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의 해석상의 문제점 -사건이첩요청권과 사건이첩권 및 다른 수사기관의 통보의무를 중심으로-

        김현철 ( Kim¸ Hyun-cheol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9 No.3

        본 논문에서는 수사처법상 수사처장의 사건이첩요청, 다른 수사기관의 범죄사실 인지 통보, 수사처장의 사건이첩시의 구체적 처리절차, 이첩 또는 통보 받거나 이첩 또는 통보한 기관의 권한과 관련하여 문제되는 점에 대하여 살펴본 후 수사처법상 검사의 지위와 관련하여 수사처검사에게 영장청구권 등 강제수사권한이 인정되는지, 인정된다면 어느 범위에서 인정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첩요청의 요건과 관련하여 수사의 진행 정도는 사건 관계인의 조사 정도, 구체적 증거의 확보 정도, 강제수사에의 착수 여부 등을 종합하여 판단하고, 공정성 논란이 있는지 여부는 수사과정에서의 인권침해, 봐주기수사, 편파수사 여부 등 수사기관의 행태 뿐만 아니라 피의자의 신분, 수사과정에서의 태도 등을 고려할 때 수사처로 이첩하는 것 자체에 공정성 논란이 있을 수 있는지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하며, 인적ㆍ물적 역량을 이첩요청 여부 결정에 고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다른 수사기관의 범죄사실 인지 통보의무에서의 인지는 내사단계가 아닌 실질적으로 수사개시를한 경우로 봄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다른 수사기관에의 이첩과 관련하여 수사처가 공소제기와 유지 권한을 보유하지 않고 수사권만 보유한 경우뿐만 아니라 수사권 및 공소제기와 유지 권한까지 보유한 경우도 수사처법 제24조 제3항에 따라 다른 수사기관에 이첩하는 경우 수사 완료 후 수사처법 제24조 제1항에 따라 다시 수사처로 이첩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없다는 견해를 구체적 논거들과 함께 제시하였다. 수사처검사의 영장청구권 등 강제처분 권한과 관련하여 수사처검사는 영장청구권이 있는 형소법상 검사에 해당하고, 수사처가 직접 수사를 하는 경우 수사처가 수사권과 공소제기 및 유지권까지 가지고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수사권만 가지고 있는 경우도 수사처검사는 영장청구권 등 강제처분 권한을 가지나 수사처가 수사처 수사대상 범죄에 대하여 이첩요청을 하지 않거나 다른 수사기관에 이첩하여 다른 수사기관이 수사를 하는 경우는 수사처에 수사권만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공소제기 및 유지권까지 있는 경우도 수사처검사가 아닌 검찰청법상 검사가 영장청구권 등 강제처분 권한을 가진다는 견해를 구체적 논거들과 함께 제시하였다. 한편 수사처장의 판단에 따른 재량에 의한 사건이첩 요청이나 다른 수사기관으로의 사건이첩은 수사처장의 판단에 따라 사건을 수사처에서 처리하거나 다른 수사기관에서 처리하게 하는 재량을 줌으로써 수사처가 수사대상 사건과 피의자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주므로 문제가 있다. 독립성과 중립성이 보장된 수사처에서 고위공직자범죄등을 처리하기 위해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의 입법에 의해 별도의 수사 및 공소제기 기관으로 수사처를 설립한 이상 고위공직자범죄등은 수사처에서 전담함이 타당하므로 향후 다른 수사기관이 고위공직자범죄등에 관하여 수사처의 범죄수사와 중복되는 범죄수사를 하는 경우 수사처에 의무적으로 이첩하여 수사처에서 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른 수사기관으로 이첩을 허용하는 규정을 삭제함으로써 고위공직자범죄등을 수사처에서 전속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수사처법을 개정함이 타당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In this thesis author studied the issues concerning concrete procedures of the request for a case transfer, the obligation of the investigative agency to notify the criminal facts, and a case transfer regulations, the authority of the agency to which the transfer or notification was received or which transferred or notified in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nd author studied whether the prosecutor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have the right to request forced disposition authority such as the right to request warrant etc. in relation to the status of the prosecutor under the Act on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nd, if so, to what extent. Author presented an opinion that in relation to the requirements of a transfer request, the degree of investigation should be judged by aggregating the degree of investigation about a person involved in case, the degree of securing concrete evidence, whether a compulsory investigation is launched, and the fairness controversy should be judged by considering whether there could be a controversy over fairness in transferring a case to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itself taking into account the identity of the suspect and his attitude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as well as the behavior of investigation agency, such as human rights violations, easy-going investigations, and biased investigations, and it is not advisable to consider human and material competence in the decision to request a transfer. And it is reasonable that recognition in the obligation of the other investigative agency to notify the criminal facts of other investigative agencies should be interpreted as practically launching an investigation, not an internal investigation stage. Author presented an opinion with concrete argument that in relation to the transfer to other investigative agency,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can not request to transfer to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pursuant to Article 24 (1)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ct after completing the investigation in case of having the right to investigate, prosecute and maintain as well as having the right to investigate without having the right to prosecute and maintain. Author presented an opinion with concrete argument that in relation to forced disposition authority such as the right to request warrant etc. prosecutor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is a prosecutor who has the right to request a warrant etc.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prosecutor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has the right to request warrant etc. when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investigate directly in all cases which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has the right to investigate without having the right to prosecute and maintain as well as has the right to investigate, prosecute and maintain, but not prosecutor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but prosecutor under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Act has the right to request warrant etc. when another investigative agency investigate in all cases which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has the right to investigate, prosecute and maintain as well as has the right to investigate without having the right to prosecute and maintain. Meanwhile request for a case transfer by the discretion according to judgment of the head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is a problem because it gives room for the head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to select arbitrarily the case and the suspect under investigation. Author presented an opinion that in the future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ct needs to be revised to transfer mandatory to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if other investigative agency conducts a criminal investigation that overlaps with the criminal investigation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nd to be revised to delete regulation which permits for the Criminal Investigation Agency for a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to transfer to other investigative agency a case. It will b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separat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agency which independence and neutrality is guaranteed by the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representative body of the people, to deal with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crimes.

      • KCI등재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현만석,유왕진,이동명 한국경영공학회 2008 한국경영공학회지 Vol.13 No.3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s through DE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used 62 public institutes which have experienced in technology transfer in order to analyse public institutes's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with DEA. Input parameters are number of R&D people, budget of R&D,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 person and number of technology. Output parameters are number of new technology, number of patents application, number of patents registered,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red and income of technology transferred. To find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s, this study used technology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put/output parameter as a independent variable This analysis showed that 25.84% of technology efficiency is explained by number of R&D person, number of technology, number of patents application,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red and 27.87% of pure technical efficiency is explained by number of R&D person,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 person, number of technology, number of patents application,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red.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s through DE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used 62 public institutes which have experienced in technology transfer in order to analyse public institutes's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with DEA. Input parameters are number of R&D people, budget of R&D,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 person and number of technology. Output parameters are number of new technology, number of patents application, number of patents registered,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red and income of technology transferred. To find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technology transfer efficiency for public institutes, this study used technology efficiency, pure technical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put/output parameter as a independent variable This analysis showed that 25.84% of technology efficiency is explained by number of R&D person, number of technology, number of patents application,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red and 27.87% of pure technical efficiency is explained by number of R&D person,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 person, number of technology, number of patents application, number of technology transferred.

      • KCI등재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신혜리 ( Hye Ri Shin ),남승희 ( Seung Hee Nam ),이다미 ( Dah Mi L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社會科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를 살펴보고,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노인가구의 이전소득 향상을 위한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 가구 2,120가구를 분석한 결과,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 모두 빈곤감소효과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공적이전소득이 사적이전소득에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이전소득은 대체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은 대체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갈수록 감소하고 있는 사적이전소득을 감안하여 공적이전소득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며 둘째, 저학력, 비경제활동, 저소득층일수록 사적이전소득의 금액이 높다는 분석결과는 취약계층일수록 사적이전소득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사회보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nti-poverty effectiveness of public and private transfers of elderly household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fers and private transfers in order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post-transfer income of elderly households. Using fourth panel data of the year 2011 from KReIS(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2,120 elderly households were analyzed to find that both public transfers and private transfers had effects on reducing poverty. Public transfers had the crowding-out effect on private transfers, thus suggesting that public transfers supplant priva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because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public-income transfers supplant private transfers, it is predicted that the expansion of public transfers is necessary as private transfers are decreasing. Second, the results show higher private transfer amounts for the less educated, economically inactive, and lower-income population, which implies higher dependency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on private transfers. Therefore, social security for this group of people needs to be strengthened.

      • KCI등재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 간 관계:이전소득이 가구 소비지출과 저축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장현주 한국정책과학학회 202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7 No.2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come transfers from the perspective of recipients by analyzing the effect of public income transfer and private income transfer on the economic power of recipient households. Results of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8th main survey of the KReIS, the substitution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fer and private transfer was larger in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than in households with two or more elderly people. This explains that children's private transfer to non-cohabiting parents is mainly made for altruistic motives. In addition, the effect of public pension income on household-equalized consumption expenditure in elderly household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particular, in the sense that along with public pension income, real estate income in households with two or more elderly people and financial income in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a great impact on household-equalized consumption expenditure, permanent income has a greater influence o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Excluding the household-equalized consumption expenditure of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the effect of public transfer o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and savings of elderly households was larger and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private transfer. Furthermore, in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comparatively poor income and consumption levels, it was found that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was realized as permanent income had more influence on consumption expenditure than saving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ld-age income guarantee function of the public pension, which is always a source of permanent income, and to consider tax benefits to activate private transfer based on exchange motives. 이 연구는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이전소득 주요 수급대상인 노인가구의 경제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이전소득 수급자 관점에서 두 이전소득 간 관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국민노후보장패널 8차 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 간 대체관계가 노인 2인 이상 가구 대비 노인단독가구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비동거 중인 부 또는 모에 대해 자녀들의 사적소득이전이 주로 이타적 동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또한 노인가구에서 공적연금소득이 가구균등화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공적연금소득과 함께 노인 2인 이상 가구에서는 부동산소득이, 노인단독가구에서는 금융소득이 가구균등화 소비지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항상소득이 가구의 소비지출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노인단독가구의 가구균등화 소비지출을 제외할 경우, 공적이전소득이 노인가구의 가구 소비지출과 저축에 미친 영향은 사적이전소득의 영향보다 크고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소득과 소비수준이 비교 열위에 있는 노인단독가구에서는 항상소득이 저축보다 소비지출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침으로써 항상소득가설이 현실화됨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는 항상소득원인 공적연금의 노후 소득보장 기능을 강화가 필요하며, 이기적 교환 동기에 의한 사적소득이전 활성화를 위한 세제 혜택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부산시 노인가구의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관계: 소득 이전과 서비스 이전을 중심으로

        진재문 ( Jin Jae-moon ),김수영 ( Kim Soo-young ),문경주 ( Moon Kyung-joo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사회복지정책 Vol.43 No.4

        본 연구는 부산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공적 이전과 사적 이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사적 서비스 이전을 종속변수로 포함하였다. 분석은 부산복지개발원에서 2015년에 구축한 `부산광역시 노인실태 및 정책 체감도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Tobit 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부산시 노인에 대한 공적 이전액은 사적 이전유무 및 사적 이전액에 대하여 대체관계를 보이고 있다. 둘째, 노인에 대한 공적 이전액은 자녀들의 노인에 대한 사적 병간호서비스 및 가사지원서비스의 이전유무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셋째, 공적으로 제공된 요양 및 돌봄 서비스와 가사지원서비스의 이용경험은 공적소득이전의 가능성과 이전량, 그리고 사적인 병간호 및 가사지원 서비스의 이전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문화적 요인으로서의 부모에 대한 관심은 사적 소득이전 보다는 사적 서비스 이전에 정의 관계를 보여줄 가능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ublic transfer and private transfer for the elderly in Busan, Korea.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survey data that BSWDI had built in 2015. The data is `The survey for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the sensory level of policy`.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basic data analysis, Tobit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income transfer for the elderly crowded out the amount of private income transfers, and reduced the probability of private income transfers from their children. This supports the displacement relation between public transfer and private transfer. Second, the public income transfer for the elderly could not influence on the probability of private service(nursing and housework) transfers from children. Third, the public service transfer for the elderly could not have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mount and the probability of private service(nursing and housework) transfers. Fourth, the phone call frequency with parents, the income level of parents, the health of parents, and the location of children`s residence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bability of private nursing service transfers.

      • KCI등재

        사적소득이전과 노후소득보장

        김희삼 한국개발연구원 2008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0 No.1

        Using data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study investigates private income transfers in Korea, where adult children have undertaken the most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their elderly parents without well-established social safety net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KLIPS data, three out of five households provided some type of support for their aged parents and two out of five households of the elderly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their adult children on a regular base. However, the private income transfers in Korea are not enough to alleviate the impact of the fall in the earned income of those who retired and are approaching an age of needing financial assistance from external source. The monthly income of those at least the age of 75, even with the earning of their spouses, is below the staggering amount of 450,000 won, which indicates that the elderly in Korea are at high risk of poverty. In order to analyze micr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private income transfers to the elderly parents, the following three samples extracted from the KLIPS data are used: a sample of respondents of age 50 or older with detailed information on their financial status; a five-year household panel sample in which their unobserved family-specific and time-invariant characteristics can be controlled by the fixed-effects model; and a sample of the younger split-off household in which characteristics of both the elderly household and their adult children household can be controll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estimating private income transfer models using these sampl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ominant motive lies on the children-to-parent altruistic relationship. Additionally, another is based on exchange motive, which is paid to the elderly parents who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Second, the amount of private income transfers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come of the elderly parents, while being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come of the adult children. However, its income elasticity is not that high. Third, the amount of private income transfers shows a pattern of reaching the highest level when the elderly parents are in the age of 75 years old, following a decreasing pattern thereafter. Fourth, public assistance, such as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t, appears to crowd out private transfers. Private transfers have fared better than public transfers in alleviating elderly poverty, but the role of public transfer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ince the welfare expansion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so that one of four elderly people depends on public transfers as their main income source in 2003. As of the same year, however, there existed and occupied 12% of the elderly households those who seemed eligible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benefit but did not receive any public assistance. To remove elderly poverty, government may need to improve welfare delivery system as well as to increase welfare budget for the poor. In the face of persistent elderly poverty and increasing demand for public support for the elderly, which will lead to increasing government debt, welfare policy needs targeting toward the neediest rather than expanding universal benefits that have less effect of income redistribution and heavier cost. Identifying every disadvantaged elderly in dire need for economic support and providing them with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nd imminent responsibility that we all should assume to prepare for the growing aged population, and this also should accompany measures to utilize the elderly workforce with enough capability and strong will to work.

      • KCI등재

        공적ㆍ사적이전소득이 가구내 소득 이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기백(Ki baeg Park),성명재(Myung Jae Sung) 한국경제발전학회 2016 經濟發展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 사이의 구축효과와, 공적이전소득과 타 가구원의 부모에 대한 이전소득이 가구내에서 여타 가구원의 부모에 대한 소득이전에 미치는 영향(구축효과)를 공여자의 관점에서 분석함을 주된 연구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이전소득에 대한 구축효과는 수혜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온 반면, 본 연구에서는 공여자의 관점에서 이전소득 간 구축효과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부모에 대한 소득공여자(주로 성인자녀)의 소득을 피회귀변수로 하고, 공여자와 수혜자의 특성변수, 부모에 대한 여타 공여자(주도 소득공여자의 형제자매 등)들의 특성변수를 설명변수로 채택하여, 2단계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수혜자가 수령하는 공적이전소득의 계수는 -0.1083, 여타 공여자의 이전소득의 계수는 -0.6124로 추정되었다. 그 결과 부모에 대한 소득 공여자의 공여소득은 부모의 공적이전소득과 여타 자녀의 공여소득에 대해 음(-)의 상관관계, 즉 구축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축효과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할 뿐만 아니라 공적이전소득에 대한 구축효과보다 부모에 대한 형제자매 사이의 소득 공여의 구축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이 특정적이다. 이는 형제자매 사이의 소득이전 규모 결정과정에서 공적이전소득보다 대체효과가 더 직접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사적이전소득 공여자 사이의 구축효과의 크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더 커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rowding-out effects between public and private transfers as well as those between private transfers from the donor’s perspective. With a unique data set, this paper estimates donors’ transfer function, whereas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at of recipients. This approach relates the theoretical model to the estimation in a more direct manner and facilitates the interpretation of estimation results. Donors’ transfers are regressed on public transfers, donor/recipient characteristics, and other donor children’s transfers. The coefficient estimate of public transfers is -0.1083, and that of other donors is - 0.6124. Other donor children’s transfers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han public transfers to crowd out donors’ transfers. Noteworthy is the strengthening of these effects over time(JEL: H31).

      • KCI등재

        공적이전소득의 사적이전소득 구축 효과: 대도시권과 비대도시권 노인가구를 중심으로

        장현주(Chang, Hyunj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공적이전소득을 통한 사적이전소득 구축 효과의 존재 여부, 그리고 사적이전소득의 구축 효과가 존재한다면 대도시권 또는 비대도시권 노인가구에서 사적이전소득 구축 효과의 심도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결과, 노인가구와 비노인가구 모두 공적이전소득으로 인해 사적이전소득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특히 광역시 노인가구에서 그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사적이전소득 구축 효과의 심도를 보면, 서울시 노인가구에서 사적이 전소득의 구축 효과가 가장 컸으며, 광역시 노인가구에서 그 효과가 가장 작았다. 또한 서울시 노인가구에서는 공적연금액이 사적이전소득을 주로 구축한 반면, 광역시와 도 지역 노인가구에서는 기초연금과 같은 사회보장급여액이 사적이전소득을 주로 구축하였으나, 공적연금액보다 비중이 크지 않아 구축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는 서울시 노인가구에서는 이타적 보상 동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한 반면, 광역시와 도 지역 노인가구에서는 그 영향이 작음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는 향후 한국사회가 장기적 저성장에 직면할 경우 이전소득 및 가구 총소득 감소로 이어져 공적이전소득을 통한 빈곤 및 소득불평등 완화 효과가 퇴보될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기초연금 중심의 공적이전소득과 동거 또는 비동거 자녀들의 부모 부양에 대한 소득공제를 확대하고, 비노인가구 또는 노인가구의 65세 미만 가구원의 실질소득이 증가하여 사적이전의 동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근로연계형 소득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owding-out effect of private transfers through public transfers and the depth of the crowding-out effect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elderly households, if there is an crowding-out effect of private transfers. As a result, private transfers did not occur due to public transfers in both elderly and non-elderly households, and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the elderly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the largest. The crowding-out effect of private transfers was the largest in the elderly households in Seoul and the least in the elderly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in the elderly households in Seoul, the public pension is primarily crowding out effect of private transfers, while i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 social security benefits such as basic pension are primarily crowding out private transfers in a relatively small scale. This means that the altruistic motivation is relatively large in the elderly households in Seoul, while the effect is relatively small in the elderly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suggest that if the Korean society faces the long-term low growth, the transfer income and the gross income of the household will be reduced, and the effect of the poverty and income inequility mitigation through public transfers may be reversed. Hence, people with the elderly are encouraged to increase income deductions for the support of their parents who are living together or non-living, and the work-related income support such as EITC has to be expanded to increase the real income of households under 65 years of age for non-elderly households or elderly households and to retain the motivation of private transfers.

      • KCI등재

        융복합 기술이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공공부문의 중소기업에 대한 융복합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박문수 ( Mun Su Park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통상정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두가지 형태로 진행되었다. 첫째는 융복합 기술과 융복합 기술이전의 선행연구 검토 및 조사분석틀 분석에 근거하여 융복합 기술이전이라는 개념화와 측정 방법의 틀을 제시하였다. 둘째, 융 복합 기술이전의 분류에 근거하여 기존 기술이전 조사틀에서 최근 정책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이전을 전체 중소기업 기술이전 현황과 비교하였다. 정책적으로 공공부문에서 중소기업 기술이전이 중요하며 특히 융복합 기술이전의 건수와 금액 비교를 통해 융복합 기술이전이 진행 형태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분석을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이전이 증가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융복합 기술이전은 4.4%에 불과하다. 대학 및 정출연이 보유한 융복합 기술에 대한 중소기업 기술이전은 상대적 낮은 수준이다. 산업별로 볼 때 중소기업 기술이전이 활성화된 분야는 전자부품, 기계장비, 화학, 음식료, 의료 등이며 이러한 특징은 융복합 기술이전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기술생산자별로 보면 중소기업 기술이전뿐 아니라 융복합 기술 모두에서 대학의 역할이 강조 되고 있다. 기술이전 금액관점에서 1~5천만원의 건수 및 금액 비중이 높으며 5백만원 미만의 건수도 많아지는 추세이며 융복합 기술이전도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별로 융복합 기술이전을 포함한 기술이전 전체 성과가 서울, 대전, 경기에 집중되어 있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two. First, for convergence technology and convergence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 suggested a framework for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Second, I am compare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to total technology transfer from public research(university and public institute) to SME. Overall, despite the trend to increase technology transfer to SMEs,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is only 4.4%. Both total technology transfer an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to the Industry is active to electronic components, machinery, chemicals, food and beverage, and the medical. The role of universities is emphasized in both total technology transfer an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There are small transactions of less than 5 million in both total technology transfer an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Both total technology transfer an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to the region are concentrated in Seoul, Daejeon and Gyeonggi-do.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신규공무원 교육훈련 전이효과 영향요인 분석

        이승모 ( Lee Seung Mo ),손화정 ( Sohn Hwa J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地方行政硏究 Vol.30 No.4

        최근 지방자치단체 신규공무원의 채용이 폭발적으로 확대되면서 신규자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신규자 교육과정의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관련 연구 또한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 신규공무원 기본교육훈련의 전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에 대한 신규공무원의 기대 중에서 지식과 능력측면은 업무 전이효과에, 가치와 관계 측면은 태도 전이효과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서 교과목과 수요자 요구반영은 모든 전이효과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교육환경 및 시설은 태도 전이효과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강사는 유의미하지 않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규자 속성에서 7·8급 승진이후 신분을 가진 참가자와 수료이후 기간은 업무 전이효과에, 행정직군은 태도 전이효과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이효과에 대한 영향력의 크기는 전체적으로 교육과정 설계요인, 기대 요인, 신규자 속성 요인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 및 태도 전이효과 공히 수요반영 인식 변수의 영향력 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로 전이효과 개념의 다차원성 확인, 전이효과 영향요인으로서 기대요인의 내용적구체화 및 신규공무원으로서의 개인적 속성 변수 고려 필요, 구체적인 사전 수요조사와 적정 교육시기 준수, 교육기대와 직렬 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정 설계 등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recruitment of new public officials in local governments has expanded explosively and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them has increased. Nevertheless, various problems have been raised in this training and related research is a lso very l imited. The purpose of this s tudy is to c la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nsfer of training of new public officials and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ectation of knowledge-ability of new public officials was a positive factor for job transfer of training and expectation of value-relationship was positive factors for attitude transfer of training. Second, acceptance of customer needs and satisfaction with training content are positive factors for all types of transfer of train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are only positive factors for attitude transfer, and teacher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7·8th grade promoters and the post-training periods were negative factor for job transfer. And the general administration service was negative factor for attitude transfer. Fourth,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n the transfer of training is reported in the order of training design, expect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w public official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ultidimensionality of transfer was identifi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contents of expectation an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new public officials as influential factors. Third, it is required to conduct demand-surveys and to adhere to appropriate training timing. Fourth, customized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expectation and position of the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