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역』 ‘삼진구덕괘’의 근본 문제에 대한 검토

        이정석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6

        ‘삼진구덕괘(三陳九德卦)’는 64괘 중에서 아홉 괘[九卦]의 괘의(卦義)를 덕(德)의 속성과 연결 지어 3차례 설명한 것으로, 우환에 대처하는 도리를 밝힌 것이다. 수양을 가지고 우환을 방지 또는 해소하는 근거로 삼음으로써, 역학사 및 윤리학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나아가 『역전』의 ‘도덕’적 해석 내용을 한 곳에서 전면적으로 논술한 것이어서 특히 중요하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삼진구덕괘의 형성과 체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도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삼진구덕괘의 의미와 가치를 주로 논하는 기존 담론과 달리, 그의 형성과 체제 등 근본 문제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첫째, 우환에 대처하는 괘가 왜 아홉 개인가에 대해, 『좌전(左傳)』과 『국어(國語)』의 용례를 검토하여 ‘구덕’이 춘추시대에 이미 보편화된 관념이어서 구괘도 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견해를 소개한다. 둘째, 삼진구덕괘 제1진의 “무엇은 덕의 무엇이다(某, 德之○)”라는 표현 방식은 춘추시대에 이미 관례화돼 있던 것을 바탕으로 공자의 역에 대한 관념을 반영한 것일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다. 셋째, 구괘를 굳이 3번 반복 설명한 까닭에 대해 기왕의 견해를 정리·소개하고, 『백서주역(帛書周易)』이 당시 존재하던 판본 중에서 각기 다른 3가지 문형을 취합한 데 따른 것일 수 있다는 가설을 제출한다. 「충(衷)」편의 문형 분석 결과를 그 근거로 들고 있다. 넷째, 백서본 삼진구괘장 및 「충」편 일부 괘의 괘 나열 순서가 통행본의 그것과 같음을 지적하고, 이는 『백서』 당시 통행본과 동일한 괘서(卦序)를 갖춘 판본이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자료라고 평가한다. 이상의 논의는 결국 성인이 『역전』을 지었다는 설을 부정하고, “『주역』은 어느 한 시대 어느 한 사람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계속해서 형성된 것”이라는 오늘날의 정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s a three-fold explanation of nine of the sixty four hexagrams in relation to the attributes of “virtue” (or de), and explains how to deal with misfortune. It has an great effect on the history of Zhouyi and ethics by preventing or handling misfortune through discipline. Furthermore, it is highly appreciated in that the moral interpretation of Yi-Zhuan is discussed in one monograph as a whole. However, there are some questions about the formation and system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Unlike existing researches discuss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this paper focuses on the fundamental issues: e.g. its origins and basis. First, I introduce a view about the reason why there exist nine hexagrams to cope with misfortune; the ‘nine virtues,’ the concept already universalized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seems to affect the number of hexagrams in consideration of the examples in Zuozhuan and Guoyu. Second, I also introduce that two origins of the expression “something is some of de” in the first description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1) it was already customary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or (2) Confucius' descendants modified the scriptures to reflect the notion of his work. Third, I summarize and introduce existing views on the triple explanation, and suggest one hypothesis; it is the result of combin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entence patterns at that time. The sentence format analysis result of the Chapter of Zhong of Silk Manuscript is presented as the reason. Finally, I point out that the order of some hexagrams in the Chapter of Interpreting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and the Chapter of Zhong of Silk Manuscript are the same as that of the current version. This implies that some versions sharing the order of hexagrams in the current version already existed, when Silk Manuscript was written. The above discussions consequentially repute the theory that one saint wrote Yi-Zhuan, and support common view that Zhouyi was not formed by a person at a time, but was formed and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by many.

      • 삼진구덕괘(三陳九德卦)와 우환의식에 관한 불교적 이해 - 『주역선해(周易禪解)』 해석을 중심으로 -

        이시우 ( Lee See-woo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본 논문은 노인이 자기 삶의 주인이 되기 위해 내재역량을 강화해 웰에 이징하는 방안을 불교사상에서 찾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주역』의 삼진구덕괘(三陳九德卦)를 불교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며, 지욱(智旭, 1599~1655)의 『주역선해(周易禪解)』에 보이는 삼진구덕괘에 관한 견해를 살펴보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왜냐하면 불가에서는 늙음에 따라 수반되는 몸과 마음의 우환(憂患)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또한 지욱의 『주역선해』는 『주역』을 선불교의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유불융회의 관점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특히 본 논문은 요돌봄노인의 몸과 마음의 우환에 초점을 두고 그 우환을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게 목적이다. 『주역』을 ‘우환지서(憂患之書)’ 라고 하듯이 『주역』은 우환을 극복하기 위해서 저술되었다. 『역전』 「계사전」 하7장 삼진구덕괘에서 특별히 작역자(作易者)의 우환의식을 언급하며 우환을 극복하기 위한 구덕(九德, 아홉가지 덕, 탁월함 또는 효과)과 수행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주역선해』의 삼진구덕괘에 대한 해석을 기초로 해서 요돌봄노인의 웰에이징의 이론적 논리와 실천 방안을 불교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ways for well-aging in Buddhist thought by strengthening the inherent capabilities of the elderly to become masters of their own lives. And we proceed by using the method of interpreting Zhouyi(周易)'s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三陳九德卦) from a Buddhist perspective. Buddhist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 will be centered on examining the view on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n Zhi Xu(智旭)'s famous book Zhouyichanjie(周易禪解). This is because the Buddhist family deals with the problem of ‘U-Hwan(憂患)’ of the body and mind that comes with aging and effectively provides solutions. And this is because Zhi Xu's Zhouyichanjie is evaluated as presenting ‘harmoniou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by reinterpreting the Confucian scripture Zhouyi from the perspective of Zen Buddhism.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U-Hwan’ of the body and mind of the elderly who require care, and the purpose is to find ways to solve the ‘U-Hwan’. In relation to this, as Zhouyi is expressed as ‘the book of U-Hwan’, Zhouyi was written to overcome ‘U-Hwan’. Gyesajeon(繫辭傳) specifically mentions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and presents nine virtues and practices to overcome ‘U-Hwan’ based on ‘Consciousness of Suffering(憂患意識)’. From this perspectiv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n Zhouyichanjie, this paper provides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well-aging of the elderly who require care. It is meaningful to interpret logic and practical measure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 KCI등재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의 佛敎信行 내용과 『周易』 卦象 표현

        허형욱 불교미술사학회 2022 불교미술사학 Vol.34 No.-

        Wooden altarpieces with Buddha preaching made from multiple wooden blocks carved with diverse deities in relief and then pieced together have been viewed as an ingenious merger of sculpture and painting in the late Joseon Buddhist art. There are more than ten surviving examples of such wooden altarpieces currently known. Among them, the Wooden Altarpiece with Amitabha Buddha preaching at Yongmunsa Temple in Yecheon, Gyeongsangbuk-do Province created by the monk-sculptor Daneung (端應) in 1684 carries a large volume of symbolic elements. Thus, it provides an informative example for understanding wooden altarpieces with Buddha preaching produc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examines the religious and ideological meanings of various symbolic elements found in the Yongmunsa altarpiece. Daneung, the creator of the Wooden Altarpiece with Amitabha Buddha preaching at Yongmunsa Temple, was described as a “sudaeseonsa” (首大禪師, a great head Seon master) in the record on the production of the Buddha sculpture in 1692 at Bonghwangsa Temple in Andong, Gyeongsangbuk-do Province. He also assumed the role of a jeungmyeong (證明, a monk who ensures that a Buddhist project corresponds to doctrine) for another project undertaken in 1694 at Bonghwangsa Temple. Accordingly, Daneung is believed to have possessed a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t doctrine and broad knowledge in the field. The symbolic Buddhist elements found in the Wooden Altarpiece with Amitabha Buddha preaching at Yongmunsa Temple can be largely divided between elements of Pure Land Buddhism and Seon (Chan) Buddhism. The Pure Land elements are presented literally through the iconography of nine grades of rebirth depicted in the lower section of the altarpiece and the phrases engrav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rame. The term “myeongsim” (明 心, luminous mind or illuminating the mind) carved into the center of the bottom edge of the frame is highly emblematic in Seon Buddhism. It implies a key Seon belief that the discovery of the Buddha nature inherent within everyone is in itself enlightenment. The inclusion of elements from both Pure Land and Seon Buddhism into the Yongmunsa altarpiece corresponds to the Seon meditation yeombulseon (念佛禪) practice of reciting the Buddha’s name verbally, which was popular in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other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Wooden Altarpiece with Amitabha Buddha preaching at Yongmunsa Temple is the manifestation of temporal and spatial concepts through hexagrams (卦) from Zhouyi (周易, the Book of Changes), a major Confucian scripture epitomizing the philosophy’s thought. The borders of the mandorla for the main Amitabha Buddha in the center of the Yongmunsa altarpiece are engraved with the eight trigrams (soseonggwae) to indicate spatial directions. Twelve among the sixty-four hexagrams (daeseonggwae) are engraved on the four edges of the frame of the Yongmunsa altarpiece to show a perception of time. These hexagrams are the twelve sosikgwae or byeokgwae (waning and waxing hexagrams) that describe the passage and circulation of time through extinction and growth of yin and yang energy. By applying these sosikgwae hexagrams, the Yongmunsa altarpiece formed an autonomous but complete temporal system. The Joseon Dynasty embraced Neo-Confucianism as its ruling ideology and suppressed Buddhism, so monks responded by demonstrating the harmony and accord possible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a measure to cope with this shift in the dominant ideology. They tried to better communicate with Confucianists by familiarizing themselves with Neo-Confucian learning, including the Book of Changes. Moreover, they drew upon the theory of hexagram images from the Book of Changes in order to justify the production of Buddhist images. However, they did not embrace Confucian elements unconditionally. It is noteworthy that monks added their own iterati... 여러 존상을 새긴 판목들을 짜맞추어 만든 목각설법상은 조선 후기의 불교미술에서 불상과 불화가 융합된 독창적인 장르로 주목받아왔고 현재 10여 점이 전한다. 그중 조각승 端應이 1684년에 제작한 경북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다양한 상징요소를 갖추고 있어 이 시기 목각설법상의 이해에 좋은 자료가 된다. 본고에서는 용문사 목각설법상에 표현된 상징요소를 불교와 非불교적인것으로 나누어 그 신앙과 사상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용문사 목각설법상을 만든 단응은 1692년 안동 봉황사의 불상 조성기에 ‘首大 禪師’로 기록되었고, 佛事에서 ‘證明’의 역할을 맡기도 했다. 이로 보아 그는 승려로서 불교교리에 대한 높은 수준의 이해와 지식을 가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단응이 조성한 작품들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다양한 상징요소들 또한 그가 가졌던 학식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용문사 목각설법상의 불교적 상징요소는 크게 淨土신앙적 요소와 禪불교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정토신앙적 요소는 하단의 九品往生 표현과 양 옆에 새겨진 게송을 통해 직관적으로 제시되었다. 한편, 선불교적 요소는 하단 중앙에 새겨진 ‘明心’이란 단어로 대표된다. 이 용어는 자신에게 내재돼 있는 佛性을 찾는 것이 깨달음이라는 선불교의 핵심을 암시한다. 이처럼 용문사 목각설법상에 정토신앙과 선불교적 요소가 함께 표현된 것은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염불과 선수행이 결합된 念佛禪의 개념과 상통한다. 용문사 목각설법상의 또 다른 특징은 유교 경전과 사상을 대표하는 『周易』의 卦象이 새겨진 점이다. 안쪽의 본존불 광배에는 8개의 8괘[소성괘]를 사용하여 공간적 방위를 표시하였다. 여기에 태극을 결합하여 유교 철학의 우주적 질서와 원리의 중심부에 부처와 佛法이 존재함을 나타내려 한 듯하다. 한편, 바깥쪽 나무틀에 새겨진 12개의 64괘[대성괘]는 일종의 시간관을 보여준다. 陰陽의 생장과 소멸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순환을 설명하는 12消息卦[12辟卦]를 응용하여 그 자체적으로 완결성을 갖춘 시간체계를 구축했다. 조선시대 불교미술에 수용된 『주역』의 괘상은 역사적 맥락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성리학이 국가의 지배이념이었던 조선시대 승려들은 억불책에 대응하기 위해 儒佛의 조화와 일치를 주장했고, 『주역』을 포함한 성리학적 지식을 익혀 소통에 나섰다. 또한 불교의 像 조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주역』의 象에 대한 이론을 원용하면서 유교와 대등한 종교적 권위를 얻고자 했다. 다만, 외부 요소를 무조건 수용만 한 것은 아니었고, 12소식괘를 응용한 용문사 목각설법상처럼 불교적 관념을 투영하여 나름의 변형을 가한 점도 중요하다. 『주역』의 괘들을 표현한 용문사 목각설법상은 성리학적 사회질서 속에서 불교계가 어떻게 유연하게 대처하며 생명력을 이어왔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 KCI등재

        『역위(易緯)』「통괘험(通卦驗)」의 성립시기와 괘기설(卦氣說)

        방인 ( Bang In ),석미현 ( Seok Mi-hyu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본고는 『역위(易緯)』「통괘험(通卦驗)」을 중심으로 하여 그 성립시기와 괘기설의 구체적인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서한(西漢) 상수역의 대표자인 맹희(孟喜)·경방(京房)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우선 필자는 『역위(易緯)』의 각 편들이 서한 시대에 이미 산재(散在)해 있었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서 「통괘험」의 상·하권이 서한 초기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통괘험」의 괘기설은 서한 초기의 발달된 천문과학과 『역(易)』이 결합된 산물로써, 『역위(易緯)』「계람도(稽覽圖)」와 더불어 『역위』의 괘기설 및 점술에서 가장 중요한 문헌으로 손꼽힌다. 「통괘험」에는 주로 사정괘(四正卦)와 팔풍(八風)·팔괘괘기설(八卦卦氣說) 등이 등장하는데, 특히 「통괘험」 하권에 나오는 팔풍과 여덟 절기에 대한 전통적 이해방식은 서한 초기 문헌과 출토문헌 등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로써 그동안 『역위』의 팔풍과 팔괘괘기설 등이 맹·경의 역학을 계승·발전시킨 것이라는 관점은 의심될 수밖에 없다. 필자는 오히려 맹희가 「통괘험」의 사정괘설을 계승하고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통괘험」 하권의 팔괘괘기설을 정현이 12소식괘로 주석한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이것이 바로 구궁괘기설과 연결되고 있음을 설명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he advanced theory of Qua Qi and the formative period of Tong Gua Yan (通卦驗) in Yi Wei (易緯),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representative Meng Xi (孟喜) and Jing Fang (京房) of numberolog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ach chapter could have been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before called for Yi Wei (易緯),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possibilities of Tong Gua Yan (通卦驗)`s first and the second books being written in the early part of the Western Han Dynasty. Also, Tong Gua Yan (通卦驗)`s Qua Qi as the fruit of astronomy and Changes (易), advanced studies in the Western Han Dynasty, along with next to Ji Lan Tu (稽覽圖) a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book in Yi Wei (易緯)`s Qua Qi and fortunetelling. Tong Gua Yan (通卦驗) consists of the four hexagrams (四正卦), and the eight trigrams(八卦)` Qua Qi theory where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and the perspective about eight trigrams and the eight Solar Terms in the second book of the Tong Gua Yan (通卦驗) are commonly found from the early books of the Western Han Dynasty. Therefore, the predominant academic view that the eight trigrams` Qua Qi theory was developed and inherited from the Meng Xi (孟喜) and Jing Fang (京房)`s numberology is doubtful, rather the author`s view is that Meng Xi (孟喜) has inherited the four hexagrams theory of the Tong Gua Yan (通卦驗). Finally, the eight trigrams in Tong Gua Yan (通卦驗)`s second book are connected to the Nine Palaces` Qua Qi theory(九宮卦氣說), which again raises a question about Zheng Xuan(鄭玄)`s interpretation of it into the twelve waning and waxing hexagrams (12消息卦).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의 기자(箕子) 인식(認識) - 고법(古法)탐구와의 연동(連動)을 중심으로 -

        윤석호 ( Yoon Suk-ho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2

        정약용의 기자 인식은 비균질적이면서도 전환적으로 변화했다. 또한 보편적 유교문화의 시원으로서 기자를 정위한다는 기조를 공유했으되, 기자로부터 전래된 보편문화가 무엇이었는가에 대해서는 당시의 유자들과 상이한 견해를 가졌다. 이에 본고는 다산의 기자 인식이 古法에 대한 독법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양자를 계기적으로 논증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사료적 가치에 있어 후대의 역사서보다 經書를 우선했다는 점, 경서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유교의 보편적 전장을 궁구했다는 점, 또한 이것이 기자의 역사성을 판단하는 준거로 활용되었다는 점 등은 다산의 기자 인식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는 특징이었다. 그럼에도 다산의 기자 인식은 유배기 전후로 크게 달랐는데, 이는 고법과 기자에 대한 경전적 해명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먼저 사환기까지의 다산은 기자의 동래와 그로 인한 행적 전반에 대한 경학적 전거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단군이 한반도를 다스렸고 ‘朝鮮’이라는 명칭도 이때부터 있어왔다고 보았던 한편으로, 기자의 동래 나아가 평양에 도읍을 세웠다는 것에는 강한 의문을 표했다. 이러한 입장은 당시 ‘기자정전’으로 운위되던 평양의 격자형 유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유지의 구획는 ‘井’자가 아닌 ‘田’자였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맹자』의 정전에 대한 경문과는 부합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것은 다산이 ‘기자정전’을 인정하지 않았던, 대신 이를 당나라의 이세적이 운영했던 둔전의 유지로 추정케 했던 경학적 근거였다. 그러던 다산에게 강진 유배기는 유학의 보편적 전장을 본격적으로 궁구할 시공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산은 『周易』의 明夷卦를 역사적으로 재해석하여, 기자 동래에 대한 경전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주역』의 坤卦, 『尙書』의 洪範九疇와 六鄕制, 『周禮』의 營國원리 등을 재해석했다. 그리고 ‘井’자가 토지제도에서부터 도성[읍성]건설, 나아가 통치 이념에 이르는 삼대 전장에서의 보편적 원리였음을 추론했다. 이와 같은 고법 독법 하에서 다산은 기자의 흔적을 평양의 유적 가운데에서 해명했다. 그런데 그가 주목한 것은 평양성 밖의 이른바 ‘기자정전’이 아닌 평양성 내부의 격자형 유지였다. 동래한 기자가 고법에 의거해 평양성을 조영했으니, 내부에 남아 있는 ‘井’자 형태의 공간 구조가 바로 그 증거라는 것이다. 이로써 다산은 고대의 한반도를 유학의 보편적 전장이 시행된 시공으로, 그와 같은 경학적·역사적 추론에 대한 실증적 근거로서 평양성을 위치시켰다. 이처럼 다산에게는 보편적 전장의 해명이라는 학술적 목표가 일관되게 저류하고 있었다. 특히 유배기 이후로는 경전의 재해석을 통해 고법에 대한 기왕의 독법을 조정했으며, 그 논점을 통치체제의 차원으로 확대했다. 다산의 이러한 학술적 경과 속에서 고법은 기자와의 주요한 교점이 되었다. 그리고 고법 독법의 변화에 근거해 기자에 대한 인식 또한 연동했고, 이 과정에서 기자는 고대 한반도에서의 문명사적 실체로서 자리매김했다.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s recognition on Kija(箕子) was inhomogeneous and conversely chang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rgue Dasan's perception on Kija under the connection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his view about Old Law(古法).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value of the Confucian scriptures was prioritized over the later historical books, that the universal system of Confucianism was explaine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and that it was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historicality of Kija were characteristics that were continuously confirmed in Dasan's perception on Kija. Nevertheless, Dasan's perception on Kij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ile period, because Dasan's explanation based on Confucian scriptures for Old Law and Kija was changed. Dasan before exile was unable to provide evidence in the Confucian scriptures for Kija's migration to the east and the overall course of action related thereto. In addition, Pyongyang(平壤)'s grid-shaped historical site, so-called ‘Kija's Jeong-jeon(井田)’, was not recognized because it did not conform to the explanation of 『Mencius(孟子)』 about Jeong-jeon. Dasan was exiled by Gangjin(康津), and during that period, he studied the universal system delivered in Confucian scriptures in earnest. In this process, Dasan historically reinterpreted Ming-Yi Hexagram(明夷卦) in 『I-Ching(周易)』, and used it as a scriptural basis for Kija's migration to the east. In addition, Dasan reinterpreted Kun Hexagram(坤卦) in 『I-Ching(周易)』, the Nine Category of the Great Rule(洪範九疇) in 『Shangshu(尙書)』, Hyangsu- System(鄕遂制) in 『Zhou-li(周禮)』 and 『Shangshu』, and argued that the form of ‘Jeong(井)’ was the universal principle of the Confucian ruling system. Under this interpretation of Old Law, Dasan explained the traces of Kija among Pyongyang's ruins. However, what he paid attention to was not the so-called ‘Kija's Jeong-jeon’, but the maintenance of the grid inside Pyongyang Fortress. He understood that Kija built Pyongyang Fortress in accordance with the old law, and regarded the remaining shape of Jeong as its evidence. Overall, Dasan evaluated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as a space where the universal Confucian system was implemented. In addition, he positioned the grid-shaped historical site inside Pyongyang Fortress as an empirical basis for his Confucian scriptural and historical reas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