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계몽기 외국어 교육 실태와 일본어 권력 형성 과정 연구

        허재영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formation of Japanese language power in the modern period, when language influence was derived communicative ability in a foreign language. Language power is not a technical term, but many scholars have used “language and power” instead of “language power.” This tendency is similar to sociolinguistics. The term does not exist in the dictionary of sociolinguistics, though terms such as language change, language contact, language conflict, language rights, and language shifts do. Broadly these terms are related to language and power indirectly. Foreign language power resulted from communication capability. This power came about from communication capability with foreigner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in Korea. I divide the history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to three steps. First,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school system in Korea (1880-1894), some government bureaucracies had an interest in foreign language, introducing a need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Some schools were established at this time for the purpose of interpretation and scientific skills. Such schools included Dongmunhak (同文學), Wonsanhaksa (元山學舍), Yukyeong Gongwon (育英公院), and others. Second, after the Gabo reforms in 1894 (甲午更張), the first school system was introduced in Korea, and the law for the foreign language school system was announced. Japanese was one of the foreign languages in these systems. The foreign language schools consisted of English, Japanese, French, German, Chinese, and Russian. But school buildings and teachers were separated into one language. Thir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supervision, the so-called Tonggam period (統監時代, 1906~1910), Japanese became a foreign language that was equal to the Korean language. As a result, at the initial stage, Japanese language was a foreign language, and it continued to progress to become a foreign language equal to the mother language. Therefore, the Japanese language became a national language in the colonial period. I believe that language is used for communication, and therefore language is related to race, culture, and society. This means that language is related to elements of social power. In particular, communicative ability is connected with the formation of language power. Interpretative and translation abilities have been recognized as being connected with knowledge information circulation in the time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school system.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language strengthened gradually through Japanese colonial policies and the policy of language dissemination. I conclude that the study of language power is a sociolinguistic problem with a rich historical background. 이 논문은 근대 계몽기 외국어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일본어 권력이 형성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데 목표가 있다. 언어 권력은 의사소통 상황에서 작용하는 언어의 힘을 의미한다. 언어 권력은 개인 대 개인의 담화 상황뿐만 아니라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 국어와 외국어와의 관계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외국어가 권력으로 작용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 연구는 근대 계몽기의 외국어 교육과 일어 권력 형성 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 계몽기를 세 시기로 구분하여 ‘근대적 지식 유통에 필요한 외국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사실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제 도입 이전’의 경우, 조사 시찰단과 영선사를 파견한 이후 서구의 지식과 정보를 수입하면서 근대식 외국어 학습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는 통상 조약이 처음 체결되고 외국 문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근대적 지식을 수용할 만한 적절한 국문 정리 및 보급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동문학이나 육영공원과 같이 통역을 목표로 한 외국어 교육이 실시되기도 하였다. 또한 이 시기부터 재일 유학생이 출현한다. ‘학제 도입기’의 외국어 교육은 모국어 교육보다 더 관심을 끈 경향이 있는데, 외국어학교 관제 공포 이후 정치적 영향력에 따라 외국어 교육 경향이 변화하였다. 당시 외국어 학교의 중심 세력은 ‘영어’와 ‘일본어’였으나 일본어의 영향력이 급증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갑오개혁 이후에는 일본에 본격적으로 관비 유학생을 파견함으로써 일본어의 영향력이 더 증대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통감시대’에는 학부 관제를 개편하여 일본어가 모국어에 준하는 교과로 설정되었으며, 외국어 학교를 비롯한 각종 학교 또는 야학 교육에서 일어 교육이 강화되었다. 이와 함께 사비 재일 유학생도 급증하였는데 이 또한 일본어 권력 형성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소통 능력과 일본어의 권력화 과정을 살펴본 결과, 초기의 ‘어학(언어학)’은 타 언어를 배워 통역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도에서 일본어 소통 능력이 강조되면서 일본어 구사 능력이 권력 요인으로 작용하는 흐름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통감시대에는 국어와 국문보다도 일본어가 중시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했는데, 이 시기 국문으로 된 신문과 잡지에서는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기도 했다. 이러한 차원에서 일본어 권력의 형성 요인으로 식민 언어 정책의 근간이 된 ‘일본어의 국민어화’ 과정과 ‘근대 지식 수용 과정에서의 일본어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달리 말해 근대 계몽기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된 ‘일본어 보급 정책’의 기저에는 ‘일본어 = 일본 정신’이라는 등식을 가능하게 한 ‘일본 국민어’가 존재했으며, 일본을 경유하여 근대적 지식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일본어 헤게모니가 형성되었다는 뜻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일본어의 권력화는 일제 강점기 ‘일어 학습’의 당위적 근거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매일신보』를 비롯하여 식민 정책을 지지하는 입장에 서 있었던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일어(일제 강점기의 국어) 학습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지식 습득’뿐만 아니라 ‘ ...

      • KCI등재

        ‘권력투쟁’의 정당화?: 한반도 안보위기시 외세 담론과 국내정치

        박홍서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3

        During the security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political forces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trying to secure their domestic political interests by using discourses on foreign powers. The repudiators capitalize on threats from foreign powers in order to attack rival political forces by denouncing them as “followers of foreign powers.” The political forces claiming dependence on foreign powers take advantage of such reliance to procure their own political interests through the support of foreign powers. Meanwhile, the pragmatic forces on foreign powers rejects the so-called "good foreign power" or "bad foreign power" premise and regards any foreign power as a cooperative partner if it is positive in resolving the security crisis. Pragmatist forces criticize that repudiators and dependent forces hinder resolving the Korean security issue, while the latter extremists attack respectively pragmatists as followers of foreign powers or forces undermining relations with friendly foreign powers. In order to solve the Korean Peninsula proble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void rigid friend-enemy distinction toward foreign powers and take flexible strategies towards them. 한반도 안보위기시 한반도 정치세력은 외세(강대국) 담론을 활용해 자파의 정치적 이익을 확보하려는 행태를 보인다. 배격론 세력은 외세의 위협을 강조해 내부 결속을 강화한다거나 경쟁 정치세력을 외세 추수세력으로 규정하고 공격한다. 의탁론 세력은 강대국의 지원을 통해 정치 권력을 유지하거나 정치 권력의 탈취를 시도한다. 실용론 세력은 배격론 및 의탁론 세력과 달리 한반도 안보위기 해소라는 문제해결을 우선시한다. 실용론 세력은 우호적 외세 혹은 적대적 외세라는 선험적 이분법을 거부하고 안보위기 해소에 긍정적일 경우 어떠한 외세라도 협력 가능한 대상으로 간주한다. 실용론 세력은 배격론 및 의탁론 세력이 안보위기 해소라는 문제해결을 저해한다고 비판하는 반면 배격론 및 의탁론 세력은 실용론 세력을 각각 외세 추종적이거나 우방과의 관계를 훼손한다고 공격한다. 향후 한반도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주변 강대국에 대한 경직된 이분법을 지양하고 문제해결이라는 목표로부터 출발해 유연한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국 헌법상 통상협정체결에 관한 정부ㆍ의회간 권한 배분

        金善擇(Kim Seon-Taek) 미국헌법학회 2007 美國憲法硏究 Vol.18 No.2

        미연방헌법 제2조에 의하면, 대통령은 상원에서 출석의원 3분의 2의 조언과 동의를 얻어 조약을 체결한다. 반면에 의회-정부간 행정협정의 형식으로 국제협정을 체결할 경우에는 연방의회양원의 단순다수로 충분하다. 즉, 미국의 경우에도 일반적인 조약의 체결권한은 헌법에 의해 대통령에게 부여되어 있다. 다만 미국의 특수한 역사적 사정이 반영되어 특히 통상협정의 체결이 실무상 정식조약이 아닌 의회-정부행정협정의 형식으로 주로 체결되고 있다. 연방의회는 미연방헌법 제1조에 의하여, 대외통상에 관하여 규율할 입법권을 부여받고 있으나, 이를 통하여 의회가 대외통상에 관한 협정의 직접적 체결권자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연방의회는 동 조항을 통하여 대외통상에 관한 연방법률을 제정할 권한을 부여받는 것이고, 그러한 연방법률에 의하여 대통령에게 통상협정에 관한 협상 및 체결권한을 사전에 부여한다. 그렇게 협상ㆍ체결된 통상협정은 의회 양원의 단순다수의 동의를 얻어효력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정식조약(Treaty)과 의회-정부협정(Congressional-Executive Agreement)의 두 국제협정 체결형식의 교환가능성(interchangeability)여부의 문제와, 의회-정부협정의 헌법합치성(constitutionality)여부가 문제되어 왔다. 실무상 동 협정형식을 조약의 대용형식으로 일반적으로 폭넓게 이용하고 있으며, 법원도 이를 크게 문제삼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행정협정에 의한 통상협정의 체결은 1) 미국 특유의 헌법적 구조와 2) 대통령의 조약체결권과 의회의 입법권을 조화시키려는 합목적적인 권력분립적 정부운용의 시도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Article Ⅱ, section 2, clause 2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ssign certain power that ""by and with the advice and consent of the Senate, to make treaties, provided two-thirds of the Senators present concur"", to the President. On the other hand, the Congressional-Executive agreement is permitted by simple majority of both Houses. Accordingly,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vests a treaty-making power in the President. However, the Congressional-Executive agreement is used mostly at least for trade agreements because of the special historical situation. Article Ⅰ of the Constitution vests all legislative powers including the power to regulate commerce with foreign nations in Congress, but it dose not mean that Congress has the foreign commerce power exclusively. The Constitution confers 'legislative powers' upon a Congress as a law-maker, so the President is assigned the power to negotiate and conclude agreements about commerce with foreign nations by the federal law being made by Congress. This Congressional-Executive agreement takes effect by simple majority of both houses. In this case, there have been heated discussions on the Interchangeability of Treaty with Congressional-Executive Agreement and the Constitutionality of such an agreement. But, in the end, Congressional-Executive Agreement is accepted for wide use, for the foreign commerce as well, by treaty-making practice and also the Court seems not to against it. The Congressional-Executive agreement for foreign commerce seems to be caused by the particular constitutional structure of the United States and practices for distribution of power between the treaty-making power of the President and the legislative power of Congress.

      • KCI등재

        The Foreign Policy of a Fragile Middle Power: The Case of Post-1999 Nigeria

        김태형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6

        In this paper, I examine Nigeria’s foreign policy by using a fragile middle-power concept. Fragility and middle-power status may sound oxymoronic and incompatible, but I argue that these two concepts are compatible and could be useful in analyzing the foreign policy of some stat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he study focuses on the post-1999 period, when Nigeria’s military regime finally relinquished power to civilians. The foreign policy focus will be on Nigeria’s policy towards the two great power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s well as its policy on peacekeeping operations. My findings show that although whether a state can accomplish what it aims to accomplish in the area of foreign policy is largely dependent upon its physical position and material capability, a state’s fragility has a significantly hampering effect on its foreign policy conduct. In the case of Nigeria, its fragile condition substantially slows and impedes its foreign policy promotion in all three foreign policy targets. Consequently, only through putting its own house in order, can Nigeria’s foreign policy flourish with support and admiration from the rest of the world.

      • KCI등재

        Coffins versus cradles: Russian population, foreign policy, and power transition theory

        Jennifer Dabbs Sciubba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4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17 No.2

        In May 2006, President Vladimir Putin said that Russia’s dire demographics were the biggest challengefacing Russia. We know little about how states conduct foreign policy under demographic declinebut some expect Russia to become more pacifist or to turn attention inward as its internal situationdeteriorates. Power transition theory (PTT), however, which considers population as a key componentof power, anticipates riskier international behavior under demographic changes. PTT predictsaggression under two conditions: when a dominant power sees its decline while secondary powersare rising; and when an inferior state sees its power increase while the dominant power declines. Thisarticle interprets Russia’s foreign policy actions from May 2006 through 2012 in light of PTT. I findthat Russia was physically aggressive in its region when its population decline peaked, as PTT expects. Power transition theory also predicts Russia’s diplomatically aggressive foreign policy at the systemlevel as Russian leaders’ perceptions of a favorable shift in the global balance of power gave them moreconfidence in Russia’s capabilities to challenge the status quo. This study furthers our understanding offoreign policy-making in times of demographic decline, extends power transition theory, and serves asa model for evaluating demographic trends and foreign policy for other great powers.

      • KCI등재

        시진핑 지도부의 등장과 중국의 대외정책 : ‘지속’과 ‘변화’의 측면을 중심으로

        박병광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3 전략연구 Vol.60 No.-

        This article observes and analyzes China’s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affairs and its direction of foreign policy based on its behavior in diplomacy and the official documents since Xi Jinping’s leadership came to power. By doing this, it has looked into the continuity and changes in China’s foreign policy since Xi entered off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is paper finds that Xi’s administration emphasizes ‘peaceful development’, ‘mutual benefit and reciprocity’ and ‘harmonious world’ as the core ideology of China’s foreign policy which has not been changed from the previous administration. Furthermore, Xi’s government is committed to protecting China’s sovereignty, security and development as it seeks to create a favorable external environment for ‘a well-off society in an all-round way’ and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On the other hand, Xi’s leadership has demonstrated some changes in foreign policy and behavior in diplomacy from his predecessor. First, as can be seen in how China is defining ‘new type of major power relationship’ and emphasizing its role as a responsible big power, China has taken more proactive and assertive stance in foreign policy. Second, after Xi came to power, his administration has focused on balancing ‘taoguangyanghui’(keeping a low profile) and ‘yousuozuowei’(making a difference) as well as between China’s independent and self-reliance foreign policy and its role of a major power. Third, even though China continues to adhere to the path to ‘peaceful development’, it will not negotiate its right to pursue its ‘core interests’. As a result, the new leadership will adopt a more proactive and assertive role in foreign policy. Thus, in pursuing a ‘de-Americanized’ society, China is expected to embark with a more proactive role in creating new norms for the international order. 이 논문에서는 그 동안의 외교행적과 공식 문건들에 나타난 내용들을 중심으로 시진핑 지도부 등장 이후 중국의 대외정책에서 ‘지속’의 측면은 무엇이고, ‘변화’의 측면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시진핑 지도부는 외교의 ‘핵심사상’과 ‘이념’에서 과거와 마찬가지로 ‘평화발전’과 ‘호혜공영’ 그리고 ‘조화세계’의 길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시진핑 지도부가 내세우는 중국외교의 목표와 임무 역시 주권, 안보, 발전이익을 수호하고, ‘전면적 소강사회건설’과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위한 유리한 외부환경과 조건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진핑 지도부는 대외정책 및 외교행태에서 새로운 변화의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신형대국관계’ 건립과 ‘책임대국’의 역할 강조 등에서 나타나듯이 더욱 ‘적극적’이고 ‘주동적’인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도광양회’와 ‘유소작위’의 균형(balance)을 추구하고 있으며, ‘독립자주외교’와 ‘대국(major power)’의 역할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하고 있다. 셋째, 중국이 ‘평화발전’의 길을 고수해야 하지만, 정당한 권리를 포기하거나 국가의 ‘핵심이익’을 양보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시진핑 지도부의 대외정책은 향후 더욱 공세적이고 적극적인 행태를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시진핑 지도부는 ‘탈 미국화’된 사회 건설을 주장하면서 국제질서에 대한 새로운 규범을 제시하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The Decline of American Soft Power in the Era of Trump

        ( Ralf Havertz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8 글로벌정치연구 Vol.11 No.2

        After two years of Donald Trump in the office of the president of the U.S., it has become clear that his presidency has a profound impact on American power. While the Trump administration is increasing its investments in hard power, the soft power of the U.S. has come under stress. The concept of soft power was introduced by Joseph S. Nye. It denotes the ability of a country to get the people in other countries to want what they want due to the attractiveness of their culture and values in the eyes of those abroad.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soft power and its relation to other concepts of power such as hard power, smart power, and sharp power. It makes a contribution to the placement of soft power in the theory of power. Methodically, the problem of soft power in the American context is primarily approached with a qualitative analysis. Few cases are discussed that support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American soft power and its reduction in the era of Trump. This study examines the sources of American soft power and investigates the reasons for the current decline of American soft power.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indicators for the reduction of American soft power since Trump took office. His personal statements and behavior, and the policies of his government had a detrimental impact on the soft power of the country. The decrease of the credibility of the American government in the eyes of foreigners is the most significant element in the diminishing of American soft power.

      • KCI등재후보

        The Decline of American Soft Power in the Era of Trump

        Havertz Ralf Arnold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8 글로벌정치연구 Vol.11 No.2

        After two years of Donald Trump in the office of the president of the U.S., it has become clear that his presidency has a profound impact on American power. While the Trump administration is increasing its investments in hard power, the soft power of the U.S. has come under stress. The concept of soft power was introduced by Joseph S. Nye. It denotes the ability of a country to get the people in other countries to want what they want due to the attractiveness of their culture and values in the eyes of those abroad.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soft power and its relation to other concepts of power such as hard power, smart power, and sharp power. It makes a contribution to the placement of soft power in the theory of power. Methodically, the problem of soft power in the American context is primarily approached with a qualitative analysis. Few cases are discussed that support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American soft power and its reduction in the era of Trump. This study examines the sources of American soft power and investigates the reasons for the current decline of American soft power.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indicators for the reduction of American soft power since Trump took office. His personal statements and behavior, and the policies of his government had a detrimental impact on the soft power of the country. The decrease of the credibility of the American government in the eyes of foreigners is the most significant element in the diminishing of American soft power

      • KCI등재

        주변국(중·일·러)의 대외·국방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김열수,김경규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4 전략연구 Vol.- No.63

        The aim of this paper analyzes foreign policy and defense policy of the neighboring states including China, Japan, and Russia and suggests responding strategy of the ROK. Power Shift is occurring in world wide, post post-cold war security circumstance oriented in national interest is shaping. US-Japan camp and China-Russia camp appears for the balance of power. Each state assumes that power transition theory of A.F.Organski can be a reality and prepare for it. The results of each state’s preparedness are taking a strong stance in foreign policy and defense policy, and increasing in national defense spending. It is particularly worrisome that China, Japan, and Russia which can influence in the East Asia adopt strong foreign and defense policies. The responding policies of the ROK are making every efforts to the creation of the cooperative security regimes, developing foreign policy suitable to the power shift, coping with threats from sea territory and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pushing ahead with defense policy corresponding to the status of Korea, and securing national defense expenditure suitable to the high-risk country. 이 논문은 미국을 제외한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들이 추진하고 있는 대외 및 국방정책을 분석해 보고 한국의 대응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 안보정세는 Power Shift의 가시화와 함께 협력보다는 국익 중심의 탈탈냉전의 안보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세력균형을 위해 미일 진영과 중러 진영으로 재편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각 국가들은 power shift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오간스키의 전이 이론(power transition)이 현실화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이에 대비하고 있다. 그 결과가 강경한 외교정책, 강한 국방정책, 그리고 이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국방비의 증액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우려스러운 것은 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3개국, 특히 중일러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안보 환경하에서 한국이 추진해야 할 대외 및 국방정책의 핵심은 동아시아 안보협력레짐 창설을 위한 적극적 노력, power shift의 안보 상황에 걸맞은 외교 전개, 해양 영토 및 관할권, 그리고 방공식별구역 위협에 대한 적극적 대처, 한국의 위상에 걸맞은 국방정책 추진, 고위험 국가에 걸맞은 국방비와 군사력 건설비 확보 등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약소국의 대강대국 외교정책에 관한 고찰: 특징과 한계

        김종민 ( Jong Mi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3 인문사회 21 Vol.4 No.1

        본 글은 약소국이 대강대국을 상대로 어떻게 생존전략을 구사하고 있는가를 외교정책 이론과 실제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약소국으로 평가되는 북한이 최강 미국을 상대로 펼치고 있는 외교정책은 약소국이 강대국을 어떻게 상대하여 생존을 도모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북한과 미국간 관계는 약소국의 대강대국 외교정책의 사례로써 외교정책 이론과 실제를 비교 고찰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이다. 약소국이 강대국과의 외교에서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은 국제정치 환경을 이용하거나 이에 적응하는 것이 희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강대국보다 유리한 입장에 서기 위해서는 약소국 자신의 대외환경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경험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냉전기 비동맹국가들의 주요 생존전략은 이같은 외적 환경을 활용한 비동맹외교였다. 약소국은 외교에 있어서 강대국에 비해 국제환경 변화에 민감하고 취약하다. 따라서 약소국의 생존전략은 국제정치 환경변화에 편승하는 그런 전략이 필요하다. 약소국의 내부정치의 안정 또는 불안정성은 약소국의 대외정책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북한이 미국 주도의 6자회담에 참여하는 이유도 이러한 차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약소국외교정책은 비이념적일 수록 좋은 것으로 분석된다. 특정의 정치이념에 치우치게 되면 자연히 정책에 대한 포용성과 타협성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이다. 약소국의 강대국들에 대한 외교정책은 가급적이면 적대정책보다는 우호적인 정책을 전개해야 한다. 약소국의 강대국에 대한 적대정책은 강대국이 자극을 받아 약소국의 국내문제에 개입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survival strategies of small nations against big powers by their foreign policies in theory and practice. North Korea``s foreign policies toward America are representative of such strategies. The DPRK.US relations are a case of a small nation``s foreign policies toward a big power and a good model to look into the foreign policies in theory and practice. Small nations can survive with minimum sacrifice in the relations with big powers by using or adapting to the environment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y can properly use their external environment to negotiate with big powers from a position of strength. This is proved by experience. During the cold war era, nonaligned nations employed nonalignment diplomacy using external environment as their main survival strategy. Small nations are sensitive and vulnerable to changes in international environment, unlike big pow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small nations to use environmental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s. The stability or instability of internal politics is a main factor for determining a small nation``s foreign policies. This is why North Korea participates in the six.party talks led by America. The more non.ideological it is, the better a small nation``s foreign policy is considered. Inclined to a specific political ideology, the policy loses acceptability and compromisability. Small nations should use every possible friendly foreign policy toward big powers. Any hostile foreign policy causes big powers to intervene in the domestic problems of small n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