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긍정노후인식의 매개효과 분석

        박승곤,김수정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3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aging percep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Research background: The importance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has been steadily emphasized. But to make a different change, we need a new variable that can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and respond to depression. Positive aging perception is meaningful in this respect.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We confirmed positive aging perception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before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factors of positive aging percep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factor were confirmed together. · Research method: The data from 302 elderly people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ere analyz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hrough t-test and ANOVA.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model 4 Bootstrapping of PROCESS Macro 4.1. · Research results: In the positive aging perception, the pursuit of a healthy life was the highest, the pursuit of new goals was the lowe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education, economic level, job in the positive aging perception. Depression of the elderly wa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ging perception awareness mediated it.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aging perception, the pursuit of new goals and the pursuit of transcendent lif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ositive aging perception and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Korea,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necessary but lack of research.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긍정노후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 연구 배경: 노인의 우울과 삶의 만족이 가지는 중요성은 강조되었지만, 기존과 다른 변화를 위해서는 이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변인이 필요해졌다. 이 점에서 긍정노후인식은 우울에 대응할 수 있는 변인으로 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에 논의되지 않았던 노인의 긍정노후인식을 확인하고 우울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의 매개효과를 새롭게 살펴보았다. 동시에 긍정노후인식의 하위요인의 특성과 요인별 매개효과를 함께 확인하였다. · 연구방법: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t-test와 ANOVA 등을 통해 그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PROCESS Macro 4.1의 model 4 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긍정노후인식에서 건강한 삶 추구가 가장 높았고 새로운 목표 추구는 낮았다. 노인의 우울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긍정노후인식은 이를 매개하였다. 긍정노후인식의 4가지 하위요인 중 새로운 목표 추구와 초월적 삶 추구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그동안 필요성은 제기되었지만 연구가 부족했던 한국 노인의 긍정노후인식에 대한 특성과 우울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한 정책적 변화와 프로그램의 개발, 전문가 재교육 등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 부모의 영성이 장애아동 양육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Soo Jeong Kim) 영남신학대학교 2014 신학과 목회 Vol.41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ta from 189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d used social service facilities and a school for the disabilities. There are the research results. The level of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is different, based upon the sex of parent. Also the spiritual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hether respondent has a religion or not, the level of religious activity, education level of respondent and respondent’s health, and parent’s positive percep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pondent’s health, the level of religious activity, and education level of respondent. The spiritual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more middle level of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middle level of spirituality. Finally, the level of spirituality of parent and parents’ health provided a positive effect and whether respondent has a religion or not provided a negative effect on parent’s positive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to improve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social services and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enhance the spirituality of parent. Besides that, further researches which is focused on various valuables which effect on parent’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hildren with disability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영유아기 아버지의 부모역할인식, 양육긍정감, 양육참여의 관련성

        박지선,박성희 한국모자보건학회 2015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ver conception about parent's perception of role,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parental involvement about young children's father. Methods: In order to find the results, We carried out a survey on 435 young children' father inSeoul, Chungcheongnam-do, and Jeollanam-do. The statistical processing was done with usingthe SPSS 21.0 and AMOS 21.0. Result: The first result of the study show that perception of parent's role, positive perception ofparenting of young children's father were little higher than average but parental involvement ofyoung children's father were a lot lower than average. The second result of the study show thatperception of parent's role had no direct effect on parental involvement and taken mediate effectfor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Conclusion: we have learned that young children's father relatively highly recognized on perceptionof parent's role,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but parental involvement of young children'father lowed. For support on parental involvement of young children's father, continuedly and structuralparent education were based on perception of parent's role and positive perception.

      • KCI등재

        미용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COVID-19 팬데믹 위험지각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오해영 ( Hae-young Oh ),양은진 ( Eun-jin Yang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2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6 No.2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국가 차원의 경제적 손실이 유발되는 가운데 대면서비스업인 미용업계도 경제적, 심리적 큰 타격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미용업 종사자가 가지는 긍정심리자본이 COVID-19 팬데믹 위험지각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도출된 상황적 맥락의 관계분석 결과가 미용업 종사자의 문제 상황에 대한 적극적 대처를 위한 탐색으로 실증적 대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미용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된 총 396부를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의 요인은 낙관주의, 자기효능감의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COVID-19 팬데믹 위험지각과 고객지향성에 관한 요인은 각 1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미용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COVID-19 팬데믹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긍정심리자본 중 낙관주의, 자기효능감이 위험지각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용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낙관주의, 자기효능감이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정부와 지자체의 다각적인 지원의 해결안이 지속된다면 미용업 종사자의 COVID-19 팬데믹 위험지각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미용업 종사자들의 긍정심리자본의 향상을 위해 정부 조직 차원의 경제적인 피해보상대책과 또 다른 위험으로부터의 안전망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또한 미용업 내부적으로는 긍정심리자본의 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조직원들의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한 심리적인 치료의 기회를 제공하고, 어렵고 힘든 일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지원 및 업무능력 개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위 연구의 결과가 미용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 COVID-19 팬데믹 위험지각, 고객지향성의 향상을 위한 활용에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While the national economic loss is occurring in the aftermath of the COVID-19 pandemic (global pandemic), the face-to-face service industry, the beauty industry, is also being hit hard economically and psycholog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provides basic data for empirical alternatives to actively respond to it. aims to provid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96 hairdress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collected using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and a sample survey for analysis was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derived as two factors, optimism and self-efficacy, and the risk percep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factor for the COVID-19 pandemic were extracted as one factor each. Examining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beauty industry workers on risk perception of COVID-19 pandemic, it was found that optimism and self-efficacy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risk perception. As for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ustomer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optimism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erefore, if the long-term solution of multilater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continues, it is expected to have an impact on reducing the risk perception of COVID-19 pandemic among beauty industry workers. In order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beauty industry workers, it is necessary to secure economic damage compensation measures at the government level and a safety net from other risks.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ithin the beauty industry, it is necessary to provide psychological treatment to relieve the stress of members, and technical support to solve difficult tasks and support to improve work ability are needed.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beauty industry workers, awareness of the risk of the COVID-19 pandemic, and customer orientation.

      • KCI우수등재

        긍정적 사고와 스포츠 행복지각의 관계에서 청소년 선수들의 열정과 정체성의 매개효과

        정구인(JungKoo-in),송기현(SongKi-hyu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열정, 정체성 및 스포츠 행복지각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긍정적 사고와 스포츠 행복지각의 관계에서 열정과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전국(서울/경기, 강원, 충청, 영남, 호남)에 소재한 체육 및 일반계열 중ㆍ고등학교의 남녀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6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전체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긍정적 사고는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에 정적으로 정체성과 스포츠 행복지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화열정은 정체성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강박열정은 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화열정은 스포츠 행복지각에 정적으로, 강박열정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정체성을 스포츠 행복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열정과 정체성의 매개효과에서는 조화열정과 정체성만이 긍정적 사고와 스포츠 행복지각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thletes’positive thinking and passion, identity and sports happiness perception and analyze the mediation effect of passion and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inking and sports happiness perception.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goal, male and female athletes’from physical education and regular high schools across the nation (Seoul/Gyeonggi Province, Gangwon, Chungcheong, Yeongnam and Honam regions) were recrui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306 sampl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effective samples. The data went through a goodness-of-fit test for the whole model using SPSS 18.0 and AMOS 18.0 and a hypothesis tes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positive thinking had positive influence on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while 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identity and sports happiness perception. Second, harmonious pass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identity, while obsessive passion had significant impact on identity. Moreover, harmonious pass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sports happiness perception, while obsessive passion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Third, identity was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ports happiness perception. Lastly, the mediation effect of passion revealed that only harmonious passion and identity played a significant mediation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inking and sports happiness perception.

      • KCI등재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형태 지각 유형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개발

        이인영,김수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2

        본 논문은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형태를 게슈탈트 형태 지각 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하고 그 유형을 연구하 여, 실험적이며 창조적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개발을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형태, 형태 지각 원리,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형태의 개념을 정리하였으며,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형태 지각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유형화한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형태 지각을 적용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품 6개를 제시하였다. 형상으로 나타나는 포지티브 형태와 배경으로 나타나는 네거티브 형태를 지각하는 유형 은 서로의 공간이 분리되는 ‘분리 유형’,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공간이 공유되는 ‘암시 유형’, 포지티브와 네거 티브 공간이 전이되는 ‘반전 유형’으로 분류된다.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형태 지각 유형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 트레이션 개발은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형태의 지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흰색과 검은색만을 사용하여 드로잉 작업을 하였다. 이를 기초 작업으로 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완성하였다.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형태 지각 유형을 적용한 작품 Ⅰ은 ‘분리 유형’이 적용된 작품으로, 형상과 배경의 경계를 명확히 나타내어 서로의 공간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작품 Ⅱ는 ‘암시 유형’이 적용된 작품으로 서로의 공간이 공유될 수 있도 록 형상과 배경의 경계를 부분적으로 없애는 구조를 통해 사라진 경계와 형태를 암시에 의해 인지하도록 하였다. 작품 Ⅲ은 ‘반전 유형’이 적용된 작품으로 형상과 배경이 서로 반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였다. 이러 한 작품 개발은 형상과 배경이라는 이분법적인 생각의 틀을 깨고, 포지티브와 네거티브의 형태를 다양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작품을 구성해 봄으로써 형태와 공간을 새롭게 지각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작업해 보 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sitive and negative forms based on the Gestalt type perception theory, aiming to develop an experimental and creative fashion illustra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the researchers have organized the concept of morphology, shape perception principle, positive and negative morphology and typified positive and negative forms of shape perceptions. In addi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shape perceptions are applied, introducing 6 pieces of fashion illustrations. Types like positive form, shown as figure, and negative form, depicted as ground, are categorized as ‘separation type’, which separates each others spaces, ‘suggestion type’, which shares positive and negative spaces, and ‘reversion type’, which transits positive and negative spaces. Development of fashion illustration utilizing positive and negative types of perception used only white and black for drawing so as to maximiz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perception. After this basic step, the project as a whole was done through computer programming. Among positive and negative forms of perception ‘separation type’ was applied on Work 1, clarifying the distinctive boundary between shape and background in order to separate each other’s space. Work 2 was implemented with ‘suggestion type’, so that each other's space can be shared through the structure that partially eliminates the boundary between shape and background thus recognizing the disappearance of the boundaries and forms through implications. Work 3 is applied with ‘reversion type’ and composed of structures allowing inversion of each other’s shape and background. The development of such works breaks the framework of a dichotomous idea of form and background. Fashion illustrations perceiving new forms and spaces were made possible by composing works that can recognize variety of positive and negative forms.

      • KCI등재

        브랜드 경험에 따른 긍정적 감정이 자아인식의 향상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류주연(Ryoo Juyoun),김정구(Kim Chung Koo)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4

        소비자는 구체적인 제품이나 서비스의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를 통하여 정서적으로나 인지적, 또는 행동적인 방법 등으로 브랜드를 경험하고 있으며, 바람 직하고 매력적인 브랜드를 경험하는 것으로도 개인의 장점을 개발하고 만족스러운 삶의 기본이 되는 긍정적 감정 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브랜드를 경험하면 브랜드가 갖는 매력적이고 강력한 브랜드개성을 마치 소비자 자신의 개성인 것처럼 인식하게 되어 좀 더 향상된 자아로 인식하게 되는 브랜드 효과와, 이러한 브랜드 경험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국내 실정에서 실제의 브랜드를 가지고 실증해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최신식이고, 유행에 민감하며, 현대적인’ 개성을 갖는 갤럭시S 스마트폰 브랜드를 선정하였으며 브랜드 경험 이후 세 가지 브랜드개성에 대한 소비자의 자아인식이 향상된 것으로 타나났다. Brakus 외 (2009)의 연구를 근간으로 12개 측정항목을 이용하여 브랜드 경험에는 감각적, 감정적, 경험적, 그리고 인지적 경험의 4가지 차원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브랜드 경험과 긍정적 감정, 자아인식과 브랜드 애호도의 네가지 연구 개념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경험은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 적 감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바람직한 브랜드개성을 갖는 브랜드를 경험한 이후 브랜드에 대한 만족과 애착, 관계 등과 같은 브랜드 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소비자 차원에서는 긍정적 감정이 향상된다는 결과를 실증한 것이다. 둘째, 브랜드 경험으로 인한 긍정적 감정은 자아인식의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생각과 행동의 폭을 넓히고 관계를 지속하게 함으로써 삶의 만족과 행복의 바탕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고 할 수 있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애호도와 자아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한국적 실정에서도 유효함을 확인하였고 넷째, 브랜드를 경험하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이 향상되고 자아인식이 향상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긍정적 감정과 자아인식의 향상이 브랜드 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관계는 밝히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학문적, 실무적 공헌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onsumers experience brands directly or indirectly both by purchasing or consuming brands`` offerings and communicating brand related aspects in the sensory, emotional, perceptual, or actual way. This research replicates the brand effects on self perception enhancing and brand loyalty and examines how consumers` positive emotion can be formed and increased through brand experiences using a real Korean brand. Positive emotions broaden consumers`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thought-actions and provide variety experiences which can be the fundamentals of subjective well-be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by brands on self perception enhancing and brand loyalty in the Korean market situation. In the pretest, 53 respondents selected five personality traits that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Samsung Galaxy S. Three traits out of 42 personality scales were most frequently selected; up-to-date(53%), contemporary(45%), and trendy(45%). Also these three traits revealed a high degree of interests in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mselves: up-to-date(m=.68), contemporary(.74), and trendy(.68). Based on this data, Galaxy S was used in the main survey where 450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he business undergraduate classes and MBA classes. Excluding foreign students` data and inappropriate data, 321 sample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y emplo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people perceive themselves to be more up-to-date, more contemporary, and trendier after experiencing Galaxy S through manipulation information. The result confirms that brand experience helps self perception enhancing, especially to people who like certain brand personalities and have interest in increasing the personalities. Second, consumers` positive emotion was increased after they experience the brand, thus a brand can provide positive outcomes both corporations and consumers. The notion that positive emotion produces novel thoughts,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suggests that brand experience has an important aspect regarding consumers` psychological strengths. Third, positive emotion induced by brand experience can affect self perception enhancing. Experiencing brand through sense, feel, behavior, and cognitive way increases consumers` self perception like consuming real products or services. Forth, brand experience affect brand loyalty and self perception positively. Finally, the positive emotion induced by brand experience and self perception do not affect brand loyalt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procedure and the suggestions on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김경민,노진아 한국통합교육학회 2014 통합교육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but also examine the perception's differences based on the subjects' variables. For the purpose, a survey method was conducted to a total of 113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roughout South Korea.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importance and the level of applications to use of strategies for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s a result, participants thought that strategies for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were important but they did not apply these strategies in their classroom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according to teaching and training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facilitate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early childhood settings.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 일차 예방적인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나아가 교사 변인에 따라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이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각 지역에 있는 총 113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아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현장에서의 실천은 그 인식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 경력, 관련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서도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대표적인 접근법인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유치원 현장에서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 유아교사의 인식을 제고(提高)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장지위와 제품특성이 소비자의 소비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일(Lee, Yeoung-Il)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소비자가 소비 상황에서 지각하게 되는 가치를 Holbrook(1999)의 주장에서 제기된 8가지의 가치로 분류하여 우리나라 소비자가 이러한 가치를 지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과 개별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시장지위에 따라서 이러한 가치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또한 구매상황에서 소비자가 고려하는 제품특성에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가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연구에서는 Holbrook(1999)의 가치 분류와 같이 소비자들이 8가지의 가치를 사회지향적 가치와 자아지향적 가치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시장지위에 따라서도 각 가치의 차이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제품특성에 따라서도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가치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지위에 따른 소비자의 가치 지각은 연구에서 주장한 것과 같이 시장지위가 높은 브랜드들이 시장지위가 낮은 브랜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8가지 가치 중 윤리의 경우는 연구의 가설과 같이 시장지위가 낮은 브랜드가 높은 브랜드 보다 높게 나타났다.또한 쾌락적 제품의 경우가 실용적 제품의 경우보다 소비자 가치 지각이 높게 나타났으며,자아지향적 가치와 사회지향적 가치의 구분에서는 제품특성에 따른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perception of consumer value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market position of brand. The consumer value is based on 8 types consumer value of Holbrock (1999). Also we tried to reserch about difference of perceived value of consumer at purchase situation. Results support the different value perception of consumer that consumer recognize value perception of two types which are the self-oriented value. And also consumer recognize difference of value according to market position of brand and product characteristics.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which is high market position is higher than brand which is low market position. Bur the value perception of brand which is low market position is higher than brand which is high market position in the case of the value of ethics of 8 types consumer value. And hedonic goods are higher the value perception than utility goods. And there are not the difference of value perception in the case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sepf-oriented value and the other-oriented value.

      • KCI등재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장애 인물의 대응 -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를 중심으로 -

        김보민 인문사회 21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are people with disabilities perceived and how the main character with disabilities react in the novel of Sam-lyong with deafness by Na Do-hyang. In details, it examined negative perceptions to body, positive perceptions to sexual desire, and Sam-lyong’s reactions to the negative perceptions. The negative perceptions to body in the chapter II were described as ugly appearance, mockery, contempt, violence and abuse to it. This showed deep prejudice and feeling of avers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n society. The positive perceptions to sexual desire in the chapter III showed that physical disabilities don’t mean mental disabilities through sexual desire and active attitudes to love. Sam-lyong’s reactions to the negative perceptions in the chapter IV were divided into passive ones and active ones. The passive reactions through patience and conformity to unfairness was due to steady and conventional obsession to the master. The active reactions through arson and death were shown as abolition of discrimination and class consciousness, and completion of love, to people with disabilities. 이 연구는 나도향의 소설 “벙어리 삼룡이”에서 장애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장애인 주인공이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신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 성적 욕망에 대한 긍정적 인식, 부정적 인식에 따른 삼룡이의 대응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Ⅱ장 신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는 추한 외모, 조롱과 멸시, 신체에 대한 폭력과 학대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뿌리 깊은편견과 혐오감을 읽어낼 수 있었다. Ⅲ장 성적 욕망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서는 성에 대한욕망과 사랑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통해 육체적인 장애가 정신의 장애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Ⅳ장 부정적 인식에 대한 삼룡이의 대응 양상에서는부당함을 당하여도 인내하고 순응하는 소극적 대응의 경우 상전에 대한 고정적이고 관습적인 집착 때문으로 나타났다. 방화와 죽음을 통한 적극적 대응의 경우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신분, 계급의식의 파괴, 사랑의 완성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