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득보장 및 사회통합을 위한 청년 참여소득의 도입 방안

        문성호 ( Moon Sung Ho ),정지윤 ( Jung Ji Yun ),한지연 ( Han Ji Yeon ),노자은 ( Roh Ja Eun ),노지혜 ( Noh Ji Hy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1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introduction plan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for income security and social integration. For this purpose, the features and limitations of youth policies were examined. Also, the effect and value of participation income, and overseas similar case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In result, three basic directions and four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were suggested. The basic directions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were as follows; ‘anyone can participate regardless of income standard’, ‘someone contributes to society rather than the market’, and ‘local communities are promoted through community-based operation’. In the first implementation strategy, unemployed and non-standard working youth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of youth participation income. Second, the scope of activities included growth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public safety, and family care. Third, the operating system of participation income suggested establishing the general operating organization and emphasized the role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Lastly, wage and finance, considering a minimum wage and a living wage were designed for securing up to 900,000 won per month. With regard to finance, the plan to raise fund through participating was reviewed. Youth participation income can compensate for the unstable employment and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unemployment policies by guaranteeing income. In addition to this, it would be able to be foundation of integrating society through providing essential social services to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지역자치단체의 소득지원 방안 연구: 무조건적 기본소득, 부의 소득세(NIT)방식의 기초소득, 근로참여수당

        은민수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4

        This study compared Unconditional Basic Income, NIT-based Guaranteed Income, and Work Participation Allowance as social allowance for workers with a realistic viable income guarantee model for GyeongGAI Province. First, the basic income and basic income measures applicable to GyeongGAI Province were reviewed, but all of them were found to be beyond the budget range. The realizable income guarantee plan is to expand and supplement the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which is set to take effect next year, until conditions are available for implementation of basic income. Unlike its grand name, the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is a system where the conditions are tricky, the salary level is very low, and the payment period is only six months, so only the pattern is unemployment-poor. It is a means of income security sup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by supplementing this poor. Since work participation allowance in GyeongGAI Province is a topping method that compensates the beneficiaries who are determined under the central government's system, it is believed that it will significantly reduce the administrative burden and costs that may be shown in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target.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민 대상의 소득지원 모형으로 무조건적 기본소득(Unconditional Basic Income), 음 소득세를 이용한 기초소득, 근로참여수당(Work Participation Allowance)을 비교검토하였다. 먼저 경기도에 적용가능한 기본소득과 기초소득 방안을 검토하였으나 모두 예산범위를 넘어서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현실적으로 기본소득 방식이 실현될 수 있는 여건이 확충될때까지 과도기적으로 검토해볼 수 있는 방안은 내년 시행예정인 국민취업지원제도를 보충 지원하는 방안이다. 공공부조에서 제외되고 고용보험에서도 배제된 근로자들을 위한 수당이라는 의미에서 한국형 실업부조라는 국민취업지원제도는 그 거창한 이름과 달리 조건은 까다롭고 급여수준은 매우 낮으며 지급기간이 6개월에 불과하여 실질적인 ‘실업부조’라고 할 수 없다. 이 빈약한 국가제도를 보완하여 지방정부가 보충(topping)해주는 소득지원 방식이다. 경기도의 근로참여수당은 중앙정부의 제도에서 결정된 대상자들에게 급여를 추가 지원해주는 방식이기 때문에대상자 선정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행정적 부담과 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보편적 기본소득의 바울신학적 정당화: 참여소득 이론을 중심으로

        정용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auline theological ground which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ly reviewed in the biblical justification of basic income. This study examines the Pauline theological justification of basic income focusing on the concept of grace/gift. W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examples of grace/gift in Galatians and Romans is the paradoxical fact that Paul strongly suggests the nature of the gift as a reciprocal obligation by perfecting the incongruity of grace/gift on the one hand and emphasizing recipient’s duty to the giver of grace/gift on the other. If we want to justify Universal Basic Income, at least in terms of God’s grace and Christ-gift, based on Paul’s letter, we must first acknowledge that it is a unconditioned and incongruous gift, without any ‘preconditions’ such as qualification or asset-test, and regardless of the existing dominant income value system of wage labor. However, Universal Basic Income as Pauline theological grace/gift is not non-circular or unconditional in the sense that there are no ‘postconditions’ at all. To justify basic income as a grace/gift, basic income must be presented as unconditioned (as the common argument of Universal Basic Income) but not unconditional (as opposed to the argument of Unconditional Basic Incom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Participation Income scheme, which is a representative model of Conditional Basic Income instead of Unconditional Basic Income, as a form of Universal Basic Income with Pauline theological justifi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ditionality and reciprocity of Participation Income are exactly the same as the conceptualization of Pauline theological grace/gift. Paul, like other ancient authors, conceptualizes grace/gift as a term referring to sphere of voluntary conduct, personal relations characterized by goodwill in the giving of a benefit or favor, and uses it as a reciprocal return or moral duty that is necessary for the continuation of the relationship generally. To sum up, insofar as that we attempt to justify basic income with the logic of grace/gift, Participation Income is the legitimate form of basic income that best corresponds to God’s grace, which is unconditioned but not unconditional, or the normative conditionality and reciprocity of Christ-gift.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기본소득을 성서적으로 정당화하는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불충분하게 검토되었던 바울신학적 근거를 모색하는 데있다. 본 연구는 기본소득의 바울신학적 정당성을 은혜/선물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런데 갈라디아서와 로마서의 은혜/선물 용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바울이 한편으로는 은혜/선물의 비상응성을 극대화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은혜/선물의 수여자에 대한 수혜자의 책무를 강조함으로써 선물의 호혜적 의무로서의 성격을 강조한다는 역설적인 사실이다. 보편적 기본소득을 적어도 바울서신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은혜이자 그리스도-선물의 관점에서 정당화하고자 한다면, 우선 그 은혜/선물이 자격 심사나 자산 조사와 같은 그 어떤 ‘사전 조건’도 없이 그리고 임금노동이라는 기존의 지배적인 소득의 가치체계와도 무관하게 주어진다는점에서 무제약적이고 비상응적인 선물임을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바울신학적인 은혜/선물로서의 보편적 기본소득은 ‘사후 조건’이 전혀 없다는의미에서 비순환적이거나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다. 은혜/선물로서 기본소득을 정당화하려면 기본소득은 (보편적 기본소득론 일반의 공통적인주장대로) 무제약적이지만 (무조건적 기본소득론의 주장과는 달리) 무조건적이진 않은 것으로서 제시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무조건적 기본소득 대신에 조건적 기본소득의 대표적인 모델인 참여소득정책을 바울신학적 정당성을 지닌 보편적 기본소득의 한 형태로 제안한다. 본 연구의 관점에서, 참여소득의 조건성과 호혜성은 바울신학적 은혜/선물의 개념화와도 정확히 일치한다. 바울 역시 고대의 다른 저자들과마찬가지로 은혜/선물을 자발적인 행위의 영역, 즉 혜택이나 호의를 베풀때 선의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사적인 관계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개념화하면서, 그것을 일반적으로 그 관계의 지속에 필요한 호혜적인 답례 내지는 도덕적인 의무의 의미를 담아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기본소득을 은혜/선물의 논리로 정당화하고자 시도하는 한에서, 참여소득이야말로 무제약적이지만 무조건적이진 않은 하나님의 은혜 또는 그리스도-선물이 지니는 규범적 조건성 및 호혜성에 가장 부합하는 기본소득의정당한 형태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소득에 따른 문화활동 참여 및 문화시설 이용정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관 이용자 중심으로 -

        서형석,조성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that the income of visitors of social welfare centers has on 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use of cultural facilitie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male and female visitors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from May 5 to November 5, 2014. The analysis was made using the SPSS program to conduct the frequency analysis, Caystrus conditioning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etc., and was verified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5%.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were relevant to a household’s monthly income. Second, the level of indirect cultural activity participation revealed to be low the lower the household’s monthly income. Third, the desire to use indirect cultural activity was low the lower the household’s monthly incom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household’s income, the lower the income, the lower the participation and desi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com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depending on a household’s monthly income.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 이용자의 소득에 따른 문화활동 참여 및 문화시설 이용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남녀 4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5일부터 11월 5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스케어 검정, 일원변량분석, 다중범위검정 등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구 월 소득에 따라 문화활동 이용특성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가구 월 소득이 낮을수록 간접적인 문화활동 참여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가구 월 소득이 낮을수록 간접적인 문화활동 이용욕구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구의 월 소득에 따라 문화활동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구의 월 소득이 낮을수록 문화활동 참여도와 참여욕구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가구의 소득에 따라 문화활동 및 문화시설 참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KCI등재

        해외유보소득 방지를 위한 경영참여소득면제 도입방안

        임동원,문성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조세와 법 Vol.10 No.2

        Most of the OECD member states apply taxation of the source approach on overseas dividend income in order to cope with increase in overseas reserves income. Korea,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maintains taxation of the residence approach on overseas dividend income that does not fit the international flow. Under the current tax system,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reserving overseas income excessively in order to avoid the taxation of the residence approach. Excessive overseas reservations may distort the distribution of investment in domestic and overseas, and the economic profit of overseas advancement can not be returned to Korea. In Korea,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quity of the tax burden on domestic and overseas investment and to distort the distribution of investment by applying the taxation the source approach even if the dividend income is overseas. The taxation of the source approach on overseas dividend income can eliminate the blockade effect of the overseas reserves income and induce the inflow of money into the domestic market, and a multinational corporation can become an attractive place in Korea because there is no additional tax burden at the head office location. The effect of the transition can be seen in the case of Japan, which introduced a similar system in 2009. In Japan, dividends from overseas subsidiaries have more than doubl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and the amount of overseas reserves has also decreased sharply, and the domestic reflux ratio has increased to 95.4% in 2010. As a specific plan to introduce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the participation exemption in income deduction of 95% for overseas dividend income received from an overseas subsidiary with 25% or more ownership by domestic corporation. In the long term, the share ratio should be reduced to 10% in line with international trends. In principle, the CFC rule should not be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participation exemption. However, if the participation exemption is introduced, it may cause side effects such as double tax exemption of the residence st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to the overseas dividend income generated in the state such as a tax haven. On the other hand, the CFC rule related to passive income that does not meet the purpose of avoiding tax avoidance should be relaxed. In the case of intellectual property(IP) rights, royalties from IP acquired through self-conducted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are not applied to the CFC rule. OECD 회원국 대부분이 해외유보소득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배당소득에 대하여 원천지주의 과세를 적용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미국 등과 함께 해외배당소득에 대하여 국제적 흐름에 맞지 않는 거주지주의 과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행 제도 하에서는 거주지주의 과세를 회피하기 위해 해외소득을 과도하게 현지에 유보할 가능성이 높고, 과도한 해외유보는 국내외 투자배분의 왜곡을 가져오고, 해외진출의 경제적 수익이 국내로 환류되지 못해서 연구개발이나 고용 등이 해외로 유출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나라도 이제 해외배당소득만이라도 원천지주의 과세방식을 적용하여 국내외 투자에 대한 세부담의 공평성을 강화하고 투자배분의 왜곡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해외배당소득에 대한 원천지주의 과세방식은 해외유보소득의 봉쇄효과를 해소하여 국내로 자금 유입을 유인하고, 본사 소재지로서 추가적인 세부담이 없어짐에 따라 다국적기업 유치를 위한 국제적 조세경쟁력도 제고할 수 있다. 전환 시 그 효과는 2009년 유사한 제도를 도입한 일본의 사례에서 알 수 있다. 일본은 제도 도입 전보다 해외현지법인의 배당금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해외내부유보액도 급격하게 감소하여 국내환류비율이 2010년 95.4%까지 증가하였다. 구체적인 제도 도입방안으로는 내국법인이 25% 이상 지분을 보유한 해외현지법인으로부터 수령하는 해외배당소득에 대해서는 95% 익금불산입하는 방식의 경영참여소득면제 제도를 도입해야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해외자회사의 최소지분율을 국제적 동향과 맞도록 10%로 낮추어야 한다. 그리고 원칙적으로 내국법인이 25% 이상 지분을 보유한 해외배당소득에 대하여 CFC세제(특정외국법인세제)를 적용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경영참여소득면제제도가 도입될 경우 이중비과세 등 거주지국의 세원을 침식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특정 원천지국에서 발생한 해외배당소득에는 제도 적용을 배제해야 한다. 한편, 조세회피 방지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수동소득 간주 관련 CFC세제를 완화하여야 하며, 지식재산권의 경우에 스스로 수행한 연구개발활동으로 취득한 지식재산권으로부터 발생한 사용료는 능동적 사업활동으로 보아 CFC세제를 적용하지 않아야 한다.

      • KCI등재

        손실공제 남용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 ― 미국 입법으로부터의 시사점 ―

        김재승 ( Jaeseung Kim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3

        본고는 현행 법체계에서도 손실 혹은 결손금을 통한 조세회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러한 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입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현행 법체계에서 소득 간 결손금 내지 손실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를 정리하고 이러한 규정이 어떻게 남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조세회피 혹은 결손금공제의 남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i) 개인의 경우 한 사업소득에서 발생한 결손금을 다른 사업소득이나 다른 종합소득에서 공제하는 경우 (ii) 동업기업에서 배분받은 결손금을 개인의 사업소득이나 다른 종합소득에서 공제하거나 법인세법상 손금으로 처리하는 경우 (iii) 법인이 서로 다른 종류의 소득과 결손을 서로 통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소득감소가 나타나는 경우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입법이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는 미국의 법 제도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얻은 후, 위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한 입법방향 내지 입법안을 제시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소득세법의 경우는 사업소득도 원칙적으로 소득종류별로 구분 계산하도록 하였다. 적극적 사업활동의 의미를 정의하고, 적극적으로 사업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부분에서의 결손금은 임대소득이 아니어도, 다른 사업소득 및 종합소득과 통산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법인세법은 법인의 소득을 일반사업소득, 임대소득, 투자소득 등 원천별로 구분하여 각 부분에서의 소득과 손실 혹은 결손금을 서로 통산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폐쇄회사의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사업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부분에서의 결손금은 다른 소득과 통산 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동업기업의 경우는 수동적 동업자의 범위를 유한책임사원 이외 수동적 활동에 종사하는 자도 포함하여 수동적 동업자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임대업은 원칙적으로 수동적 동업자로 간주하도록 하였다. 과다 이자비용을 발생시켜 손실이나 영업이익을 감소시키는 경우, 그러한 손실이나 이자비용의 배분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동업기업이 조세회피수단으로 이용되는 경우 과세관청이 개입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gnize that tax avoidance through loss deductions is likely to occur in the current tax law system and to propose that legislation be in place to prevent such abuse. This paper researched and summarized how the current tax laws deal with loss deductions among each income and have found how loss deductions can be abused, identifying three aspects of tax avoidance through loss deductions: (i) In the case of an individual taxpayer, losses incurred from one business are deductible from another business income or other kinds of income; (ii) Any loss allocated by a pass-through entity is deductible from an individual taxpayer’s business income or other kinds of income, or for a corporation it is treated as deductible expenses; (iii) Total income of a corporation decreases because it can integrate with all incomes and losses without restrictions on the source or type of income. After reviewing the tax law of the United States, which has a relatively well-organized legislative system to prevent tax avoidance, the legislation direction or legislative guidanc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presented. 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income tax law, in principle, business income should be classified and calculated by income type. The meaning of active business activities should be defined, and losses on the part of not materially participating in business activities should be restricted to be combined with other business income and other kinds of income. The corporate tax law should categorize the income of a corporation by sources such as general business income, rental income, and investment income, and should not allow loss deduction from other sector income. In the case of a closely held corporation, the loss from not materially participating in business should be restricted to deduct from other income.

      • KCI등재

        참여소득을 통한 노동의 확장

        한권탁(Han, Kwon-Tak)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東亞法學 Vol.- No.89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플랫폼 노동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노동의 출현과 우리나라의 특수한 인구구조로 인하여 촉발된 고령인구의 증가 및 노인빈곤의 문제, 청년실업 문제 등은 기존 임노동을 기초로 한 소득보장제도의 균열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대표되는 산업분야의 최근 일련의 기술혁신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신조어를 만든 것을 넘어서 사람의 노동 영역을 상당 부분 줄여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적․경제적 상황에 따라 노동의 모습이 변화될 수 있다는 점과 최근 코로나 19를 기화로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본소득의 과도기적 형태로서 참여소득을 도입하여 최근의 임노동의 균열에 따른 위기 현상을 극복하고 노동의 범위를 확장시켜 새로운 소득보장제도를 마련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사회적으로 유익한 행위인 자원봉사활동, 직업훈련이나 관련 교육의 수강, 가족중 장애인 등에 대한 돌봄 활동, 농업에 종사활동 등을 ‘참여노동’이라고 정의하고 이를 노동의 개념에 포함시킴과 동시에 이에 대해서 참여소득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렇게 할 경우 노동은 기존의 종속노동과 참여노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더 많은 사람이 노동에 참여함으로써 소득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mergence of new types of labor, such as workers in special employment types and platform labor, and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problems of elderly poverty, triggered by Korea’s unique demographic structure, and youth unemployment are causing cracks in the income guarantee system based on existing labor. And recent innovations in the industrial sector,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are expected to significantly reduce human labor beyond creating a new word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labo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and discussions on basic income are more active than ever in the wake of the recent Korona crisi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participation income as a transitional form of basic income to overcome the crisis caused by the recent cracks in labor and to expand the scope of labor to prepare a new income guarantee system.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defined volunteer activities, taking vocational training or related education, care for the disabled, and agricultural activities as ‘participation labor’ and considered including them in the concept of labor and paying participation income. This would result in labor being made up of conventional subordinated labor and participation labor, allowing more people to earn income by participating in the work and live a stable life based on it.

      • KCI등재

        중고령가구의 소비요인에 관한 연구

        홍중구(Hong Joong Ku),손재영(Son Jae Young) 한국주거환경학회 2016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4 No.4

        Interests in middle-and advanced-age households are mounting due to the rapid aging of our society. Their proportion in total households is on the increase, and their consumption is gradually exerting an increasing effect on the home market.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influences on household consumption such as the income element, the asset element and the demographical element by dividing the households of houesholders aged above their 50s by age grou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rned income as the income element had the greatest effect on household consumption.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income from real estate and financial income according to the age group. Income from real estate had the greater effect on consumption expenditure on non-durable goods than financial income, whereas financial income had a greater effect on consumption expenditure on social participation than income from real estate. The households of the householders ranging from 50 to 64 yea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value in both consumption on non-durable goods and on social participation in terms of transfer income(both private and public), and the households of those aged above 75 yea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value. And property assets had a much greater effect on household consumption than financial assets in terms of the asset elemen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 : Retired hoseholders would need jobs for earned income. So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assets from property assets occupying most of the assets of middle- and advanced-age households to financial income in order to revitalize their consumption on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ocial-security policy for the elderly would be more effective for the super-aged household. The consumption of middle- and advenced-age households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by revitalizing the home market.

      • KCI등재

        기본소득 구성 요건의 위계화와 제도에 대한 판별 : 기본소득에 관한 개념적 고찰이 실현 전략에 주는 함의

        서정희(Jeonghee Seo),안효상(Hyosang Ah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3

        기본소득의 실현가능성이 높아지고, 기본소득이라는 명칭이 들어간 정책이 시행되면서 기본소득을 둘러싼 쟁점도 변화되었다. 무엇이 기본소득이고 무엇이 기본소득이 아닌가라는 근본적인 쟁점과 어떤 기본소득이 온전한 기본소득으로 가는 적절한 경로가 될 것인가라는 정책적 쟁점이 제기된다. 이 글은 이러한 쟁점들에 대한 하나의 대답으로서 기본소득을 구성하는 요건들이 모두 동일한 층위에서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구성요건들의 위계를 근거로 기본소득인 것과 기본소득이 아닌 것을 구분할 수 있고 다양한 기본소득 형태들의 제도적 위계를 설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첫째, 기본소득을 구성하는 핵심 요건으로서 6가지 요건을 제시하고 각 요건들을 둘러싼 쟁점들을 분석하여 각 요건의 판별 기준과 유의미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본소득의 정당성과 원천으로서의 공유부 배당 원칙과 기본소득의 목적이자 효과인 공화주의적 자유를 근거로 기본소득 구성 요건을 위계화하였다. 셋째, 이러한 기본소득의 구성 요건의 위계를 근거로 기본소득 변형태로서의 여러 제도들의 위계를 도출하였다. The issues around Basic Income have changed as it became more feasible and the policies containing the name of basic income implemented. The fundamental issue of what is basic income and the policy issue of which basic income will be an appropriate path to a full basic income is raised. This paper holds that we are able to discern what is and is not basic income based on the hierarchy of its constituent features and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hierarchy among various basic income schemes because we can form the hierarch of its features. Firstly, this article analyzes the issues around the constituent features respectively presenting six characteristics that are made of basic income as essential ones. Secondly, it builds a hierarchy of the constituent features of basic income based on the common wealth as its legitimation and source and the republican freedom as its aim and effect. Finally, it derives the hierarchy of certain scheme of the variants of basic income based on the hierarchy of the constituent features of basic income.

      • KCI등재

        소득계층별 정치지식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김찬미,나태종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1

        본 연구는 유권자의 소득계층에 대한 인식이 정치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제21대 총선과 제20대 대선, 그리고 제8회 지방선거를 통해 소득별 투표 참여도를 확인하였다. 추가로, 여성가족부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조사한 소득별 정치참여 유형을 토대로 비선거적 정치참여 유형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에서 투표 참여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인터넷 활동의 경우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에서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기존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치지식이 높은 집단은 정치 참여율이 높고, 정치지식이 높을수록 계급배반투표가 발생한다고 가정했을 때, 저소득층에서 정치지식이 높은 집단은 투표를 통해 정치에 참여하며, 선거에서 소득계층에 반대되는 투표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대로 고소득층에서 정치지식이 높은 집단은 인터넷을 통해 정치에 참여하며, SNS, 블로그와 같은 온라인 매체를 통해 소득계층에 반대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치지식이 높은 유권자들은 자신의 계급에 국한되어 투표하지 않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당에 투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즉, 정당들이 좋은 정책을 냈을 때 정치지식이 높은 유권자들이 높은 정치참여도를 바탕으로 본인의 지지 정당에 영향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voters' perception of their income cla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data from the 21st general electio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8th local elections, it was found that lower-income groups are more actively involved in voting than higher-income groups, while higher-income groups are more active in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the internet. Furthermore, voters with high political knowledge tend to vote beyond their class, suggesting that informed political participation can transcend class interests. Ultimately, the study concludes that voters with high political knowledge have the potential to influence parties that present good policies, regardless of their income class. This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that voters with high political knowledge can exert influence on their preferred pa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