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에서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윤혜선 ( Yoon Hye-sun ),김예진 ( Kim Yeh-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3 No.4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중 무용의 적용에 관한 연구 동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무용의 적용형태와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의 범위를 국내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의 범주에서 진행하였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한 통합적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를 위한 주요 검색어로 유아 대상 ‘통합예술교육’ 관련 프로그램 연구로 간주할 수 있는 주제어를 선정하여 조사하였으며, 도출된 연구물 중 프로그램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명시된 논문을 선별하여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논문의 발표연도 분석결과, 2001년부터 2015년도 까지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총 연구물 중 과반수이상의 연구가 2011년도 이후에 진행되었다. 그리고 연구논문의 발표형태 분석 결과, 예술관련 학과의 박사 학위논문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예술관련 학회의 연구에 비해 부족하였다. 둘째, 학문분야간의 통합적 적용형태를 분석한 결과, 예술-비예술의 통합적 구성이 예술-예술의 통합적 구성 비중보다 높았으며, 통합된 학문분야의 종류는 예술분야의 경우 무용, 미술, 음악, 극놀이, 미디어, 문학으로 분류되었고, 비예술분야는 수학, 과학, 치료, 언어, 기타 등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무용의 통합적 적용형태의 분석 결과, 무용과 비예술 학문 간의 통합적 구성보다 무용과 다른 예술 학문 간의 통합적 구성 비중이 높았고, 무용의 통합적 구성형태의 분석 결과, 음악, 미술, 문학, 극놀이와 무용을 통합한 예술교육의 구성 형태가 가장 많았다. 또한 통합적 예술교육에서 무용의 적용 방법은 유아가 스스로 탐구하며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넷째, 통합적인 예술교육에서 무용 활동을 누리과정의 5개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예술경험영역과 신체운동건강영역의 활동이 가장 많았고, 무용을 적용한 통합예술교육의 효과는 심미적 활동이나 상징적 표현활동과 같은 예술소양증진에 대한 효과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유아 대상 통합적 예술교육에서 무용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s and forms of applications of dance by conducting an intensive analysis focused mainly on research trends on the application of dance of studies o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infant conducted in our country from 2001 to 2015.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category of domestic doctoral thesis and academic journals papers. In addition, keyword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studying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infants as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Of the selected papers, those that specified the contents of program of research materials derived were analyzed. The mai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analysis of the publication year of research papers revealed a steadily increasing trend of number of research from 2001 to 2015, and the majority of studies of total research materials have been conducted since 2011. The results of analysis on presentation form of research papers showed that interest and research in programs development conducted in doctoral thesis of art related department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study of art related society.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tegrated application form between academic discipline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integrated composition of art.non art was higher than integrated composition of art-art. Integrated disciplines for the arts were classified as dance, art, music, dramatic play, media, and literature. Mathematics, science, therapy, language, and so on were classified as non-artistic fields.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tegrated application of dance forms show that, the percentage of integrated composition between dance and other art disciplines was higher than integrated composition between dance and non-art disciplines.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tegrated composition of dance forms revealed that composition form of art education integrating music, art, literature, dramatic play and dance was the most common. In addition, the application method of dance in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mainly utilized as the method for infants to explore themselves and engage in free play. Fourth, the results of analyzing dance activities based on five areas of Nouri process in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activities of art experience field and body exercise health field were most common, and the effect of integrated art education applying dance was shown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improving arts literacy like aesthetic activities or symbolic represent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meaningful basic data in exploring effective ways of applying dance to the future integrated art education for infants.

      • KCI등재

        영유아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대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

        박선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영유아기의 통합예술교육은 그들의 창의성 향상, 전인격체로의 성장, 융통성 발달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장점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이 그리 높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부모의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연구를 통하여 통합예술교육의 효과와 내용, 필요성 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이며, 서울시 거주 미취학 자녀를 둔 학부모 2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로는 학부모들의 영유아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 예술교육의 중요성 및 예술적 창의성에 관한 이해 부족, 영유아 통합예술교육의 비용에 민감한 반응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합예술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고, 영유아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수준, 다양성, 공급량 측면에서 아직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많다고 응답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모의 영유아 통합예술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여 국내 영유아 통합예술 프로그램 대중화 및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Integrated arts education during early childhood helps improve creativity, growth as a whole person, and flexibility. Until now,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in early childhood, parents perceptions about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arts education by studying this part.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verifying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through survey with par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bout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during early childho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9 parents with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turned out that the parents had a lack of awareness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and equipped their children with learning education rather than arts educa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y are lacking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artistic creativity and show a sensitive reaction to the cost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Therefore, it is noted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the consensus of the public concerning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This study figures 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domestic integrated arts education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integrated arts areas during early childhood.

      • KCI등재

        예술통합 무용교육 방법론 연구

        한혜리 韓國舞踊敎育學會 2011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ith the theme of methodology of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is to suggest basic frame of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This study was proceed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ground for integration of the arts, in this way that goal of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and composition principle of education content were explored and then, methodology of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was suggested.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would be education method where goal of education is set and its content is planned considering condition of objects - goal is based on values achieved when one experiences dance without disassembling forms of the arts. Achievements in the 3 categories such as education, culture, and the arts can be set as composition principle of education content in the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It would be infinite to develop content of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based on mutual supplementation, openness in thinking, and continuity of education in these 3 categories. The study results of methodology of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is possible because every art has common factors. The common factors suggested in this study are sense recognition, symbolization, and communication. Second, Composition of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should meet 3 principles such as mutual supplementation, openness in thinking, and continuity of education in the categories of education, culture, and the arts. Third, Education methods in the dance education through integrating the arts can be developed based on six response objects such as substance, material, sound, data, linking them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arts.

      • KCI등재

        대만 초등미술교육의 변천과정 : 1945년 해방 이후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김은경(Eun-kyung,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3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 시기 이후 대만의 초등미술교육 변천과정을 제도적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한국 미술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945년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인해 대만에 대한 지배권은 중국 국민당 정부 로 환원되었다. 국민당 정부는 일본의 잔재를 척결하고 새로운 중화민국의 건설을 위해 삼민주의 정신에 기반을 둔 중화민국 국민으로서의 민족정신 함양을 대만 교육정책의 근간으로 삼았다. 이에 대만의 초등미술교육도 중화문화건설을 중심축으로 하여 정치 사회 경제적 요구와 함께 외국의 예술교육사상을 수렴하면서 발전하였다. 즉 해방이후 대만의 초등미술교육은 중국예술에 대한 이해 및 감상교육과 더불어 아동의 자유로운 표현을 강조하는 창의성중심 미술교육, 미감육성을 위한 감상교육, 예술의 본질탐구를 위한 학문중심 미술교육, 다원 문화에 대한 인식교육 및 생활중심 미술교육, 나아가 예술 영역 간의 통합교육을 시도하며 예술교육을 통한 인문소양교육으로 발전해 나아갔다. 그러나 예술 영역 간의 통합교육과 예술교육을 통한 인문소양교육은 시행상의 문제를 불러일으켰고, 이에 대만 교육부는 예술교육의 정상화와 각 예술의 기본교육을 위해 단독교과로서의 시각예술교육을 허용하는 한편, 예술소양 함양을 통한 인문소양의 본질적 가치 구현으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대만 초등미술교육의 변천과정을 통해 국가발전과 미술교육을 위한 교육개혁은 교육과정의 체계 구축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에 앞서 실제 교육여건과 교사의 교육역량 등 제반조건들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Korean art education by reviewing, from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history of Taiwan elementary art education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 In 1945, Japan surrendered and gave dominion back to Taiwanese Kuomintang government. In order to remove the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Taiwanese Kuomintang government reestablished education policy to build up the national spirit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Accordingly, Taiwanese elementary art education promoted Chinese culture and also embraced foreign art education theories in accordance with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needs. After liberation, Taiwan elementary art education pursed the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Chinese arts,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arts integrated education. However, this kind of arts integrated educ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through arts caused various problems while being implemented. Thus, the Taiwan Ministry of Education permitted subject-divided education system to normalize art education. The series of changes in Taiwan elementary art education showed that for educational reform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art education, not only innovative curriculums but also general conditions such as actual education conditions and the competency of teachers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교과와 예술을 통합한 수업의 실제-'독도 프로젝트' 사례 중심으로-

        김외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7 No.-

        This study discuss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an art-integrated education focused on the case of ‘Dokdo Project’ carried out integrating subject and art. Recently, in the academic world and field, the movement pursuing the integration between art and subject has been actively discussed. However, since there are insufficient considerations of integrated approaches fitt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rt curriculum,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properly through integrated art education. Thus,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that issue-based art education with integrated approaches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can develop art integrated education. For this purpose, it first discusses artistic experiences in art education. Also, it sheds light on the need and direction of art-integrated education and suggests that issue-based art education can be a realistic and practical way of integrated approaches. In addition, based on data and interviews that observed and analyzed ‘Dokdo Project’ carried out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presents the educational effect of an art integrated class. 본 논문은 교과와 예술을 통합하여 수행된 ‘독도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예술 통합 교육의 교육적 의미를 논의한다. 최근 학계와 현장에서 예술과 교과의 통합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예술 본래의 교과 목적에 맞는 통합적접근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통합적 예술교육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이 제대로 실현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적 체험을 통해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쟁점중심 미술교육에 의해 예술 통합 교육이 전개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논의하기 위해서 먼저 미술교육에서 예술적 경험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예술 통합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조명하며, 쟁점중심 미술교육이 통합적 접근의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수행된 ‘독도 프로젝트’를 관찰하고 분석한 자료, 인터뷰를 근거로 본고에서는 예술 통합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케네디센터 CETA 프로그램의 통합예술교육 방법론에 관한 고찰

        오세준 한국무용교육학회 2018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29 No.1

        This study examines the method of Arts Integration in the Changing Education Through the Arts (CETA) program of the Kennedy Center. Examining this method leads to reflection on some issues on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Tonghap yesul kyoyuk) in Korea. Munwha yesul kyoyuk (Cultural Arts Education) in Korea and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pursued as part of munwha yesul kyoyuk have greatly been influenced by Western discourses. As for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Tonghap yesul kyoyuk),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t has been influenced by the concept of Arts Integration pursued in CETA at the Kennedy Center.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in Korea, which is at first probably is a mere translated version of Arts Integration at the Kennedy Center but is now considered as an indigenous concept by many people, has not reached a consensual defin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confusion caused in the Arts Integrated Education in Korea, practitioners and theoreticians in munwha yesul kyoyuk (Cultural Arts Education) need to understand the following. First, by nature the Arts Integration of the Kennedy Center is for helping students to get knowledge of academic subjects easily, rather than for the arts for art's sake. Second, the method of the Kennedy Center does not demand the arts to deconstruct their ‘genre’. Rather, it encourages students to be accustom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Third, as the Korean word tonghap, the Korean translation of ‘integration’, tends to be understood as ‘removing borders’, tonghap yesul kyoyuk also tends to mean to many people ‘a new style of art in which the arts lose their peculiar forms’. Understanding these will help Koreans as a start point of the Koreans' building the identity of their Arts Integrated Education.

      • KCI등재

        미술관 환경미술 전시연계를 통한 초등학생 환경미술교육 사례연구

        조성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that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cases accompanied with environmental art exhibitions by art museums for elementary students affect to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meaning. In social interest and mood about ever-growing environmental problems,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s being embodied as an alternative in an environmental education connected with art educa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was conducted with the project, 'Planting Seeds of Life', an exampl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held by GwangJu Moodeung Museum of Current Art in 2018. Researcher found that self-experience is important along with change of cogni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of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referring participating students' works and their review. This paper summarizes the following.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of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art, and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we will introduce the works submitted to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held at GwangJu Moodeung Museum of Current Art and examine the activities of the classes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s. Third, researcher will present various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rt museum education with the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exhibitions consisting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project 'Planting Seeds of Life' and students' participation. This study tried to broaden students' perspective on environmental ar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direct sympathy. Also I confirmed that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art related to environment and environment art education can have a common goal in terms of aesthetic awareness expansi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cological sensitivity. The environmental art festival discussed in this paper gives implications as not only a place to implement environmental education but also the extended aspect of culture art education in art museum.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의 환경미술전시와 연계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미술교육의 사례가 초등학교 현장의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그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환경미술교육은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 문제에 대한사회적 관심과 분위기 속에서 환경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미술교육과의 연계 속에서 구체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광주 무등현대미술관에서 진행한 2018년 환경미술제와 연계한 초등학생들의 환경미술교육의 사례인 ‘생명의씨앗 심기’ 프로젝트와 함께 진행된 환경교육을 다룬 것이다. 프로젝트 참여 학생들의 환경미술제 참여과정과작품, 참여 후기 등을 참고하여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된 추이를 살펴본 결과 환경교육은 인식의 변화와더불어 자기체험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으로환경교육, 환경미술, 환경미술교육의 전반적인 흐름들을 고찰한다. 둘째, 광주 무등현대미술관에서 진행된 환경미술제에 출품된 작품을 소개하고 초등학교와 연계된 수업의 활동과정을 살펴본다. 셋째, ‘생명의 씨앗 심기’ 프로젝트의 교수·학습 방법과 학생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환경미술제 전시작품의 결과를 통해 환경교육, 미술관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이해, 직접적인 교감 등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미술에 대한 시각을 넓혀주고자 하였다. 또한 환경 관련 현대미술의 방향과 환경미술교육이 미적인식의 확장, 환경 감수성, 생태 감수성이라는 측면에서 공통된 목표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환경미술제는 환경교육의 실천의 장으로서 그리고 미술관 문화예술교육의 확장된 측면에서도 시사점을 주고 있다.

      • KCI등재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 분석

        지성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rt teaching-learning model integrated with science for young children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art teaching-learning model integrated with science for young children on children's creativity, scientific competence, cognitive performanc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e art teaching-learning model integrated with science for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s I. Explorationㆍinquiryㆍdiscovery phase-> II. Analogical inference-representation phase-> III. Appreciation-discussion phase-> IV. Evaluation phase. It also developed the art integrated with sci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model. The art integrated with science education program maintains goalㆍobjective, education content, teaching-learning stage, teacher's role and evaluation system.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76 children whose mean age is 78.65 (SD=3.79) months from three classes in two kindergartens. The three classe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wo compare group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rt teaching-learning model integrated with science for young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by the art teaching-learning model integrated with science for young children. The element of art-centered art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compare group 1. The inquiry-centered science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compare group 2. It used 'Torrence Creativity Scale', 'Science Competence Inventory for Young Children', 'K-ABC'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Inventory' in collection of data.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Scheffé. Finally, the positive effects of the art teaching-learning model integrated with science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revealed. The scores of experimental group's creativity, scientific competence, cognitive performance abil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compare group 1 and compare group 2.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한 모형의 교육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수학습 모형은 탐색ㆍ탐구ㆍ발견단계-> 유추-미술표상단계-> 감상-토의단계-> 평가단계로 개발되었다. 개발한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수학습 모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두 개의 비교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수학습모형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 1에는 미술요소 중심 미술교육프로그램, 비교집단 2에는 탐구 중심 과학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의 월령은 78.65개월이었고 수집된 연구자료는 ANOVA와 추후분석은 Scheffé 검증을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융합한 유아 미술교수학습 모형을 처치한 실험집단이 미술요소 중심 미술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비교집단 1과 탐구 중심 과학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비교집단 2보다 유아의 창의성, 과학적유능감, 인지처리능력 그리고 그리기표상능력의 사후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자연친화교육 및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박선영,전유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3

        본 연구는 자연친화교육 및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 유아교사가 접근하고 있는 방식과 이에 대한 한계점 및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유치원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이를 전사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연친화교육과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활동의 접근방식에 대해 살펴보면 자연친화교육은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산책, 바깥놀이, 현장학습과 실내에서 동식물 기르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였고,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접근방식으로는 자연물을 활용한 조형활동 위주의 접근이 주로 이루어지고 음악이나 신체표현활동들도 일부 시도되고 있다고 밝혔다. 둘째, 자연친화교육과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활동의 한계점에 대해 살펴보면 교사들은 자연친화교육의 한계점으로 교사의 이해 및 부모의 인식 부족, 자연친화적 환경 및 관련 활동정보 부족, 수업 계획 및 운영의 어려움이라 밝혔고,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의 한계점으로는 교사의 이해부족, 수업 계획 및 운영의 어려움, 조형활동에 치우친 예술활동, 자연의 의미가 퇴색된 예술활동이라 밝혔다. 셋째, 자연친화교육 및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요구에 대해 살펴보면, 자연친화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자연친화교육, 매체를 활용한 자연친화교육을 제시하였고,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요구로는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의미와 가치 교육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자연친화적 통합예술활동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자연친화적 통합예술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service preschool (kindergarten) teachers teach and what demands and difficulties are when they teach young children nature-friendly education and nature-integrated art education. For this study, we transcribed, categorized, and analyzed interviews with 8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nature-friendly education was composed of walking around the kindergarten, outdoor play, field trip, and growing plants and raising animals indoors. The nature-integrated art education usually consisted of fine arts with natural objects and partially music and physical expression. Second, the limitations of nature-friendly education that teachers recognized were short in teacher understanding, parent awareness, related activities, difficulty of instruction planning, and class operation. The limitations of nature-integrated art education that teachers recognized were the lack of teacher understanding, difficulties in instructional planning and operating class, and art activities sided(confusing..) fine arts and a lack of value of nature. Third, teacher requests about nature-friendly education were pract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and available media. Their requests about nature-integrated art education were teacher education about meaning and value of that education and concrete natured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This program could be helpful for developing desirable nature-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예술교육의 다문화주의 실천 양상에 대한 비판적 논의

        정옥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5

        이 연구는 그동안 인종, 민족, 성, 계층의 문화적 고정관념과, 편견, 선입관을 탈피하고 사회의 통합과 복지를 위해 정책적으로 사용된 다문화주의 담론과 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예술교육의 역할을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문화산업시대 예술, 세계인식의 한 도구로서 예술의 역할의 관점에서 문화재생산으로서의 예술교육을 비판적 다문화주의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예술교육 실천 양상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문화예술교육’이라는 정책적 용어가 등장해야만 했던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요구 및 정서적 안정과 다문화교육 차원에서 소외계층들에게 제공되는 예술 체험교육 프로그램들을 문화 다양성과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반성적으로 논의한다. 현재 주로 지역사회의 문화예술부흥과 예술향유의 기회 확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교육의 실천 양상들은 문화예술교육정책, 여가와 웰빙, 예술통합교육, 지역사회 기반 및 연계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주의 실천들에 대한 반성과 다문화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이런 실천 양상들은 예술이 가져다주는 인간 삶과 문화의 이해를 고정된 전통적 교육방식이 아닌 현대 우리가 살아가는 지역과 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로부터 비롯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endorsing multiculturalism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of the division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newly emerging social classes among nations in the ‘cultural industry era’ formed by the proliferation of globalization. There is also a critical awareness of social problems and economic and cultural inequalities caused by excessive competitive knowledge-base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aspects of current practices of the role of arts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and examin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s practiced politically in order to rid cultural stereotypes, prejudices and bias that have been neglected while the spread of cultural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Firstly, it discusses the multicultural discourse and the art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Based on this, it examines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political term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d to be coined and practical aspects where the art education programs offered to the underprivileged class i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local culture and arts and arts appreciation. This discussion is considered from the critical perspective of the ultimate role of arts education on multiculturalism discourse, which consist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ies, leisure and well-being, integrated education, community based and connect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