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예의 문화적 가치와 방향에 관한 시론

        김영만(Kim, Young Man),곽영만(Kwak, Young Man),옥광(Ok, Gwa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무예의 문화적 가치와 방향을 고찰하여 무예의 다양한 가치와 방향을 새롭게 접근하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예의 교육적 가치의 방향으로 학교체육에서 무예가 1인 1기 필수과목으로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채택이 필요하다. 둘째, 무예의 스포츠적 가치의 방향으로 무예의 근대성과 낙후성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무예에 대한 전환적 인식과 태도로 무예의 스포츠적 인문의 지향이 필요하다. 셋째, 무예의 건강적 가치의 방향으로 무예 수련에서 몸 수련과 마음 수련을 통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무예의 윤리적 가치의 방향으로 무예인 스스로 자신 지키는 방법으로 인문적 소양과 겸양의 미덕을 갖추고 상대를 대하고, 평소 무예 수련으로 개인의 건강과 자신감, 자제력, 도덕적 의무, 책임감 등을 호신술을 통해 배우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무예의 인문적 가치와 방향은 문과 무의 균형적인 발전과 함께 할 때 비로소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무예가 한 층 더 수준 높은 문화로 자리매김 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예의 인문학적 체계 정립과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으로 본다.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various cultural value and directions of martial arts through an investigation about martial arts.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to draw the final conclusion through a process of inter-subjective Discussion and to narrat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various record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the conference related white paper. Results: fris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adopt martial arts as a compulsory subject in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so that each student can specialize in one type of martial arts. Second, it is recommended to change peopl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martial arts and develop the sport beyond mere physical activity. Instead, martial arts requires the pursuit of the sports-related humanities, including the addition of knowledge, sentiment, and culture. This can be achieved by combining and converging physical activity-centered sports with research from anthropology, soc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Third, martial arts training should be aimed at helping athletes lead a healthy life by training their bodies and minds. Fourth, martial arts athletes should face their competitors with humanistic knowledge and the virtue of modesty as a means to self-protect. In addition, they should learn to improve their health, self-confidence, self-control, moral duties, and sense of responsibility using self-defense skills Conclusion: through regular martial training. Based on the incorporation of these requirements and the balance of literary and martial arts, the humanistic value and direction of martial arts will result in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More literature should be written to spur the structured establishment and advancement of martial arts to help athletes lead an upstanding life. This can be achieved by combining and converging physical activity-centered sports with research from anthropology, soc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 KCI등재

        동양무예의 윤리적 가치

        오경령,장재용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2

        To establish the ethical value of oriental martial arts as a study of practical ethics and to suggest the ethical standard in a community that must be followed. Moreover, the study was to suggest how to perceive and learn such a standard as a practical ethics beyond just understanding ethics.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to investigate conceptual and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philosophy and ethics of martial arts, and sought to resolve various unethical ills of modern society and sports field by the ethical value of the oriental martial arts. As a practical value of the oriental martial arts, the study intends to recognize what 'epistemic comprehension' and 'somatic learn' signify. It is possible to foster enlightenment via martial arts in epistemic meaning, a comprehending stage, by which it is possible to achieve virtue in somatic meaning, a learning stage. This appears as a natural somatic expression via the realization of the mind in learning process of epistemology. This study reviewed discussions in foster virtue in ethical idea of Confucius, Mencius and Xunzi in Xianqin Rujia and Laotzu in Taoism as a practical ethical idea in which comprehending and learning is possible. The study also draws comparison between the oriental acquisition of enlightenment and Aristoteles' practical wisdom to consider practical action in detail. Results: Confucius, Mencius, Hsuntzu and Aristoteles commonly demanded proper understanding of learn without exception for the practical ethics to be realized. The process of learning represents that various ethical situations in a community society are formed by immanent epistemic comprehension, which mingles into the practical behavior to fit the situation. First, the ethics of oriental martial arts is to develop one's mentality via martial arts, and recognize oneself as habit. This eventually leads to find enlightenment, a comprehending stage, and to represent somatic capability, a learning stage, as being able to naturally recognize oneself. Secondly, if the achievement of virtue, a learning stage of the ethics of oriental martial arts, is possible, mental ability can be improved. This leads to establish right ethical value and to define proper ethical behavior to fit the situation. Lastly, if the achievement of comprehension and learning is possible, one can recognize right ethical behavior in a community society and act proper behavior to fit the situation. 본 연구는 윤리를 이해만 하는 범주에서 나아가 그것을 인식하여 실천적인 행위가 가능한 윤리로서 몸 에 체득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오늘날 우리사회나 스포츠현장에서 나타나는 각종 비윤리적 병폐에 대해 동양무예가 가진 윤리적 가치로서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동양무예의 실천적 윤리가치관으로는 인식론적 터득과 신체론적 체득의 구조로서 그 가치를 알아보았다. 터득의 단계인 인식론적 의미에서는 무예를 통한 도(道)함양이 가능해지며, 그로 인해 체득의 단계인 신체론적 의미에서 덕(德)습득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터득과 체득의 구조가 가능한 윤리사상으로는 선진유가의 『공자』, 『맹자』, 『순자』와 도가의 『노자』의 윤리 사상에서 덕 함양의 논의를 살펴보았고, 또한 서양에서의 덕 함양 방법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와 비교 분석을 통해 좀 더 자세한 실천적 행위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공·맹·순과 아리스토텔레스는 공통적으로 실천 가능한 윤리가 올바르게 발현되기 위해서는 체득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터득과 체득에 관련된 사상과 연관 지어 얻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양무예 윤리는 무예를 통해 자기 자신의 정신을 닦으며 습관처럼 자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어야 터득(攄得)의 단계인 ‘도(道)‘를 깨닫게 되며, 자연스레 자신을 인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체득(體得)의 단계인 신체적인 능력으로의 발현을 거듭할 수 있다. 둘째, 동양무예 윤리의 체득(體得) 단계인 ‘덕(德)’습득이 가능해지면 올바른 정신적 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는 곧 올바른 윤리 가치관을 지니게 되며 상황에 적절한 윤리행위를 정의할 수 있다. 셋째, 터득(攄得)과 체득(體得)의 습득이 가능해 졌을 때 공동체사회에서 올바른 윤리 행위를 인식 할 수 있게 되며 상황에 적합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무도윤리의 출발점과 방향모색

        이상호 한국체육철학회 2015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3 No.4

        This paper aims to find the critical answer about standing point of the ethics of martial arts. That would decide the direction of it,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it. But several established discussions relating it requisite the priority of reasonable judgment. Those views do not start directly in the experience of martial arts itself. Rather they keep seeing the perspective of third person 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This viewpoint considers it as abstractive goals to be get transcendently. But to expla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we have to consider diverse elements of involving the unconscious behavior, habit, and emotion and so on except reason judgment. To understand exactly those elements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s of embodiment 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The ethics of martial arts relating embodiment makes it possible to expose and explain the subject of behavior obviously. The subject of experience 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is proper body with which we mention when we should learn the martial arts as body itself. Proper body is not different from the unseparated body of oriental perspective. The directions of the ethics of martial arts through the proper body would explain as follows: First, proper body has its sensorimotor. Second, behavior of proper body is underlying in being situated the environment. Third, depending on innate conditions having proper body, the ethical power of proper body decides. Fourth, proper body could take the practical ability of ethical behavior. Of course, above-mentioned their roles do not separate respectively. They should establish the theoretical system in the ethics of martial arts under one unified relation each other. 본 연구는 무도윤리의 출발점에 대한 근원적인 해답을 찾는데 있다. 무도윤리의 출발점은 무도윤리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스포츠윤리와는 다른 무도윤리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 무도윤리의 출발점과 관련된 논의는 이성적 우위의 판단을 전제로 한다. 자신의 무도 경험에서 시작하기 보다는 윤리에 대한 3자적 태도의 관점을 보여준다. 즉 무도윤리를 객관적으로 달성해야 할 추상적인 대상으로 파악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무도윤리를 설명하는데 있어 이성적 판단 이외에도 자신의 무의식적 행위나 습관 그리고 감정(emotion)의 요소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무도윤리에서 몸의 체화(embodiment)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몸의 체화와 관련된 무도윤리는 자신의 무도경험에서 시작해야 하고 그 행동의 주체가 명확하게 드러날 때 가능하다. 무도윤리에서 경험의 주체는 몸 자신(proper body)이며, 몸 자신은 우리가 무도를 배울 때 몸으로 배워야 한다고 말할 때 그 몸을 말한다. 이는 이분법적으로 나누기 이전의 동양적인 의미의 몸과 다름이 아니다. 몸 자신을 통한 무도윤리의 출발점과 방향은 4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몸 자신은 자신의 운동감각(sensorimotor)을 갖는다. 둘째, 몸 자신의 행동은 근원적으로 외적 환경에 놓여진 존재이다. 셋째, 몸 자신은 몸이 갖는 내적상황의 조건에 따라 윤리적 힘의 정도는 다르다. 넷째, 몸 자신은 윤리적 행위의 실천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4가지 몸 자신의 역할은 서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통일된 관계 속에서 무도윤리를 체계적으로 완성해야 한다.

      • KCI등재

        무도윤리학의 형성 근거에 대한 고찰

        이상호,황옥철 한국체육철학회 2014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2 No.4

        This study is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building of the ethics of martial arts. If one of ultimate purposes in the martial arts is on completion of character, its ethical approaches and explanations are different from them of Western sport So, this paper is introductory study about how to be explained the ethical approach in martial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ethics of martial arts is to overcome the deontological and ontological approach. Whenever we have to only practice the martial arts, we directly do not get in completion of the character. Practical behavior learned from martial arts promptly and immediately should apply on life-world. This behaviors have to come out in its Mom(bodymind) unconsciously and naturally in the state of embodiment. The completion of character through martial arts do not reduce to the normative explanation. The meaning of subjective body in practicing the martial arts is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of Cartesian dualism. That needs the ethical understanding of proper body. Ethics of martial arts needs to explain the spontaneous movement of Mom, as the immediate coping, in the real world. When ethical behaviors emerge from Mom unconsciously, it may be better ethical attitude. Considering ethical attitudes and behaviors engendered from state of embodiment, we need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 science and phenomenology related Mom. These viewpoints should be suggested as the type of theoretical system and simulation later. But, all of spontaneous, of course, behaviors do not guarantee ethical validity, so we need to suggest the logical foundation to support the justification of spontaneous movement. One of this answers is that process of reflection should carry in the practitioners’behavior itself. In conclusion, the formative foundation of martial arts needs to be built the theoretical system including both of spontaneous behavior and their reflective aspect originated from Mom. Both of relations should be circulated each other. There are many future’s research assignments to set the ethics of martial arts to us. 본 연구는 무도윤리학의 형성 근거에 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무도가 인격완성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면 그 윤리적 접근과 설명은 서구의 스포츠와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논제가 타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인격완성을 위한 무도윤리학의 형성근거는 무엇인지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먼저 무도윤리학은 규범적 당위적 접근법을 넘어서야 한다. 무도를 계속하기만 하면 저절로 인격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인격완성은 자신이 무도에서 배웠던 실천적 행위가 일상생활에 즉각적으로 수반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이는 자신의 몸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나옴으로써 가능하다. 즉 윤리적 행위는 당위적 접근보다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 더 나은 윤리적 태도이다. 이것이 무도에서 인격완성이 드러나는 형태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격완성의 주체인 몸을 몸과 마음이라는 이분법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몸 자신에 대한 윤리적 설명이 필요하다. 즉 무도윤리학은 몸의 즉각적이고 자발적인 움직임과 관련한 몸 자신(proper body)의 관계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윤리적 무의식 행위는 자신의 몸의 체화(embodiment)된 상태에서 나온다는 점에서 몸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와 현상학적 관점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도윤리학을 설명해야 하는 숙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또한 자발적이고 즉각적인 행위가 전부 윤리적 타당성을 획득해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 행위에 대한 정당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논리를 갖추어야 한다. 그 해답의 하나는 자신의 행위에 일어나는 것에 대한 반성의 과정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무도윤리학의 형성근거는 무도수행의 과정 속에서 자신의 몸에서 일어나는 즉각적인 행위와 자신의 반성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는 이론적 체계를 형성해야 한다.

      • KCI등재

        학(學)으로서 무도철학의 이론전개방향

        황옥철,이상호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is follow-up paper of being the practical implication and understanding of martial arts. Philosophy of martial arts should explain not only the aspects of phenomena but also the meaning of practice. And then, we should propose the new theoretical directions. But these discussions are to keep the attributes of having the objective, logical, and scientific directions. Of course, there are existed many methodologies according to researcher's view and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is of delineating the discoursive contents about the theoretical directions on philosophy of martial ar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focus the re-invention of concept of martial arts of logically elucidating the practical cultivation. Second, we should need the conversion of epistemology in the philosophy of martial arts. It is to show the meanings of self-cultivation under prerequisite of their reflections. Third, it should realize the practical knowledge in life world that discipliant's attitude and behavior could help the others through the self-perfection. Fourth, we should know the aesthetics of martial arts in detail from the perspective of East's thought. It makes it possible to represent as the De(德) rather than beauty(美). Fifth, we should the exp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 ethics of martial arts. We are to establish what the ethical problems are in our martial arts, and then we should try to get their answer. But we will consider the precedent discussions may be differently described by many critically views. Therefore, we need the more review and discussion. After acknowledged the review of the diverse contents, we will strengthen the basis on philosophy of martial arts as science different from the philosophy of sports in Western. 본 연구는 무도철학이 갖는 실천적 함의와 이해의 후속 논문이다. 무도철학은 무도의 현상적인 측면이외에도 실천적인 의미까지도 설명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무도철학은 새로운 이론적 전개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논의의 전개는 객관적, 논리적, 체계적인 특성을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무도철학은 연구자의 관점과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도철학의 이론적 전개방향에 대한 하나의 시론적 시도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도개념의 재창조가 필요하다. 무도개념은 무도의 실천적 수행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무도개념의 창조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 둘째, 무도철학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하다. 무도철학은 무도의 깨달음이나 도의 의미를 고정된 도달해야 하는 인식의 대상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 지금 주어진 현실에서 수행하는 과정 그 자체에서 자신의 반성을 전제한 자기 수행의 의미를 제시해야 한다. 셋째, 무도철학은 실천적 앎을 넘어선 실천적 삶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실천적 앎은 자신이 실천적 수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며, 실천적 삶은 자기완성을 통해 현실에서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행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넷째, 무도미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서구 미학이 감각에서 출발하였지만 동양의 미학은 감정에서 시작하였다. 이는 무도미학이 서구적인 아름다움, 즉 미라는 측면보다 수행의 과정 속에서 덕이라는 내용으로 표출되어야 한다. 다섯째, 무도윤리에 대한 동양적 사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야 한다. 무도에서 가장 중요한 윤리적 문제가 무엇인지를 설정하고 해답을 찾으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하지만 이 모든 무도철학의 이론적 구성과 내용의 전개방향은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게 서술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많은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이 검토되고 인정받을 때 서구스포츠와 다른 학으로서 무도철학의 단초를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무도윤리의 예(禮)와 윤리적 노하우(know-how)

        이상호,황옥철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4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new approach on understanding of Li(禮) of martial arts. The established studies of it focus on what it is and why it needs as Eastern philosophical view. But what we know it is different from how we practice. It’s true meaning is all not as Li(禮) for country, it for teacher, and it for each other. It accomplishes when Li(禮) should be applied as normal behaviors and it has unconsciously capability to couple the moral situations. For which, we need to analyze the Li(禮) of martial arts as approach of how-know. Rather, the view of know-what is knowing what Li(禮) is and should follow the Li(禮). This does not supply the concrete solution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Li(禮) to ourselves. To turn the immediate realization of Li(禮), we need the conscious turn to action itself from first-personal approach. This connects the know-how of Li(禮). Li(禮) should do as everyday occurrence of which we take immediate practice like eating, walking, and sleeping and so. It really means the authentic realization of Li(禮). For which ethical know-how of Li(禮) gets theoretical validity when we reflect the results of cognitive science. 본 연구에서는 무도의 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기존 무도의 예와 관련된 연구는 예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를 다양한 동양적인 사상의 관점에서 설명해 왔다. 하지만 예를 안다는 것이 직접 예를 실천하는 것과는 다르다. 무도의 예는 국가에 대한 예, 상호간의 예, 스승에 대한 예가 모든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행위로 자신에게 적용되고 무의식적으로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때 완성된다. 예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노왓(know-what)의 관점이다. 하지만 예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그것만으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어떻게 예를 실천할 수 있을까? 문제는 남아 있기 때문이다. 예의 즉각적인 실천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일인칭의 관점에서 행위 그 자체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예의 노하우(know-how)에 관심을 돌려야 한다. 예의 노하우는 자신이 자연스럽게 즉각적으로 예를 실천하는 것이다. 예라는 것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밥 먹고 살아가는 행위와 마찬가지로 즉각적으로 실행될 때, 진정한 무도의 예가 완성된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의 윤리적 노하우의 이론적 근거는 인지과학의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고 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스포츠윤리와 태권도에 관한 연구

        이형일,김학덕 한국웰니스학회 201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which??has grown as the martial arts sports through the formation and the meaning of sports ethics. Thus, chapter 2??examined divergent views about the formation and meaning of sports ethics and the moral standard of sports??ethics. Chapter 3 firstly presented the examples which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made good character??development and secondly presented an empirical case of immoral and anti-social problems formed by??Taekwondo.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wo conclusions by reviewing sports ethics and moral characteristics of??Taekwondo. Firstly, Taekwondo was sports ethics as well as human existence is a real microcosm. Secondly, the way of??cultivating good moral attributes through Taekwondo could be explained by the habit in terms of empirical aspects.??Also, futures study need to explore how the definition of an ethical concept about Taekwondo players is applied to??martial arts sport through theoretical interpretation.

      • KCI등재

        유도경기에서 체급 구분의 공정성 문제

        이승훈 ( Lee Seung-hoon ),이상태 ( Lee Sang-tea ),권태동 ( Kwon Tea-dong ) 대한무도학회 2016 대한무도학회지 Vol.18 No.4

        유도, 태권도, 씨름 등으로 대변되는 무도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스포츠는 공정성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종 스포츠의 규정들도 공정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정들이 모든 선수들에게 공정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해 볼 수 있다. 특히 유도를 포함한 투기 종목, 즉 무도종목에서는 체급을 구분함으로써 모든 선수들 간의 경기를 규제하고 있다. 이는 체급차이에서 나타나는 경기력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맥락이다. 투기종목 이외에도 각종 신체적 차이가 나타날 수 있는 종목은 상당수 있다. 농구나 배구 종목에서는 키가 큰 선수가 유리할 수밖에 없으며, 육상 트랙종목은 흑인, 수영은 백인 선수들에게서 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종목별 유리한 신체조건 등이 어느 정도 구분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투기종목에서는 체급을 구분하여 그러한 경기력의 문제를 보완하고자 한 것이다. 하지만 체급의 구분은 오히려 그 종목의 특성을 배제하는 역기능으로 작용할 수도 있음을 간과하고 있으며, 이는 무체급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도라는 종목은 부드러운 것이 강함을 제압한다는 것을 기본 명제로 삼고 있으며, 그러한 것을 극복하고 상대를 제압하는 묘리를 담고 있다. 이는 유도의 본질이기도 하며, 나아가 무도의 본질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유도 종목에 한해서는 체급 규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논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유도의 본질에 기초한 접근이며, 유도에서의 공정성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시도라고 생각된다. All sports as well as the martial arts represented by Judo, Taekwondo, and Ssireum are based on the fairness. And all the provisions of the various sports are also based on the fairness. However, a question may be raised whether these provisions are fairly applied to all the players. In particular, all players of the combat sports, or martial arts, including Judo, are regulated by the weight class competitions, which means there being a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weight class. In addition to the combat sports, there are so many events in which various physical differences are revealed. Tall players must have a decided advantage in basketball and volleyball and black athletes are strong in the athletic tracks while swimming remains dominated to a remarkable degree by white athletes, which implies that the physical conditions more favorable for a specific event are ,to some extent, divided. Weight classes in the combat sports are divided by these factors, which is to supplement the performance issue. However, what`s been lost sight of here is that the divided weight classes could create the dysfunctionality which elimin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ent. The elementary proposition of Judo is that something mild overpowers and overcomes something strong, which is the exquisite principle of Judo. This may be called the essence of Judo. And furthermore, it may be the essence of the martial arts. Thus, new approach to the provisions of the weight classes in Judo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which is based on the essence of Judo and helps to strengthen the fairness in Judo games.

      • KCI등재

        한국 스포츠 윤리성의 정책 패러다임 모색: 태권도를 중심으로

        임승엽 ( Lim Seung-yup ),임태성 ( Lim Tae-sung ) 대한무도학회 2017 대한무도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스포츠 현장의 윤리적 변화에 발맞추어, 정부의 스포츠윤리성 확립을 위한 정책추진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태권도 경기의 스포츠윤리성 확립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정부의 스포츠 윤리성 회복을 위한 정책의 경우 1) `스포츠공정성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발표, 2) `스포츠비전 2018`의 추진, 3) `스포츠공정위원회` 출범, 4) `스포츠 4대 악 신고센터` 및 `스포츠 4대 악 합동 수사반` 발족, 5) 대한체육회, 심판위원회 규정 제정 및 상임 심판제 운영, 6) `태권도 심판제도 종합대책` 마련, 7) 대한체육회 선수위원회 규정 개정, 8) 국민체육진흥법 시행령 개정 `2급 스포츠지도사 시험에 스포츠 윤리` 신설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 이어 태권도계의 윤리성 회복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을 모색한 결과 첫째, 비윤리적 행위자에 대한 처벌 강화 및 원칙주의의 확립, 둘째, 심판 처우개선 및 윤리교육 강화, 셋째, 국기원 및 대한태권도협회 내 경기윤리부서 신설 및 상임 윤리위원회 설치, 넷째, 스포츠 윤리에 대한 사회 전반적 인식 전화 유도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Responding the current changes in ethicality within Korean sports, this study was to seek a policy paradigm of Korean sports ethicality, by exploring the policies Korean government has produced during the last couple of years. As results, we found that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following policies 1) establishment of system improvement alternative to secure sport fairness, 2) promotion of Sport Vision 2018, 3) establishment of Sport Fairness Committee, 4) establishment of `Four major violations in sport report center`, 5) making referee committee regulation and maintaining full-time referee system by KOC, 6) preparation for comprehensive alternatives of referee system of Taekwondo, 7) revision of KOC athletes` committee regulations, and 8) adding sport ethic course in sport instructors training program. Continuously, we suggested the following paradigms as to increase ethicality of Korean sports: 1) reinforcement of the punishment for sport ethic violators and adherence on the principle of no-reciprocity, 2) improvement of treatment for referee and reinforcement of ethic education, 3) establishing ethicality department and ethicality standing committee at Kukkiwon and Korea Taekwondo association, 4) leading social recognition changes toward sport ethics. Eventually, we concluded that practice will is the key of the changes to make our sport world ethical.

      • KCI등재

        도박으로 물든 스포츠 : 종합격투기의 윤리적 당위성

        김지혁 한국체육철학회 201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7 No.3

        오늘날 스포츠가 갖는 경제적 가치는 상상초월의 규모를 자랑하며, 그 영향력을 톡톡히 입증시키고 있다. 하지만 프로스포츠 경기가 점차 성행하면서 스포츠도박에 대한 윤리적 문제도 점점 확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종합격투기와 같은 이벤트성 스포츠 경기의 경우, 관중들이 스포츠 자체에 집중하기보다는 ‘스포츠’라는 그럴싸한 포장 안에서 노름 혹은 도박이라고 하는 행위를 즐기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선수들은 도박사들의 예상 속에서 돈을 따기 위한 하나의 수단적 도구로 변질되고 있다. 요컨대 스포츠가 지니고 있는 결과의 ‘불확실성’은 스포츠를 가장 흥미 있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동시에 도박의 특징과도 매우 유사하다. 물론 프로스포츠가 영리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아마추어스포츠와는 확연하게 구분되긴 하지만, 스포츠가 지니고 있는 본질적 가치와 개념적 해석에 있어 상이하지 않다는 것에 집중한다면 오늘날의 스포츠, 특히 종합격투기와 같은 사행성이 강한 종목을 스포츠맨십과 페어플레이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순수한 ‘스포츠’로 볼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사행성이 강한 오락의 하나로서 신체를 수단으로 하는 ‘도박’으로 볼 것인지 반드시 숙고해야 할 문제이다. Today, the economic value of sports is enormous and proves its influence. However, it is true that the ethical problem of sports betting is expanding gradually as the professional sport game is progressing gradually. Particularly in the case of event-based sports such as mixed martial arts, the crowd enjoys gambling or gambling in a reasonably packed package called 'sports',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sport itself. As a result, It is being transformed into one instrumental tool. In short, "uncertainty" of the result of the sport has become the most interesting factor in sports. But at the same time, it is very similar to gambling. Of course, professional spor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amateur sports in that it pursues profit-making, but focusing on the fact that it is not different in terms of the essential value and conceptual interpretation of the sport, today's sports, especially martial arts such as mixed martial arts Is to be viewed as a pure 'sport' that regards sportsmanship and fair play as the best value, or as a 'gambling' by means of the body as merely one of amusing entertai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