인 2014년 제26권 제2호에 이르기까지 게재한 논문 총 621편을 대상으로 어떤 연구자가 글을 썼고 이들이 각각 자신의 논의 전개를 위해서 어떠한 방법론을 적용했는지 그 활용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앞서 『통일문제연구』 2014년 제26권 2호에 나왔던 경제희?김재한의 논문 “탈냉전시대 통일문제 논의의 변천:『통일문제연구』 25년을 중심으로”의 후속편에 해당하는 성격을 지닌다. 이 글에서는 『통일문제연구』 논문의 집필자가 각자 자신의 글에서 자료 분석을 위해서 동원한 방법론이 무엇이었는지 서술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와 더불어 1989년 이후 사반세기가 지나는 동안 『통일문제연구』 게재 논문에서는 사회과학방법론 적용 및 활용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전체적인 동향을 분석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이런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1989년 창간 이후 오늘날까지 『통일문제연구』 역사를 되돌아보면서 이 학술지에 등장하는 논문을 분석할 때 언제(when), 어디서(where), 누가(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 논의해 왔는지 완결하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ose academic articles 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5 from a perspective of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For the last 25 years,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printed 621 articles, written by 666 authors. This article assumes that each author wrote his or her own article(s) with some specific data and one or more methodologies. How do authors select one’s own data? How do authors one’s own data scientifically? These are the questions for this article to try to solve. This article, in that sense, shall be a serial follower of “Transition of Korean Unification Discourses during the Post-Cold War Era,” written by Kyung Jei-hee and Kim Chae-Han (2014). This article will show how each author utilizes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in his or her academic writing(s). It will also show if there would be any specific pattern(s) for those authors to use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from 1989 to 2015. By doing so, this article, with Kyung and Kim’s writing (2014), shall show “when, where, who, what, how” produced academic work for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5.

      • KCI등재

        6월 17일(1953) 저항운동: 가을혁명(1989)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충완 ( Chung Wan Kim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5 독일어문학 Vol.70 No.-

        동서 분단에서부터 독일의 통일에 이르기까지 동독에는 두 개의 큰 저항운동이 있었다. 그 중 하나는 1953년에 발생한 6·17 저항운동이고, 다른 하나는 1989년의 가을 혁명이다. 6·17 저항운동은 공산당에 항거한 동독 최초의 대중 저항운동이었다. 700개 이상의 크고 작은 주거지에서 저항이 있었고, 이는 “동지들이여, 함께 하자, 우리는 자유로운 인간이길 원한다.”라는 구호로 수십만 명이 동참한 저항이었다. 이 저항운동은 당시의 동독 정부에 더 이상 복종하지 않으려던 사람들이 중심이 되었다. 동독 정부는 이 저항운동에 대한 사실을 은폐하고자 했다. 이에 대한 발언조차 금기시했기 때문에 동독 정부의 몰락 이후에야 대중에게 공개될 수 있었다. 이 저항운동은 당시의 사회 환경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었다. 악화일로의 경제상황 속에서 이민자들의 숫자는 날로 증가했고, 실효성 없는 정책들에 따른 중공업 분야 우선 정책으로 인해 소비산업의 성장이 외면당했기에 국민들의 불만족은 점점 커져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동독의 정책은 노동자 개인의 노동력 향상과 세수 확대에만 혈안이 되었던 터라, 마침내 베를린 건축현장의 노동자들이 봉기하기에 이르렀다. 이 저항운동은 특히 급여 인상 요구에서 비롯되었지만, 당시 팽배했던 사회 내적인 불만들이 더불어 표출되었다. 하지만 전체 국민의 참여와 확고한 관심이 부족했고, 체계적이지 못했으며, 어떠한 조직이나 선구자가 없이 즉흥적으로 발생했기에 이 저항운동은 결국 좌절되었다. 1989년의 가을 혁명과 관련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6·17 저항운동에 대해 더욱 상세히 알 수 있다. 우선 공통점으로는, 두 저항운동 모두 발발 당시 정부의 무능력한 정책이 발발 원인이었고 비정치적 색채를 띠었다는 점이다. 차이점들 중 첫 번째로는, 1989년 가을 혁명이 모든 국민들이 참여한 것인 데 비해, 6·17 저항 운동은 중류충과 지식인들은 거의 동조하지 않고서 산업 노동자와 젊은이들이 주축이 되었다는 점이다. 두 번째 차이점으로는, 6·17 저항운동이 외부로 인한 영향력 없이, 당시의 잘못된 경제정책과 일방적 사회정책으로 인해 즉흥적으로 발생한 데 비해, 1989년의 가을혁명은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토로이카와 소련 위성국가들의 몰락이나 사회주의의 와해 상황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다. 세 번째 차이점으로는, 가을혁명이 다양한 조직을 통해 장기적인 시도 이후에, 수개월 간의 ‘월요일의 데모’에 의해 발생한 점진적 운동이며 평화적이었고 외부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았지만, 그에 반해 6·17 저항운동은 폭력적이었고 소련군에 의해 제지당했다는 점이다. 1953년 6월 17일 저항운동은 비록 실패했지만, 훗날 89년의 가을 혁명에 주춧돌이 되었다. 89년의 가을 혁명의 성공은 6·17 저항운동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89년 가을 혁명의 혁신적 변화는 외부로부터의 영향에 의해서만 달성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실패한 6·17 저항운동에서 얻은 동독 주민들의 경험은 89 년의 가을 혁명의 성공에 필수 요소였던 저항운동의 조직과 활동의 계획 및 실행 방법에 밑거름이 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