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역』 ‘삼진구덕괘’의 근본 문제에 대한 검토

        이정석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6

        ‘삼진구덕괘(三陳九德卦)’는 64괘 중에서 아홉 괘[九卦]의 괘의(卦義)를 덕(德)의 속성과 연결 지어 3차례 설명한 것으로, 우환에 대처하는 도리를 밝힌 것이다. 수양을 가지고 우환을 방지 또는 해소하는 근거로 삼음으로써, 역학사 및 윤리학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나아가 『역전』의 ‘도덕’적 해석 내용을 한 곳에서 전면적으로 논술한 것이어서 특히 중요하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삼진구덕괘의 형성과 체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도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삼진구덕괘의 의미와 가치를 주로 논하는 기존 담론과 달리, 그의 형성과 체제 등 근본 문제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첫째, 우환에 대처하는 괘가 왜 아홉 개인가에 대해, 『좌전(左傳)』과 『국어(國語)』의 용례를 검토하여 ‘구덕’이 춘추시대에 이미 보편화된 관념이어서 구괘도 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견해를 소개한다. 둘째, 삼진구덕괘 제1진의 “무엇은 덕의 무엇이다(某, 德之○)”라는 표현 방식은 춘추시대에 이미 관례화돼 있던 것을 바탕으로 공자의 역에 대한 관념을 반영한 것일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다. 셋째, 구괘를 굳이 3번 반복 설명한 까닭에 대해 기왕의 견해를 정리·소개하고, 『백서주역(帛書周易)』이 당시 존재하던 판본 중에서 각기 다른 3가지 문형을 취합한 데 따른 것일 수 있다는 가설을 제출한다. 「충(衷)」편의 문형 분석 결과를 그 근거로 들고 있다. 넷째, 백서본 삼진구괘장 및 「충」편 일부 괘의 괘 나열 순서가 통행본의 그것과 같음을 지적하고, 이는 『백서』 당시 통행본과 동일한 괘서(卦序)를 갖춘 판본이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자료라고 평가한다. 이상의 논의는 결국 성인이 『역전』을 지었다는 설을 부정하고, “『주역』은 어느 한 시대 어느 한 사람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계속해서 형성된 것”이라는 오늘날의 정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s a three-fold explanation of nine of the sixty four hexagrams in relation to the attributes of “virtue” (or de), and explains how to deal with misfortune. It has an great effect on the history of Zhouyi and ethics by preventing or handling misfortune through discipline. Furthermore, it is highly appreciated in that the moral interpretation of Yi-Zhuan is discussed in one monograph as a whole. However, there are some questions about the formation and system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Unlike existing researches discuss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this paper focuses on the fundamental issues: e.g. its origins and basis. First, I introduce a view about the reason why there exist nine hexagrams to cope with misfortune; the ‘nine virtues,’ the concept already universalized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seems to affect the number of hexagrams in consideration of the examples in Zuozhuan and Guoyu. Second, I also introduce that two origins of the expression “something is some of de” in the first description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1) it was already customary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or (2) Confucius' descendants modified the scriptures to reflect the notion of his work. Third, I summarize and introduce existing views on the triple explanation, and suggest one hypothesis; it is the result of combin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entence patterns at that time. The sentence format analysis result of the Chapter of Zhong of Silk Manuscript is presented as the reason. Finally, I point out that the order of some hexagrams in the Chapter of Interpreting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and the Chapter of Zhong of Silk Manuscript are the same as that of the current version. This implies that some versions sharing the order of hexagrams in the current version already existed, when Silk Manuscript was written. The above discussions consequentially repute the theory that one saint wrote Yi-Zhuan, and support common view that Zhouyi was not formed by a person at a time, but was formed and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by many.

      • KCI등재

        동양철학 : 상해박초간(上海博楚簡) 『주역(周易)』의 부호와 그 의미

        원용준 ( Yong Joon W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한국 철학논집 Vol.0 No.30

        상해박초간 『주역』에는 지금까지의 『주역』 텍스트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적색과 흑색의 특수부호가 존재한다. 상해박초간 『주역』을 처음 정리한 복茅左는 이 부호를 "□, □, □, □, □, □``의 6종류로 나누고 음양사상을 도입하여 설명한다. 李尙信은 이 부호를 7종으로 나눈 후 이 부호를 통해 상해박초간 『주역』의 卦序는 현행본 『주역』의 괘서와 완전히 일치하며 역시 음양사상을 담고 있다고 한다. 夏含夷(Edward I. Shaughnessy)는 죽간의 물질적 상태를 분석하여 상해박초간 『주역』의 괘서와 현행본 『주역』의 괘서는 동일할 것이라고 추측한다. 近藤浩之(Kondo Hiroyuki)는 부호를 9종류로 나누어서 상해박초간의 괘서를 도출한 후, 상해박초간본의 괘서는 괘획 단위로 고안되었기 때문에 6爻로 이루어지는 大成卦를 문제로 삼고있고, 3爻로 이루어지는 小成卦의 조합법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고 한다. 이와 같은 여러 견해에는 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아래의 두 가지 점은 공통된다. 첫째로 상해박초간 『주역』의 괘의 배열은 현행본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 둘째로 형식대립적 상반괘는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 두 점으로부터 상해박초간 『주역』이 8괘 시스템을 기초로 만들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추론해 낼 수 있다. 상해박초간 『주역』의 부호 체계는 8卦 시스템이 아닌 64卦(64 trigrams)시스템을 상정할 때 가능한데 이는 일반적으로 인정받는 통설, 즉 8괘가 64괘보다 먼저 이루어졌다는 것에 대해 재검토를 요구한다. 출토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해 8괘와 64괘의 성립 관계를 살펴보면 8괘 체계의 『주역』이 선행하여 존재하였고, 후에 64괘 체계의 『주역』이 등장하였다고 보기 힘들며 『주역』은 아마도 성립초기부터 64괘 체계였으리라고 생각된다. In Shanghaibochujian-ZhouYi, there are a few special signs in red and black that had never been found in previous ZhouYi texts. Pu Mao Zuo (복茅左), who first sorted out Shanghaibochujian-ZhouYi, classified the signs into six types and explained them in terms of Yin-Yang theory. On the other band, Li Shang Xin (李尙信) classified the signs into seven types and argued that these signs show that the order of the hexagrams(卦序) in Shanghaibochujian-ZhouYi is completely identical with that of the current version of ZhouYi. Edward L. Shaughnessy also conjectured that the order of the hexagrams(卦序) of Shanghaibochujian-ZhouYi is identical with that of the current version of Zhouyi after his material analysis of the Bamboo slips(竹簡) substance. Kondo Hiroyuki (近藤浩之) is based his interpretation of the order of the hexagrams(卦序) on his own classification of the signs which identified nine types. All these opinions contain some problems and given that the number of the Bamboo slips(竹簡) are very limited, we have to be very careful when we draw a conclusion. Shanghaibochujian-ZhouYi`s signs can be possible when we suppose a 64-hexagrams(64卦) system instead of the 8-trigrams(83卦) system, which demands a reexamination of the common view that the 8-trigrams system preceded the 64-hexagrams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