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 말기 경무국 도서과의 활동 방향과 검열의 흐름

        문한별 ( Moon¸ Han-byoul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1926년 4월에 신설된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 도서과는 일제강점기의 중심을 거치며 가장 강력하지만 숨겨져 있는 사상 통제의 기관이었다. 1926년부터 식민지 조선의 언론과 출판, 영화와 음반에 이르기까지 사상과 관련한 모든 것들은 도서과의 검열을 통해서만 조선인들에게 전달될 수 있었고, 그 역할은 일제강점기 중반부터 전시기까지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하지만 이 같은 조선총독부 경무국 산하 도서과의 역할은 제국과 식민지 상황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양상을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경무국의 기관지인 『경무휘보』에 수록된 ‘도서과 통신’을 통하여 그 업무의 변화와 방향성의 전환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도서과에 대한 연구는 제도와 조직에 대한 것과 도서과가 생산한 검열 문건에 집중된 바 있다. 그러나 1937년 이후 도서과가 1943년 정보과로 통합되어 사라질 때까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고는 이 시기 도서과의 활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무휘보』의 ‘도서과통신’을 번역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그 역할과 흐름의 변화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검열과 행정처분을 담당하던 도서과의 역할은 언론과 출판을 검열을 통해 통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상 교육과 언론지도라는 목적으로 확대되었고, 편집과 서술 방향에 이르기까지 확대되고 있었음을 우선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중기부터 그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었던 영화 매체에 대한 검열을 강화하였고, 중일전쟁 이후에는 검열과 통제를 넘어 선전 영화의 기획과 제작, 배급과 상영이라는 지점까지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book department affiliated to Joseon Government-General Police Bureau established in April 1926 was the most powerful but hidden institution of thought control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Since 1926, everything related to thought from the press and publication to movies and albums of colonial Joseon were only allowed to be delivered to Koreans through censorship by the book department, and the role remained unchanged from mid Japanese colonial era to the wartime period. However, the role of the book department under the police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hows significant chang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mpire and colonial situation,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work and direction through the 'newsletter of book department' from 『Gyeongmuhwibo』, an organ of police bureau. Until now, researches on book department have focused on systems and organizations and the censorship documents produced by the book department. However,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on the specific role of the book department until it was integrated into the information department in 1943. This study translated 'newsletter of book department' of 『Gyeongmuhwibo』 to identify the activities of the book department during this period, and intended to identify the changes in role and tren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role of the book department, which was in charge of censorship and administrative measure, expanded from controlling the media and publishing through censorship to the purpose of ideology education and media guidance, and it was expanding from editing to the direction of description. Also, it was identified that censorship of the movie media that has been gaining influence since the mid-Japanese colonial era was strengthened, and that it is advancing to the point of planni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of propaganda films beyond censorship and control after the Sino-Japanese War.

      • KCI등재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위상 변화와 공문서 접수

        박성준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6

        As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expanded to financial structure having jurisdiction over various nation’s purse in the Great Han Empire, its official document form has been changed. Unlike the early days, they had used official paper stamped with the words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eliminating ‘Department of the Royal Household’. Also, the title on stamp of government position changed to ‘Recipient of the Official of Crown Properties’. As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expanded as a great financial structure, it has grown in stature as an independent structure, and it was reflected in official document form. Such change was shown in document distribution system. The recipient of report from each district was the First Lord of Department of the Royal Household until 1897; however, the recipients of reports were mostly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from 1899.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could not issue an official order before Aug 1899, since then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had issued official orders to each district. However,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could not handle the document in an equal position to the central organization yet. However, from Sep. 1900,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handle the document with district organizations in equal position to the central organization, and a records office had been established in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Also,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had handled official documents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getting out of belonging organization to the department of Royal Household. Since the records office was established in Sep. 1900,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had written receipt book autonomously. Comparing the receipt books in 1901 to the receipt books in 1905 and 1906, receipt numbers had been appeared from the book in 1905 and the organization in charge of the documents was recorded on some documents. Since no receipt book was found in 1902~1904, it is unknown when receipt number had been started indicating on the book. Seeing that the receipt number on the book of 1905 matched with contents on the receipt stamp, the receipt number has started indicating from around July, 1902; the period the receipt stamp has been started to use. Unlike the receipt stamp, the department in charge was indicated on the receipt book. It is because that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changed writing system. Instead of classifying divisions,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recorded in a book by order to receive, provided serial number, and wrote the department on the bottom of receipt book to classify by department in charge. Since establishment of the records office in Sep. 1900,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had confirmed the receipt of document by stamping ‘receipt of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and made receipt books as the office had started handled documents independently. Also,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changed its system integrating division and recording in one book from the intial system classifying the book by division then receipt number and department in charge were indicated on the book. Also, receipt system has stabilized by stamping the receipt date and number on the received document. 대한제국기 내장원이 각종 국가 재원을 관할한 거대 재정기구로 확대되면서 공문서 양식도 변화되었다. 초기와 달리 1900년 2월부터 판심에는 궁내부가 삭제된 ‘內藏院’이 찍힌 공문서 용지를 사용했다. 내장원경의 도장에 새겨진 명칭도 ‘內藏院卿之章’으로 변경되었다. 내장원이 거대 재정기구로 확대되면서 위상도 독자성을 갖는 기구로 높아졌던 것이며, 그 양상이 공문서 양식에도 반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문서 유통 체계에서도 나타났다. 1897년까지 내장원이 각 군으로부터 받은 보고의 수신자는 대부분 궁내부대신이었으나 1899년부터는 수신자가 내장원인 보고서가 대부분이었다. 1899년 8월 이전에는 내장원이 각 군에 훈령을 내릴 수 없었으나, 1899년 8월 이후부터 내장원은 각 군에 훈령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아직 내장원은 중앙기관과 대등한 위치에서 문서를 거래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1900년 9월부터 내장원은 중앙기관과 대등한 위치에서, 지방 기관과는 상급 기관으로서 문서를 거래하게 되었고, 내장원에는 기록과가 설치되었다. 내장원은 궁내부 소속의 하급 기관에서 벗어나 독립된 기관으로서 각 기관과 문서를 거래하게 되었다. 1900년 9월 기록과가 설치된 이후부터 내장원은 독자적으로 문서 접수책을 작성했다. 1901년도 접수책과 1905ㆍ1906년도 접수책을 비교해 보면 1905년도 접수책부터 접수 호수가 등장하고 일부에서는 해당 문서의 담당 기관이 기록되었다. 1902년부터 1904년까지의 접수책이 없어 접수책에 언제부터 접수 호수가 기록되었는지 접수책을 통해서는 알 수 없지만, 1905년도 접수책에 기록된 접수 호수와 일자가 접수스탬프에 기입된 내용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접수 호수가 기록된 시점은 접수스탬프를 찍기 시작한 1902년 7월 전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접수스탬프와 달리 접수책에는 업무 담당 기관인 課가 먼저 기록되었다. 이는 내장원이 접수책을 과를 구분해서 작성했던 방식에서 과를 통합하여 작성하는 방식으로 전환했기 때문이었다. 내장원은 과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접수책에 접수한 순서대로 문서를 기록하면서 각 문서에 연속된 접수 호수를 부여하고, 해당 문서의 업무 담당 기관을 구분하기 위해 접수책 하단에 과를 기록했던 것이다. 1900년 9월 기록과가 설치된 이후 독자적으로 문서를 수발하게 된 내장원은 접수한 문서에 도장 ‘內藏院領收證’을 찍고, 문서 접수 장부를 작성했다. 내장원은 과를 구분해서 접수책을 작성했던 초기의 방식에서 과를 통합해 하나의 접수책에 작성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접수책에는 접수 호수와 업무 담당 기관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접수한 문서에는 접수일자ㆍ호수로 구성된 접수스탬프를 찍어 점차 접수 체계가 정비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 KCI등재

        검열관의 일상과 업무로 본 강점 말기 사상 통제의 이면 -도서과 검열관의 기행문과 수필을 중심으로-

        문한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oughts and viewpoints of the leading actors of ideological control in detail by examining the daily lives of the police officers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affiliated with the Police Bureau, which was in charge of publishing and media censorship in colonial Josea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anslated and analyzed travelogues and essays containing the daily lives of police officers in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which were recorded in <Gyeongmu Hwibo>, an organ paper of the Japanese colonial police. As is well known,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of the Police Bureau wa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department in April 1926 and was in charge of censorship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 of publications and media in colonial Joseon until it was integrated into the Information Department under the wartime system in 1943. They initially focused on media censorship, but after 1937 they began to transform into an imperial propaganda and media guidance agency. Their main task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summarized as 'Guidance and education on the direction of local publishing censorship' and 'Education of the ideology of media editors and journalists.' Police activities are described in detail. In particular, "Jeollanam-do Travel Diary" contains the daily life and work of the police officer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who went on a business trip to the Jeonnam region for censorship support, and remarks of the staff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who went to the mainland of Japan to receive ideological strengthening education, which was recorded in the travelogue titled "Training to Tokyo," draw our atten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ice officers of the Book Publishing Department at that time expressed their sense of duty in the wartime regime as the madness of defending the regime, but showed a double sense of rift in the conflicting situation of their assigned duties and daily life in the colony. 본 연구는 일제강점 말기 식민지 조선에서 출판과 언론 검열을 담당한 경무국 도서과 출판경찰들의 일상을 살펴봄으로써, 사상 통제의 주체들이 지닌 생각과 관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경찰협회의 기관지인 『경무휘보』를 대상으로 하여, 도서과 출판경찰들의 일상이 담긴 기행문과 수필 등을 번역하여 분석하였다. 주지하다시피 경무국 도서과는 1926년 4월에 독립된 부서로 설치되어 1943년 전시체제 하에서 정보과로 통합되기 전까지 식민지 조선의 출판과 언론에 대한 검열과 행정처분을 담당하였다. 그들은 처음에는 매체 검열에 집중하다가 1937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제국의 선전 기관이자 언론 지도 기관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강점 말기 이들의 주된 업무는 ‘지방 출판 검열 방향성 지도 및 교육’, ‘언론 편집자 및 기자들의 사상 교육’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경무휘보』에 수록된 기행문과 수필에는 이 같은 도서과 출판경찰들의 활동이 세밀하게 서술되어있다. 특히 「전남여일기(全南旅日記)」에는 전남지방으로 검열 지원 업무 여행을 떠난 출판경찰의 일상과 업무가 담겨있고, 「동경의 눈(東京ゆき)」이라는 기행문에는 일본 본토로 사상 강화 교육을 받으러 간 도서과 직원의 소회가 실려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의 연구 결과 당시 도서과 출판경찰들은 전시체제기의 상황 속에서 업무의 사명감을 체제 옹호의 광기로 표출했지만 주어진 직무와 식민지 일상의 대립된 상황 속에서 이중적인 균열 의식을 보여주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초기 교과서 검열을 통해서 본 사상 통제의 양상 - 대정 4년(1915년) 조선총독부 『교과용도서일람』을 중심으로 -

        문한별 ( Moon Han Byoul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9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4 No.-

        The article aimed to examine the aspect of censorship of textbooks by using Curriculum Books List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ich was organized by the Japanese Empire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era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the education of colonial Koreans. The censorship of publications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generally systematiz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Book Department under the Police Bureau in April 1926. This is because the systematic publishing censorship documents have been produc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Book Department. Most of these materials had been made since the late 1920s, so there is not enough data to examine the aspects of early censorshi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only remaining administrative disposition records by the censorship in 1910s was the Official Gazette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ich listed the books prohibited and seized by the Publication Ac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specific reality of the omitted publications in that such public announcements were not included in the official gazette every time. In this situation, the existence of the Curriculum Books List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1915 was confirmed, and it was found that many books were included in items such as Curriculum Books of which Authorization is invalid and disapproved, Unauthorized Curriculum Books, Books of which sale and distribution is prohibited. In particular, the Books of which sale and distribution is prohibited seemed to have been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Textbook Authorization process of the Governor General and had been managed by special managem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books fell under the purview of this category among the books published around the 1910s, even though the substance of oppression could not be confirmed so far because their lists were not even notified in the Official Gazette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ased on this data, this article tried to examine the new aspect of publication censorship based on the censorship of early textbooks censorship of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문화콘텐츠학과 독서 프로그램의 가능성

        박기수(Park, Ki Soo)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9

        본고는 문화콘텐츠학과 학생들의 인문역량 강화 및 효과적인 문화콘텐츠 기획을 위한 독서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문화콘텐츠학과 독서 프로그램은 누구를, 왜, 어떻게 기를 것이냐 하는 문화콘텐츠 교육의 정체와 연관된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한다. 궁극적으로 양성하려는 인재상과 그들이 갖추길 원하는 역량 그리고 그것과 상관된 교육 목표 및 전략과 상관하여 독서 프로그램의 성격과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고민해야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문화콘텐츠학과 독서 프로그램의 정체와 성격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에서 실시하는 ‘문콘도서 100권 읽기 프로그램’과 ‘문콘 바칼로레아’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기준은 한양대 문화콘텐츠학과가 지향하는 융복합, 글로벌, 현장중심이라는 세 가지 중심 요소를 기반으로 ‘즐거운 가치 창출의 체험’이 될 수 있는 독서 프로그램을 전제하였다. 이것을 중심으로 필독서 선정 기준, 독서 프로그램 운영 방안, 실제 사례를 통한 문제점 및 가능성 등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고찰했다. 강요나 당위적 요구로서의 독서가 아니라 읽어야만 하고, 읽고 싶고, 읽을 수 있는 실천 가능성에 중점을 두기 위해 1학기 15권, 2학기 10권으로 진행하여 4년간 총 100권을 읽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필독서 목록은 인문학적 토대와 융복합적인 성격 그리고 현장실무중심이라는 문화콘텐츠의 특성을 적극적으로 수렴하여 마련했다. 다만, 도서 목록은 상황에 따라서 수시로 보강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운영하였다. 또한 ‘문콘 바칼로레아’를 통해 학기마다 독서를 독려하고 검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읽은 책의 리뷰를 작성해서 올리고, 퀴즈를 풀고, 논술을 통하여 깊이 있는 검증시스템을 모색하였다. 향후 문화콘텐츠학과 독서프로그램은 읽어야만 한다는 부담과 강박보다는 즐거운 독서 체험을 강화함으로써 생활로서의 독서를 통하여 지속성을 확보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자발성에 기초하여 읽고, 읽었으면 생각하고, 생각하면 쓸 줄 아는 독서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the possibility of reading programs which supports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capability and effective planning skills for students. ‘Culture Contents Department’s Reading Program’(CCRP) starts from a fundamental questions; whom , how , and why should we raise? Reading Programs have to be based on the goals which educations are trying to achieve. This article states the program’s identity first and moves on to analyze the examples of ‘Culture Contents Book 100 volumes Reading Program’ and ‘Culture Contents Baccalaureat.’ The standard contains the points which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 aims at including convergence, global, and field centered. Based on thee points, must-read books were assigned and management plan was chosen specifically. The program was operated not from compulsive rules, but by one’s own will, and also encouraged students to read 25 books a year so that they could read 100 books in 4 years. Also, a system that encourages students to read was developed based on ‘Culture Contents Baccalaureat.’This system helped students to check whether they comprehended the book clearly - not by several ways such as quizzes, but reviews and writing assignments. Further, CCRP has to focus on strengthening the joyful experience of building students consistency and willingness to read. It has to be based on a virtuous circle system which starts from reading voluntarily, and leads to thinking and writing to make students enjoy reading rather than to feel pressure and be obsessed.

      • 독서 이론의 동향과 독서교육 지원 시스템의 방향

        한철우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9 No.-

        독서는 독자와 책(필자)의 상호작용이다. 독자는 책을 읽으면서 책 속의 지식과 자신의 지식을 연결시켜 사고하고 찬성하거나 반대하며, 확장된 사고를 펼치거나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된다. 독서는 의미구성과정이다. 독서는 글에 제시되어 있는 정보와 독자 자신의 배경 지식을 결합하여 글 전체의 의미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독서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지적 활동이다. 현대 사회는 비판적 문식성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요구한다. 비판적 읽기 능력은 단순히 지식을 아는 것이 아니라 그 지식을 가지고 어떤 것을 할 수 있음을 말한다. 독서 발달 연구는 아동의 발달 시기에 따라 무엇을 가르쳐야 하며, 어떤 자료를 가지고, 어떤 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독서이론의 동향을 바탕으로 독서지도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학생들이 읽을 권장도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선정되어야 하며, 그들 스스로 읽고 싶은 책, 자신의 능력에 맞는 책도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생들은 특히 학교 공부에 매달려 독서할 시간이 없으므로 학교에서 일정한 시간의 독서 시간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독서 동기 부여를 위해서는 재미있는 다양한 독후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교과학습과 연계된 독서지도, 책읽기의 감동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청소년 문제를 해결 해 줄 수 있는 독서 지도가 되어야 한다. 이런 독서지도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에 독서 전담 부서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Reading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ader and the book. Reader think, agree, oppose and imagine deeply or widely during reading the books. Reading is the process of meaning construction. That is, reading i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by connecting between the reader's own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content of books. Reading is the process of solving various complicated problems. The contemporary society need the person that has critical literacy. the critical literacy ability is not the person that know the knowledge simply but the person that do something with it. The research of reading development say about what to teach, how to teach with what kind of materials by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We must establish the direction and the approaches of reading teaching. The books for students have to be selected with various methods and they should choose books for them to read and to be appropriate to them with themselves. The time to read the books should be given to students in the school. We must teach reading with the various after-reading activities, with the approaches related to content area reading and young adult problems.

      • KCI등재

        豫備 漢文敎師의 授業 力量 提高를 爲한 ‘漢文敎科敎材硏究및指導法’ 講座 運營 方案

        백광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20 한문교육논집 Vol.54 No.-

        This research aims to find ways to enhance the teaching competence of preliminary Chinese Classics teachers through the "Research & teaching method of Chinese classics' instruction books," which is a compulsory course for teaching profession curriculum to train Chinese Classics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Focusing on ways to provide realistic voices of current teachers, I sought to find course running measures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field. From this, it is expected to improve field adaptability of preliminary teachers and to enhance teaching competenc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ideas and helps choose necessary teaching elements, given that it offers course running measures to enhance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eliminary Chinese Classics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한문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과 교육과정 중 교직 필수 강좌인 ‘한문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을 통해 예비 한문교사들의 수업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다. 특히 강좌 내용과 운영 방식을 설계함에 있어 현장 교사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려줄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4주 동안의 짧은 교육실습만으로는 접하기 힘든 여러 형태의 수업을 탐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예비 교사의 현장 적응력을 높이고 수업 역량을 키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우선, 기존 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한문교육과에 공통으로 개설된 ‘한문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강좌의 특징을 살핀 후, 예비 한문교사들의 수업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고민한 결과인 ‘거꾸로학습’을 적용한 강좌 운영 방안을 소개한다. ‘거꾸로학습’은 온라인 학습을 오프라인과 연계하는 방법의 하나인데, 이러한 운영 방식은 예비 한문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수업 능력을 함양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고는 예비 한문교사의 수업 역량을 올릴 수 있는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문학과의 교직 이수 학생 및 한문교육과 학생이 필수로 이수하는 강좌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필요한 교수 요소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 KCI등재

        1908년 일ㆍ청에서 출판한 金台錫 印譜 연구

        柳志福 ( Yoo Jibok ) 진단학회 2021 진단학보 Vol.- No.137

        Kim Tae-seok was dispatched to Japan and Qing in 1908 as an art commissioner of imperial family belonging to the department of royal household. Then, as a result of his art observation, he published 《Seungsa Inbo(乗槎印譜)》 in Tokyo and 《Cheongyu Inbo(淸游印譜)》 in Beijing.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rt history significance of the two books of seal collections. Two books of Kim Tae-seok have two important meanings in their external form as a work of art. It is the first book of seal collections made by a modern publishing technique called lithographic printing as a domestic artist of seal carving, and it is the first book of seal collections that shows the specialized form of the character engraved on the side of a seal. Both of the two books carry the preface, postface and impressions of seals of influential figures from Tokyo and Beijing. In particular, the 《Seungsa Inbo》 contains the evaluations of people who represent the Japanese seal engraving world in the Meiji era, and you can see the exchang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seal engraving world in the modern era. The 《Cheongyu Inbo》 contains the seals of the bureaucrats at the late Qing dynasty under the command of Yuan Shikai(袁世凱), and it gives us an idea of the background that engraved the seal of President Yuan Shikai and the Great Seal of the Republic of China by Kim Tae-seok in later. Two books are rich in the personality of Kim Tae-seok's personal portfolio. The reason he overcame financial difficulties to create book of seal collections was his intention to survive as an artist who lost his country in a foreign country by actively utilizing book of seal collections in his own career. What is noteworthy in this paper is that in 1908, the Korean Empire was officially conducted an observation for the purpose of art itself, and there was also confirmed that seal engraving and book of seal collections existed in any form in the art.

      • KCI등재

        번역과 출판으로 본 북한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수용

        김선호(Kim, Seon-Ho) 역사비평사 2018 역사비평 Vol.- No.125

        The book of Marxism-Leninism began to pour out at the same time as liberation in August 1945. The socialist book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North Korea until 1946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se books are mainly the early works of Marxism-Leninism, such as the The Communist Manifesto and What is to be done. Secondly, translator was a leftist group in South Korea and the Soviet Foreign Workers’ Press. Third, translations were translated from Japa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The book of Marxism-Leninism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by individuals and localities until 1946. Since January 1947, the North Korean Worker’s Party(NKWP) established a plan to translate and publish books of Marxism-Leninism, and incorporated professors from the Central Party School and Kim Il-Sung University as translators. Since 1947,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socialist books have changed from before 1947. First, the NKWP accepted the official interpretation of the Soviet Communist Party(SCP) and put NKWP’s interpretation on par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SCP. Second, the NKWP granted the sole authority to the socialist books translated from the NKWP. The greatest feature of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socialist books since 1947 is the totalization of Stalinism in North Korea. The NKWP stressed that it must study Stalin’s books to establish political lines and solve all the problems on the Korean Peninsula. All the books selected by the NKWP as the textbooks of the party members were the work of Lenin and Stalin, but Stalin’s work was the most used. In North Korea, only The Complete Works of Stalim was completed until 1950.

      • KCI등재

        식민지도서관과 이식된 근대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의 프랑스어 장서 및 역사서 분석

        권윤경 ( Yun Kyoung Kwon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5

        경성제국대학(이하 경성제대) 부속도서관은 식민지 조선 최대의 근대 도서관으로서 동양서뿐만 아니라 방대한 서양어 장서를 보유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문헌자료실에 보관 중인 구 경성제대 도서관 장서 중서양어 장서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그 중 프랑스어 역사서를 위주로 장서의 양적, 질적 분석을 시도했다. 여기서 중심이 되는 연구 주제는 장서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경성제대가 식민지 지식 생산 체계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가늠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프랑스어 도서들의 목록, 도서 원부, 경성제대 사학과 관련 자료들을 통해 식민지 서양사 연구와 교육의 단면을 살펴보는 한편, 서양어 도서들에서 두드러지는 키워드별 분석을 통해 식민주의와 장서간의 보다 직접적 연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도서관은 문화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위한 식민주의적 기획의 자장 내에 있었고, 도서관에 방대한 교양 도서를 집적하게 만든 경성제대의 보편적 교양주의 역시 이 헤게모니 전략의 일부였다. 그러나 구체적인 실행 과정을 보면 식민권력이 일사불란하게 침투했다기보다는 다양한 요인들이 장서 구성에 복합적으로 작용했음이 드러난다. 제국대학의 일부로서 부여된 교양주의, 교수들과 학생들의 학문적 요구, 서구에 대한 일본의 모순적 욕망, 당대 일본 제국의 시국적 관심, 그리고 도서관의 실질적인도서 구매 관행 등 다양한 요인들이 식민지 대학이라는 구조적 틀과 상호작용하며 특이한 장서 구성을 낳았다. 이를 통해 부속도서관의 서양어 장서는 식민지 조선에 이식된 근대성의 독특한 면모를 포착할 수 있게 해준다.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Library was the biggest modern library in colonial Korea. Now hous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ts enormous collection includes a great number of books in Western languages, which are now rarely utilized. Among the collection,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books in French, and history books in particular, as the first step to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hitherto neglected Western book collection of the colonial university library. Drawing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is article looks into the formation of the French book collection in an attempt to glimpse the colonial structure of knowledge production and the role of the colonial university within it. For this purpose, it relies on the catalogues of French books, original book registries, and sources from the History Department of the Keijo University. Overall, the library collection was shaped by the colonial project to build cultural hegemony in Korea, of which the emphasis on universal culturalism was part. However, in practice, the colonial power never fully dictated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Rather, a variety of factors-such as the imperial university system applied to the colonial university, academic demands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s, Japan``s contradictory desires towards the West, and the practices of book purchase-interacted with the setting of the colonial university to produce a peculiar book collection, revealing a peculiar aspect of modernity mediated through Japanese colon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