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재음미

        정동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ing on roles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to reconsidered the role of special class teachers as a class teacher and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general education school. This study solved these research ques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class teachers are a class teacher of special class so that they need to teach and guid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manage the classroom as the general class teachers do. Moreover, because of special need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need to do more special role. Second, special class teachers should do the special role to support not only inclusive classroom but also school-wide special education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general education school. Therefore, roles of special class teacher requires more expertise to the ro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ared to that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Furthermore, the roles of special class teacher is so special role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at of special education teather in special schools.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특수학급 교사들이 담임교사로서 수 행하여야 하는 역할과 특수학급 교사들이 일반학교에서 특수교육 교사로서 수행하여야 하는 역할 을 재규정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선정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해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특수학 급 교사는 특수학급의 담임교사로서 일반학급 담임교사와 동일하게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의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장애학생들의 특별한 요구로 인하여 그 각각에 특별한 역할을 더 수행하여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뿐만 아니라 특수학급 교사는 일반학교의 특수교육 교사로서 통합학급과 학교 전체의 특수교육을 지원하는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의 역할은 일반학급 담임교사의 역할보다 더욱 전문성을 요구하는 역할이며, 그러한 전문적인 역할은 특수학교의 특수교육 교사와도 다른 전문성을 요구하는 특수한 역할이라 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 특수학교 교사와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발달장애학생의 과학교과 운영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이영철,신은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3

        이 연구는 초등 특수학교 교사와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발달장애학생의 과학교과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소재의 정신지체 및 정서장애 특수학교 5개교에 근무하는 초등 특수학교 교사 70명, 전라북도(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김제시, 완주군, 임실군) 소재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 82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학생의 과학교과 운영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교과의 전반적인 운영체제에 대한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은 ‘개별화된 학생중심 과학교육’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과학교과 운영을 위한 적절한 위치에 과학실험실이 설치되어 있어, 과학실험실을 활용하기에 편리하며, 과학실험실에는 실험실습용 교재·교구와 ICT 활용 수업을 위한 멀티미디어 시설이 충분히 구비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초등 특수학교 교사들은 ICT 활용 수업을 위한 멀티미디어 시설은 충분하나 이 외에 과학교과 운영을 위한 과학실험실의 설치, 위치, 교재·교구들은 충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은 학생의 특성에 맞는 평가모형을 활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통식 수업방식보다 실험실습을 통한 탐구활동중심의 수업과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매체를 활용한 과학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 특수학교 교사들은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과학교육을 위해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보다 교과서와 교수-학습 자료 및 매체를 수업시간에 덜 활용하며, 학생의 장애특성에 맞는 평가모형을 만들어서 평가하는 것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많은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이 최신 특수교육 이론이나 교수법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거나 과학교과 활동에 대한 교재 연구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기회가 주어진다면 과학교육과 관련된 연수에 참여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초등 특수학교 교사들은 최신 특수교육 이론이나 교수법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에도 불구하고,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보다 과학교육과 관련된 세미나나 연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길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과 운영에 있어 초등 특수학교 교사와 초등 특수학급 교사간의 인식 차이를 좁히는 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the science subjec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ttain the goal,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n their recognition on the operation of the science subject with 70 elementary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working in 5 special education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impaired in Jeonrabuk-do (Jeonju-si, Gunsan-si, Iksan-si) and 82 elementary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al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nrabuk-do (Jeonju-si, Gunsan-si, Iksan-si, Gimje-si, Wanju-gun, Imsil-gu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first,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recognition on the general operation system of the science subject target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mostly positive in all the items except for ‘individualized student-centered science education’. Meanwhile,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recognize all the items except for ‘the national curriculum’ are not being properly conducted. Second, most of the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recognize that a science lab is located properly for the operation of the science subject, the science lab is convenient to be used, and the science lab is fully equipped with multimedia facilities for ICT-utilizing class as well as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for experiments and practice.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recognize that multimedia facilities for ICT-utilizing class are sufficient but the installation and location of a science lab and teaching materials or tools are not appropriate to operate the science subject. Third, although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do not use an evaluation model right for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they conduct science education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edia as well as class oriented to exploring activities through experiments and practice instead of taking 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use textbooks 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edia for science education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class hours less than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and they hardly conduct evaluation designing an evaluation model right for the students’ disability features.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although there are not many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who are fully aware of the latest special education theories or teaching methods or invest enough time to study teaching materials for science activities, they want to join in the training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if they have any opportunity. Meanwhile, it has been also found that although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latest special education theories or teaching methods, they show less intention to join in the seminars or training related with science education than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These research results imply it needs to be urgently realize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the science subjec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모형 연구

        최성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odel with intensive curriculum of in-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class teachers. The questionnaire which was included in education situation in special class 10 questions, teachers' perception on special education in special class 10 questions, and needs on intensive curriculum of in-service education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special class teachers indicat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ducation situation in special class and perception on special education in special class. Also the teachers suggested the high needs to open the in-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class teachers.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ults the model with intensive curriculum of in-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class teachers was suggested. The aim of the model was to support to keep resonable think and leadership through the intensive curriculum of in-service education for special class teachers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eacher, institution, an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pecial class teachers' competency was determined by individual efforts of the special class teacher, the curriculum contents of the in-service education, and the supports of the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이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를 위한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위하여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 교사 358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장애아동 교육실태 10문항, 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10문항, 특수학급 교사를위한 심화교육과정 운영과 관련된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특수학급 교사는 장애아동의 교육실태와 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비교적 긍정적이었으며,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의필요성 등에 대한 높은 요구를 나타내었다. 설문지 문항 분석에 기초하여 특수학급 교사를위한 교사재교육 심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 모형을 제안하였다. 합리적인 사고 배양과리더십 함양을 위한 교사재교육 모형은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사 개인의노력, 연수기관의 노력, 그리고 교육과정 개설 등을 위한 체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통합학급 내 수업방해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의 지원 및 대처 방식

        안제춘,황지은,이경원,변혜성,안예지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wa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and cope with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We conducted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two groups: A group of fiv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 group of four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result, 3 upper-categories and 11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upper categories were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 members before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occur, preventive reactions for antecedents before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occur, and reactions for students who are separated by inclusive class teachers to special education class and interventions for the consequence to inclusive class teachers separ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inclusive classes and intervention for the consequences. The first upper category included sharing methods for consistently coping with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between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betwee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special teachers. The second upper category included the use of human resources to stabilize the behavio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group activities, guidance on alternative activities, formation of routin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visit special classes, and medication intake management. The third upper category includ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es and education using behavioral contracts and token rewards. Lastly, we discussed implications for maintain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 members to support before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ventive measures for antecedents, respon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fter class interference behaviors, and intervention for the consequences.

      • KCI등재후보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강영심 한국통합교육학회 2011 통합교육연구 Vol.6 No.1

        This study was one attempt to build up preservice teacher's realistic teacher identity through understanding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special class teachers. The subjects were 1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College of Education at P University. They had an opportunity to interview special class teacher while taking the course 'special education teacher'. Based on these experience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rote an independent reflective journal. The journals were analyzed with triangulation metho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at special class teachers were experiencing occupational stress deriving from negative attitude toward special education, unfair teacher evaluation and promotion system, interpersonal conflict with school staff members et al. Seco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at special class teachers reduce stress by solving the problem directly, engaging in recreation and religion, sharing the stress with intimate social supporter et al. This experience made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have a realistic perception about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foster preservice teachers' healthy and realistic teacher identity.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에게 특수학급교사가 교직생활 속에서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하여 살펴보는 기회를 제공하여 특수교사로서의 현실적 정체성을 함양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P대학교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1학년 예비특수교사 10명이며, 이들은 전공필수 과목인 ‘특수교육교사론’ 강좌를 수강하면서 특수학급교사들과 면담하였다. 면담은 주로 특수교사가 어떻게 교직에 적응하였으며 적응과정에 어떠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어떻게 대처하였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예비특수교사는 면담을 통하여 얻은 내용과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저널로 작성하였다. 저널의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특수학급교사는 장애학생과 특수교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 비합리적이고 불공평한 일반학교 행정체계, 장애아동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능력의 한계, 학교구성원들과 갈등, 학부모의 비협조와 무리한 요구, 과도한 행정업무 등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해서 직접적인 문제해결, 교육활동에 몰입, 친밀한 동료와 스트레스 공유, 개인적 취미활동이나 종교생활 등으로 다양하게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예비특수교사는 외로운 특수학급교사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 예상치 못한 비전문적인 업무에 대한 당혹감과 실망감, 통합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한 현실적 지각과 불안감, 미래 특수교사로서의 사명감과 긍정적 태도 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현장교사와의 만남이 예비특수교사로 하여금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예비교사시절부터 현실적인 특수교사상을 갖고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이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지수,황순영 국립특수교육원 2019 특수교육연구 Vol.26 No.1

        The special education class is a limited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on teaching efficacy of novice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and to propose a foundation for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 For this study, three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vited to perform micro-teaching and receive six consulting sessions from consultants. As a result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eaching efficacy of novice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t secondary school. The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nalyzed and evaluated the recorded videos of their own class and evaluate themselves as a teacher. This w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each teaching situation and to improve it. In particular, in the instructional group consultation of this study,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shared the problems of trial and error of each instruction, so that they were mentored and experienced the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improved the teaching efficac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t secondary school. In conclu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provided consulting advice, interac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self reflection opportunities for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the restricted environment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This study helped to implement more structured class and improved teaching efficacy. 대부분의 일반학교에는 한 명의 특수교사만 근무하기에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이 구조적으로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이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컨설티로 선정된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들은 교수·학습과정안을 바탕으로 압축수업을 실시하고 컨설턴트에게 그룹컨설팅을 받았다. 이를 통해 수업컨설팅 전·후의 교수효능감 검사, 반성적 저널, 면담, 수업컨설팅의 내용을 분석하여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들의 교수효능감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은 특수학급이라는 제한적인 환경에서 근무하는 초임 중등특수교사에게 컨설턴트의 조언, 동료교사와의 상호작용, 자기반성적 성찰의 시간을 통해 보다 구조화 된 수업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어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에게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의 기회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교수효능감을 형성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직헌신도를 매개변인으로

        김영한 ( Kim Young Han ),서영 ( Seo Yo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360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이 그들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교직헌신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직헌신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은 교사효능감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요인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직헌신도는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고 학생헌신과 수업헌신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교직헌신도는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과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직헌신도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ay on mediating effect of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on relationship between their teaching adaptive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Data was collected from Seoul, Busan, Daegu, Daejeon, Ulsan, Kyungbuk, Kyungnam Province of special class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 total of 360 special clas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s follow: First, The study said the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had influence on their commitment. Especially self-efficacy, psychological factors had powerful effect on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Secondly,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had influence on their teacherefficacy. Particularly self-efficacy, psychological factors had powerful effect on their teacher efficacy. Third,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had influence on their teacher efficacy. In particular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of sub-factors; commitment to students, commitment to classroom activities had powerful effect on their teacher efficacy. Thirdly, special class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had complete medi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 KCI등재

        교사수준 및 학교 수준 변인이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한 ( Kim Young-han ),박정민 ( Park Jung-min ),서영 ( Seo Young ),이진옥 ( Lee Jin-ok ),하은정 ( Ha Eun-j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에 영향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전국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92개교, 중등학교 특수학급 88개교의 186명의 교사를 표집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 전 영역에서 학교 간 변량 비율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이 상당 부분이 근무하는 학교 간 차이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학교수준 변인들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교사수준 변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학교 간 변량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제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수준 변인 통제 후 자기효능감, 심리적 요인, 사회적 관계, 환경 및 생활만족 영역에서는 순수하게 학교수준 변인으로 학교 간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특수학급과 중등학교 특수학급에서 교직적응탄력성을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학교조직의 요인은 하나는 대화와 협력 변인이다. 그리고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에게 교직적응탄력성을 높이는 데 또 하나의 학교조직 특성은 학교장 지도성이다. 즉, 학교장의 지도성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explain the impact of teacher-level & school-level variables on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 total of 186 special class teachers from 92 elementary schools & 88 second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 all areas of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the variable rate between schools was found to be higher in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than in secondary school special class teachers. That is, a considerable por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working school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chool level variables, this study controlled the influence of teacher level variable and then derived variable quantities between schools for analysi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analysis under the control of that, purely it i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hools as a variable of school level in self-efficacy,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relationships, satisfaction of environment and life after controlling a variable of teacher level. In elementary special classes and secondary school special classe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as found to be a variabl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to special class teachers, another feature of school organization to increase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was found to be the principal`s leadership. In other words, it is said that the effect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was significant on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adaptive resilience.

      • KCI등재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비교 연구

        김정규 ( Junggyu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장애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의 통합학급 교사 196명과 특수학급 교사 1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 t/F검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는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구성영역 중 교사 자신의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교직경력만이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구성요인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는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구성영역 중 교사 자신의 지식에 대한 요인에 대하여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성별과 최종학력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구성요인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은 개인교직관 지식과 학교역할 지식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내용에서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통합교육 지원 프로그램의 차별성이 요구된다는 것을 이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hat were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to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CPK) between general and special class teachers. The general class teachers were teaching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level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o were studying at the special classes. The special class teachers and the general class teachers were working at the same environment. 196 general class teachers and 196 special class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test, and regression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general class teachers indicated with statistically differences to the CPK based on teaching experience factor. The general clas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nstruction structure knowledge and teaching contents knowledge were most important in the CPK; (b) the special class teachers had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he CPK according to gender and master degree background variables, however the instruction adapt knowledge and instruction structure knowledge in CPK were most important factors rather than the other factors of CPK; and (c) the general class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recognition toward the CPK recognized differently. The special class teachers had more positive to CPK rather than those of the general class teachers. This study suggested that how to support the general class teachers to increase the attitudes to CPK for all students.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 수학과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인식의 구성요인 분석

        이동원 국립특수교육원 2016 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to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in math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The 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 teachers were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various levels, that includ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students. Two-hundred special school teachers and two-hundred special clas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 utilized the following: the t/F tests,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we compiled our results and findings, and put them in summary form. We first begin with special school teachers, who indicat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practical knowledge and mathematics, based on special education career factors. The special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content, for learners to grasp, the practical knowledge of mathematics. The sub factors of special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mathematics were found to exhibit a high degree of statistical correlation. Second, special class teachers indicat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of math, based on special education careers and the levels of school factors. The special clas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dentifying the knowledge of learners was to measure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in math. The sub factors of special class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content in math also exhibits a high degree of statistical correlation. Third, and lastly, the special school and the special class teachers’ perception in regards to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in math were found insignificant. 이 연구는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지적장애학생 수학과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인식의 구성요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적장애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의 특수학교 교사 200명과 특수학급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수학교과에 대한 실천적 지식 내용에 관한 90개 질문 문항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t/F검증,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교사는 지적장애학생 수학과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요인 중 학습자 지식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특수교육 경력만이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수학과 실천적 지식 내용은 하위요인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는 지적장애학생 수학과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요인 중 학습자 지식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특수교육 경력과 학교급이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수학과 실천적 지식 내용은 하위요인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특수학교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의 지적장애학생 수학과 실천적 지식 내용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