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지연,좌동훈,박세경,한미경,최수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사회보장, 사회서비스, 평생사회안전망의 맥락에서 현행 아동·청소년·가족보호체계를 진단하고 정책개선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현황 및 여건 분석, 둘째, 공공복지 전달체계 현황 및 여건 분석, 셋째, 보호체계 관련 국내·외 사례 및 현황 고찰, 넷째,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 등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선행연구와 행정자료를 분석하고, 자치구 단위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업무 추진여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2차 자료분석과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대상 실태조사, 전문가 의견조사(AHP),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전문가자문,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콜로키움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보호체계가 분절적으로 구성·운영되어 있어 보호대상 아동·청소년․가족의 진입관문(gate-way)이 어디인지에 따라 지원내용과 서비스에 차별이 발생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18세 미만 아동·청소년 가운데 보호지원이 필요한 아동은 10명 중 2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보호체계에 진입하더라도 보호조치를 담당하는 아동복지전담공무원의 배치기준이 부재하여 보호조치 시 전문성이 담보되지 않고, 아동복지시설 이외의 시설에서 대안돌봄 중인 아동·청소년은 보호조치를 위한 심의대상에서도 제외되는 등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시·군·구 단위 아동·청소년·가족 보호·복지 통합게이트웨이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현행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이용범위 확대와 취약계층 발굴을 위한 공통사정도구 개발·활용, 사례관리 전담인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치구 단위의 통합사례관리업무를 포함한 공공, 민간의 다종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조정하고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보호사무와 관련하여 지방정부의 사업설계 자율권을 보장하고 기존 운영방식을 전면 개편하는 방안으로, 중앙정부 사회보장사업 중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사업목적과 기능을 고려하여 포괄보조(block grants)가 가능한 사업군을 도출하고 성과관리체계와 연동하여 시행가능성을 면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법률 개정, 아동·청소년·가족 보호기반 강화, 제도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세부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ystem of the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tasks for policy and practice improvement in the context of Social Security, Social Service and Social Safety Ne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urrent project involves the following these components: 1.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condition of th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2. Examining the present state and situation of the public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3. Evalua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and cases of protection system; 4. Identifying policy and practice task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for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government report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ources were utilized to address these four components. In addition, sever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administrative data, a survey with participants of Hope Welfare Support Team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ocus Group Interview (FGI), Expert Advice, Policy Researchers Conference and Colloquium were employed to better understand the current challenges and needs of the local government agencies. The research identified the several major challenges and areas of improvement to reform the protection system and to promote the well-being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The first major finding is that based on the current structure, each protection system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is separa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As a result, discrepancy exists in the level of support and services depending on where the children, youths and families“Gate-Way”are. This may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urgent improvement areas in the current protection system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streamlined services. The second major finding is when children in need, enter the protection system, receiving adequate professional support is not guaranteed. This is a serious concern since it is estimated that two out of ten children under 18 years are subject to need for the protection support. The lack of professional support in the system can be attributed to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there is no systematic national standard for a Child Welfare Dedicated Public Official who is in charge of protection support. In addition, children and youths who receive the alternative care from the institution are not considered as a target for protection support under the current system. Therefore, to address the current challenge,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work toward establishing the Integrated Gate-Way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lso, expanding the range of current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developing common assessment instrument to detect risk of harm to vulnerable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case management professionals are critical to improve the protection system. Especially, a strategy to reinforce functions of Control Tower that operate and adjust various public and private social service including tasks for integrated case management is essential. The third finding is the necessity of making changes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For instance,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reorganize the existing operation method and to ensure autonomy for local government to have a business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protection system relevant to them. Also, based on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protection system, certain programs and services within Central Government-Controlled Social Security Services can be identified as potential programs for Block Grants. Thus, in conjunction with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t is critical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Block Grants programs for local government to develop locally relevant social services. Bas

      • KCI등재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보호 배제의 원인에 관한 시론적 고찰

        윤정향 ( Jeong Hyang Yoo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03 사회보장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e that the fact that contingent workers is excluded from social protections is reflected to social structure rather than institutions defect itself. Because social protection system have been evolved with interest of the dominant group of social relations, even if social protection system is designed of benefit to disadvantaged group, the power groups would advantage of that protection systems. Because of this point, the cause of exclusion from social protections of contingent workers is social protection institutions` exclusive property resulting from hierarchical and exclusive social relations. Contemporary social protection system which was set up after The World War II has been foundation to man-white-middle age-married-regular labour that control the social relations in capitalism production mode that time. By reason of that, contingent workers have accepted protections which are periphery to and support to hierarchical social relations. Because of Structural change of Labour market, Contingent workers have sharply increased. However, the existing social protection systems have limited to protect contingent workers. Because these limits have been connected with social relations` property. As a result, improving only the part of particular institution or some aspects of specific institution is not effective. From this point, for contingent workers to show their needs and participate indecision making of social protection systems, there should be apparatus to support their arguments. From the social point of view, we should consider new institutions not to be limited in existing social protection systems.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제도 형성과 전개의 특성

        최옥채(Choi, Okchai),정하나(Jung, Ha-N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조제도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생활보호법」을 체계이론 관점에서 분석하여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형성과 전개 과정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생활보호법」은 형성과 전개과정에서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진행하였고, 결과의 함의를 논의함과 동시에 논의 내용에 따라 제언하고, 연구의 한계를 밝혔다. 첫째,「생활보호법」이 일제와 미군정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 근거하여 한국 사회복지제도는 정치사회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형성되었고, 특히 초기에는 정부가 국민을 달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생활보호법」제정 및 개정에 관료가 무분별하게 개입한 점에 근거하여 한국 사회복지제도는 관료의 개입에 의해 형성 및 전개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제도의 원활한 운용과 법제도가 품는 사회복지 가치가 충분히 발휘되기 위해서는 합당한 수의 전문 인력을 배치해야 한다. 셋째,「생활보호법」이 민간의 협력을 비롯해 시민세력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음을 고려할 때 한국사회복지제도는 시민세력에 의해 발전해왔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제도의 제정 및 개정에 시민단체가 더욱 활발히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생활보호법」은 이 법을 제정한 박정희 정부 이후 전두환 정부를 포함한 네 정부의 혼란한 상황을 거쳐 발전해 나아가면서 사회복지문화를 형성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한국 사회복지문화를 더욱 상세히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이 연구는「생활보호법」에 한정함으로써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형성 및 전개 과정에 드러나는 특성을 온전히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생활보호법」외에도 사회복지서비스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ational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based on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and the perspective of system theory. Accordingly, this study has been produced with a theme, “What characteristics have been revealed as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has been formatted and developed?” The results are introduced by the implicative of discussions and suggestions including the insufficiency of this as follows. Firstly, it can be supposed that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was formatted during the period of difficult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Korean system could be formatted to pacify a people in the beginning of the system. Secondly, it can be supposed that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was formatt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bureaucrat. For this reason, values and proper professional manpower of the system should be guaranteed for harmonious application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Thirdly, it can be supposed that the social welfare system could be developed by citizens’ power. Therefore,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grope schemes promoting the citizen’s participation into social welfare system’s establishment and revision. Fourthly,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has built up the social welfare culture through the four governments. Forwardly, more studies should be coped to concrete the social welfare culture in Korea. Finally, this study is insufficien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wholly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only. Consequently,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 laws should be studied beyond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soundly.

      • KCI등재

        노인복지제도로서 성년후견제도에 관한 연구

        이충은(Lee, Choong-Eun) 한국법학회 2019 법학연구 Vol.74 No.-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는 목적이 유사한 원리와 가치를 지향하며, 그 대상도 어느정도 일치한다. 무엇보다 성년후견제도가 가족제도를 벗어나 국가의 사법복지제도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양 제도의 접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역할은 점차 쇠퇴되고 있으며, 국가로 하여금 가족의 자리를 점점 대신하고 있다. 즉, 과거의 가족은 가족 내 치매노인이 있을 경우 그를 대신해 가족의 구성원 중 일부가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요양 등의 일상생활의 지원을 해 왔으며, 가족과 함께 주거지 내에서 생활을 영위하여 왔다. 이에 반해 현대에 와서는 산업화, 도시화의 영향으로 핵가족화가 이루어졌으며, 부양기능의 약화로 요지원자의 일상생활은 더 이상 가족의 책임 하에 이루어질 수 없게 되었다. 이에 후견인을 선임함으로써 치매노인이 가족의 도움 없이도 사회적 삶을 유지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참여를 하는데 있어서 제도적 밑받침이 되는 성년후견제도의 역할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대부분의 사회복지 관련 법률에서는 성년후견제도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복지제도로서 자리매김하는데 많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실질적인 피후견인의 자율성과 정상화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더불어 사회복지제도와의 실효성 있는 연계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인 바, 본 논문에서는 성년후견제도가 사회복지제도로서 보다 활발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실질적 연계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고령사회에 대응함과 동시에 사회복지제도로서 건전한 형태로 그 기능을 발휘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dult guardianship system and social welfare system pursue similar principles and values in terms of purpose, and their subjects are similar. Most of all, both systems reach agreement in the point that adult guardianship system goes beyond family system and serves as social welfare system of a state. In today’s society, the roles of families gradually shrink, and a state stands in for families. In other words, in the past, if a family had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some of family members made a decision, suppor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dementia patient, like caring, and lived together. With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re have been more nuclear families. With the weakening function of support,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ersons who need to be cared for have not been under family’s responsibilities any more. In the circumstance, emerged has been the roles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in which elderly persons with dementia can live their social life with no help of their family and can become a social member by selecting a guardian. However, most social welfare laws fail to understand adult guardianship system properly, and thereby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order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to constitute social welfare system. To guarantee practical autonomy and normalization of ward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n institutional system and an effective plan to connect with social welfar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find a practical connection method in order for adult guardianship system to be used as social welfare system more actively. The method is expected to respond to the changing social welfare paradigm and the ageing society and to contribute to fulfilling its good function as social welfare system.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인권보호

        이명현(Lee, Myoung Hyun) 사회복지법제학회 2014 사회복지법제연구 Vol.5 No.1

        사회 복지사의 인권은 클라이언트와 같은 방법으로 보호되어야한다. 그러나 사회 복지사의 인권은 상대적으로 무시되어 왔고, 그에 따른 정당한 보상 또한 받지 못하고 있다 . 타인의 인권보호와 사회변혁을 위해 전문적인 실천을 행하는 사회복지사가 정작 자신의 인권을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면서 업무를 수행한다면, 클라이언트의 권리뿐만 아니라 인권을 존중하는 질 높은 복지서비스도 담보되지 못할 것이다. 최근 사회복지사 인권문제와 관련된 각종 불미스러운 사건이 계속되고 그들의 열악한 권리보호 실태의 민낯이 드러나면서, 그동안 복지계에서는 상식화되어 있던 문제 상황, 즉 사회복지사 등의 열악한 노동환경과 노동과정은 더 이상 새로울 것이 없는 이슈가 되었다. 이는 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전문적 실천을 수행하는 정체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실복지에서는 노동하는 한 실존적 인간으로서의 권리조차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다. 사회적 약자의 권리보호에 전념해야 할 전문가가 노동의 과정에서 자신의 심각한 인권 실태가 이슈화되고 우선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과제로까지 될 지경에 처해 있는 것이다. 사회복지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어렵고 힘든 이웃을 위해 자기 확신으로 봉사하는 사람으로 각인되어 있는 것 같지만, 최근에는 사회적 약자의 인권보호를 위해 헌신적 마음과 자세로 봉사하되, 전문성까지 더욱 강조하는 상황인 것 같다. 휴먼서비스 직종 종사자들의 숙명이라 이해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직업인으로서 안전하게 일하고 전문적인 서비스 실천가로서 존중받을 권리를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정체성은 아직까지 확립되지 못한 것 같다. 현재 사회복지사를 비롯한 복지종사자의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이 제정되어 있지만, 사회복지공제회 설치 운영에 관한 내용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미니 법률로서 사회복지사의 인권과 권리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역할을 하기 에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진정으로 사회복지사의 인권 보호에 입각한 지위 향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복지사 정체성에 부합하는 전문가 및 노동자로서의 권리가 모두 보장될 수 있는 내용의 법제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사는 타인을 돕는 전문직으로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실천하는 사람이면서 동시에 보살피고 돌보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노동에 종사하는 말랑말랑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속성이 남의 인권을 위해 일하면서도 정작 본인의 인권에는 무관심한 결과를 낳았다고 생각된다. 복지사의 인권존중과 안전을 위한 조치는 복지사의 유연한 정체성 특성에 부합하는 법적 장치 강화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법제적 대응은 클라이언트를 위한 헌신과 전문성 발휘에 초점을 두고 그들에 대한 사회적 보상 관점에서 존중받을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대응에 맞추게 되면, 사회복지사업법 또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 개정 을 통해 사회복지사 스스로 자신의 인권을 주장하고 방어할 수 있도록 당사자 인권 교육권을 비롯하여 지식과 기술 선택권 등 자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정과 존중의 내용이 반영된 원칙을 규정해야 할 것이다. 법적 장치는 현실 제도의 운용에 있어서 자주적인 조직 관리에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 사업자의 관리 방침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조직 내의 컴플라이언스 규칙을 확립하여 인권존중 및 안전보장을 위한 법령준수와 윤리경영에 노력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스스로의 권리보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중심의 수단적 근무를 벗어나 기관 운영과정이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인권보호 조치가 미흡하면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항의하고 개선을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법적 장치와 당사자의 권리옹호 시스템 활성화를 통해 존중받으며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보호하는 최후의 법제적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Human rights of social workers should also be protected in the same way as our customers. However, the human rights of social workers has been relatively ignored. Also, I did not receive any legitimate compensation. The social worker, to assert their rights is a difficult conflict situation. Client is dependent on the social worker. However, since it is responsible for the welfare of the Client, social workers are relatively indifferent to the human rights of their own. It can be organized into three identities of social workers in this situation.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labor standards signed a labor contract social worker as an expert have been working on the basis of social workers, a high value and knowledge to try to self-sacrifice, such as the clergy, and employers it is a welfare workers activities. Social worker, has been exposed to without measures of human rights protection for the identity of thes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institutional welfare obtained in order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social workers is as follows. First, to set the principles that have been recognized and respected socially. I want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security of the employer. I practice the principles of compliance voluntary operators. It must be able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process of system management workers away the activities of the administrative center to solve the human rights problems of social workers, to protest against human rights violations. You must obtain the right to receive respect and to be operated actively advocacy and legal system of these devices, able to work safely.

      • American Representative Payee System and Human Rights Protections of Social Security Recipients

        Hae Rim Joo(주혜림) 한국후견·신탁연구센터 2020 후견과 신탁 Vol.3 No.2

        이 논문의 목적은 미국 대리수령제도(United States of America’s Representative Payee(RP) system)의 운영 및 개선 과정을 파악하고, 사회보장 급여자의 인권 보호를 위한 방안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다른 국가에서 자체 RP 시스템을 구현하고 개선하는 데 정보와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미국 RP 시스템에 관한 논문, 법적 리뷰, 그리고 사회보장국의 자료 및 데이터를 수집하여 작성하였다. 연구에서 발견한 몇 가지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보장국 및 지역 현장 사무소가 주로 급여자에게 RP의 필요성을 의무화하고 급여자를 위한 최상의 RP를 선택하도록 할 책임을 갖고 있다. 둘째, 사회보장국의 RP 시스템은 대리수령 성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온라인 연간 회계 양식을 구현하고, 전자 계좌 입금을 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과 데이터 수집을 도모한다. 그러나 사회보장국의 구체적이고 중앙 집중화 된 지침이 없기 때문에 지역 현장 사무소 간 운영상의 불일치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미국의 대리수령법은 제한 사항을 추가하고 사회보장국 및 RP 신청자에 대한 요구 사항을 반영하고, 새로운 모니터링 정책을 도입하여 RP 시스템의 운영 약점에 대응하고 사회보장 급여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향후, 대리 수령의 수요가 더욱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사회보장국은 대리수령제도를 이용하는 사회보장 급여자가 자신의 권리대로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방 정부, 지역 사무소, 학자들과 계속 협력하고, 법률 개선 등을 통해 RP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조정하고 개선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opera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s Representative Payee (RP) system, the continuous efforts of scholars and policymakers to improve the system, and the commitments to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Social Security beneficiaries participating in payee services. By providing a thorough introduction to America’s RP system, this paper hopes to provide valuable insight for other countries implementing and improving their own RP systems. METHODS: This paper was constructed by compil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from related publications, law review journals, and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 (SSA) materials and datasets. CONCLUSIONS: This paper finds that the SSA and regional field offices are mainly responsible for mandating the need of an RP and choosing the best RP for beneficiaries. SSA’s RP system has sought efficient operation and data collection by choosing electronic direct deposit for sending benefit funds and implementing online annual accounting forms to monitor payee performance. Critics found operational inconsistencies amongst regional field offices due to a lack of specific and centralized guidelines from the SSA. The law has continuously sought to respond to operational weaknesses in the RP system and protect the rights of beneficiaries by adding restrictions, amending requirements for the SSA and RP applicants, and instating new monitoring policies. As the need for representative payees is projected to increase, the SSA should continue collaborating with the federal government, regional offices, scholars, and the law to continue fine tuning the RP system.

      • KCI등재

        유럽인권재판소를 통해 살펴본 지역인권보장체계

        김성진(Kim Sung jin) 한국헌법학회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1

        제2차 세계대전의 공포와 충격을 겪은 후, 두 차례에 걸쳐 세계대전의 발원지가 되었고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유럽 국가들에게 유럽의 평화를 보장해줄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문제였다. 이에 지금까지 두 가지 큰 줄기로 이러한 시스템이 운용, 발전되어왔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하나의 개별국가가 독자적으로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물질적 토대가 되는 산업, 즉 석탄 및 철강을 비롯한 중공업을 국가 간에 공유케 함으로써 유럽의 평화를 구현하려고 했던 것이 현재 연방제적 성격의 단일국가로의 이행 과정에 있는 유럽연합이다. 이 모델은 경제적 기반을 공유케 함으로써 개별국가에 나타날 수 있는 국수주의 정권의 위협을 통제하려는 시도였으며 여기에는 현재 유럽 28개국이 가입되어 있다. 이러한 통합국가 모델에 우호적이지 않았던 영국의 주도 하에 유럽의 항구적 평화를 위한 국가 간 기구로 만들어진 것이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 본부를 두고 있는 유럽평의회이다. 유럽평의회가 취한 방법은 개별국가의 자기 통제 능력을 불신하여 유럽의 공통된 가치로 추구하는 인권 및 민주주의, 법치주의에 대한 공동의 감시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여기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 유럽인권협약 위반을 이유로 개인이 개별국가의 공권력 행사를 직접 유럽인권재판소에 제소할 수 있는 개인청구권이다. 여기에는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던 나치정권이 유태인에 대한 차별정책을 시작하였을 때, 이에 대한 경고음을 울리고 대학살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했던 국제적 시스템의 부재(不在)에 대한 반성이 담겨 있다. 아무리 개별국가의 선출된 권력이라 할지라도 이것이 넘어서서는 안 되는 공통의 가치를 지키는 것, 유럽인권재판소가 유럽의 헌법재판소로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현재 EU 28개국을 포함하여 유럽의 거의 모든 국가인 47개국이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다. UN 체제에서 자유권 규약 및 사회권 규약 등 많은 인권 관련 조약들이 존재하는 것처럼 유럽평의회에도 유럽인권협약 외에 유럽사회권헌장, 유럽고문방지조약, 소수인종 보호조약 등 많은 인권 관련 조약들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유럽의 지역인권보장체계의 핵심인 유럽인권협약과 유럽인권재판소의 탄생 배경 및 발전 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인권보장체계의 일반적인 특성과 아시아의 지역인권보장체계의 가능성을 생각해 본다. In traditional international law, human rights violations committed by a state against its own nationals were deemed to fall within the exclusive jurisdiction of each state under the doctrine of state sovereignty. This traditional approach to international law, however, wa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World War II, giving birth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 new field of international law.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s attributed to the brutal violations of human rights during the Hitler-era and to the belief that these violations, and possibly the war itself might have been prevented had an effective international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existed. Trembling from the monstrous memories of World War II, people sought to establish a new world order in which what a state did to its citizens within its territorial borders would no longer be its exclusive concern and an elaborate regim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came into existence, seeking to protect the individual against the acts and omissions of acts of his or her own government. In practice,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s devised through a combination of international instruments based on either the universal human rights system or a regional human rights system. The universal human rights system aims at worldwide universal membership, while the regional human rights system functions in a certain region with limited membership. They are complementary, reinforcing the same purpose of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e two approaches may well be reconciled on a functional basis: the global instrument would contain the minimum normative universal standard whereas the regional instrument might go further, add further rights, refine some rights, and take into account special differences within the region and between one region and another. The most successful and elaborated regional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is the European one. The European system was created by the Council of Europe, which was founded in 1949. In this paper, I explored the birth of the European system, its growth to the current form, and the path likely to be followed in the future.

      • KCI등재

        1945∼1950 북한의 노동자 보호 제도 도입과 시행

        이세영 한국사학회 2023 史學硏究 Vol.- No.152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larify a part of the character of the North Korean people’s democratic system by analyzing specific cases of democratic reform after liberation. In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democratic reform, various labor laws were enacted to protect workers and institutionalized the social insuranc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orth Korean regime, it had the aspect of securing the support of workers and propagating the superiority of the system, but the aspect of improving the lives of workers could not be ignored. Labor protection measures were also necessary to protect the life and safety of workers. Labor protection measures started with coal mines and mines, which are particularly dangerous sectors, and have been expanded to all industries since 1948. This also included maternal protection measures for female workers, facilitating women’s entry into workers. The implementation of labor protection measures reduced accidents at North Korean production sites, but they were not completely eradicated. There were still many workplaces where proper protection measures were not taken, and there was a tendency to avoid workplace responsibility by attributing the responsibility for the accident to the carelessness of workers. As such, the social insurance system and labor protection measures appeared as policies for workers in the formation of a people’s democratic system in North Korea and wer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y directly affect the body and health of workers. The early introduction of these worker protection systems showed the nature of the ‘bilateral contract’ of state-labor relations under the North Korean people’s democratic system. In other words, it was intended to make workers fulfill their obligations to increase production as much as the state obligates to protect workers.

      • KCI등재

        한국 아동학대 예방정책의 개선방안 : 아동보호체계 공공화를 중심으로

        고윤순(Yun-Soon Koh) 한국교정복지학회 2021 교정복지연구 Vol.- No.73

        본 연구는 2020년 10월 이후 시행된 개정 아동복지법과 특별법에 근거하여 진행되고 있는 아동보호체계 공공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019년 아동학대실태와 대응현황을 살펴보았다. 아동학대실태의 특징은 아동학대사례의 증가(사례 수 30,045, 발견율 3.81%), 재학대 증가(11.4%), 가해자는 부모가 가장 많음(학대전체 75.6%; 재학대 94.5%)이었다. 대응현황은 재학대 분리조치(23.2%)가 전체 분리조치(12.2%)의 2배, 쉼터거주아동 중 62.6% 퇴소, 퇴소아동 중 원가정 복귀 (45.9%)와 시설입소(41.6%)가 비슷하였다. 10개월간 진행된 공공화 내용을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전담공무원의 배치 및 역량제고의 어려움, 분리보호를 위한 쉼터와 적절한 프로그램의 부족,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심층사례관리의 어려움, 중간 지원시스템의 결여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아동보호체계 공공화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조사 공공화 영역에서는 전담공무원의 배치와 교육전략(성공사례 발굴, 교육환류시스템 개발, 교육매뉴얼의 주기적 개정, 공무원 1인 배치 시 슈퍼바이저 참여), 전담공무원 전문성함양을 위한 방안(장기적 배치, 2인 1팀 구성, 적절한 대우, 교육과 슈퍼비전 시스템 구축)을 제시하였다. 둘째, 분리보호체계의 안정화를 위해 쉼터의 확충, 맞춤형 서비스 제공, 다양한 대안 보호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사례관리의 전문화를 위해 아동보호전문기관의 확충, 강점관점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넷째, 광역단위 지원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publicizing the child protection system which was based upon the revised Act on Child Welfare and the revised Special Act on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implemented since 2020 October). Prevalence of and intervention on child abuse in 2019 were analyzed. Major findings of prevalence included an increase of child abuse cases(30,045 cases, finding rate 3.81%), relapse increase(11.4%), parents as majority abusers(total 75.6%, relapse 94.5%). Major findings of intervention included separation rate of relapse(23.2%) being twice of that of total(12.2%), 62.6% being discharged after shelter stay, rate of returning home(45.9%) was similar to the rate of transfer to other facilities(45.9%). Problems identified from the process of publicizing of child protective system included difficulty in assigning and educating Public Social Work Officer for Child Abuse(PSWOCA), lack of shelters and programs for child separation, challenge in case management by Child Protective Service Agency(CPSA), and lack of middle support system.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facilitate publicizing the child protective system. First, in the area of publicizing the child protection system, suggestions for assigning and educating PSWOCA (finding success cases, development of education feedback system, regularly revising of education manual, including supervisor when educating one PSWOCA), and suggestion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PSWOCA(long-term assignment, pair PSWOCA system, proper benefits, development of training and supervision system) were made. Second, suggestions for separation care included increase of shelters, provision of tailored services, and development of various alternative child care programs. Third, suggestions for advancing case management approach included increase of CPSA and development of Strengths-Based Solution-Focused Case Management Manual. Fourth, development of province-level middle support system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