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영선 ( Young Sun Shin ) 한국음악학회 2011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46 No.-
19세기 후반 활동했던 프란츠 리스트와 칼 프리드리히 바이츠만은 동시대의 작곡가와 이론가의 관계이다. 특히, 바이츠만의 1853년 논저는 증3화음에 대한 작품과 이론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은 관계로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츠만의 이론에 대한 내용이 리스트 음악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연구하였다. 먼저 1853년 바이츠만의 논저에 대해 간단히 요약정리하고, 논저가 출판되기 이전과 이후의 리스트의 작품 경향은 어떠했는지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바이츠만 논저의 이론을 토대로 리스트의 후기 작품 <회색 구름>을 분석해 보았다. In late Nineteenth-century, Franz Liszt and Carl Friedrich Weitzmann are contemporary composer and music theorist. In particular, Weitzmann`s treatise that published in 1853 influenced by the Liszt`s work appeared in augmented triad. And Weitzmann`s treatise had an actual effect on Liszt later. In this paper, I studied how Weitzmann`s theory was applied in Liszt`s practical works. This study progresses as follow as three stages. First, I make a summary of Weitzmann`s treatise that published in 1853. Second, I inquired into what a Liszt`s works tendency is, at that time of before and after that Weitzmann`s treatise was published. At last, I analysis of Nuages Gris, composed in 1881 by Liszt, on the basis of Weitzmann`s concept.
신혜승 ( Hye Seung Shin ) 세계음악학회 2011 음악과 문화 Vol.25 No.-
This paper purposes to attempt new description of Liszt`s music through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So far, as a Pianist, composer, teacher, conductor, writer and musical administrator, Liszt enlarged everything that he touched. Liszt composed with the outlook of a performer, and performed with the insight of a composer. And through his many benefactions he advanced the dignity of the profession. First, I try to redefine Liszt`s reputation as a virtuoso, and then as a orchestral composer. Further, this paper attempts to view a new change of Liszt`s music in view point of cultural theory of Homi Bhabha (1949-). This paper introduces ``hybridity`` emerged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introducing Homi Bhabha`s use of the term. Bhabha`s cultural theory emphasized on ``variety`` in composition of culture. By applying this theory, this paper redefine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Liszt`s music as com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esthetische und Kompositionstechnische Aspekte der Palestrina-Rezeption bei Franz Liszt
페터 아커만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2 音樂論壇 Vol.27 No.-
Franz Liszt's first critical opinions on the practice of church music of his time, supported by its broad, socially established political and artificial commitment for reforms. In the popular programmatic music of the times, the aesthetic, compositional, and liturgical dimensions of themes are unfelt. But when asked what church music is, Liszt's idea already targeted, despite the utopian gesture context, spontaneously on the Music in the past. The concept of church music from Liszt means from the church works of Palestrina to Mozart's and Haydn's age.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how Liszt phased the past church music in his own composition structure.
미학적, 작곡 기법적 관점에서 본 리스트의 팔레스트리나 수용
이은주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2 音樂論壇 Vol.27 No.-
Franz Liszt's first critical opinions on the practice of church music of his time, supported by its broad, socially established political and artificial commitment for reforms. In the popular programmatic music of the times, the aesthetic, compositional, and liturgical dimensions of themes are unfelt. But when asked what church music is, Liszt's idea already targeted, despite the utopian gesture context, spontaneously on the Music in the past. The concept of church music from Liszt means from the church works of Palestrina to Mozart's and Haydn's age.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how Liszt phased the past church music in his own composition structure. 프란츠 리스트 시대의 교회 음악에 대한 그의 첫 비평적 입장 표명은 정치, 예술적 개혁에 관한 그의 사회적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당시 유행했던 프로그램 음악에서는 주제가 가지고 있는 미학적, 작곡 기법적, 문학적 영역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그러한 주위 배경의 절대적인 유토피아로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교회 음악이 무엇인가 라는 물음에 있어 리스트의 사상은 자연스럽게 과거의 음악으로 향한다. 리스트로부터 교회 음악의 개념은 팔레스트리나부터 모차르트, 하이든 시대까지의 종교 작품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 리스트가 어떠한 방식으로 과거의 교회음악을 자신의 작곡 구조 안으로 도입시켰는지를 연구하려한다.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재조명 : 리스트에 대한 오마주
김현주 한국서양음악학회 2021 서양음악학 Vol.24 No.1
Sergei Rachmaninoff’s 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1934) pronounces its borrowing overtly in its very title: the last of Paganini’s 24 Caprices for solo violin in A minor. Yet this article reorients the previous focus on Rachmaninoff’s engagement with the Paganini associations toward his alignment with the tradition of Liszt, his virtuoso pianist– composer predecessor. The rhapsody is indeed abundant in allusions and references to two composition by Liszt in the same genre, virtuosic variations: his Grandes Études de Paganini No. 6 and Totentanz. Adapting the methodology of musical borrowing as a field that has been developed by J. Peter Burkholder, this article elucid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hapsody and his Liszt models largely in three categories of evidence: (1) the biographic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to deepen Rachmaninoff’s connections to his Liszt models, (2) interpretative and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analytical evidence, investigating how Rachmaninoff uses and treats the existing material; and (3)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borrowed material in Rachmaninoff’s versions and the aesthetic purposes of his reworking. All three aspects of the discussion demonstrate how Liszt’s features, ideas, and technique provided a means for Rachmaninoff to learn and emulate traditional styles and genres, paying homage to his fellow virtuoso pianist–composer and opening up a new direction for his engagement with the Liszt tradition in relation to modernism.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1934)는 그 제목 자체에서 이미차용의 출처를 명백하게 밝히고 있으며 그것은 잘 알려진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24번 A단조≫이다. 하지만 이 글은 파가니니와 라흐마니노프의 관계에 대한 종래의 연구 방향을 전환하여 리스트와 라흐마니노프의 관계에 주목한다. 필자의 분석 결과 라흐마니노프의 랩소디는 리스트의 비르투오소 변주곡인 ≪파가니니 에튜드 6번≫와 ≪죽음의 춤≫에 대한 암시와 참고로 풍부하다. 피터 버콜더가 체계적으로 발전시킨 음악차용의 분야와 방법론을 응용하며, 필자는 라흐마니노프와 리스트의 관계를 크게 세 가지 증거의 범주에서 조명한다. (1) 정황적⋅역사적 증거에서모델이 되는 리스트의 작품들과 라흐마니노프의 관계를 공고히 한다. (2) 분석적⋅해석적 증거에서 라흐마니노프가 리스트의 작품들에서 어떠한 음악재료를 선택하고 사용했는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3) 차용된 재료의 기능과 목적에 대한 미학적 증거를 밝히며, 20세기 초 모더니즘의 맥락에서 리스트의 비르투오소 전통을 계승하는 라흐마니노프를 조명한다. 결국 (1)-(3) 의 논의는 라흐마니노프가 리스트 작품들을 참고하며 전통적 장르와 스타일을 공부, 모방, 재해석한 방식을 드러내며, 그의 선배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작곡가인 리스트에게 존경을 표하는동시에 모더니스트의 고유한 방식을 제시한 점을 보여준다.
신효영 ( Hyoyoung Shin ) (사)음악사연구회 2018 음악사연구 Vol.7 No.-
1837년경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피아노 비르투오소들은 오페라 곡의 피아노 편곡, 자기 과시형 연주 등으로 크게 인기를 끌었다. 리스트와 탈베르그의 피아노 연주 대결 행사는 이러한 맥락에서 큰 이슈가 되었으며 이 시대 비르투오소들 간의 과도한 경쟁을 볼 수 있었는데 이로 인해 흐려진 음악의 본질을 걱정하는 우려의 목소리 또한 함께 있었다. 리스트 (Franz Liszt, 1811-1886)의 편집곡 < 헥사메론: 벨리니 오페라 '청교도'의 행진곡에 의한 화려한 대 변주곡 S. 392 >(Hexameron : Grandes variations de bravoure sur le marche des Puritains S. 392, 1839)은 6명의 피아노 비르투오소들 - 리스트, 탈베르크(Sigmond Thalberg, 1812-1871), 피씨스(Johann Peter Pixis, 1788-1874), 헤르즈(Henry Herz, 1803-1888), 체르니(Carl Czerny, 1791-1857), 쇼팽(Fredrich Chopin, 1810-1849) - 의 오페라 편곡을 한 곡 안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이를 통해 1830년대의 피아노 비르투오소들의 문화와 음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n 1837, piano virtuosos fascinated the audiences in Paris by playing the paraphrases of Operas and showing off their techniques. A fiery showdown between Liszt and Thalberg became an issue that excessive competitions to the success in the public performance could be blurry in nature of music itself. Franz Liszt (1811-1886) composed Hexameron : Grandes variations de bravoure sur le marche des Puritains S. 392 (1839) with his 5 contemporary virtuosos - Sigmond Thalberg( 1812-1871), Johann Peter Pixis(1788-1874), Henry Herz(1803-1888), Carl Czerny(1791-1857) and Fredrich Chopin(1810-1849) - by using the march melody of Bellin's opera. Their collaborative work could be a good example to understand the culture and music of piano virtuosos in the 1830's.
리스트, 라벨, 드뷔시의 ‘물’ 이미지의 형상화와 인상주의적 어법에 관한 연구
김세은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6 음악예술연구 Vol.6 No.1
본 논문에서는 프란츠 리스트(Frans Liszt, 1811-1886),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 이 세 작곡가가 그들의 피아노 음악에서 물의 이미지를 어떻게 음악적으로 형상화하였는지에 대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리스트의 <순례의 해 제 3집>(Années de pèlerinage: Troisième année, 1877) 중에서 ‘에스테장의 분수’ (Les Jeux d’eau a la Villa d’Este), 라벨의 <물의 희롱> (Jeux d’eau, 1901), 드뷔시의 <영상 제 1집>(Images I, 1905) 중에서 ‘물의 반영’ (Reflets dans l’eau) 을 선곡하였다. 리스트로부터 시작하여 라벨과 드뷔시에 이르는 흐름을 따라 그들의 물에 관한 음악을 살펴봄으로써, 리스트의 물에 관한 이미지의 구체적인 형상화가 다음 세대인 라벨과 드뷔시의 물에 관한 작품들에서 더욱 세련된 기법과, 다면적인 인상주의적 어법으로 진화, 발전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mon thread and different aspects in evoking water imagery by Franz Liszt (1811-1886), Maurice Ravel (1875-1937) and Claude Debussy (1862-1918). This study addresses impressionistic water music for piano solo composed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including Les jeux d’eau à la Villa d’Este (1877) from Années de pèlerinage: Troisième année by Liszt, Jeux d’eau (1901) by Ravel, and Reflets dans l’eau from Image I (1905) by Debussy. By tracing the lineage from Liszt through Ravel and Debussy, one may observe how the depiction of water evolves from simple and recognizable figurations both visually and aurally in Liszt’s water music to the more sophisticated and multifaceted impressionistic style in the works of Ravel and Debussy.
흑백 매체에서 ‘컬러’의 표현: 19세기 판화와 리스트 편곡의 미학
김현주 한국서양음악학회 2022 서양음악학 Vol.25 No.2
Recent scholarship in the field of art history has begun to recognize the cultural and philosophical importance of art reproduction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cknowledging the executor’s creativity and the work’s independence. Drawing on the discipline of French visual-cultural history, this article relates Liszt’s sonic reproductions to the widespread nineteenth-century interest in visual-art reproduction. Based on a wide array of reviews and critiques from journals such as Gazette des beaux-arts and La revue des deux-monde as well as books such as Grammaire des arts du dessin by the art critic Charles Blanc, I demonstrate the pressing issues with the reproductive arts, including the lack of color, the notion of translation, the dichotomy between color and contour, through which a new conception was emerg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ual printmakers and musical transcribers. Just as the eminent engravers and lithographers of Liszt’s time invested heavily in new technical apparatus to control light and shade and thus bring about striking visual effects that would be roughly equivalent to the original colors, so did creative arrangers such as Liszt develop new methods to render the sonic properties of instrumental colors on the black-and-white keyboard. Moreover, Liszt’s little-noticed acquaintance with the influential Parisian painter and engraver Ingres reveals not only their shared attitudes toward the imperative of reproductive arts but also their ability to register their own physical and visual experience of familiar objects in the print and score, respectively. This collective evidence sheds light on how Liszt fashioned his role as a musical engraver, translator, interpreter, and colorist to make the reproduction in “black and white” as vibrant and alive as the original. 최근 미술사학자들은 19세기 복제예술에 대한 연구에서 원작을 재현한 작품의 창의성과 독립 성을 조명하였다. 이 글은 판화 복제예술을 바탕으로 프란츠 리스트의 재작업과 편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미학적ᆞ문화적 사조를 제시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본고는 H가젯 데 자 보르H (Gazette des beaux-arts)와 H라 르뷔 데 듀 몽드H(La revue des deux-mondes) 등 저널의 다양 한 비평과 미술 평론가 찰스 블랑의 저서 H그레메르 데 자르 뒤 데생H(Grammaire des arts du dession)을 분석하며, 복제예술에 대한 담론에서 중요한 쟁점들을 살펴본다. 그 쟁점들은 컬러의 부족, 번역의 개념, 컬러와 윤곽 사이의 이분법을 포함하며, 이들의 담론을 통해 미술의 판화 조 각가와 음악의 편곡자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조명한다. 리스트 시대 저명한 판화 조각가 가 새로운 기술 장치를 실험하여 원래 색상과 거의 동일한 시각 효과를 재창조 하였듯이, 리스트 와 같은 창의적인 편곡자도 피아노의 흑백 건반에서 다양한 악기의 ‘컬러’를 표현하는 새로운 방 법을 개발했다. 무엇보다 복제예술 세계에서 앵그르와 리스트의 친밀한 관계는 이들이 새로운 것을 재창조하는 수단으로 판화와 편곡을 대하는 태도 및 기존 작품에 대한 나름의 고유한 시각 적ᆞ육체적 경험을 전달하는 방식을 드러낸다. 이러한 분석과 증거는 리스트가 편곡을 원본처럼 생생하게 재현함으로써 결국 음악의 판화 조각가, 번역가 및 컬러리스트로서 자신의 역할을 구축 한 방식을 보여준다.
19세기 여성 피아노 비르투오소들의 전략: 마리 플레옐과 클라라 슈만
김현주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音樂論壇 Vol.47 No.-
A group of female virtuoso pianists appeared suddenly in critical discourse in mid-1840s Paris, receiving attention for their repertories, their style of interpretation, and the way they acted in performance. Whereas previous studies on women performers have focused on the gender-associated challenges they faced and overcame, or the excessive skills they showed to cross the “acceptable” behavioral line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istinctive strategies women employed to create their virtuosity. Drawing on the specific cases of Marie Pleyel (1811-1875) and Clara Schumann (1819-1896), especially in light of their relationships with Franz Liszt, this study examines the public personae of these virtuosae as portrayed in critical discourse and performance accounts. Pleyel, dubbed the “female Liszt” and the recipient of his generous support, accommodated his suggestions and participated in Liszt-related events such as the Beethoven Festival of 1845, while attracting the audience and critics by using her charm alongside her performative power. The priestess Clara, in contrast, differed with Liszt’s view of virtuosity, as explicated in his essay on her, displaying her own strategies in the composition and performance of the fugue as well as integrating interiority into the virtuosic pieces of the period. 1840년대 중반 파리에는 여성 피아노 비르투오소들에 대한 비평적 담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세기 여성 음악가들에 대한 기존 논의는 그들이 맞닥뜨린 사회⋅문화적 한계, 젠더 스테레오타입, 또는 젠더를 뛰어 넘는 ‘예외적’ 면모에 집중되어 있다. 이와 달리 필자는 비르투오소 세계에서 주요한 여성 피아니스트들이 선보인 그들만의 고유한 비르투오소 전략에 초점을 맞춘다. 비르투오소로서 그들의 문제의식과 해결은 무엇이었을까? 마리 플레옐(Marie Pleyel, 1811-1875)과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 1819-1896)의 사례를 통해 이 문제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필자는 플레옐과 클라라를 개별적으로 다루는 종래의 연구 접근과 달리 그들을 당시 비르투오소의 화신인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와의 관계 속에서 조명한다. 플레옐 부분에서는 리스트의 관대한 후원, 그와 관련된 레퍼토리의 선정, 그가 주최한 베토벤 페스티벌에서 선보인 그녀의 고유한 활약상을 탐구한다. 이어서 클라라 부분에서는 리스트가 중심에 있었던 ‘여사제 클라라’ 담론을 재조명하고, 그의 에세이 “클라라 초상”을 통해 그들의 비르투오소에 대한 상이한 견해를 밝히며, 클라라만의 고유한 전략인 푸가 연주와 ‘내부성’에 대한 비평을 분석한다. 이상의 논의에 유의하면서 필자는 여성 피아노 비르투오소들이 비평 담론에서 차지하는 위치, 리스트와의 관계 속에서 펼친 그들의 구체적 활약 및 전략 등을 다각도로 조명한다.
충실한 해석자 담론: 리스트의 “피아노 파르티씨옹” (Partition de piano)에 관한 음악비평을 중심으로
김현주 한국서양음악학회 2017 서양음악학 Vol.20 No.2
Liszt’s concept of “partitions de piano” underscores his unwavering fidelity to the original, treating it as a “sacred text.” The composer himself validated a new method of transcription through the partition, and contemporary critics and reviewers, including G. W. Fink, Heinrich Adami, and Robert Schumann, also drew attention to Liszt’s meticulous, scrupulous, and faithful approach to the model work. Drawing on the reviews of the partitions of Berlioz’s Symphonie fantastique and Beethoven’s symphonies, this article will demonstrate how the critical discourse on Liszt’s partitions helps to construct his public identity as a faithful interpreter, transcriber, and performer. In a broader context, Liszt’s faithfulness serves as a compelling strategic rhetoric to vindicate himself as a serious virtuoso in the midst of the heated anti-virtuoso polemics of the day. 본고는 프란츠 리스트(1811-1886)의 “충실한 해석자”로서의 대중적 이미지를 탐구한다. 리스트 본인이 명명한 “피아노 파르티씨옹”(Partitions de piano)은 충실하고 세밀한 편곡을가리킨다. 비르투오소로 명성을 떨치던 1830-1840년대 리스트의 충실한 해석자, 편곡자로서의 의미는 무엇인가? 파르티씨옹의 대표작인 베를리오즈 <환상교향곡> 편곡과 베토벤 교향곡의 편곡을 둘러싼 음악비평의 사례를 통해 이 문제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본고는 다음 두 가지에 특히 초점을 맞춘다. 첫째, 비평가들의 “충실한 해석자” 담론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파르티씨옹의 미학적 정당성을 공고히 했는지에 주목한다. 여기에서 1차자료인 핑크(G. W. Fink)와 아다미(Heinrich Adami)의 비평에 특별히 유의한다. 둘째, 1830 년대 리스트의 활약의 맥락에서 면밀하고 용의주도한 해석자, 편곡자, 비르투오소의 대중적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설득력 있는 전략적 수사학의 하나로 “충실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그런 뒤에 보다 포괄적인 19세기 문화적 맥락에서 충실성 담론에 대한 전망을 넓힌다. 그 담론을 반비르투오소(anti-virtuoso) 논쟁 선상에서 이해하고, 리스트의 대중적 이미지와 전반적인 리스트 비평연구의 방향을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