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적 표현성에 대한 확장된 형식의 시뮬레이션 이론

        정혜윤 ( Chung Hye-yoo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1

        이 글에서 필자는 코크레인의 `음악적 표현성의 시뮬레이션 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이것을 더욱 정교화하고 확장하여 좀 더 포괄적이고 설득력 있는 이론으로서 `음악적 표현성에 대한 확장된 형식의 시뮬레이션 이론`을 제안한다. 청자에게 즉각적으로 환기되는 원초적 느낌을 대상으로 하는 `낮은 수준`의 시뮬레이션에 전념하는 코크레인의 이론은 음악의 즉각적이고 국부적인 정서표현성이 인식되는 기제는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해명하는 반면 인지적으로 고차원적인 정서에 대한 음악의 표현성이 인식되는 기제는 전혀 해명하지 못한다. 또한 코크레인의 이론은 청취 시 발생하는 음악과 청자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은 채 청자를 음악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수동적인 존재자로서만 간주한다. 필자는 `높은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도입할 때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된다고 주장하며 코크레인의 이론에 높은 수준의 시뮬레이션을 도입함으로써 코크레인의 이론을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필자는 필자가 제안하는 `음악적 표현성에 대한 확장된 형식의 시뮬레이션 이론`이 코크레인의 이론이 갖는 문제들뿐만 아니라 음악의 정서표현성에 대한 기존의 담론들이 가지는 문제들 역시 성공적으로 극복하며 그것들이 정당하게 주목하거나 명료한 설명을 제시하는 데 실패한 기제들에 대해 더 나은 해명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critically examine Cochrane`s `simulation theory of musical expressivity` (2009) and then propose its expanded version as an enhanced and more comprehensive theory. While Cochrane`s theory, which commits to the `low-level` simulation that concerns the primitive feelings immediately aroused in listeners, elucidates quite successfully the mechanism underlying our recognition of the musical expressivity at the local and cognitively low level, it fails to give an account of the mechanism underlying our recognition of the musical expressivity for cognitively higher emotions which usually needs a considerable span of musical unfolding. In addition, Cochrane`s theory generally overlooks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music and listeners and sees listeners as passive beings only to respond to music immediately. I argue that these problems would be solved when we introduce the `high-level` simulation and that we should therefore expand Cochrane`s theory embracing the `high-level` simulation. Ultimately, I argue that `the expanded version of a simulation theory of musical expressivity` as I suggest overcomes successfully not only the problems in Cochrane`s theory but also those in other theories on musical expressivity providing a better account of the mechanism to which those theories fail to give due attention or to offer clarification.

      • KCI등재

        타인에 대한 이해 -행화주의적 틀짓기-

        정혜윤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4 철학·사상·문화 Vol.- No.45

        이 글에서는 ‘우리는 타인의 마음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라는 심리철학의 해묵은 질문이 오늘날 어떻게 새롭게 조명되고 틀지어지고 있는지 고찰한다. 이 문제에 대한 기존의 답변은 마음읽기의 이론 이론(Theory Theory, 이하 TT)과 시뮬레이션 이론(Simulation Theory, 이하 ST)이었다. 이 글은 이러한 전통적 이론을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두 가지 입장, 즉 ‘직접적인 사회적 지각(Direct Social Perception, 이하 DSP)’을 강조하는 입장과 행화주의적 입장(enactivism)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후자의 장점을 조명하고 그 의의를 점검한다. DSP 견해와 행화주의적 입장은 타인의 마음을 두뇌 내적인 상태와 동일시하고 관찰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하는 TT와 ST의 기본 전제에 반대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러나 DSP 지지자들은 타인의 마음에 대한 직접적인 지각의 가능성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는 반면행화주의자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참여적으로 의미가 생성되는 관계적 절차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두 입장은 뚜렷한 차이가 있다. 행화주의는 사회인지를 개인의 인지적 역량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파악한다. 반면 DSP 견해는 사회인지를 개인의 역량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서 TT와 ST의 한계를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다. 이 글은 행화주의가 사회인지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이 갖는 중요성을 이론적으로 정립함으로써 그간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던 사회인지의 핵심적인 특성을 논의의 초점에 가져왔다는 사실에서 행화주의의 의의를 찾는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a long-standing question in the realm of philosophy of mind—how do we know the minds of others—is being reframed and revisited today. The traditional answers to this question have been Theory Theory (TT) and Simulation Theory (ST) of mindreading. This article critiques these traditional theories and proposes two alternative positions: the perspective of direct social perception (DSP) and enactivism. The DSP view and enactivism both challenge the fundamental assumptions of TT and ST, which equate another person’s mind with an internal state of the brain and consider it unobservable. However, the two positions diverge in their focus. DSP proponents explore the possibility of direct perception of other people’s minds, whereas enactivists emphasize the relational process by which participatory sense-making is generat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In contrast to the DSP view, which still suffers from the limitations of TT and ST in that it approaches social cognition at the level of individual cognitive capacities, enactivism views social cognition as a social interaction rather than an individual’s cognitive capacities. The significance of enactivism lies in the fact that it theorizes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raction in social cognition, bringing a key characteristic of social cognition into the focus of discussion that has not been given due credit.

      • KCI등재

        낮은 수준에서의 음악적 시뮬레이션의 기제들 - 코크레인의 주장에 대한 비판과 제언 -

        정혜윤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음악이론포럼 Vol.24 No.2

        이 글에서 필자는 “정서들을 불러일으킬만한 아무런 상황도 제시하지 않고 신체 또한 갖고 있지않은 (순수기악)음악이 정서들을 표현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Tom Cochrane, 2010, 193)라는 현대 음악철학의 난제에 대한 답으로서 제안된 코크레인의 ‘음악적 표현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이론’ (Cochrane, 2010)의 핵심 주장을 고찰한다. 코크레인은 우리가 음악에서 정서를 인식하는 방식을 우리가 순전히 지각적인 정보에만 의존하여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는 방식에 비교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코크레인은 우리가 타인이 제시하는 지각적 정보로부터 타인의 정서를 읽어낼 수 있는 것은 우리가 타인이 처해 있는 정서 상태를 시뮬레이트하기 때문이라는 마음읽기의 시뮬레이션 이론을 받아들여 우리가 음악이 전하는 지각적 정보로부터 음악의 정서표현성을 인식해내는 것이 음악과 청자 사이에 발생하는 시뮬레이션 덕분이라고 주장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마음읽기의 시뮬레이션이 음악에 적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바로서 코크레인이 주장하는 음악적 시뮬레이션의 기제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에 대한 필자의 대안을 제시한다. 필자는 코크레인의 이론이 행위에 대한 거울반응만을 언급하고 있는 점을 비판하여 정서와 감각에 대한 거울반응이 음악적 시뮬레이션에서 담당하는 역할에 주의를 환기하고, 코크레인이 음악과 정서현상 간의 닮음을 음악적 시뮬레이션이 성립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제로 주장하고 있는 점에 반대하여 음악이 제시하는 지각적 정보가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 청자에게 수용되는 것은 음악이 정서 표현적 행동을 닮기 때문이 아님을 강력히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필자는 소리에 대한 정보가 움직임에 대한 정보로 직접 환원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로서 인간 지각의 다중양상성, 특히 인간 청각의 진화적 기원에 주목하며, 몰나 자카스와 오버리의 SAME 모델(Istvan Molnar-Szakacs and Katie Overy, 2006), 그리고 콕스의 간양상적 MMI와 몰양상적 MMI(Arnie Cox, 2016; 2011; 2001)를 제시한다.

      • KCI등재

        음악에 대한 공감, 가능하며 유효한가?

        정혜윤 ( Hye-yoon Chung )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음악이론포럼 Vol.25 No.2

        이 글에서 필자는 오늘날 철학과 신경과학, 인지심리학 등의 분야에서 풍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공감에 대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음악에 대한 공감이란 어떤 것일 수 있으며 어떻게 가능한지, 그리고 음악적 경험을 공감이라는 개념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 얼마나 유용한지를 논구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공감이 역사적으로 사고된 방식, 그리고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절정에 이르렀던 미적 공감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거울뉴런체계의 발견과 더불어 새롭게 제시된 공감 개념과 공감에 대한 현대적 논의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음악적 공감을 마음읽기의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분석한다. 필자는 오늘날 많은 공감이론가들이 지지하는 공감의 이원론이 음악적 공감에서는 성립되지 않으며 음악적 공감은 단편적인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절차임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절차를 체화된 음악적 내러티브라는 개념을 통해 해명한다. 또한 필자는 발제적 입장에서 음악적 공감은 음악 안에 미리 확정되어 있는 속성들을 청자가 시뮬레이션 하는 심적 작용이 아니라 청자와 음악 사이의 역동적이며 순환적인 상호 관계를 통해 성취되어 나가는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발제적 입장에서 마음읽기의 시뮬레이션을 토대로 음악적 공감을 이해하는 것이 음악적 관여가 갖는 신체성, 그리고 청자가 음악에 대해 종종 느끼곤 하는 일체감과 음악의 타자성 사이의 긴장을 해명하는 데 다른 무엇보다 유용한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investigate how the empathy for music could be conceived, how it is possible, and how effective it is to analyze our musical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otion of empathy is introduced with an emphasis on the discussion of empathiests of the late 19<sup>th</sup>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sup>th</sup> century. Then, the new, contemporary concept of empathy which the discovery of mirror neuron system has motivated and today’s debate on the underlying mechanism of empathy are presented. Against this preliminary investigation, I offer the analysis of musical empathy through the notion of simulation of mindreading. I deny to music the dichotomy of the low-level and high-level empathy which most of empathy theorists endorse today, and argue that musical empathy is not a local event but a process which is experienced as an embodied, enacted narrative. From the enactive perspective, I argue that musical empathy is not a mental function in which the properties inherent in music are simulated, but a process which is to be achieved through a dynamic, circular interaction between listeners and music through the entire unfolding of music. Ultimately, I argue that the concept of musical empathy understood from the enactive perspective as based on the simulation of mindreading is effective in explaining the embodied nature of the listeners’ involvement in music and the tension between the otherness of music and the unity which listeners often feels with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