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의 기억과 장소 연구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이평전 ( Pyeong Jeon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5

        이 논문은 박완서 소설 속 한국전쟁의 기억 양상에 대해 살피고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한국전쟁에 대한 박완서의 기억은 개인적 회상의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작가의 소설에 나타난 기억은 순수한 사적 기억이라기보다는 집단적 기억의 자장 안에 놓인 회상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기억은 강요된 집단기억이 무엇인지를 증언하는 것으로 박완서는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의 복원을 통해 특정한 사건과 장소에 남아 있는 집단적 상처와 억압, 그리고 그 치유과정을 추적하면서 여전히 유효한 민족집단의 비극에 다가선다. 박완서는 전후 반공 이데올로기의 억압 속에서 주체의 내면을 왜곡하고 개인의 성찰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집단기억의 폐쇄적이며 억압적인 기억에 주목한다. 당대 집단의 이해와 필요에 따라 기억을 선별적으로 재구성하는 집단기억에 저항하면서 더 이상 사적인체험에 한정되지 않는 특수한 역사적 국면, 예컨대 일제 식민지, 한국전쟁, 반공주의에 입각한 군사독재 체제 같은 시대 상황과 마주한 주체로서의 개인을 회상하는 것이다. 이는 역사적 계기로 인한 억압의 기억, 은폐되고 억압된 정체성을 현실의 맥락에서 회상하고 복원하는 일이다. 또한 작가는 집단 기억의 생산 과정을 탐색하면서, 기록되는 것과 지워지는 것, 기억되는 것과 망각되는 것의 대비를 통해 회상의 실체에 다가선다. 이를 통해 강요된 지식과 앎 속에서 무시되거나 폄하된, 차별화되어 흩어졌던 기억들을 조립하고 무엇이 기억되고 어떤 것이 침묵되는지, 왜 기억이 부인되고 망각되는가를 구체화 시킨다. 그것은 ‘고향’을 기억함으로서 정체성의 복원을 시도하고, 전쟁의 상흔을 간직한 신체를 회상함으로써 집단적 기억과 당대의 역사적 사실을 드러내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 of Korean War and the memory on the novel of Park, wan-seo.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mainly discussed Park`s memory for the Korean War in terms of the recall. However, the memory in this novel might be the collective memory rather than the personal memory. In this case, the collective memory proved that retrospection is limited to the social; the writer still effectively describes the tragedy of an ethnic group by tracking the healing process, injure, and oppression to be left at the place and memory that the events happened through the writer`s personal memory for the war. Her novel shows the closed and oppressive aspects of the collective memory that make it impossible to reflect the personal introspection and distort the look deep into ourselves under the pressure towards ideology of anticommunism after the war. Upon the necessity and understanding for the group, this makes the memory to be restructured selectively, and oblivion makes it to be easily used to another aspect of the memory. Experience of the war is no more a personal one and that will remember or restore the individual as each subject in the middle of the age such as a specific historical conjuncture, Japanese colonial rule, Korean War and a military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 anticommunism This is the memory to restore the oppressive memories, covered up ego in the same context due to the historical opportunity. With a notice of processing collective memory, Park, wan-seo enables us to look into the truth for the collective memory through the between recorded and erased things like public and personal memory or between remembered and forgotten things. She puts together the imposed knowledge and the memories which are scattered, discriminated, ignored, and derogated, and she also specifically reproduces why the memory is denied and forgotten in her novel. She is trying to restore the identity by remembering the home, and allow meeting the collective memory and the historical facts of that time by remembering the body scar through the war.

      • KCI등재

        김원일 소설의 ‘기억’과 ‘회상’ 연구

        이평전(Lee, Pyeong-jeon)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9

        이 논문은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기억의 양상을 살피고 있다. 김원일은 한국전쟁과 관련한 기억을 소환해 시간의 연속성을 확보하면서 당대 집단 기억의 억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집단적 기억은 기억과 문화 및 사회 집단의 관계를 체계화하고 개념적으로 세분화한다는 점에서 회상과 집단 정체성 형성 그리고 정치적 합리화 과정의 다양한 국면에 작용한다. 여전히 한국 사회의 정신사적, 문화사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은 김원일 소설에서 일종의 문화론적 의미를 갖는다. 문화는 지나간 것을 보존하고 기억하는 행위(또는 그러한 행위의 산물)로 단순 기억의 재생이 아닌 변형과 창조의 산물이다. 결국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회상의 특징적 국면에 대한 검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작가가 당대의 집단적 기억 혹은 공식적 기억에 의해 억압된 기억의 정체성을 회복시키려 한다는 점이다. 이때 정체성을 형성하는 공동체의 문화적 기억이 집단적 기억과 사적 기억 사이의 대립과 합의의 결과라는 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작가가 한국전쟁의 비극적 상황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 하는 일반적 시도에서 벗어나, 어떻게 과거를 기억하고 회상하는가라는 본질적 질문에 응답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일이다.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memories related with the Korean War in the novel of Kim, won-il. And it also looks into the relationship with recall, memory and oblivion, and investigates how that time in 1960s and 1970s works on the consciousness of people. The distinct feature of his novel is that cultural memory and political identity are closely crossed. In particular, it is noticeable that the cultural memory of community forming the identity could have consequence for the opposition and agreement between collective and personal memories. This makes sure that the writer tries to get out of general attempts at how to reproduce the tragic situation of the Korean War, however, he tries to show how to memory of the past and recall from fundamental questions. He also secures the continuity of time recalling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wants to rid of oppression of collective memory He is conscious of a collective memory is memory and cultural and social groups to organize relationships, and conceptually recalls and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in that it is broken down and explained the process of political rationalization and forming of the community’s identity as subdividing the concept.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which affects on the psychosocial and cultural history in his novel has kinds of cultural meaning. At this point, culture is simply the outcome of creations and variations not replaying of the memory in the way that culture preserve and memory the past. In his novel, recalling for the Korean War is forced to resistant to the oppression of the official memory of that time. Raising the objection to the social legitimacy, recalling officially the destructed memory has a sort of dynamic force against distortion or tooling of the memory. In this sense, his novel would be specific evidence by materializing the time as if the place of the memory and also had the role to prove the existence to the group or individual. Finally, the memory and the recall in his novel show that the writer tries to recover the repressed identity through the collective and official memory at that time.

      • KCI등재후보

        5 ‧ 18소설의 ‘기억 공간’ 연구 —문순태 소설을 중심으로—

        심영의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8 호남학 Vol.0 No.43

        A paper is of Focused on Novel of Mun Sun-Tae of 5.18 Civil Resistance, a storage space and how memories I have of Kwangju (soseoljeok uimihwa through reproduction) and to analyze the declaration that. A representation of the style and the memories of the past, the past is its ability to reproduce the work. Literature / culture is both a departure from the memory. Based on the origin of culture and memories. But remember the historic events memorized than an objective in itself as a cultural hyeongsangmul to reproduce. So remember the play is a simple reproduction or imitation is not only one another to produce a reality. Remember that cross each other imaginative literature and literary text is itself one of the ‘memory space’. Our country has been violence in Kwangju in May 1980 at a warehouse of memories to oblivion without keeping a steady soseoljeok quest repeatedly because the violence against you finish watching it is a huge need an advocate for a fundamental aspect of humanity is still valid The target because it is self-examination. In addition, the past is just a historical record is not only remain with us and it is possible to sum swimyeo emotional sympathy, including literary fiction / cultural features and power. The novel targets in Kwangju in May that they ‘Kwangju’ fears and the tragic slaughter a larger space of memory storage space, move it beyond the means of space communication response mobility. Most of the tragic stories of terror and killing people in Kwangju memory space-is reproduced in the 1980s because of the death-killed since the era of recognition. Kwangju is the tragic killing and terror in the space of recognition and response Furthermore, the deepening of space communication. Widening in the process have gained new cultural values. First, a new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and can be found. 5.18 ethical anger of the participants of the protest novel visible from these sources of violence, the national human’d mercilessly for the castle from the son can not deny that. It is naturally based on the values of human dignity expression of a sense of community. This novel 5.18 points we can discover the value of their current and future point. 본고는 5 ‧ 18소설들, 특히 문순태의 5‧18 소설에서 광주라는 서사 공간을 어떻게 기억(소설적 재현을 통한 의미화)하고 있는가를 분석한 글이다. 기억은 과거를 표상하는 한 양식이며, 과거의 일을 재현하는 능력이다. 문학/문화는 모두 기억에서 출발한다. 기억은 문화의 근원이자 바탕이다. 그런데 기억된 역사적 사건은 기억 그 자체로서보다 객관적인 문화적 형상물로 재현된다. 이렇게 재현은 단순한 기억의 재생이나 모방이 아니라 또 다른 하나의 실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기억과 문학적 상상력이 서로 교차하는 문학 텍스트는 스스로 하나의 ‘기억 공간’이 된다. 우리가 1980년 5월 광주에서 있었던 국가 폭력의 기억을 망각의 창고에 가두지 않고 꾸준한 소설적 탐구를 거듭하는 까닭은, 그것이 거대한 폭력에 대항해서 끝내 지켜 내야 할 인간성의 옹호라는 본질적인 측면에서 여전히 유효한 성찰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과거가 단순한 역사적 기록으로만 남아 있지 않고 우리와 함께 숨 쉬며 정서적 교감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은 소설을 포함한 문학/문화의 기능이고 힘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다시 기억하기’라는 고통을 통과한 작가들의 열정을 통해 가능했던 5 ‧ 18의 기억은 자아/공동체를 하나의 주체로 재구성해 내는 한편 타자를 구축하기도 했다. 본고에서 5 ‧ 18소설들에 보이는 각각의 기억들의 충돌과 그러한 과정을 통한 자아/공동체의 형성 과정을 모두 다루기는 역부족인 까닭에 우선 문순태의 5‧18 소설들—「일어서는 땅」(1987), 「최루증」(1993), 『그들의 새벽』(2000)을 중심으로 광주라는 서사 공간이 기억의 개입 과정을 통해 어떻게 의미화 되고 있는가를 분석했다. 문순태는 등단 이후 6‧25와 분단이 남긴 상처와 한의 해원을 소설의 화두로 삼아 온 작가이다. 그는 1980년 5월의 현장을 기록한 기자이자 소설가로서 특히 민중의 한과 그 힘에 대한 긍정적 자세를 견지하면서 5‧18민중항쟁과 그 계승의 주체를 문제 삼고 있는 소설들을 발표한 바 있다. 그의 소설들은 오월 광주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는 여타의 소설들이 그러하듯 ‘광주’라는 공간을 살육과 공포의 비극적 공간이라는 기억의 저장소로, 나아가 그것을 넘어서는 소통과 응답의 공간으로 의미화하고 있다. 그는 항쟁 참여자들의 윤리적 분노의 근원을 국가 폭력의 무자비성에 대한 인간 본연의 심성의 발로로 파악하고 있다. 그것은 자연스레 인간의 존엄이라는 가치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 의식의 발현으로 이어진다. 이 점이 문순태의 5‧18소설에 나타난 기억 공간의 현재 그리고 미래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지점이다.

      • KCI등재

        현대소설에 나타난 도시 공간의 위상학 연구 - 최인호 소설을 중심으로

        이평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6 No.-

        Considering the main features of the modern novel to reappear urban space, especially it is noteworthy that Choi In-ho is a writer deeply discussing the problems of urban space in the 1970s. He understands the problem of urbanization as not only the speed to conquer space but also the changes of lifestyle being the essence of breakthrough. Therefore, the city in his work is depicted as a space including human and capital, information and culture, even capturing the public’s desire. It means the urban space incorporated into the capitalist order in South Korea in the 1970s,and the space of active borrowers on the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subject If the fictional city of Choi In-ho is premised as the faithful reappearance of modern capitalist society, while researchers looking at geomorphological visual pay their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city, topological point of view researchers ask the elements that remain in the novel. This study is not interpreting the city as a subjective meaning. It is looking over how the expansion of capitalism urban space in the 1970s meets the sensitivity of Choi In-ho, and notes that the writer’s topological attitude chasing how the subject (person) reacts to the production of space. Choi In-ho does not seek directly to breakouts of urban space. Rather, he accepts the city as the space of reality and life by rejecting hackneyed myths about organic community. He appropriately placed in the space various cultural factors of commercial and public consumption such as advertising and film, sub-culture of young people and capital,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resistant to established norms,In this process, the writer shows the subject’s willingness to respond for the loss of place. On the other hand, historic old city was built in a way that ruled out the existing personal memories, Choi In-ho considered first the lives of human beings living in these cities and then showed frankly the way that the spacial creation of capitalism make them lose their feelings and memories. 도시 공간에 대한 재현은 현대 소설의 주요 특징으로, 특히 최인호는 1970년대 도시 공간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룬 작가이다. 그는 도시화의 문제를 공간을정복하려는 속도와 돌파가 본질이 되는 생활양식의 변화로 이해한다. 때문에 소설 속 도시는 자본과 인간, 정보와 문화를 포함해 심지어 대중의 욕망까지를 포획하는 공간으로 그려진다. 그것은 1970년대 한국 자본주의의 질서로 편입되는 도시 공간과 주체의 의식 변화에 대한 적극적 재현이라고 할 수 있다. 최인호의 소설 속 도시가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충실한 재현이라고 전제할 때, 지형학적 시각을 갖는 작가가 도시의 구체적 모습에 주목하는 반면, 위상학적관점의 작가는 소설에 변하지 않고 남아 있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캐묻는다. 본 연구는 문학을 객관적 사실의 반영으로 보고 도시를 주관적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아니라, 1970년대 자본주의 도시 공간의 확장과 최인호의 도시 공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조응하는지를 살피고, 주체(인물)들이 공간 생산에 어떻게 반응하고 기여하는지를 추적하는 작가의 위상학적 태도에 주목하였다. 최인호는 도시 공간의 탈주를 모색하지 않는다. 오히려 유기체적 사회에 대한 상투적 신화를 거부하고 도시를 삶의 공간, 현실의 공간으로 받아들이고, 이공간에 문화와 자본, 기성규범에 저항하는 집단의식, 광고와 영화 같은 상업적이고 대중적인 소비 문화적 요소들을 적절하게 배치한다. 이 과정에서 작가는 장소상실에 대한 주체의 저항 의지를 보여준다. 그는 개발이라는 이름하에 진행된 균질화된 질서, 즉 모든 것을 화폐의 교환가치로 인식하고 타자를 배제하는 도시가아닌 기억의 공간을 상상하며, 주체의 감각과 기억을 상실케 하는 자본주의 도시공간의 생성 방식에 주목한다.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김은영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1949년부터 1992년까지 발표된 중국 조선족 시작품을 대상으로 시대변화 속에 구현된 ‘고향’의 모습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국 사회주의체제 하에서의 차별과 억압, 동화와 적응의 과정을 겪으며 창작된 조선족 시에 드러난 ‘고향’의 의미는 중층적 의미망을 형성한다. 먼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부터 문화대혁명이 끝나기까지 ‘고향’의 의미는 중국이라는 국가체제에 속한 소수민족으로서 생존을 위한 변화와 수용, 동화와 적응의 표상으로 양식화되었다. 1976년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개혁 개방기 이후의 작품에서 보이는 ‘고향’의 모습은 역사적 기억의 복원과 향토, 음식, 풍물 등으로 상징되는 풍속의 재현을 통해 집단적 동질감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고향의 변화된 모습과 의미는 한민족이라는 동일한 민족적혈통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중국 내 소수민족의 하나로 존재하는 중국 조선족의 특수한 상황과 집단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조선족 문화와 정체성은 중국과 조선이라는 두 개의 문화와 정체성이 융합되어 형성된 특수한 문화 공동체로서 바라봄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들의 작품에 드러난 ‘고향’의 모습은 역사적문화적 특수성이 내재된 공동체적 공간으로 자리하며 구체화되고 활성화된 기억의 저장소로서 의미를 갖는다.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Kim, Eun-young This study examined images and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published between 1949 and 1992, which manifested within the change of time. Meanings of 'home', shown in Korean Chinese poetry, created unde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by Chinese socialism regime and experiencing assimilation and adjustment, form multi-layered net of meanings. First, 'home' in the period between the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represented a symbol of change, assimilation and adjustment to survive as a minority within China. 'Home' shown in works since the open policy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76 tried to confirm and realize the sense of homogeneity and identity through revival of customs symbolized by restoration of historic memories, folk culture, food, and features. Changed images and meanings of home shown in these works share the same Korean element and blood line and yet depend on unique circumstances of Korean Chinese and community existed as one of the minorities in China. Therefore, Korean Chinese culture and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unique cultural community formed by a mix of two cultures and identities; Chinese and Korean. In addition, image of 'home' shown in these works represents a space of the community with historic and cultural uniqueness, and a space to store realized and activated memor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