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마노 과르디니(R. Guardini 1885-1968)의 예배이해 연구

        안선희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예배의 변화에 대한 열망이 깊어가는 시대이다. 이 시대에 대한 성찰은 독일 신학자 로마노 과르디니(R. Guardini 1885-1968)를 떠오르게 한다. 과르디니는 오늘과 마찬가지로 ‘예전에 대해 열광하는 시대’를 살며, 목회를 하고, 신학을 가르쳤다. 오늘 한국사회와는 다른 역사적, 문화적 배경의 과르디니가 소위 ‘예전에 열광하는 시대’를 살면서 제시한 통찰이, 그 어느 때 보다 예배에 관한 논의가 활발한 현재의 한국교회에 성찰의 실마리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이유에서 이 논문은 로마노 과르디니의 예배이해를 연구한다. 예배이해는 예배자의 삶의 자리와 인간에 대한 이해를 비롯해서 세계관 및 문명이해와 깊은 연관 속에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과르디니의 생애와 사상의 울타리를 먼저 서술하고, 그의 예배이해를 다룬다. 로마노 과르디니는 무엇보다도 먼저, 예배와 삶, 정신과 행위, 놀이와 진지함 등 자칫 대립 또는 모순적인 이항대립쌍이 통합되어야 할 것을 강변한다. 나아가 예배는 경제행위와 같이 분명한 목적을 지닌 행위와는 달리, 무(無)목적적이라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예배는 마치 놀이와도 같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무하는 행위가 아니라, 그것 자체로 목적인 ‘놀이로서의 예배’이다. 마지막으로 자칫 예배의 미학이 놓치기 쉬운 점을 지적함으로써 당시 예전갱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예배에서의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가 씁쓸한 인간구원의 문제를 넘어서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오히려 모든 표현방법과 수단을 통해 드러나고, 말해지고, 성취되어야 할 것은 진실, 영혼의 운명, 실제의 삶이다. 과르디니의 ‘예배의 진지함’에 대한 통찰은 아름다운 한국교회의 예배를 예리하게 성찰하도록 돕는다. 로마노 과르디니의 신학적 작업들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의 예전갱신에 근거가 되었다. 과르디니는 무엇보다도 의식적이고 능동적이며 완전한 예배에의 참여의 중요성을 언급한다. 구체적으로 진정한 참여는 예배자의 ‘고요’, ‘침묵’, ‘집중’ ‘행동’을 통해 가능하다. Thirst for a change in liturgy is stronger than ever in Korea now. The insight into this thirst brings German theologian R. Guardini, who lived in ‘the age of enthusiasm for liturgy,’ serving church, and teaching theology. His insight from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could give a clue for insight to Korean church in its active discussions on liturgy. To understand liturgy is to understand the life and the world view of the people involved in liturgy, and their understanding of humanity and civilization, also. The life and thoughts of Guardini will be described at first, and his understanding of liturgy will be covered later. Guardini argued that the seemingly opposite elements like liturgy and real life, mind and behavior, seriousness and playfulness should be integrated. Unlike other activities with clear purposes as economic one, liturgy is an aimless activity for itself. Liturgy is like a play, which serves no other purposes but its own, ‘liturgy as a play.’ He also pointed out things liturgical aesthetics in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liturgical renewal in his time. He believed the pursuit for the liturgical beauty could not be prioritized over the problem of human salvation. Rather, it is truth, destiny of spirit, and real life that must be revealed, told, and accomplished by any methods and means of expressions. His insight into ‘liturgical seriousness’ inspires a critical reflection on Korean liturgy, which seeks for liturgical beauty only. Guardini’s theological work provided a ground for the liturgical renewal of the Vatican Council II. He emphasized conscious, active, and full participation in liturgy, which could happen by ‘quietness,’ ‘silence,’ ‘concentration,’ and ‘action.’

      • KCI등재후보

        가톨릭의 의례와 그 의미

        지혜경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3 무형문화연구 Vol.0 No.10

        본 논문은 가톨릭 의례의 전반적 내용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톨릭 의례는 성찬례인 미사를 중심으로 발달해왔으며, 1년간의 의례구성인 전례력과 가톨릭 신자들의 신앙을 강화시키는 칠성사가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톨릭의 전례력은 예수의 생애를 1년이라는 시간 안에 압축하여, 하루하루를 예수의 삶과 함께 살아갈 수 있게 구성하였다. 전례력은 매일매일 이루어지는 성찬례인 미사를 통해 실천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나를 기억하여 행하라”라는 명령에 따라 세워진 성찬례를 통해 가톨릭 신자들은 매일 매일의 말씀을 통해 예수의 가르침을 되새기고, 매일 매일의 영성체를 통해 예수와 하나 되는 시간을 갖는다. 미사를 의미 있게 만드는 것은 성령이다. 예수의 몸과 피를 상징하는 빵과 포도주는 미사 중에 성령의 힘에 의해 예수의 몸과 피로 성화한다. 성화된 몸과 피를 먹고마시면서, 신자들은 성령을 자신 안에 모시며, 성령의 힘 안에서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를 증명하고 확인시켜주는 것이 성사이다. 세례성사를 통해 가톨릭 신자들은 새로운 존재로 태어나며, 견진성사와 성체성사를 통해 신앙을 성숙시키며, 고백성사와 병자성사를 통해 치유를 받는다. 이처럼 유기적이고 정교하게 만들어진 가톨릭의 전례를 통해 신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과 사랑을 본받으며 그리스도교인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한다. This paper delves into the core essence of Catholic liturgy, emphasizing its key components: Jesus Christ, the Eucharist, and the Holy Spirit. By dissecting these elements, it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ricate fabric of Catholic liturgical practices. The study explores the Catholic liturgical calendar, seamlessly integrated into the Jesus’ life, realized through the daily observance of the Eucharistic celebration, commonly referred to as the Mass. Central to this exploration is the transformative influence of the Holy Spirit during the Mass, consecrating the bread and wine as representations transcending Jesus’ body and blood. The sacraments, as embodiments of the Holy Spirit’s presence, are meticulously analyzed for their roles in initiation, faith maturation, and spiritual rejuvenation. This study contextualizes Catholicism's liturgical traditions as guiding prin- ciples for adherents to deepen and nurture their faith. The structured liturgical calendar fosters an unbreakable bond with the divine, while the Mass, suffused with the Holy Spirit, facilitates a channel for spiritual communion with Jesus Christ. The sacraments, radiating sanctity, validate the ongoing interaction of the Holy Spirit in the lives of the faithful. In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how Catholic liturgical traditions provide a nurturing framework for faith development. Engaging with these traditions allows adherents to embody the principles of their faith in their daily lives. Thus, Catholic liturgy serves as a vessel of devotion, a conduit for divine communion, and a guiding beacon for the journey of faith.

      • KCI등재후보

        하워드 스나이더의 선교적 교회론에 관한 연구

        양형철 ( Yang Hyungcheol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2 神學과 宣敎 Vol.62 No.-

        이 논문은 교회갱신학자 하워드 스나이더의 저서에 풍부하게 담고 있는 선교적 교회론에 대한 연구이다. 스나이더의 신학사상속에 담겨진 교회갱신에 대한 통찰은 최근 선교적 교회론에서 말하고 있는 여러 신학적 개념들과 교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선교적 교회론의 주요 신학 개념들인 하나님 나라, 하나님의 선교 그리고 총제적 구원 등이다. 그럼에도 위 둘 사이의 차이를 언급한다면 아래와 같다. 스나이더는 교회가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대행자임을 인정하지만, 결코 교회의 자리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 또한 스나이더는 피조물의 구원까지 아우르는 총체적 구원을 주장하지만, 그 구원의 시작은 개인의 구원임을 분명히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스나이더는 웨슬리의 전통에 따라 성경과 자연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하지만 결코 성경의 권위를 최상의 자리에서 후퇴시키지 않는다. 그는 한국교회의 위기를 네 가지 신학적 진단 결과로 기술한다. 구원의 사유화, 신앙의 내세화, 신앙의 환원주의, 신앙의 세속화다. 다음으로는, 스나이더의 신학에 나타난 세 가지 갱신의 원리인 공동체성, 성령의 운동성, 창조의 연결성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 갱신과 선교적 재활성화를 위해 선교적 예전, 선교적 제자도. 선교적 공동체를 제언한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missionary ecclesiology, which is abundantly contained in the books of Howard Snyder, a church renewal scholar. The insight on church renewal contained in Snyder’s theological thought intersects with several theological concepts that are being talked about in the recent missionary ecclesiology. For example, the main theological concepts of missional ecclesiology are the kingdom of God, God’s mission, and total salvation. Nevertheles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two a re mentioned below. Snider acknowledges that the church is an agent for the kingdom of God, but never neglects the church’s place. Also, Snyder insists on total salvation that encompasses the salvation of Pizomol, but clearly states that the beginning of that salvation is individual salvation. Finally, while Snyder, in Wesleyan tradi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Bible and nature, he never retreats from its supreme authority. The results of four theological diagnosis of the crisis of the Korean church are described. These are the privatization of salvation, the afterlife of faith, the reductionism of faith, and the secularization of faith. Next, we introduce the three principles of renewal that appeared in Snider’s theology: communality, movement of the Holy Spirit, and connectivity of creation. Lastly, missionary liturgy and missionary discipleship for renewal and missionary revitalization of the Korean church. Suggest a missionary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