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olving Hiatus in Kinyarwanda Morphology

        이민경 한국언어학회 2015 언어 Vol.40 No.2

        Lee, Minkyung. 2015. Resolving Hiatus in Kinyarwanda Morphology.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xx-xx, xx-xx. When two vowels are adjacent across a morpheme boundary, several ways of avoiding vowel hiatus are invoked; vowel gliding whereby either vowel becomes a glide, vowel coalescence where two vowels are fused together to become a third vowel and vowel deletion in which a less sonorous vowel is elided. As in other Bantu languages, in Kinyarwanda spoken in Rwanda and Burundi, vowel clash is resolved by various ways. Of particular interest is vowel coalescence which well conforms to serialism-oriented Optimality Theory(OT). To avoid an onsetless syllable, two steps of root node deletion followed by floating feature sharing are split off under two core principles of local optimality and gradualness. Furthermore, vowel elision is preferred when vowel gliding results in a complex onset, which incurs the OCP violation. In essence, the analysis provided here approves that serial OT can be extended and applied to the vowel phonology of hiatus resolution. (Daegu University)

      • KCI우수등재

        Resolving Hiatus in Kinyarwanda Morphology

        Minkyung Lee 한국언어학회 2015 언어 Vol.40 No.2

        Lee, Minkyung. 2015. Resolving Hiatus in Kinyarwanda Morphology.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xx-xx, xx-xx. When two vowels are adjacent across a morpheme boundary, several ways of avoiding vowel hiatus are invoked; vowel gliding whereby either vowel becomes a glide, vowel coalescence where two vowels are fused together to become a third vowel and vowel deletion in which a less sonorous vowel is elided. As in other Bantu languages, in Kinyarwanda spoken in Rwanda and Burundi, vowel clash is resolved by various ways. Of particular interest is vowel coalescence which well conforms to serialism-oriented Optimality Theory(OT). To avoid an onsetless syllable, two steps of root node deletion followed by floating feature sharing are split off under two core principles of local optimality and gradualness. Furthermore, vowel elision is preferred when vowel gliding results in a complex onset, which incurs the OCP violation. In essence, the analysis provided here approves that serial OT can be extended and applied to the vowel phonology of hiatus resolution. (Daegu University)

      • KCI등재

        R. L. 스테이플스의 웨슬리 성화론 재해석에 대한 비판

        배명지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3 조직신학연구 Vol.44 No.-

        John Wesley developed his theology through many articles, discussions, and sermons on the Sanctification theory. However, although it is this sanctification theory that is representative of Wesleyan Theology, it is the discussion of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this sanctification that has been prone to misunderstanding and confusion in the study of Wesleyan Theology until recently.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 correct establishment of this topic is essential above all for the powerful dissemination of the correct Wesley Sanctification theory.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analyzed and criticized Rob Lyndal Staples' doctoral dissertation, “John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a Reinterpretation”. Because the thesis he focused on was also about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but his discussion of whether the nature of instantaneousness was possessive or relational was a big misunderstanding of Wesley's own point of view. In this thesis, the researcher first examined the representative controversies from Wesley's time to the 20th century in order to examine the discussion on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in sanctification. And the researcher also dealt with scholars who approach these debates from a different level, but they focused on relationships rather than the existential approach of sinfulness regarding sanctification. Staples also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of Sanctification theory, and in this respect, he reinterpreted Martin Buber's philosophical concept in particular. Some of the important issues that researchers criticized Staples for are: Can Staples' instantaneous sanctification be regarded as Wesley's 'decisive' instantaneous sanctification? And is Staples' assessment that Wesley believed that instantaneousness of sanctification is achieved through faith, but that gradualness is achieved through works correct? Moreover, is it a correct interpretation that Staples characterizes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Wesley's Sanctification theory in terms of 'I-Thou' and 'I-It' by citing Buber?The researcher especially pointed out the injustice of Staples' criticism that Wesley himself contradicted the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the Sanctification theory. Staples emphasized that the way to solve the contradiction he pointed out was to reinterpret the momentary as a dimension of repeatable experience like Buber. However, this is a major misunderstanding of Wesley, the researchers noted. This is because, in the first place, the entire sanctification that Wesley spoke of was about the relational belief that one could be newly sanctified into Christ, not legally flawless perfection. The instantaneous experience of the entire sanctification experienced by faith that Wesley spoke of is what energized this love, and whil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gradual sanctification in faith, sanctification as the completion of the law and righteousness in Christ grows in perfect love for God and neighbors. Therefo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as suggested by Theodore H. Runyun and Henry H. Knight III, appropriately interpreting the dimension of instantaneousness and gradualness of Wesley Sanctification theory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can contribute to ending the ongoing debate on Sanctification theory. 존 웨슬리(John Wesley)는 성화론에 대한 많은 글과 논의 그리고 설교 등을 통해서 자신의 신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러나 비록 웨슬리 신학의 대표성을 지닌 것이 이 성화론이긴 하지만, 최근까지도 웨슬리 신학 연구에 있어서 오해와 혼선을 빚기 쉬운 주제가 바로 이 성화의 순간성과 점진성에 대한 논의이다. 연구자는 올바른 웨슬리 성화론의 힘 있는 전파를 위해서는 바로 이 주제에 대한 바른 정립이 무엇보다도 필수적이라고 본다. 이런 점에서 연구자는 스테이플스(Rob Lyndal Staples, 1925-2015)의 박사학위 논문인 “John Wesley's Doctrine of Christian Perfection, a Reinterpretation”를 분석하여 비평하였다. 왜냐하면 그가 주목한 논제도 웨슬리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에 관한 것이었는데, 그러나 그 순간성의 성격이 소유적인 것이냐 아니면 관계적인 것이냐에 대한 그의 논의가 웨슬리 자신의 관점을 오해한 점이 크다고 보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먼저 성화에 있어서 순간성 혹은 점진성에 대한 논의를 살피기 위해 웨슬리 당시부터 20세기까지의 대표되는 논쟁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 논쟁들을 좀 더 다른 차원에서 접근하는 학자들도 다루는데, 그들은 성화에 관한 죄성의 실체론적 접근이 아닌 관계성에 집중한 시각이었다. 스테이플스도 성화론의 관계성에 주목하였고, 이 점에 있어서 특히 마르틴 부버(Martin Buber)의 철학적 개념을 수용하여 재해석하였다. 연구자가 스테이플스에 대해 비판하는 몇 가지 중요한 문제 제기는 다음과 같다; 스테이플스가 말하는 순간적 성화라는 것이 과연 웨슬리가 말하는 ‘결정적인’ 순간적 성화라고 볼 수 있는가? 그리고 웨슬리는 성화의 순간성은 믿음으로 얻지만 그 점진성은 행위로 이루어간다고 보았다는 스테이플스의 평가는 올바른 시각인가? 더욱이 스테이플스가 부버를 인용함으로 ‘나와 너’ 그리고 ‘나와 그것’의 관점에서 웨슬리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을 특징적으로 규정한 것은 올바른 해석인가?연구자는 특히 스테이플스가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에 대해 웨슬리가 스스로 모순을 일으켰다고 비판한 점의 부당성을 지적하였다. 스테이플스는 자신이 지적한 그 모순을 해결하는 법이 부버적으로 그 순간성을 반복 가능한 경험의 차원으로 재해석하는 길이라고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웨슬리에 대한 큰 오해임을 연구자는 지적했다. 애당초 웨슬리가 말한 온전한 성화란, 율법적으로 흠이 없는 완전이 아니라, 그리스도로 새롭게 성화될 수 있다는 관계적 믿음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웨슬리가 말한 믿음으로 경험한 성화의 순간적 체험은 이 사랑에 동력을 불어넣은 것이고, 믿음 안에서 점진적 성화의 과정을 거쳐가면서 그리스도 안에서 율법과 의의 완성으로서의 성화가 하나님과 이웃을 향한 온전한 사랑 안에서 성장해 가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런연(Theodore. Runyon)과 나이트(Henry H. Knight III)가 제시한 것처럼, 웨슬리의 성화론의 순간성과 점진성의 차원을 관계론적으로 적절히 해석하게 되면 그동안 지속되던 성화론 논쟁을 일단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돈점 논쟁의 쟁점과 과제

        박태원(Park, Tae-w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돈오돈수를 천명한 성철의 돈점론 이후 전개된 돈점 논쟁에서, 그 핵심 논점은 결국 상호 연관된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된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圖頓信解)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가?’가 다른 하나이다. 해오를 지해라고 간주하여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은, 그 논거를 ‘지눌의 돈오는 해오이고 그 해오는 화엄의 원돈신해 관법을 그 내용으로 삼고 있다’는 데에서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을 사람들도, ‘지눌의 돈오는 화엄 원돈신해를 그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그의 돈오/해오는 화엄의 성기론적 이해를 담기 위한 것 혹은 그 결과’라는 관점을 널리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지눌의 돈오/해오를 화엄의 원돈신해와 등치시킨다는 점에서는, 성철은 물론 대다수 지눌 연구자들의 견해가 일치한다. 결국 ‘해오(解悟)/지해(知解)/해애(解碍)’를 동일시하는 성철의 견해에 대한 판단과 평가는, ‘화엄적 해오가 지해인가 아닌가?’에 어떻게 답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는 견해들은 ‘화엄적 원돈신해가 단순한 지해와는 다르다.’고 할 것이고, 성철의 관점에서는 ‘아무리 차이를 부여해 보았자 본질적으로 지해 범주를 못 벗어난다.’고 공박할 것이다. 돈오점수에 대한 성철의 비판으로 전개된 돈점 논쟁에는 그 핵심 논점을 둘러싸고 혼란이 존재한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아직 해소되지 못한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써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서는 돈점 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꾼 새로운 독법이 요청된다.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을 둘러싼 모호함과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은 기존의 논의 구조를 지탱하는 핵심 명제들을 재검토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한다. 특히 ‘지눌의 돈오는 화엄의 원돈신해적 해오’라는 명제를 재검토해야 한다. 만약 이 전제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면 논의의 틀 자체를 바꿀 수 있고, 그 결과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된다.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be condensed in two questions; One is “Is it reasonable to regard th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s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the other is “Is it sufficient to se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a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view of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 between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Wha-um’s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must first be reconsidered.

      • KCI등재

        돈점 논쟁의 독법 구성

        박태원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의 돈오돈수 주장 이래 전개된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은, 내용상 상호 연관되어 있는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분별 알음알이인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 가?’가 다른 하나이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돈점 논쟁에 내재한 혼란을 해소하고 돈점 논쟁을 새롭게 읽기 위한 독법의 구성이 요청된다. 필자는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조건으로서 ‘언어와 분별의 관계’ ‘분별의 통로’ ‘분별 극복의 방식’을 주목하였다. 선종 선문을 비롯한 모든 불교전통의 관심은 결국 ‘분별로부터의 해방’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 돈점 논쟁의 주역인 선종 선문이 주창하는 돈오 견성의 관건도 결국에는 ‘분별’ 여부에 있고 성철의 지눌 비판 논거인 ‘지해(知解)/해애(解碍)’도 분별을 특징으로 하는 앎/이해라는 점, 그리고 분별과 지해는 결국 언어를 떠나 논할 수 없는 ‘언어의 문제’라는 점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구체적으로는 ‘언어와 분별문법의 형성’ ‘분별의 두 가지 통로 - 이해/관점에 의한 분별과 마음에 의한 분별’ ‘분별 극복의 두 가지 방식과 언어 - 혜학적 방식과 정학적 방식’의 문제를 불교적 사유로 다루어 보았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독법으로 돈점 논쟁을 읽으면, 지눌의 돈오가 혜학과 정학의 두 가지 맥락에서 펼쳐진다는 것, 그의 돈오는 두 지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별하여 접근해야 한다는 관점을 수립할 수 있는 동시에, 돈점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아울러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검토/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 view of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the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I set forth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dividing grammar’ ‘the two way of dividing - dividing by understanding/view and dividing by mind’ ‘the two overcoming methods of dividing and language - the method of wisdom practice(慧學) and the method of concentration practice(定學)’ upon the Buddhist philosophy. This new way of reading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open a new way which can re-investigate and re-appreciate Chi-nul(知訥)’s Seon(禪) philosophy, hi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and Sung-chul(性徹)’s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頓悟頓修), the meaning of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the meaning of Gan-wha-seon(看話禪), and the practice theory of Buddhism.

      • KCI등재

        정도성에 의한 음소 대립

        김봉국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8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gradual opposition on phoneme in Korean regional dialects. There is not only privative opposition but also gradual opposition in Korean. This study especial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gradual opposition through dialect data. In Korea, Gradual opposition on phoneme is classified by phonological environment, utterance situation, lexical diffusion. 이 글은 실제 다양한 방언 자료를 검토하면서 음소들의 대립 여부를 정도성에 의한 대립으로 볼 가능성이 있음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음소의 대립 관계에 대해 방언 자료를 검토해 보면 단순히 유무 대립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정도성에 의한 대립도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정도성에 의한 음소 대립은 다시 음운론적인 환경에 의한 대립, 발화 상황에 의한 대립, 그리고 어휘 확산에 의한 대립으로 나뉘는데, 방언 자료의 구체적인 예를 통해 정도성에 의한 대립 여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Variation and optionality in serial interaction

        Minkyung Lee 한국음운론학회 2011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17 No.3

        The architecture of Harmonic Serialism (HS), a derivational version of OT, hinges upon harmonic improvement of parallel OT and a serial derivation of rule-based grammar. Under gradualness, Gen is forced to produce a limited candidate set with a single modification at a time. Through the multiple passes of Gen and Eval, optimality in HS is always determined in a gradual, local, and consistent mode. Given this HS tenet, (dialectal) variation and (intra-speaker) optionality reflect HS's local optimality. Both variation and optionality cause multiple optima on the surface but they adopt different harmonic improvement paths. Optimality in variation is entirely local and harmony ascent is gradually achieved via an invariant hierarchy but a different grammar from dialect to dialect. On the other hand, multiple optima from optionality are half local with a gradual harmony ascent and the other half global with ultimate harmony at once.

      • KCI등재

        Dialectal Variation and Harmonic Serialism

        Min Kyung Lee 언어과학회 2011 언어과학연구 Vol.58 No.-

        Harmonic Serialism (HS), a derivational version of OT, achieves optimality in a gradual, local, and consistent mode. Unlike parallel OT hinged upon globalism, serial OT allows a step-wise derivation through the multiple passes of Gen and Eval loop, which guarantees local optimality. Targeting the data of Korean vowel umlaut involving dialectal variation where general Gyeongsang Korean (GSK) prefers umlaut while conservative Seoul Korean (SK) disfavors umlaut, HS provides a new insight that dialectal difference in umlaut is closely pertinent to different harmony achievement processes. Given the HS`s basic architecture of gradualness and harmonic improvement, maximal harmony in GSK is realized via a gradual path while SK achieves optimality via globalism. (Daegu University)

      • KCI등재

        Chains, Prec, and Icelandic Opacity

        이민경 ( Min Kyung Lee ) 대한언어학회 2011 언어학 Vol.19 No.3

        If no special mechanisms are adopted, opacity is left unresolved in Parallel OT due to the lack of an intermediate level of represent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However, in OT with the regime of candidate chains obeying gradualness and harmonic improvement, opacity is not in a chaos in that the violation of faithfulness constraints in a chain is referable. Furthermore, Precedence (Prec) constraint plays a key role as a filter to get rid of the chains disobeying the violation order of faithfulness constraints. Targeting the data of Icelandic opacity where overapplication and underapplication arise in the rule relation of /Y/ -epenthesis, it is claimed that candidate chains and Prec constraint are responsible for opacity phenomena in Icelandic and that no back-door introduction of any special mechanisms is necessary. In essence, opacity is attributed to the violation order of faithfulness constraints in a chain.

      • Harmonic Serialism에 관한 연구

        김진두 韓國交通大學校 2013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8 No.-

        In this paper we discuss Harmonic Serialism, which is a derivational version of Optimality Theory. The rule-based theory such as SPE consists of rules and derivation from underlying form to surface form. but OT focuses on the constraint, GEN and EVAL. Harmonic Parallelism or Classic OT connects the input to the output directly and has no intermediate representation. Therefore it has only one time chance among GEN and EVAL. However, Harmonic Serialism adopts intermediate levels between them and repeats recursive generation between GEN and EVAL until convergence. The main principle of HS is gradualness, which is one thing at a time requirement. Especially about faithfulness constraint requirement such as insertion or deletion. Gradualness allows only one unfaithful operation at a time. In addition, harmonic improvement and local optimality are main points, which are also applied to HP. We have explained some phonological phenomena by means of HS. For example we have main concern about chain shift, syncope-stress interaction, and syncope and resyllabication. These data can be more easily explained than that of HP. However, resyllabication and harmonic ascent can not be more easily explained by 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