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적 전회와 확실성: 「확실성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구리나 ( Ri Na Ku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3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적 전회는 사실과 관념의 관련을 기존과 다른 방식(관념->사실이 아니라 사실->관념의 방향)으로 이해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은 곧 확실성의 문제를 기존과 다른 관점으로 이해한다는 것을 뜻한다. 비트겐슈타인 이전의 철학자들, 즉 데카르트, 흄, 칸트에게 있어서 확실성은 각각 인간의 이성적 능력, 허구, 그리고 이념으로 간주되었다. 비트겐슈타인의 확실성은 데카르트와 흄의 생각을 종합한 것이면서, 데카르트와 흄의 생각을 인식론적 관점에서 종합한 칸트의 생각보다 진일보한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은 칸트와 달리 인식이 아닌 전달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그것은 결국 ‘말할 수 있는 것’을 통하여 ‘말할 수 없는 것’을 전달하고자 하는 그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확실성’은 이와 같은 전달의 내용을 일컫는다. 부정적 확실성은 각자의 삶을 반성하면서 삶의 기준을 찾아야 한다는 믿음이며, 비트겐슈타인은 『확실성에 관하여』를 통하여 독자에게 자신의 부정적 확실성을 보여주고 있다. 비트겐슈타인이 『확실성에 관하여』와 같은 스타일로 철학을 하는 까닭은 ‘말할 수 없는 것’으로서의 확실성을 전달하는 데에는 그것을 전달하는 자기 자신을 배제하고 다른 곳에서 그 전달의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것, 따라서 독자로 하여금 『확실성에 관하여』의 저자와 함께 저자가 보는 곳으로 눈을 돌리도록 한다는 데에 있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적 전회는 ‘말할 수 없는 것’의 전달의 책임문제를 자기 자신에게 두는 교육적 고려를 담고 있다. This study shows the certainty of Wittgenstein in pursuing On Certainty could be determinated by ``negative certainty``, compared by earlier philosophers`` concept such as Descartes, Hume and Kant. They taught him that certainty can not be detached in the abstract of human beings and their life, and with more significance it can not exist in advance without the effort to establish. According to Wittgenstein, it is ``what can not be said`` which can be shown by ``what can be said``. His concern about certainty comes from how to convey ``what can not be said`` without making it ``nonsense`` on the basis of ``what can be said`` which could be proven by referring to the world to be true or not. On Certainty itself could be interpreted as a proof that ``what can not be said`` can be transmitted from the one who trusts its value and tries to realize it in his actual life, such as shown in Wittgenstein``s On Certainty to the one who reads and reflects on his own life. There is not any positive answers on how to live except reflecting life with a fresh pair of eyes, just like how the author trying to live and show in his book. This is the message from On Certainty that could be labeled ``negative certainty``.

      • KCI등재

        “무근거성에 대한 두려움”과 『확실성에 관하여』에 대한 인식론적 해석들

        김이균 범한철학회 2019 汎韓哲學 Vol.92 No.1

        이 논문의 목표는 비트겐슈타인의『확실성에 관하여』에 인식론적 상대주의를 귀속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최근 논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확실성』의 중심에는 이미『철학적 탐구』에 나오는 논쟁과 개념들이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그것들이 이전과 상당히 다른 맥락에서 다시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 점을 간과한 많은 연구자들이『탐구』에서 주로 사용되고『확실성』에는 단 한 번만 등장하는 ‘삶의 형태’ 개념을 『확실성』에 인식적 상대주의를 귀속시키는데 동의 또는 거부하는 핵심 논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은 우리로 하여금 비트겐슈타인이 결코 의도하지 않았던 방식으로『확실성』을 해석하도록 강요한다. 따라서『확실성』의 핵심 쟁점들을 보다 엄격히 따라가기 위해서, 필자는『확실성』의 핵심개념이자 동시에 ‘삶의 형태’에 비해서 다소 다른 강조점을 가지고 사용된 ‘세계상’ 개념을 분석도구로 사용할 것이다. 그 결과로부터『확실성』의 핵심주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확보함으로써『확실성』에 인식적 상대주의를 귀속시키는 문제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을 재평가하는 중요한 단서를 발굴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contribution to the contemporary debate over the question whether or not On Certainty leans towards epistemological relativism. At the core of On Certainty, we find arguments and conceptions that are already present in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ut that these arguments are situated in quite a different context. Overlooking this fact, many scholars rely on ‘form of life’, which is mainly used in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nd reappears only once in On Certainty. This is to introduce some central arguments for and against attributing epistemological relativism to On Certainty. Unfortunately, however, this choice forces us to read On certainty in a way Wittgenstein never intended. Therefore, to follow main arguments in On Certainty in a stricter way, I will introduce ‘world-picture’ which is a key concept of On Certainty and used with a slightly different emphasis compared with ‘form of life. Consequently, I will give my own interpretation of On Certainty in relation to epistemological relativism, excavating critical clues to re-evaluate several established arguments for and against attributing epistemological relativism to On Certainty.

      • KCI등재

        확실성과 정밀성: 훼손된 확실성 문제에 대한 비정밀 베이즈주의자들의 답변

        박일호 ( Iiho Park ) 한국과학철학회 2020 과학철학 Vol.23 No.1

        베이즈주의 믿음 갱신 규칙 중 하나인 제프리 조건화는 우리가 확신하고 있었던 믿음이 경험에 의해서 불확실해지는 경우를 제대로 다룰 수 없다. 본 논문의 목표는 이런 베이즈주의 믿음 갱신 규칙의 문제를 검토하고 나름의 제안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먼저 1장에서 베이즈주의의 일반적인 특징들을 서술한다. 그 뒤 2장에서 확실성의 훼손문제를 왜 베이즈주의가 다룰 수 없는지 서술한 뒤, 이에 대한 가능한 답변을 설명한다. 3장에서 필자는 확실성의 훼손 문제를 초기 신념도에 의존해서 해결하려는 시도를 서술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그 뒤 마지막 4장에서는 확실성의 훼손 문제를 비정밀 확률주의를 통해서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서술하고, 이것이 가지는 장점들을 언급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베이즈주의 이론틀속에서 확실성의 훼손과 비정밀성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Many philosophers have thought that Jeffrey Conditionalization, which is a version of Bayesian credence updating rules, cannot model the cases in which experience makes us lose our certain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so-called Certainty Loss Problem, and to provide a way of modeling such a belief updating in the Bayesian framework.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In section 1, I will give a general explanation about Bayesian epistemology. Section 2 will be devoted to expl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rtainty Loss Problem and Jeffrey Conditionalization. In Section 3, we will see a way of modeling the belief updating case at issue. In particular, I will introduce ‘Initial Jeffrey Conditionalization (or Ur-Jeffrey Conditionalization)’ and critically examine this kind of belief updating strategy. In the next section, I will provide another way of modeling the certainty loss case, which heavily depends on the imprecise probabilism framework. In doing so, we can find a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certainties and precise credences.

      • KCI등재

        법적 안정성과 해석

        양천수(Chun-Soo Ya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28 No.2

        법적 안정성은 합목적성 및 구체적 타당성과 함께 법체계의 중요한 이념이자 가치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법적 안정성은 법체계의 작동 전체와 관련을 맺는다. 예를 들어, 법학방법이나 입법 그리고 해석 모두 법적 안정성과 관련을 맺는다. 이러한 법적 안정성은 형식적 합리화가 낳은 법이념이자 법체계가 자기생산적 체계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데 기여한다. 이 글은 이 중에서 법적 안정성이 법해석과 어떻게 관련을 획득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이른바 ‘아름다운 판결’로 널리 알려진 대전고등법원 판결과 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분석한다. ‘아름다운 판결’에서는 구 임대주택법이 규정한 임차인 개념이 문제가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형식적 의미의 임차인뿐만 아니라, 실질적 의미의 임차인 개념을 인정할 수 있을지가 문제되었다. 이 글의 분석에 따르면, 대전고등법원은 구체적 타당성을 기초로 하여 실질적 의미의 임차인 개념을 인정하였다. 이와 달리 대법원은 법적 안정성을 토대로 하여 실질적 의미의 임차인 개념을 부정하였다. 또한 대전고등법원은 구체적 타당성에 입각하여 목적론적 해석방법을 사용한 반면, 대법원은 법적 안정성을 바탕으로 하여 문법적 해석과 체계적ㆍ논리적 해석을 우선시 하였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법적 안정성이 선이해의 일종으로서 해석방법을 선택하고 해석결과를 결정하는 데 기여를 하였음을 논증하였다. 요컨대, 법규범을 해석하는 작업은 해석학적 구조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이다. The legal certainty functions as one of important ideas and values of the legal system with the purposiveness of law and the concrete validity. The legal certainty bears a relation to the entire operation of the legal system. For example, all of legal method, legislation and legal interpretation are related to the legal certainty. It is one of legal ideas resulted from the formal rationalization of the modernization and contributes to the operation of the legal system as an autopoietic system. Among them, this article deals with the question of how the legal certainty is related to the legal interpretation.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not only the so-called ‘beautiful decision’ of the High Court of Daejeon, but also the ruling of the Korean Supreme Court on that. The main problem in the ‘beautiful decision’ was the concept of a tenant in the Korean Housing Rent Act. To be specific, it was controversy if the concept of a tenant in the Korean Housing Rent Act includes not only a formal tenant, but also material tena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article, the High Court of Daejeon recognized the concept of the material tenant on the basis of the concrete validity. In contrast, the Korean Supreme Court denied it based upon the legal certainty. While the High Court of Daejeon was also using a tele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basis of the concrete validity, the Korean Supreme Court was using grammatical, logical and systemic interpretations in based upon the legal certainty. For those reason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legal certainty as one of preunderstandings contributed to selecting an interpretation method and deci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a tenant in the Korean Housing Rent Act. In short,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nterpretation of legal norms cannot be free from the hermeneutic structure.

      • KCI등재

        실천적 확실성 : 축-명제들의 지위와 역할

        김화경(Hwa-Kyung Kim) 한국분석철학회 2006 철학적 분석 Vol.0 No.13

        『확실성에 관하여』에서 비트겐슈타인은 특별히 경험적 명제의 형식을 지니고 있으나, 우리의 믿음체계 내에서 결코 의심과 검사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명제들의 존재를 밝히고 있다. 이 글에서 축-명제들로 불러지는 이러한 비-인식론적 명제들은 우리의 경험체계 안에서 서술과 표현의 규범 역할을 담당함으로서 “이성적인 논의”를 위한 “배경”이 된다. 그런데 축-명제들에 대한 확신의 근저에는 근거지워지지 않은 우리의 행위가 놓여있으며, 이것을 비트겐슈타인은 우리가 공유하고 있는 전승되어 온 자연적 습관, 전통, 훈육, 그리고 사회화 같은 문화적 배경 속에서 표현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확실성에 관하여』에 대한 논의는 주로 지식과 확실성에 관한 이론적인 분석들로 이루어져서 비트겐슈타인의 “나의 삶은 내가 많은 것들을 만족하여 받아들인다는 점에 놓여있다”는 것의 의미를 깨닫게 하는데 충분하지 못했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확실성에 관하여』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추구한 궁극적 의도는 조사와 탐구의 출발점을 발견하고, 정확히 거기에서 출발하도록 하는 것은 실천적 목적을 위한 우리의 “결단”과 “함”임을 지적하며, 확실성의 개념이 실천(Praxis)을 매개로 우리에게 믿음의 무근거성을 통찰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In On Certainty Wittgenstein discovers, due to Moore´s investigations, some special statements. Wittgenstein called them empirical propositions, although they are an element of our belief-system. Neither could they be doubted nor checked. In this article I refer to these statements as hinge-propositions. Hinge propositions play the role of non-epistemological statements in our belief-system, they function as a norm of description and constitute the inherited background against we distinguish true and false. Speaking of this background, Wittgenstein uses words such as tradition, socialization, and "Abrichtung" (drill, education). Former examinations of On Certainty display mere theoretical aspects of knowledge and certainty. Thus these theoretical examinations are unable to explain Wittgenstein´s remark, "My life consists in my being content to accept many things." Actually, Wittgenstein aims at illustrating this statement in On Certainty. At the beginning of his investigations into knowledge and certainty, we find instead of epistemological considerations Wittgenstein´s demand to start with looking at decisions and actions. In this essay I intend to analyse the concept of certainty by referring to our practise, showing how we can realize that our actions arise from unfounded beliefs.

      • KCI등재

        앎의 문법과 확실성의 본성 : 비트겐슈타인의 『확실성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이영철(Young-Chul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2

        이 글은 비트겐슈타인의 『확실성에 관하여』의 핵심을 앎의 문법과 확실성의 본성에 대한 고찰들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그것들이 지니는 몇 가지 의의를 살펴보고 있다. 우선 2절과 3절에서 앎의 개념과 관련된 문법에 대한 『탐구』의 고찰들과 그것들이 『확실성』에서 심화, 전개된 점들을 각각 살펴보고, 4절에서는 “나는 여기에 손이 있다는 것을 안다”는 식의 이른바 무어의 명제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이 그러한 고찰들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5절에서는 그가 무어에 대한 비판적 논의와 연관해 확실성의 본성에 관하여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점들이 무엇인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6절에서는 앎과 구별되는 ‘객관적’ 확실성의 본성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고찰들이 갖는 함축 또는 의의를 회의주의, 탈초월화 경향, 실용주의, 상대주의와 같은 주제들과 관련해서 간략하게 살펴본다. This is an attempt to read and appreciate Wittgenstein's remarks in On Certainty on the grammar of knowledge and the nature of certainty. I first look into the remarks on the grammar of 'to know' as I find them in his Investigations (§2) and the extended and deepened ones on the same topic in On Certainty (§3). Then in §4 I analyse Wittgenstein's critical remarks on the so-called Moore's propositions, which are essentially related with his grammatical investigations of the concept of knowing. In §5 I concentrate on the main points of Wittgenstein's remarks on the nature of ('objective') certainty as contrasted by him with that of knowledge. In the last section, I appreciate the significance Wittgenstein's grammatical investigations of knowledge and certainty have in relation with such topics as skepticism, 'detranscendentalization', pragmatism, and relativism.

      • 한·중 인식 양태 표현과 양태 부사의 결합양상 대조 - 확실성 정도를 중심으로

        정미홍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2020 한남어문학 Vol.41 No.-

        본고는 한·중 인식 양태 표현과 양태 부사의 결합양상을 검토하여 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고, 한국어 인식 양태의 확실성 정도를 깊이 밝히 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여기서 한국어와 중국어 인식 양태 표현과 양태 부사 와 결합할 때 확실성 정도를 따라 규칙적인 공기관계가 이룰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의미 중심적 접근방법을 통해 살펴봤다. 한국어 인식 양태 표현은 화자의 추측을 나타내며 확실성 정도도 함께 드러낸다. 중국어 인식 양태 표현은 화자의 추측을 표현하지만, 확실성 정 도를 표현할 때 정태동사 앞에 오는 양태 부사를 통해 실현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 인식 양태는 확실성 정도가 낮은 부사와 결합할 경우에 확실 성 정도가 높은 부사와 결합할 수 없는 반면에, 중국어 인식 양태 중에 ‘要’ 와 ‘会’는 양태 부사와 결합할 때 확실성이 낮은 부사나 확실성이 높은 부사 나 모두 제약을 받지 않는 것으로 가장 큰 차이점으로 보인다. 이외에 한국 어 인식 양태와 중국어 인식 양태는 양태 부사와 결합할 때 그 확실성 정도 를 따라 규칙적인 공기관계가 이루어지는 점은 서로의 공통점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mbined patterns of Korean-Chinese recognition epistemic modality and modal adverbs to fi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o clarify the degree of certainty of Korean epistemic modality. Here, when combining Korean and Chinese epistemic modality and modal adverbs, we examined through a semantic-oriented approach to see if a correspondent relationship can be achiev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ertainty. The epistemic modality of the Korean represents the speaker's guess and also reveals the degree of certainty. Epistemic modality in Chinese expresses the speaker's conjecture, but when expressing the degree of certainty, it is often realized through modal adverbs preceding the static verb. Korean epistemic modality can not be combined with highly certain adverbs when combined with low certainty adverbs, whereas ‘要’ and ‘会’ among Chinese epistemic modality are adverbs with low certainty or high certainty when combined with modal adverbs. That i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Korea epistemic modality and Chinese epistemic modality. In addition, other of the Korean epistemic modality and the Chinese epistemic modality form a correspondent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degree of certainty when combined with modal adverbs, it seems to be a common point of each other.

      • KCI등재

        소비자행동 예측에 기반이 되는 광고효과 지표로서 태도-확신 지수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요한(Kim Yo-Han) 한국언론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행동을 예측하는 광고효과 지표로서 태도-확신 지수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번의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태도 수준과 태도 확신수준에 따른 구매의도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는데, 브랜드 태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태도 확신이 높을 때가 낮을 때보다 구매의도가 높았다. 즉 태도 확신은 태도와 행동 사이에서 행동에 대한 태도의 영향을 조절하는 변인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광고 태도 → 브랜드 태도 → 구매의도’의 영향 경로에서 광고 태도나 브랜드 태도의 개별 영향보다는 태도 확신을 결합한 ‘광고 태도-확신 지수’, ‘브랜드 태도-확신 지수’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학문적?실무적 함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attitude - certainty index as the indicator of ad effectiveness predic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attitude certainty moderates the effect of attitude on behavior. Specially, under high in brand attitude conditions, participants holding high certainty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 than those holding low certainty. The second, ‘Aad - certainty index’ has a greater influence on Ab than Aad, and ‘Ab - certainty index’ has a greater influence on PI than Ab. Based on these results, som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made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확실성에 관하여』 다시 보기

        박병철(Byong-Chul Park)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19

        나는 과거에 「지식과 확실성」(2001)이라는 논문을 통하여 비트겐슈타인이 논의한 확실성의 문제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였으나 최근 제시된 일련의 해석들에 자극받아 『확실성에 관하여』를 다시 읽고 다시 보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비트겐슈타인의 확실성을 비명제적 기초 믿음으로 보고, 이 저작에 나타난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논리적 프래그머티즘으로 보고 있는 다니엘 모일 · 섀록의 독특한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나는 이 논문의 후반부에서 비트겐슈타인의 확실성 논의는 회의주의나 인식론적 기초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중기 비트겐슈타인 이후 언어게임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문제의식의 연장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상적인 언어사용을 위해서는 의심 없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명제들이 있다는 생각은 1930년대 후반 이후에 비트겐슈타인이 지속적으로 가졌던 것이며, 이제 그의 최후 저작에서 그 범위가 이른바 무어-타입 명제들까지 확장된 것이다. I have made an attempt to explicate Wittgenstein's discussion of certainty in my paper "Knowledge and Certainty" earlier. But a series of recent publications regarding On Certainty made me revisit the book. In this paper I examine Daniel? Moyal-Sharrock's interpretation. She holds that Wittgenstein's certainty is non-propositional basic belief that can be dubbed into logical pragmatism. Later, I claim that Wittgenstein's discussion of certainty has nothing to do with scepticism or epistemological foundation, but instead i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language-games from the late 1930s. Already in the middle period, Wittgenstein holds that some propositions have to be exempted from doubt. And now in his last stage of philosophical life, he extends those special propositions to Moore-type propositions and other apparently empirical propositions.

      • KCI등재

        여자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확신, 진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임지선,장인온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emale adolescents’ perceived career barriers on career certain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students from the female junior college which is located in Seoul. After screening the data, 337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the hypothe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resented to describe the hypothetical casu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multiple role conflicts’ has negative direct effects on career certainty. 2) ‘Low expectation of occupational prospect’ and ‘low expectation of occupational unpreparation have negative direct effects on career certainty. 3) Career certainty has direct positi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4) Only ‘low expectation of occupational prospect’ among career barriers has direc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what has been learned through the analyses, this study proposed intervention and support plans to help the female junior college students with their career prepa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저성장 시대 여자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인식이 진로확신 및 진로 탐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 전문대학 A 여자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표본 356개 중 불성실 응답 표본 19개를 제외하고 총 337개의 표본을 AMOS 18.0을 이용하여 구조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가설은 다음과 같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첫째, 진로장벽의 여성 관련 요인 중 여성으로서의 다중 역할 수행 인식만 진로확신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의 노동시장 관련 요인 중 노동시장에 대한 낮은 기대와 노동시장에 대한 이해 부족은 모두 진로확신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확신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장벽 중 노동시장에 대한 낮은 기대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음의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자 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를 위한 개입방안 및 지원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