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히지 않는’ 중국: 영국 왕립아시아학회 북중국 지부의 활동과 한계, 1857-1876

        정호원 영국사학회 2023 영국연구 Vol.49 No.-

        This article analyzes the attempts and limitations of British control over China after the Second Opium War through the North Chin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When Britain seizes the chance to victory in the Second Opium War, major British public-private figures buckle down to make China become a member of the “Commonwealth”. As part of the purpose, they established NCB-RAS to research China related to Britain’s interests in-depth, including policy, similar to a Think-Tank. However, despite some level of achievement in research of China in quality and in quantity, extended Britain’s influences in China are below expectations. So British Society in China is dissatisfied with this condition, which led to the Crisis of the Third British-Chinese War in 1875. From 1860 to 1875, the overall situation fundamentally originated in Britain’s perspective of China. When the Chinese government reorganized its diplomatic methods according to the Convention of Peking, it also employed a strategy to justify the rejection of British requirements in China by citing reasons that were inconsistent with the Convention. However, NCB-RAS members saw China only as an object to be converted according to Britain’s request. So they could not grasp the intention that China had already accepted developments but repeatably put the brakes on British requests in China. 이 글은 제2차 아편전쟁 이후 영국의 중국 장악 시도와 한계를 왕립아시아학회 북중국 지부(North Chin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를 통해 분석한다. 전쟁에 승기를 잡으면서 중국 현장에 있던 주요 영국 공직·민간 인사들은 중국을 ‘영연방’ 일원으로 만들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그 일환으로 중국 정세를 파악하고 현실 정책에 참고할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일종의 ‘싱크탱크’ NCB-RAS를 설립했다. 그러나 NCB-RAS의 양적·질적 성과에도 중국 침투는 매끄럽지 않으면서 불만이 누적되었고, 결국 1875년 제3차 영·중 전쟁 위기로 이어졌다. 이처럼 영국이 한계에 부딪쳤던 상황은 중국을 이해하는 관점에서부터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NCB-RAS 회원들은 중국의 입장을 계산하지 않고 영국처럼 변해야 할 대상으로만 인식했기 때문에, 중국을 자세히 연구해봐도 이미 변화를 수용하기 시작한 중국에서 난관을 겪는 이유를 파악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영국의 지배에도 이해에도 중국이 ‘잡히지 않는’ 상황은 계속 반복되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근대전환기 지식인의 이국체험과 세계관의 변화—연암 박지원의 경우

        김영 한국고전연구학회 2008 한국고전연구 Vol.0 No.17

        This study is purposed to review Park Ji-won's changed world view after his travel to China by examining Yol-Ha Journal(열하일기), a travelogue on China. As it was extraordinarily rare, only a few people could afford to travel abroad at the Chosun dynasty. However, owing to the advent of Yeon-Hang-Sa(연행사), a diplomatic mission dispatched to China, an oversees traveling has been rising in its size and frequency at the late of Chosun dynasty, a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Middle age to the Modern in Korea. It was Park Ji-won's idea that the Chosun society would be more retarded without a reformation of public consciousness of the people: Chosun should learn how to adapt herself to a new environment of the world change and import a new culture of the Ching dynasty, as it were, China under development and enlightenment. For this reason, he insisted on a new study of the Ching's advanced culture and science, what is called, "Studies on the North"(북학의). He argued that an immediate adaptation of the Ching's advanced culture would make Chosun enable to reform herself in every aspect. When he traveled to China in 1780, hence, he recorded every single aspect of his entire experience in China. His close attention on the advanced technology and culture of China were fully appertained to his Yol-Ha Journal. It was not only his experience and research on the advanced culture of China that we can find in his book. Along with his interest on material civilization of China, we can also find his concern on the condition of grass people and intellectuals of China. He tried to exchange more ideas with Chinese scholars and pay more attention to the grass people as much as possible. He also bought a lot of books during his voyage. His correspondences and exchanges of opinions with Chinese scholars contributed to his deep understanding on the outside and his realistic formation of the world view. 이 글은 조선후기 북학파 문인 박지원의 중국여행을 재검토하여 근대전환기 지식인의 이국체험과 세계관의 변화 문제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느 시대에나 여행은 있어왔지만, 전근대사회에서 해외여행은 특별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특별한 기회였다.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되던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 이러한 해외여행의 규모와 횟수가 급격히 증가한다. 그것은 주로 연행사와 통신사의 등장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다. 그 중 연행사의 중국행은 청나라가 수도를 심양에서 연경으로 옮긴 때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때부터 시작된 연행은 개항까지 계속된다. 박지원은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되고 있던 18세기를 살면서 조선이라는 폐쇄된 공간을 벗어나 당시의 최고 문명국인 청나라를 방문하여 많은 것을 견문한 뒤 그 이국체험을 탁월한 필치로 기록하여 ≪열하일기≫라는 걸작을 남겼다. 연암이 청나라의 발달한 문물을 개방적 진취성을 가지고 수용한 것은 그가 강조한 호문(好問)과 선학(善學)을 스스로 실천한 것이라 하겠고, 그것을 조선 현실에 적용한 것은 지변(知變)과 창신(創新)의 실례를 보인 것이라 하겠다. 그런데 연암이 이렇게 그의 이국체험을 탁월한 성과로 결실 맺을 수 있었던 것은 사전 준비와 뚜렷한 문제의식 때문이었다. 연암은 주지하다시피 북학파 동지들과 수시로 만나 조선현실의 개혁방안을 논의하면서 문제의식을 가다듬었고, 먼저 중국을 갔다 온 홍대용, 박제가, 이덕무로부터 많은 정보를 습득하면서 연행의 기회가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던 상태였다. 말하자면 여행계획과 집필구상이 이미 끝나고 실제 여행을 통한 확인절차와 집필만 남아 있었던 것이다. ≪열하일기≫를 보면 중국을 가서 무엇을 관찰하고 무엇을 물어볼 것이며, 어디를 들러 무슨 책을 구입할 것인지, 그리고 중국의 지식인들과 어떤 이야기를 나눌 것인지에 대한 사전 준비가 철저하였음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철저한 사전 준비와 연행 후 꼼꼼한 자료보강을 거쳐 ≪열하일기≫라는 걸작이 완성된 것이다. 이렇게 연암이 올바른 문제의식을 설정하고 성공적인 연행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선배들의 연행경험과 북학파 동지들과의 토론에 힘입은 바가 크며, 연암의 의식과 세계관을 새롭게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청나라 지식인과의 교유 및 중국서적에 대한 광범한 섭렵이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런 의미에서 ≪열하일기≫는 개방적이고 현실주의적인 사유방식을 한 문인의 야심작인 동시에 18세기 동아시아 문명의 소통과 지식인의 교류의 결과물이라고 할 것이다.

      • KCI등재

        中韩建交30周年背景下,中国学界“中韩合作”研究现状及发展趋势研究 - 基于CSSCI期刊文献的可视化分析 -

        이지행,张 玉强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2

        The year 2022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China-South Korea Diplomatic Relations . Over the past three decades, China-South Korea relations have witnessed rapid development and fruitful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which have not only brought tangible benefits to both sides but also made positive contributions to regional and world peace and stability. Now, standing at a new starting point, how to push China-South Korea relations to a new level has become a topic of close attention on both sides. Therefore, on the basis of nearly 30 years of research, scholars of China and South Korea put forward a new path and new model for the sustained and stable development of China-South Korea relations and cooperation. In this paper, 191 china-South Korea cooperative research papers published on CSSCI journals in the DATABASE of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were selected as samples, and literature measurement and content analysiswere used for research and analysis. Based on the preliminary outline of the annual distribution of literature samples, the distribution of major journals, the distribution of authors and their institutions, the paper uses CiteSpace software to sort out the hot topics and the evolution trend of China-South Korea cooperation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on the whole,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China-South Korea relations, China-South Korea FTA and The Korean Peninsula issue in Chinese academic circles, with increasing academic attention. However, the research strength is relatively scattered, and a mature and stable cooperation network and academic community has not yet been formed. The researches mainly focus on economic cooperation, and lack cooperation in other fields, as well as cooperation risks and coping strategies. In other words, complex risks and systemic risks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re not paid enough attention, which also restricts the further research. The majority of research methods ar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big data analysis with integration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still needs to be improved.

      • KCI등재

        中國의 한국학 학술지 속 한국 한문학 연구 동향-<东疆学刊>ㆍ<当代韩国>ㆍ<韩国研究论丛>을 중심으로-

        박경남 근역한문학회 2017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7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in the Korean Studies journals of Chin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outlines Chinese academic journals system and present status of the Korean studies journals in China, and generally examined the chronological distribution and themes of articl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in it. In particular, from the initial number to now in 2016, reading through the, Dongjiang Journal『东疆学刊』, Contemporary Korea『当代韩国』, Chinese Journal, of Korean Studies『韩国研究论丛』, extracts 285 articles and sorted it according to theme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in that. Based on analysis, after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has increased dramatically and the subject has also diversified. Especially, a lot of papers have been researched mainly on Chosun Silhak(Practical Science) School's and persons associated particularly with China. For example, in research on Park Ji-won朴趾源, there was articles that pioneered new areas of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but many of them have repeated earlier studies of Korea.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researchers from East Asian countries, and to continuously develop East Asian Literature research in Chinese Letters, this paper suggests that researchers at major universities in each country cooperate and publish international journals based on multi-language. 본고는 中國의 한국학 학술지 속 한국 한문학 연구 동향을 점검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중국의 학술지 제도와 중국 내 한국학 학술지의 현황 및 그 속에 수록된 한국 한문학 관련 논문들의 연대별 분포와 대체적인 연구 주제 상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중국의 대표적인 한국학 학술지인 『东疆学刊』․『当代韩国』․『韩国研究论丛』을 창간호부터 2016년 현재까지 통독하면서 한문학 관련 논문 285편을 추출하여 시간별/주제별로 논문을 분류해 점검해 보았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한국 한문학 관련 논문은 비약적으로 증가하였고 그 주제도 다양해졌는데, 특히 실학자이면서 연행과 교역 등 중국과 관련이 깊은 인물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박지원 연구를 예로 검토해보니 중국인의 시각으로 새로운 연구 영역을 개척한 부분도 없지 않았지만, 한국의 기존 연구를 반복하고 있는 것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아시아 각 국 연구자들의 활발한 소통과 동아시아 한문학 연구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본고는 각 국의 거점 대학 연구자들이 협력하여 다중언어에 기반한 국제학술지를 공동으로 발간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국 근대 미션계 의학교의 발전과 토착화 : 의학교육 체계화를 위한 논의를 중심으로

        조정은(JO Jeong Eun)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1

        본 논문은 근대 중국을 배경으로, 미션계 의학교의 통합 및 의학교육의 체계화, 의학교육체제의 통일성 확보를 둘러싼 의료선교사 안팎의 논의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중국에서의 서양의학 교육의 발전과정과 함께 의료선교사업의 토착화의 단면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주요 사료로는 博醫會에서 편찬한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Journal을 이용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의료선교사들 사이에서는 미션계 병원 및 의학교의 운영ㆍ관리권을 중국인에게 넘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또 한편으로 본국에서의 지원이 부족하게 되더라도 중국에서의 의료선교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길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을 의료선교사업의 "토착화"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선교사업의 토착화를 위해서는 의료선교사의 조수라고 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는 학생이 아닌 직접 병원과 의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중국인 의사가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의학교를 통합하여 교육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었다. 1900년대부터 시작된 의과대학의 설립, 특히 協和醫科大學(Union Medical College)의 설립은 이를 위한 노력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편으로는 중국에 존재하는 의학교의 교육과정 및 기간, 과목 내용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박의회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학교육위원회를 설립하고, 각 의학교의 운영에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의학교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격렬한 논의가 진행된 것은 의학을 중국어로 가르쳐야 할 것인지 영어로 가르쳐야 할 것인지의 문제였다. 의료선교사가 목표로 삼고 있던 의학교육의 토착화를 위해서는 중국어로 가르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영어를 사용한 교육이 중국어를 사용한 교육보다 더 수준이 높은 의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반박도 만만치 않았다. 영어교육을 통한 수준 높은 의사 양성을 주장한 대표자가 바로 록펠러 재단(Rockefeller Foundation)의 China Medical Board이다. 즉, 의료선교사업의 토착화와 의학교육 수준의 향상이라고 하는 중요한 두 사안이 서로 대립되는 양상을 보이는 데에 의료선교사들의 고뇌가 있었다. 1930년대에 이르면 미션계 의학교 중 대부분이 중국어와 영어를 병용하는 길을 선택하였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의료전문가의 양성과 수준 높은 의사의 양성이라고 하는 두 가지 사항을 모두 충족시키고자 한 것이다. 또한 영어를 배울 수 있다고 하는 점은 미션계 학교라고 하는 특징을 보여주는 것으로 다른 의학교와의 경쟁에서 유리한 점으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mission medical schools and systemize medical education in modern China, look at the discussion inside and outside of medical missionary regarding unification of medical education system, and consider one aspect of indigenization of medical missionary work with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Western medicine education in China. One of the major historial materials is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Journal compiled by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Association(boyihui). In the 20th century, there was an increasing voice that operation and management rights of mission hospital and medical school should be taken over to Chinese people among medical missionari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 pursuit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so that medical missionary work could be continued in China even when resources fell short. This movement can be called as "indigenization" of medical missionary work. For indigenization of such a medical missionary work, it requires high-quality Chinese doctors who can operate hospitals and mission medical schools rather than students who can play a role as assistant for medical missionar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mission medical schools and improve education level. Establishment of medical college started from the 1900s,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Union Medical College stems from such an effor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till problems in that curriculum, period, and subject contents of mission medical schools in China are not unified. To solve this, The China Medical Missionary Association tried to establish a Medical Education Committee and obtain unification in operating each mission medical school. The most heated dispute in operating a mission medical school was whether they should teach medicine in Chinese language or English. It is right to teach it in Chinese language for indigenization of medical education that medical missionary sets as a goal. However, there was a refutation that education in English would foster more highly advanced doctors than education in Chinese. The person who argued that education in English would high-quality doctors was China Medical Board in Rockefeller Foundation. In other words, contrasting patterns of two important agendas: indigenization of medical missionary work and medical education level were attributable to agony among medical missionaries. In the 1930s, most of the mission medical schools related to the mission work selected combin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English language. The aim was to satisfy both the two agendas: cultivation of medical experts and cultivation of high-quality doctors targeting Chinese people. Also, the ability to teach in English means that it is a mission school, which is an advantage in competing with other medical schools.

      • KCI등재

        최근 중국 노동/노사관계 해외 연구 동향 고찰 및 제언

        정선욱(Sun Wook Chung),정유선(Yousun Chung)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0 産業關係硏究 Vol.30 No.1

        본 논문은 중국 노사관계의 격변기라 평가받는 최근 10년 동안 중국 노사관계 관련 해외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향후 연구 주제를 제언한다. 2009년부터 2019년까지 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된 총 66편의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주목할 만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주제로는 노동자 저항 및 파업, 공회(중국 노동조합) 개혁, 신세대 농민공, 단체협상, 노동NGO, 임금 및 근로조건, 국가 간 비교연구, 해외진출 중국기업 노무관리 등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2) 방법론 측면에서는 인터뷰, 참여관찰, 사례분석 등 질적 연구(56%)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3) 노사관계 학술지가 중국 노사관계 연구성과의 출판과 공유에 있어서 본격적인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면서, 인접학문(정치학, 사회학, 경제학, 법학 등)에서 중국 노동문제를 다루던 학자들도 활발하게 노사관계 학술지에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상의 세 가지 특징은 노사관계학의 오랜 전통인 노동 현실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해결방안 추구, 학제 간 연구 지향과 조응한다. 본 연구는 추후 연구과제로 1) 중국과 기타 구사회주의 국가(가령, 베트남, 헝가리, 폴란드 등)의 노사관계 비교 연구, 2) 중국 전역에 다양한 업종과 다양한 규모로 진출한 한국기업 대상의 체계적인 설문조사 연구, 3) 노동환경 변화에 따른 중국진출 외국기업 및 외국기업협회의 전략적 선택, 4) 국가 하위단계 수준의(sub-national level) 연구, 5) 최근 디지털 신경제를 반영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conducts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of China’s labor relations for the last 10 years and offer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 focus on 66 articles published in six major industrial relations journals between 2009 and 2019. China watchers have witnessed fundamental changes in China’s labor relations since the early 2000s. Although various reports from research institutes, media, and private companies in Korea covered emerging issues in China’s labor relations, they did not fully address overall institutional changes and major issues in IR(such as major actors,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seeks to offer an in-depth review of 66 articles which represent recent Western scholarship, from 2009 to 2019. Our analysis shows that the major topics addressed in recent studies include wildcat strike, labor protests, labor unions(ACFTU), new generation of migrant workers, collective consultation, labor NGOs, wage and working conditions,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and Chinese companies’ IR in host countries. Methodologically, qualitative study was dominant(56 percent). Regarding research outlet, we found that IR journals have gradually become major outlets for studies of China’s labor relations. Regarding future research we suggest that more attention be paid to comparison of China and post-socialist countries, systematic analysis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sub-national variation in China’s labor relations, foreign company associations in China and their strategic choices, and new economy and its impact on China’s labor.

      • KCI등재

        중국의 산학협력 과학기술 연구 분석 SCI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은종학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3 중소연구 Vol.37 No.1

        This study analyzes China’s university-firm research collaboration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across various scientific research fields (macro level analysis), the structure of intra- and inter-national networks (meso level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ey participants from both academic and business sides (miro level analysis). For this, I collected relevant data from the Web of Science DB which contains bibliographic information about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SCI-indexed journals, and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es. Moreover, in order to gain more concrete understandings of the cognition and behavior of the Chinese universities and industrial firms participating in university-firm collaborative research, I conducted a series of interviews with key scientists in selected few institutions in China.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hina is distinct from the global average in terms of the main fields where university-firm research collaboration occur, which indicates the Chinese uniqueness. However, the difference has gradually diminished as time goes by. I also found that the Chinese research universities lead the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 while the special purpose univers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earch collaboration with domestic firms. The Chinese firms that participate in research collaboration with academia seem to have not only increased in number but also expanded in scope including private firms in medium- and low-tech industrial sectors. 본 연구는 국제적인 과학기술 학술지에 발표된 중국의 산학협력 논문을 분석해중국 산학협력의 학문영역별 분포(거시적 측면)와 국내 및 국제 협력의 구조(중시적 측면), 그리고 중국 산학협력 주요 참여주체의 특성과 행위패턴(미시적 측면)을분석하였다. 공식 통계자료의 부족 속에서 본 연구는 Web of Science DB로부터직접 자료를 추출하여 수리분석을 수행하고, 주요 산학협력 참여주체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확인하였다. 중국은 자국의 필요에 따라 남다른영역에서 산학협력 연구를 수행하고 있지만, 그러한 중국의 독특성은 ‘고립’으로귀결되지 않고, 외부로 열린 중국의 국제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완화되고 있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 속에서 중국과 세계 일반의 산학협력 연구는 그 내용면에서 수렴하고 있다. 중국 내륙의 유수 연구중심 대학들은 (과거 홍콩 대학들의 역할을 부분적으로 대신하며) 국제적인 산학협력 연구를 주도하기 시작하였으며, 긴밀한 산학연계의 역사적 유산을 갖고 있는 전업성 대학 등이 국내적인 산학협력 연구를 지속하는 한편 그 학문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연계대상의 범주도 확대해가고있다. 한편 중국의 대형 국유기업 뿐 아니라 고기술 및 중저위기술 산업영역의 민영기업들도 산학협력을 전략적으로 수행해가고 있다.

      • KCI등재

        Korean Studies in China: Based on Chinese-Language Journals 1992-2022

        Xuejing Li,Yongbin Xu 한국언어연구학회 2022 언어학연구 Vol.27 No.2

        In the 30 years after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Korean studies in China have made substantial, high-level and extensive academic achievements. However, due to reasons such as a language barrier,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studies in China and the world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pecial time node of 2022,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the development history of Korean studies in China and introduce it in English for reference by international researchers engaged in Korean studies. Korean studies in China still have defects such as unbalanced development of ologies, insufficient original research and unclear international positioning.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vestment in aspects such as ology construction, research qual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o as to improve the existing problem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due to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Chinese researchers are able to play their unique role in the academic dialogu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studies, which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the world.

      • KCI등재

        【역해】 귀츨라프:세 번째 중국연안 항해의 기록 (2)

        민정기 중국어문논역학회 2018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2

        This work is a translation, annotation, and a commentary on the latter part of the journal of missionary and “Philosinensis” Karl Gützlaff’s third voyage along the coast of China, which was made between 20th October 1832 to 29th April 1833. Whereas the former part of the journal relates incidents of contact with natives of Shandong (山東) peninsular and Bohai (渤海) area amidst cold, harsh weather, and possibilities of shipwreck, the latter part of the journal relates contacts made and missionary works done in Hangzhou (杭州) bay area, where the weather and receptions by the natives were both much warmer. Gützlaff had already visited Hangzhou bay area on his second voyage along China’s coast earlier the same year aboard the Lord Amherst of the British East India Company. A great part of accounts of Hangzhou bay area in his journal of the second voyage is focused on negotiations made with Chinese officials since the objective of the trip was to request the expansion of trade. In this journal of his third voyage, accounts regarding Hangzhou bay area and Zhoushan (舟山) archipelago are centered around missionary works among the common people and excursion into Putuo (普陀) island, which is one of the sacred places of Chinese Buddhism. What is noteworthy in Gützlaff’s accounts of contacts with natives and his missionary works, is the recurring narrative of book distribution where the depiction of a welcoming crowd and their yearning for missionary books stand out. Such narrative although has the typical frame of present and reception between the West and the Rest, also at the same constructs a subject that moves proactively for its own salvation/enlightenment. And the fact that in the narrative the important medium of constructing that proactive subject is none other than literature/books is very important. It is quite interesting to see that Gützlaff has foreseen recent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modern China, that it’s reform and revolution was a process of active learning and adapting by leading intellectuals and not a result of passive response. 본 역해는 선교사 카를 귀츨라프(Karl Gützlaff, Charles Gutzlaff, 1803~ 1851)가 1832년 10월 20일부터 1833년 4월 29일까지 6개월여에 걸친 자신의 세 번째 중국연안 여행을 기록한 글의 후반부에 대한 번역과 주석, 그리고 해설이다. 이 글의 전반부가 산둥(山東) 반도와 보하이(渤海) 만 지역에서 혹한과 난파의 위험 속에 이루어진 현지인들과의 접촉을 서술하고 있다면, 후반부는 보다 온화한 기후의 항저우(杭州) 만 일원에서의 접촉과 선교활동을 기록하고 있다. 항저우 만 일원은 동인도회사 선박인 로드 암허스트(Lord Amherst) 호에 승선해 이루어진 두 번째 여행 때 들렀던 곳으로, 그때는 통상 타진이 주 임무였던 터라 관련 기록 역시 중국 관원들과의 갈등과 협상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반면, 세 번째 여행의 기록에서는 이 지역에서의 민간 선교에 관한 기술과 중국의 불교 성지 가운데 하나인 푸퉈산(普陀山)에서의 활동에 관한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서적 배포 서사’로, 민간의 환영과 선교서적에 대한 열광적인 요청이 두드러진다. 이와 같은 서사는 전형적인 근대 서양과 비서양 지역 사이의 증여/시혜와 접수/감화라는 이야기 틀을 가짐과 동시에 구원/계몽을 향해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주동적인 주체를 구성하고 있다. 특히 그와 같은 주체를 구성하는 매개가 글/서적이라는 점은 대단히 중요하다. 근대 중국의 개혁/혁명이 이식 혹은 수동적 반응의 결과가 아니며 선구적 식자층이 서구로부터 적극적, 주동적으로 배워 중국의 형편에 적응시킨 결과라는 최근의 중국 근대화 서사를 아편전쟁 이전에 귀츨라프의 여행기가 선취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 KCI등재

        “구망 (救亡)”과 “계몽”으로 접근한 중국 다큐멘터리사진 약사

        김광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This paper will observe the history of documentary photography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s of salvation and enlightenment. First of all, it will discuss the definition of documentary photography and its adaption in history. And then, it will answer how documentary photography was settled down in China, what kind of processes documentary photography has been experienced, and what kind of aspects it has presented in history. It will also contrast the histories of documentary photography and of “documentary photography”, which transforms into journal photography(or political photography). In doing so, the history of documentary photography in China could be studied in the relation between metanarrative and micronarrative. Besides, documentary photography will b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salvation and enlightenment. The discussion would be limited in the specific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ranging from 1980s and 1990s, because the documentary photography after 1980s and 1990s is the extension of the documentary photography from the 1980s and 1990s. Based on the belief that documentary photography could record the historical facts “correctly”, documentary photography has well developed in China. The study could reveal the senses of time and facts because of such specific context tangles with history, culture, and politics. Epistemologically speaking, the senses of time and facts would be changed with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 things. In other words, the senses are also “subjective”. In conclusion, the semantic analysis of documentary photography is about how the artist perceives the historical facts. That is to say, the senses of “fact” and “document” are in-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percep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documentary photography in China from the epistemic perspectives of salvation and enlightenment. Considering that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perceive documentary photography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s of salvation and enlightenment at home and abroad, it could be regarded as a poetic study. 본 연구는 중국의 다큐멘터리사진 역사를 “계몽”과 “구망(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함)”의 이중주로 살펴본 것이다. 아울러 그것을 몇개 덩어리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는데, 1) 먼저 다큐멘터리사진의 명칭의 함의와 그 수용사를 논한 다음 2) 중국적 상황속에서 다큐멘터리사진이 어떻게 정착 되었으며 3) 격동의 시대에 어떤 역사적 과정을 겪어왔으며 4) 현대다큐멘터리사진은 어떤 양상을 보여주는가가 그것이다. 아울러 본고는 다큐멘터리사진과 저널리즘(정치보도)사진으로 전유된 “다큐멘터리”사진의 역사를 대비시키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거대서사와 유사미시서사의 관계로 중국 다큐멘터리사진의 역사를 깊이 있게 분석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구망(救 亡)”과 “계몽”의 관계로 관련 작품을 분절한 것은 다큐멘터리사진을 구체적인 역사적 사회적 지평에 놓기 위함이다. 본고는 1980년대와 1990년대까지를 연구범위로 할 것인데 이는 지면의 한계이기도 하거니와 또 그 이후의 다큐멘터리사진도 그것의 연장선에 서있기 때문이다. 기록성과 사실성을 중시하는 다큐멘터리사진은 중국적 상황 속에서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는데, 이는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 속에서 “시대성”과 “사실성”이드러나는 과정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다큐멘터리사진의 의미 분석은 예술가가 어떤 역사(시대)적 지평에 서서사실을 어떤 시점으로 바라보는가에 대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사실성”과 “기록성”은 간(间) “주관”적인 것만큼 간(间) “객관”적인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연구자는 “구망”과 “계몽”이란 시대적 기후(에피스테메)로 중국 다큐멘터리 사진약사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국내외적으로 중국다큐멘터리사진을 “구망”과 “계몽” 으로 분석한 논문은 처음일 것이니 본고는 시론적 연구에 속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