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벨라르의 속죄론: 도덕감화설에 대한 비판

        이성림 ( Lee Sung Lim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48 No.-

        아울렌은 1930년 속죄론에 대한 기념비적 연구를 발표하였다. 이 연구에서 그는 기독교 속죄론을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는 대속설이며, 두 번째는 보상설이며. 그리고 세 번째는 도덕감화설이다. 그러나 기념비적인 아울렌의 속죄론 연구에는 결점이 있는데 그것은 아벨라르의 속죄론을 주관주의적 모범주의로 축소하고 제한한 것이다. 이러한 왜곡은 아벨라르가 그리스도를 “위대한 스승과 모범”으로만 봤다는 아울렌의 잘못된 전제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아울렌의 주장과 달리 아벨라르는 “스승이며 모범”이신 그리스도를 본받아서 살아간다면 속죄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지 않았다. 아벨라르의 속죄론에서는 칭의와 성화가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서로 연결 되어져 있다. 그에게 있어서 칭의 없는 성화는 눈먼 성화고 성화 없는 칭의는 허무한 칭의다. 아벨라르는 그리스도의 대속적 희생을 통해서 인간이 하나님과 화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렇게 하나님과 화해한 인간이 그리스도의 사랑의 삶을 살아갈 때 비로소 진정한 화해를 완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벨라르는 객관적 속죄이론이 중심이었던 이전 속죄론에 주관적 속죄이론을 더함으로써 속죄론을 좀 더 통전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주관적 요소의 결여된 속죄이해는 결국 성화의 결여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아벨라르는 주관적 요소를 포함한 통전적 속죄론을 통해서 신자들의 신앙생활에 실제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아울렌의 속죄론 연구에서는 아벨라르의 주관적 속죄론만 강조되었고, 이렇게 성립된 아울렌의 속죄론 연구를 토대로 한국 신학자들은 자신들의 속죄이론을 발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아직까지 아벨라르의 속죄론에 대한 비판적 재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렇게 아벨라르의 속죄론이 도덕적 모범주의설로 오해하게 된 것은 자유주의 신학자 라쉬달의 잘못된 해석에 기인한다. 그는 아벨라르의 속죄론을 도덕감화설로 소개하면서, 아벨라르의 속죄론이야말로 가장 설득력 있는 기독교 속죄론이라고 극찬을 하였다. 이와 같은 찬사에도 불구하고 아벨라르는 도덕감화설을 주장한 적이 없기 때문에 아벨라르 신학에 대한 찬사는 잘못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비평적 방법으로 아벨라르의 속죄론에 대한 잘못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고, 아벨라르의 속죄론을 아벨라르의 신학에 근거하여 재구성하려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한국 교회와 신학계에 신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아벨라르의 사랑의 속죄론을 제공하려고 한다. Gustaf Aulen published a monumental study of the idea of the Atonement in 1930. He classified the Christian idea of the Atonement into three main types: the first was the ransom theory, the second the satisfaction theory, and the last the moral influence. However, there is a flaw in his study, which reduces and limits Peter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to subjective exemplarism. This distortion originated from Aulen’s false premise that Abelard understood Christ only as “the great teacher and example.”However, contrary to Aulen’s assertion, Abelard did not claim that we are atoned by imitating Christ. In Abelard’s theory of the Atonement,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are not separate but interconnected. For him sanctification without justification is blind just as justification without sanctification is empty. Abelard argues that humans are reconciled with God through Christ’s redemptive sacrifice and that authentic reconciliation means that humans who have been reconciled with God should live the life of Christ’s love. Abelard articulates the holistic idea of the Atonement. Unfortunately, Aulen only singles out the subjectivity emphasized by Abelard, and most of theologians developed their theories of the idea of the Atonement without the critique of Aulen’s typology. Until now, there has been no critical reappraisal of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The liberal theologian Hastings Rashdall contributes to this misunderstanding of Abelard’s theory as moral exemplarism. He introduces Abelard’s theory of the Atonement as a subjective moral-influence theory while praising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as the most persuasive one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is paper, I plan to correct, in a critical way,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Abelard’s idea of the Atonement and reconstruct his theory holistically based on his whole theology. With this study, I believe that Abelard’s emphasis on love in the Atonement might help uplift authentic faith in Korean Christianity.

      • KCI등재

        쇤베르크와 전통: 음악적 아이디어와 기초 악상을 중심으로

        김경화 한국서양음악학회 2011 서양음악학 Vol.14 No.3

        In the early 20th century, Arnold Schoenberg pioneered radically new musical languages: atonality and twelve-tone music. Although he developed progressive musical language, Schoenberg believed that he was never conflicted with the German tradition but continued and extended it. The paradoxical insistence of Schoenberg is concerned with his art view. In this view, art is an expression of idea and the work of art is its realization. For Schoenberg the philosophy of the organic nature of an artwork and the conception of the Grundgestalt as concrete presentation of musical idea should not be changed in any type of music. It is the traditional paradigm that he learned from German masters. This paper will examine elements or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Grundgestalt, which function as an essence for the organic unity in a work. The idea of the wholeness produced by coherence and contrast or tension and relaxation is a very traditional view above all. In the analysis, Op. 6, No. 8 "Lockung" was chosen for the tonal music, Op. 15, No. 6 "Jedem Werke bin ich fürder tot" for the atonal music, and Op. 25 "Präludium" of the for the twelve-tone work. 20세기 초반 쇤베르크는 무조성과 12음 음악이라는 새로운 음악 어법을 시도하였다. 과거의 어법에서 벗어나 혁신적인 창작 기법을 발전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쇤베르크는 자신이 독일 음악 전통을 버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확장하여 지속하고 있다고 믿었다. 쇤베르크의 이러한 역설적 주장은 그의 예술관과 깊이 관련된다. 그는 예술이 ‘아이디어’의 표현이며, 예술 작품은 그 ‘아이디어’가 구현된 유기적 통일체로 보았다. 예술 작품의 유기체적 본질에 관한 쇤베르크의 철학과 아이디어를 음악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요소인 ‘기초 악상’ 개념은 그의 창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작품의 아이디어를 드러내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기초 악상’을 제시하고, 음악적 요소들과의 다양한 관계 안에서 변화와 통일성, 긴장과 이완, 구심력과 원심력의 대비 등의 역동적 과정을 만들어내며 유기적 전체를 형성한다. 이는 쇤베르크의 음악 스타일과 어법의 변화를 초월하여 일관성 있게 존속되는 창작의 본질이며, 과거 대가들로부터 계승한 전통적 패러다임이다. 본 논문은 쇤베르크의 창작 과정에서 본질적으로 작용하는 음악적 아이디어와 기초 악상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것이 후기 조성 음악, 무조 음악, 12음 음악에서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