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자정부로 인한 지방자치법의 변화 연구

        성봉근 한국공법학회 2016 공법연구 Vol.45 No.1

        Local Autonomy Laws and Acts have been under serious several limits for example long time and distance with alienated from central provinces and insufficient budget. Recently ‘Ensuring State’ Theory and ‘E-Government’ Theory are studied eagerly as hot issues in many area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These two theories are connected with same aim to provide ‘Good Governance’ to citizens and overcome these things. E-Government is a kind of paradigm which can implement various works of legislation, executive, judicial etc. with electronic tools and process for example ICT. And E-Local Autonomy means the application of E-Government in Local Autonomy. There are 4 relationships in E-Local Autonomy for example G2G, G2C, G2B, IEE etc., and this classification system is available to analyze many problems in Local Autonomy. Some says that E-Government is neutral to Local Autonomy and Democracy. But I think that E-Gov. might make huge influences those things and can make it change. And Some says E-Gov. is going to affect negative for Local Autonomy. But I conclude that E-Gov. will help those things positive on the contrary. The basis of E-Gov. are theoretically founded on the Alvin Toffler‘s futurology, Habermas’ Discussion theory, and James Bryce‘s Democratic theory etc. Some says that E-Gov. is only for improvement in View of Economical Effect. But My Idea is that E-Gov. is practical tools and armour for Ensuring State and Harmonize also in view of Constitutional Order and Value including Democracy. I've researched also many countries in aspect of comparative law including legal history and unique circumstances. Although E-Gov. also might make negative influences to Local Autonomy, but with the help of advanced E-Gov. we can expect great progress of Local Autonomy and Local Administration including E-Democracy. We'd better make good structure which Local Government has Initiative in administration and which Central Government helps and supplement it, instead of bad structure of Regulatory State which is lead forcibly by Central Government. So I suggest We need to amend Constitution and Many Laws including the korean Local Autonomy Law. I suggested specifically several amendment idea those were for conversational structure with citizen, for Electronic Local Autonomy, for systemic, unified and effective Legislation, for Local Finance, for Legislation considering Heuristic Character, an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etc. Now is time to upgrade Constitution and Laws for E-Local Autonomy and E-Democracy. We should apparently know that E-Local Autonomy and E-Democracy cannot be completed all of a sudden like that Rome wasn't built in a day. 지방자치법의 발전은 오랜 동안 시간과 장소 및 예산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매우 곤란한 장애에 가로 막혀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슈화되고 있는 이론은‘보장국가론’과 ‘전자정부론’이다. 이 두 가지 이론은 주민들에게 충분한 급부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만들어지고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전자정부는 입법, 사법, 행정 등의 작용을 다양한 전자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구현하는 새로운 정부의 패러다임이며, 이를 지방자치에 구현하는 것이 전자 지방자치이다. 전자정부는 중립적인 가치관에 불과하다는 입장이 있지만, 지방자치 및 민주주의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입장이 타당하다. 전자 지방자치는 지방자치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는 입장이 있지만,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입장이 타당하다. 전자정부의 법철학적 기반은 엘빈 토플러의 미래학, 하버마스의 대화이론, 제임스 브라이스의 지방자치이론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지방자치를 경제적인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입장도 있지만, 보장국가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면서 민주주의를 비롯한 헌법질서와 조화될 수 있는 실질적인 도구이자 무기로 바라보는 입장이 타당하다. 전자정부가 지방자치에 구현되는 역사나 과정 및 현재의 모습, 장래의 전망 등은 나라마다 사정이 다르다. 이에 대하여 비교법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전자정부로 인한 지방자치법의 구체적인 변화들을 검토해 보았다. 전자정부로 인하여 지방자치에 부정적인 영향도 있을 수 있기는 하다. 그러나, 전자 지방자치가 잘 구현되게 되면, 지방행정이 효과적으로 개혁되어 능률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전자 지방자치의 실현에 의하여 공간적인 한계와 시간적인 제약, 지방재정법상 예산 부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전자 지방자치가 잘 구현되면 대화와 합의에 행정의 바탕을 두게 되므로, 전자 민주주의가 발전되게 된다. 전자 지방자치를 실질적으로 잘 구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국가 주도에서 탈피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우선적으로 행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국가가 지방자치단체를 보완하는 구조로 가야한다. 전자 지방자치를 실질적으로 잘 구현할 수 있도록 헌법과 각종 법령을 개정하고 보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입법론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주민들과의 대화형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입법론, 전자 지방자치를 위한 입법론, 체계성과 통일성 및 효율성을 위한 입법론, 전자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지방재정을 위한 입법론, 휴리스틱적 성격과 관련한 입법론, 전자 지방자치의 국제적 활동을 위한 입법론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전자 지방자치는 한꺼번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실험을 해 나가면서 시행착오를 수정하여야 하는 진행형 패러다임이다.

      • KCI등재

        전자정부 관련 법제의 지향점

        최승원(Seung-Won Choi),강지선(Ji-Seon Kang) 사회복지법제학회 2011 사회복지법제연구 Vol.2 No.1

        It has been a while since a new opportunity, which e-space has brought about by overcoming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in the spread of information on the back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was in the spotlight. E-government law and many other related legislation were enacted and enforced based on active debate in academia and practice so far, but in reality actual implementation of a one-stop integrated e-government administration is not accomplished yet. So this is the right time to review whether the direction of e-government, that has focused simply on having established offline government functions work in online, was designed effectively to make the best use of e-space. Considering the very attribute of e-space where the valuable information, which was unavailable because of being concentrated in government or a handful of the privileges, or being dispersed throughout, could be easily passed to anyone who need,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to share the benefits from the use of information with the people by containing information systematically for the public to access more easily. Thanks to the value enhancement through the improvement in utilization of knowledge, the new way to realize the ideal of welfare being have deferred due to the limitations of finite resources is open. From this perspective, an ideal of welfare does not conflict with an ideal of efficiency any more. This study points out that personalized service not implemented subsequently by reason of impossibility or inefficiency in offline space, became possible in e-space, and moreover, that implementing a consumer-oriented services is the way of achieving administrative efficiency. Since the key is on utilizing already existing data properly, structuralization, automation, and standardization in processing administrative data, which IT is expected to have as necessary attributes for aiding people to use the information easily and in the customized form so that they could take advantage of, are examined. And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arrangement of specific criterion to support these kind of changes is required. On the basis of these improvements, it is discussed on how the new possibilities, which e-space present us in regard to electronic government-related issues such as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information, and security in cyber space, will likely take shape. And it is also examined what will be needed to keep in mind in driving these processes. The prospect, namely virtuous circle of promoting information welfare, where more people are freed to use the administrative services at any time and place with ease as they want without burdensome red tape, and to stand as active principals not as passive objects by virtue of the organized legal system on which makes it a fundamental rule to be integrated and linked so as to meet the needs of people, is examined. It is expected that if one-stop integrated administration is actually implemented, the right of people will become protected more, and the rule of law based on the voluntary support and belief of the people who experience these kind of changes will become true. In this respect, the discussion over the technology that contribute to people s lives, and the effective legislation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is technology will be useful. By setting the right goals, establishing the legal system to support them, and thereby getting the intended results, we will meet with both an ideal of efficiency and of welfare. Thus with laying stress on the possibility of e-welfare, the discussion over designing legislation related to e-government which aims to support such a change and to help more people with the benefits arising from such a change, is required.

      • KCI등재

        전자정부의 효과: 거버넌스 지표를 중심으로

        왕재선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3 行政論叢 Vol.51 No.4

        This study examines what effects e-government brings about in government, using national-level panel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govern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government effectiveness, participation, and the rule of law. The degree of e-government’s impact is stronger than for the control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wo indexes of e-government have different impacts on four governance indicators. While the e-participation index influences the level of participation, the e-government readiness index impacts government effectiveness and rule of law. Neither index influenced control of corruption. This study showed that e-government led to positive effects for the diverse goals it pursued. In particular, the main effect of e-government is improvement to government effectiveness. 본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 우리나라에서 정부개혁의 핵심 과제 중 하나였던 전자정부가 실제로 정부에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에 대해서 국가수준의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써 전체적으로 전자정부가 정부의 효과성, 참여, 법의 지배 등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타나났다. 또한 통제변수보다 영향력의 강도가 더욱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자정부의 수준을 구성하는 구체적 지표별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종속변수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자적 시민참여지수는 참여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전자정부준비지수는 정부효과성과 법의 지배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전자적 시민참여지수와 전자정부준비지수 모두 부패방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전자정부는 그것이 추구하는 다양한 목표에 긍정적 효과를 유발하고 있었으며 특히 정부 효과성 제고에 전자정부가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자정부의 목적이 어디에 초점이 있는가에 따라서 그것에 적합한 전자정부의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입법적 과제 - 정부서비스의 연계 및 통합 방안을 중심으로 -

        정원준 연세법학회 2023 연세법학 Vol.42 No.-

        최근 윤석열 정부에 들어서면서 기존의 전자정부를 심화・발전시킨 개념인 이른바 ‘디지털플랫폼정부’가 국정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플랫폼정부는 디지털 플랫폼 내에서 AI와 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등 새로운 디지털 신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국민들이 다양한 편익과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고안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민관의 협력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해온 관주도적 정부서비스 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국은 이미 전세계적으로 최상위 수준의 전자정부 성과를 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간 전자정부법을 비롯한 여러 관련 입법의 시의적절한 마련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지 않는 공공부문의 경우 비단 정책의 설계와 추진만으로는 자발적인 실행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입법의 기능과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 따라서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실현에 있어서도 구체적인 이행력을 확보하고,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세밀한 입법전략이 필요하다. 그런데 그간 행정정보 공동이용과 전자민원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전자정부 법제는 공급 정책의 일환에서 전자정부서비스를 확대하고 그 저변을 넓히는데 방점을 두어왔다. 이에 따라 현행법은 수범자인 공적 주체들이 행정업무나 공공데이터 공개・활용 정책 등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유념해야 할 기본원칙과 절차적 근거를 마련하는 것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맞춤형 정부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의 개념 하에서는 기관별, 업무 단위별로 분산되어 규율하고 있는 기존 법체계를 일부 수정할 필요성이 있다. 즉, 정부서비스의 연계성 강화에 방점을 둠으로써 데이터, 지능형 AI 등 필수 자원의 공유와 활용을 수요 중심으로 추동하는 방향으로 규율체계를 정립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플랫폼정부서비스의 연계 및 통합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법 방안을 핵심적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기존에 행정망 구축과 대국민 행정서비스를 통합적으로 규율해 온 전자정부법이나 공공기관의 공공데이터 공개 및 개방에 관한 원칙을 규정하는 공공데이터법, 그리고 행정의 과학화를 위한 행정정보의 집적과 분석・활용에 대하여 정하고 있는 데이터기반행정법 등은 분산되어 있는 개별 정부서비스 간의 연계와 통합의 관점이 내재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특별법적 성격의 법률을 제정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형식의 입법 추진을 통해 디지털플랫폼정부서비스가 단발적인 정책 모델에 그치지 아니하고, 지속적으로 정부서비스 분야에 혁신을 불러올 수 있는 모델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so-called ‘Digital Platform Government’, a concept that deepened and developed the existing e-government, is being promoted as part of the national strategy. Here, the digital platform governmen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designed to enable the people to enjoy various benefits and benefits by applying new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I, data, and cloud computing within a digital platform. This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so-called e-Government service concept, which was previously centered on the government, in that it actively promotes cooperation between the private sector and the government. Korea has already achieved a high level of e-Government performance by supporting efficient policy execution and systematic operation through preemptive preparation of various related legislations, including the e-Government Ac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ublic sector, which does not aim at profit, the role of legislation is important because it is difficult to strengthen executive power and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only by designing and promoting policies.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a detailed legislative strategy is important in order to secure concrete performance and promote efficient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in the realization of Digital Platform Govern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legislatively fulfilled the legislative tasks related to the Digital Platform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standard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ransmission system corresponding to the core infrastructure that is the basis of the Digital Platform Government service concept and linking and integrating it. I focused on the main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However, innovative changes to prediction-based administrative processes through the latest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I, data, and cloud computing inevitably face a collision with the existing standardized administrative system. The e-Government Act, which has been integrating the existing administrative network establishment and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and the Public Data Act, which stipulates the principles of public data disclosure and opening by public institutions, and the accumulation, analysis, and utilization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for scientification of administration This is because the Data-Based Administrative Act, etc., stipulated against, does not internalize the point of view of linkage and integration among dispersed individual government services. In this article, it is argued that through the enactment of new legislation in the form of a special law, it can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nnovative government services, not just a one-off policy model. To this end, it was argued that a detailed strategy is needed to clearly design the purpose of the new legislation and to standardize it accordingly. If this purpose is included in the new legislation regulating the provision and operation of Digital Platform Government services, it will create innovative changes in innovative government services based on private cooperation without causing great confusion in matters governing government services under individual laws. It is expected that it can function as a legislative basis that can be implemented.

      • KCI등재

        국방분야 전자정부 구현방안 검토 - 전자정부 기본원칙에 따른 국방법제 개선을 중심으로 -

        김진영 ( Kim Jin Young ),이용민 ( Lee Yong Min )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7 과학기술법연구 Vol.23 No.3

        전자정부란 정보기술 활용을 통해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업무를 전자화하여 행정기관 등 상호간의 행정업무 및 국민에 대한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정부를 의미한다. 정부는 적극적으로 전자정부를 구현하였고 유엔이 발표한 전자정부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항상 전자정부 지수 최상위를 유지하고 있는 등 세계 최고의 평가를 받고 있다. 거시적 관점에서 우리나라는 전자정부가 구현되어 있지만 여전히 개별 부처별로는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존재한다. 현재 국방부의 전산망은 보안사고 우려로 인해 인터넷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다수의 민원사항이 인터넷망에서 국방망으로 간접적으로 전달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의 내용 저장, 암호화, 복호화, 승인 등 모든 프로세스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국민들은 물론 국방부 직원들의 불편까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국방망에 대한 해킹, 바이러스 유포 등 보안 측면의 위협을 고려하여 폐쇄적 운영이 필요하지만 보안사항이 존재하지도 않는 망까지 모두 폐쇄적으로 운용하는 것은 업무 효율성과 국민편익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것이다. 특히 국방분야는 분단 상황이라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현실을 고려하여 전자정부원칙의 예외로 분류되고 있으나 민감한 국방정보가 아니라면 전자정부원칙이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전자정부법」상의 전자정부 기본원칙에 근거하여 국방 전자화를 위하여 추진되어야 할 법제개선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국방 분야에서도 대국민 서비스 강화를 위한 인터넷망 연결과 행정업무혁신 및 생산성 강화를 위한 클라우드 활용이 필요하다. 엄격한 보안장치가 유지된다면 외부망과의 연결이 망 단절보다 안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국방 안전성 확보 기준을 마련하고 국방정보 공개를 통하여 예측가능성과 투명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국방 전자화 추진 조직을 확보하고 교육체계를 강화하여 국방 전자화의 지속성을 담보하여야 할 것이다. 국방 분야도 전자정부 기조에 따라 전자화되었지만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특히 국방행정이 국민 기본권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법제개선의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아무쪼록 본고의 논의가 반영되어 국방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양질의 국방행정 서비스가 제공되기를 기대해 본다. E-government means government that electronically manages its b usiness through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fficientl y manages administrative tasks among the administrative agencies an d the public. KOREA government has actively implemented e-govern ment and is receiving the highest evaluation in the world. In the e-g overnment evaluation announced by the United Nations, KOREA is al ways at the top of e-government index. Therefore KOREA has imple mented e-government, but there are still issues to be improved by in dividual departments. Currentl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s computer network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due to security concerns, so ma ny complaints are in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Internet network to the defense network. All processes such as content storage, encryptio n and approval in the process are inefficient, and the inconvenience t o the people. The defense sector is classified as an exception to the e-government principle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security threat, but if it is not sensitive defense information, the e-government princi ple should be implemented. This paper examines how to improve the legal system for defense electronic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e-government in e-govern ment law. First, in the defense sector, it is necessary to use the clou d to connect to the Internet to strengthen the service for the people and innovate the administrative work. If a strict security device is m aintained, the connection to the external network may be more secure than the network disconnect. Next, it needs to establish standards for ensuring defense safety an d enhance transparency and predictability through defense information disclosure. And it should strengthen the organization of defense electr onics promotion and education Since the defense administr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basic rig hts of the peopl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 KCI등재후보

        行政情報化의 行政法上 課題

        朴均省 한국공법학회 2004 公法硏究 Vol.33 No.1

        E-administration signifit plus que l'utilisation des technologies de l'information et des communications dans les administrations publiques. Il y auraient des changements de l'organisation de l'administrqtion et des rapports des administre´s avec leur administration. Il en re´ulterait un changement du droit administratif. Il ne serait pas facile de pre´ire les contenus de e-droit administratif. Cependant les recherches de l'e´volution du droit administratif peuvent aider la le´islation de eadministration On pourrait envisager les e´olutions suivantes a´court terme ou a´ long terme du droit administratif dans e-administration. Dans le domaine de l'organisation administrative il y auraient un renforcement du ro. le du guichet e´lectronic, celui de la coope´ation entre les autorite´s administratives, celui des autorit e´s de protection des donn e´es personnelles et l'att e´nuation du caract e´ere hi e´rarchique de l'organisation administrative. Dans le domaine de l'action de l'administration a´ l' e´gard des administr e´s il y auraient les changements suivants: L'administration changerait de l'administration centr e´e sur les autorit e´s administratives a´ l'administration centr e´e sur les usagers Il y aurait une int e´gration des services publics pour one stop service, le d e´v e´opement de la participation des citoyens a´ l'administration, l' e´volution de droit de t e´l e´proc e´dure. Enfin il apparai.trait un droit administrative d'information dans lequel la gestion des documents publics e´lectronics, l'acce´s aux documents publics e´lectronics et l'utilisation

      • KCI등재

        개인정보보호법 입법을 다시 거론하며

        권헌영(Kwon, Hun Yeo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09 土地公法硏究 Vol.43 No.3

        한국은 1990년대부터 시작하여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를 거치는 동안 전자정부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정책적 성과를 보여 왔다. 행정정보의 전자화를 중심으로 진행된 전자정부정책은 개인정보에 대한 전자적 처리과정을 부득이 수반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한 법적 통제 역시 전자정부 정책의 주요 주제가 된다. 한국에서는 이런 정책의 일환으로 1994년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이후 개인정보보호법은 분야별로 상세히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한국 정부의 전자정부시스템 구축 사업이 성과를 보이면서,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사회적 논의가 보다 확대되었는데 그 대표적 사례가 바로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거부사건(이른 바 NEIS 사건)'이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정권초반기에 발생한 전자행정에 대한 거부사례인 NEIS사건 이후 사회적 논의와 전문가의 연구검토 등을 거쳐 개인정보보호입법 개선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대통령의 핵심과제로 추진된 개인정보보호입법 개선 작업은 입법에 관한 행정조직을 분명히 지정하지 못한 관계로 국회 논의과정에서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이후 새로 출범한 이명박 정부에서는 기존의 입법개선 작업의 내용은 유지하되 행정조직체계를 개편하는 내용을 소폭으로 조정하는 등의 입법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현재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법을 통해 개인정보침해 행정에 관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고 그 조직과 인력을 확충함으로써 개인정보의 활용을 적절히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소 부족하더라도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입법 개선을 조기에 마무리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Since 1990s, Korea has been achieved a remarkable progress in e-government. Because administrative informatization-centered e-government policy inevitably entailed electronic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the area of establishing appropriate legal basis and managing legal procedures for handling personal information electronically has to be one of the essential areas of e-government policy. As a part of legal efforts,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Public Information Privacy Law’ in 1994, and ‘Public Information Privacy Law’ triggered to advance the field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detail. During Roh Administration(2003-2007) Korea's 20 year long and enormous efforts towards e-government finally were rewarded. The Korean government actually obtained successful results from all e-government initiatives. On the other hand, debate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ecame a hot issue in the Korean society, and the best example is the resistance against NEIS(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happened at the every beginning of Roh Administration. After this event, the Korean government tried to improv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by social discussions and experts' studies. However, thi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mprovement initiative failed while being discussed at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the government did not specify the exact name of the responsible authority. Lee Administration, the successor of Roh Administration, has been working on the same subject but using a different approach. It reformed the governmental structure, but it did not change the actual cont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Korea now is to clarify where the responsi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dministration lies and expand th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s so that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can be carefully monitored. Even though all above are not enough, it is preferential for the government to accomplish the legislative improv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early.

      • KCI등재후보

        온라인 행정서비스의 역기능 방지를 위한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재광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6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33

        온라인 행정서비스는 이른바 전자정부 내지 유비쿼터스 정부의 핵심내용이다. 온라인 행정서비스는 행정기관의 업무의 틀을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획기적인 방식이자 정부혁신의 상징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바야흐로 '전자정부'를 지나 '유비쿼터스정부'로 본격적으로 진입하고 있지만 최근 국정감사에서 간단한 프로그램 조작으로 민원서류 위조·변조가 가능한 것으로 드러나 유비쿼터스정부의 창출을 주도하는 우리나라의 체면을 몹시 구기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 논문은 유비쿼터스정부의 본격격인 전개에 대비한 법제정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온라인 행정서비스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과 보안대책 수립 등 법제도 전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온라인 행정서비스 역기능 방지를 위한 관련 법제에 대해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성공적인 유비쿼터스사회의 실현을 위해서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반환경조성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안전한 온라인 행정서비스가 관건이다. 안전한 온라인 행정서비스를 계속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단계별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1단계는 시스템의 설계 단계시의 보안고려이고, 2단계는 행정처리 과정의 개선, 3단계는 기술·법·제도의 동시정비검토로 압축할 수 있다. 앞으로 온라인 행정서비스와 관련한 법현실의 변화는 그 폭과 형상이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에 비례히여 법현실과 법규범의 괴리는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본 보고서에서의 온라인 행정서비스 관련법제의 정비방안의 제시를 통해 그러한 괴리와 간극이 최소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n Online Public Service(OPS) is one of the primary(or core) content for E-government or U-government. OPS has being considered as a progressive way to change the frame of the administrative organ and a symbol of the renovation for the government. Although E-government and the infrastructure of ubiquitous has been developed rapidly, the recent report from the parliamentary inspection of the administration reveals that it is possible that the on-line documents in OPS could be manipulated or a forgery without any difficulty. It brings disgrace upon our government which leads the creation of the U-government. The current study is mainly focused on related laws for reverse function prevention of the OPS and policy implication. Especially, using a in-dept analysis on specific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OP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solving some of the problems (eg., conflicted contents on the laws) are suggested in the later part of this study. Although the laws regarding OPS will be changed, the gap between the reality and the law will become larger. Based on this fact, the current research attempts to develop and suggest several, policy implications. Throughout these policy implic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estrangement and gap between the reality and the law will be minimized.

      • KCI등재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의 재평가

        김기창(Kim, Keechang) 한국정보법학회 2016 정보법학 Vol.20 No.2

        모델법이 채택되던 90년대 중반에는 전자적 수단으로 체결된 계약이 과연 ‘유효’한지부터가 논란 거리였으므로 이러한 논란을 입법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했었다. 그러나, 이제는 전자적 방법으로 체결되는 계약 등도 유효할 수 있다는 점은 더 이상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어떤 행위가 ‘문서’로 행해져야 하도록 법령에 정해져 있을 경우, 그러한 문서 요건을 전자적 정보로도 충족할 수 있는지는 당사자 간에 첨예한 이해 대립이 있을 수 있고, 전자적 정보가 언제나 전통적 ‘문서’가 가지는 모든 기능을 구비하는 것도 아니므로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 기본법은 전자적 ‘정보’를 전자 ‘문서’라고 지칭해버릴뿐 아니라, 전자적 정보의 “법적 효력”에 관한 외국의 규정들이 마치 “문서로서의 효력”에 관한 것인양 오해한 규정을 두고 있어서, 과연 어떤 경우에 전자적 정보가 “문서로서의 효력”을 인정받을 수 있을지가 제대로 규율되지 않고 있다. 이 점은 개선되어야 한다. 전자적 정보의 송신 시점에 관하여 기본법은 교신 기술과 모델법 규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여 수신 시점과 송신 시점을 동일시하는 잘못을 범하고, 수신 확인 요청에 관한 규정은 모델법을 ‘발췌 번역’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내용을 누락한 나머지, 전자적 교신의 수신자에게 불측의 손해를 가할 여지가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러한 오류는 시급히 교정 되어야 한다. 전자 서명에 관한 외국의 입법례들은 다양한 서명 방법을 최대한 포용함으로써 서명 요건이 전자 거래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한국은 정반대로 오로지 “공인전자서명”만이 법령상의 서명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정부가 지정한 “공인”업체가 발급한 “공인”인증서가 있어야만 “공인”전자서명이 가능하도록 기술적, 제도적으로 대단히 제한적, 배타적, 폐쇄적으로 전자 서명 제도를 운영하고있다. 이처럼 정부가 일부 업체를 “공인”업체로 지정하고 이들에게 법령상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업체의 영업이나 홍보에 정부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둔 “공인”사업 모델은 인증 서비스 뿐 아니라, 전자문서의 저장, 유통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산재되어 있다. 정부의 이러한 개입은 기본법이 스스로 천명하는 “민간 주도 원칙”에도 어긋나고, 소수의 “공인” 업체가 시장을 장악하여 과점적 특혜를 누리는 상황을 조장하며, 한국 정부의 지정을 받은 “공인”업체들이 한국에서만 통용되는 기술 규격을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은 국제협력을 저해하는 측면도 있다.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이 안고 있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서는 모델법이 생겨난지 20년이 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이제는 좀 더 성숙한 안목을 가지고 정책의 기본 원칙에 충실한 방향으로 근본적인 반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When the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Commerce was adopted in the mid 1990s, it was a point of contention whether contracts concluded through electronic means are ‘valid’. It was therefore necessary to remove such a doubt by legislative means. Now, there is no doubt that contracts can validly be concluded through electronic means. On the other hand, where a statute requires a contract or a notice to be in writing, whether electronic communications can satisfy such a ‘writing’ requirement is a highly contentious issue requiring cautious approaches because electronic communications do not necessarily have similar functions as paper and because the parties’ interests are sharply vetted against each other. The Electronic Documents and Electronic Commerce Act (EDECA) of Korea confusingly refers to the information in electronic form as “electronic document”. The EDECA thus stipulates that an “electronic document” shall not be denied the “validity as a document” soley because it is in electronic form. This provision is due to a confusion between the ‘validity’ of contracts concluded through electronic means and the ‘validity as a document’. A ‘valid’ contract does not mean that it has the ‘validity as a document’. Regarding the time of dispatch, the EDECA has an erroneous provision which stipulates that the message shall be deemed to be dispatched when it enters the information system accessible by the recipient. The EDECA also made a mistake when it excerpted the Model Law provision regarding the acknowledgement of receipt. These errors need to be rectified. Regarding the electronic signature, Model Law or the UN Convention on the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International Contracts take the position where a widest possible range of signing methods are recognized as ‘valid’ and these methods are treated as satisfying the signature requirement under the law. The South Korean law takes the oppisite position. Only the “government endorsed digital signature” under the Electronic Signature Act of Korea shall be treated as satisfying the signature requirement under the law. In order to produce “government endorsed digital signature”, one must have a “government endorsed” digital certificate issued by a “government endorsed” certificate service provider. The signature requirement under the Korean law can therefore be met only through a very restrictive, exclusive and closed regime of electronic signature. The “government endorsed” regime of services is stipulated in EDECA in respect of services for retention and exchange of electronic records, as well as the “government endorsed” electronic address. Such heavy involvement of the government is inimical to the “principle of private initiative” the EDECA professes as its policy principle. On the 20th anniversary of the Model Law on Electronic Commerce, it is perhaps time to re-evaluate the EDECA from a more mature perspective in light of its basic policy principles.

      • KCI등재

        전자정부 1등 국가와 행정정보공유법제의 발전

        권헌영(Kwon, Hun-Yeo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49 No.-

        우리나라가 전자정부 1등 국가가 되는 데는 발달된 정보통신 인프라와 더불어 행정정보의 전자화가 핵심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또한 행정정보공유 정책은 전자정부정책의 핵심기반이 된다. 아직 우리 행정환경이 전자정부의 궁극적 목적인 민주주의의 완성이나 정보사회의 거버넌스 확립에 행정정보공유 정책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점은 아쉬운 점이지만, 그 첫 단계로서 국민 편익증진과 행정효율성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하여 매진하고 있는 점은 다행이다. 특히, 국민의 행정정보 구비서류 업무를 경감하기 위하여 범정부 차원에서 행정정보공유추진위원회를 두고 상근 공무원조직으로 이를 지원하게 함은 물론 체계적 행정계획을 세워서 추진하고 있는 점과 그 성과가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점은 앞으로도 우리나라 전자정부가 지속적으로 세계 1등을 유지하게 되는 비결이 될 것 같아 자랑스럽다. 최근에는 전자정부법의 전면개정을 통해 행정정보공유 정책의 법적 근거가 더욱 튼튼하게 되었다. 일단 급하게 근거를 마련하는 일은 시작하였지만 앞으로 행정정보공유 정책의 발전을 위하여 제도적으로 개선하여야 할 일이 많다. 우선 규범적으로 대상기관이나 대상정보에 대한 요건이나 확정절차 등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법적으로 민간기관에 대한 활용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면서도 그 대상기관은 특정 업종에 특정 기관으로 한정하는 듯한 입법태도는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아직 기회가 있는 만큼 하위법령의 구체화 과정에서 이러한 입법적 검토사항이 충분히 반영되기를 바란다. The best e-Government in the world was due to digitaliz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and well-developed IC infrastructure. In addition,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aring policy is the backbone of e-Government Policy. Unfortunately, we are still not use e-government information sharing policy to achieve completion of democratic and governance of information society. But, It is comforting that Promote public convenience and to ensure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economy are being used it. In particular, it is proud that install the committee of public information sharing in order to reduce paperwork and set up a specific policy plan for policy objectives. In recent years, legal basi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sharing policy has become more clear because of revising e-Government act. But, there are a lot of drawback that relation with system. From now on, it should reflect various improvements in the process of the planning and developing of Enforcement Regulations & Enforced Ordin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