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노멀 시대 사회 환경과 청소년 시

        박소용 문학과환경학회 2024 문학과 환경 Vol.23 No.1

        이 연구는 청소년 시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오늘날 청소년의 고유한 언어 발화 양상을 정리함으로써 청소년들이 급변하는 뉴노멀 시대의 사회 환경에 노출되면서 느끼는 여러 감정을 어떻게 언어로써 해소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뉴노멀’이란 “이전에 익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이었던 상황이 표준이 되거나 일상화된 것”을 말한다. 뉴노멀 시대는 모든 것이 불확실하고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간과의 소통이 비대면으로 정착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청소년 시'는 뉴노멀 시대의 불확실성과 비대면 소통 환경에 노출된 청소년의 언어를 담고 있다. 청소년 언어는 청소년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언어문화적 실천체계로 청소년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며 그 삶과 사고를 표출하는 문학적 언어로 자리한다. 청소년 시는 청소년 언어를 적극적으로 시어로 활용하고 있으며, 동시에서 청소년의 삶이 반영된 다양한 언어를 담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첫째, 반복된 의문형 어미의 사용과 대화체 방식을 통해서 청소년 언어의 ‘집단적 소란 현상’과 영상 시대의 쌍방향 소통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의문형과 대화 구조는 어른들과의 소통 단절 현상을 재현하는 동시에 소통에 대한 갈망을 내포하는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직접적으로 소통하기 어려운 뉴노멀 시대에 청소년 시에서 ‘각주’는 시인과 화자, 화자와 독자의 상호작용을 돕는다. 청소년 시의 각주는 어른과 청소년이 모르는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고자 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청소년 시는 청소년 은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비대면 소통에서 또래들만의 소통을 이루어내는 청소년 독자의 일상 속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엿다. 시 자체가 또 다른 청소년 은어로 작용하도록 언어를 선택하여 청소년 문화를 언어적으로 내면화하고자 하였다. 넷째, 비속어와 문장기호의 활용을 통해 음성적 언어를 선호하면서도 SNS 문자 메시지에 익숙한 청소년 언어의 이중성과 감정의 직설적 표현을 재현하였고, 그 결과 감정을 이미지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청소년 시는 청소년의 현재를 포착하고 청소년의 삶을 기록하는 대중시의 면모를 보이는 현재 위상과 문학적 가치를 찾은 것에 의의가 있다. 오늘날 독자와 멀어진 시를 시 그 자체로 읽고 감상하도록 하는 청소년 시의 언어 전략은 점차 청소년 시 감상 교육에서도 연계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독자가 사라지는 오늘날의 시에 뉴노멀 시대 새로운 독자를 이끌어오는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youth use language to resolve the various emotions they feel as they are exposed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of the new normal era by organizing the unique linguistic speech patterns of today's youth, which are actively utilized in youth poetry. We wanted to confirm that it was an element. ‘New normal’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a previously unfamiliar or abnormal situation has become standard or routine.” In the New Normal era, everything is uncertain,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humans has become established as non-face-to-face. 'Adolescent Poetry' contains the language of youth exposed to the uncertainty and non-face-to-fac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new normal era. Youth language is a linguistic and cultural practice system that solidifies the identity of youth and serves as a literary language that reflects the reality of youth and expresses their lives and thoughts. Adolescent Poetry is actively using youth language as a poetic language, and attempts to contain a variety of languages that reflect the lives of youth are continuing. First, through the repeated use of interrogative endings and conversational style, it shows the ‘collective disturbance phenomenon’ of youth language and the two-way communication in the video era. In addition, the interrogative and conversational structures reproduce the phenomenon of communication breakdown with adults while using language that connotes a desire for communication. Second, in the new normal era where direct communication is difficult, ‘footnotes’ in Adolescent Poetry help the interaction between poet and speaker, and speaker and reader. Footnotes in Adolescent Poetry serve as a link between adults and youth to understand each other's unfamiliar languages. Third, by actively using youth slang, Adolescent Poetry seeks to elicit empathy in the daily lives of youth readers, who communicate only with peers in non-face-to-face communication. The language was chosen so that the poem itself acts as another youth slang, attempting to internalize youth culture linguistically. Fourth, through the use of slang and punctuation marks, the duality of youth language and direct expression of emotions, which are familiar with SNS text messages while preferring vocal language, was reproduced, resulting in the effect of imaging emotions. Adolescent Poetr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found the current status and literary value of capturing the present of youth and showing aspects of popular poetry that records the lives of youth. The language strategy of Adolescent Poetry that allows today's readers to read and appreciate poems that are distant from them as poems themselves will gradually have a linking effect in Adolescent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This will be a way to bring in new readers in the new normal era in today's poetry where readers are disappearing.

      • KCI등재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창작 미학을 중심으로

        문신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at is actively being created from 2010. This is a preliminary assessment of whether or not the youth poetry, which appears as a literary phenomenon, can form a new literary discourse. Therefore, if we can produce the aesthetic sense of youth in the aspect of creative aesthetics, it is not only a mere phenomenon but also a possibility to communicate with important literary discourse in the 21st century. The reason why youth poetry phenomenon is important is that teenagers are beginning to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literary discourse.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dolescence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world rather than as a preliminary stage for adulthood. Behind that, there is a new attempt to escape the universal perception that adolescence is immature, and there is a premise that the adolescent world is not a sub-world of the established world but an independent world. Therefore, youth poetry can be accepted as literary discourse when it has its own aesthetic sense. Before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goal should be to discover the physical and mental 'anxiety' in adolescence and to share it socially beyond individual dimensions. This is a poetic exposition of anxiety, an important feature of adolescence. Through this process, youth poetry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circle of the youth and empathize with the youth world. In pursuit of these goals, youth poetry has shown that romantic longing is a central theme and that the contradictions of the youth world are being resolved in the 'other world'. The 'other world' mentioned here is a world that exists beyond the ready-made (adult) world that affects the youth world and exists in the imagination that young people are romantically admired. In order to express such a world, youth poetry adopts negative expression as a methodology. Negative in teenagers encompasses both the adolescent and adult worlds. Youth poetry admires the 'other world' through the denial of the world and creates its identity in the context of 'other world'. Of course, it is unreasonable to determine 'the phenomenon of youth poetry' as 'discourse of youth poetry'. Therefore, when the youth phenomenon of the present time is examined carefully and the essence of the youth poetry and the point where the youth poetry is aimed at can be found out from behind, the youth poetry can be a 'genre' have. 이 글은 2010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는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는 문학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가 새로운문학 담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인지를 미리 가늠해보는 일이 된다. 따라서창작 미학적 측면에서 청소년시의 독자적 미의식을 생산할 수 있다면, 청소년시가 단순한 현상에 그치지 않고 21세기 중요한 문학담론으로 소통될 수있는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된다. 청소년시 현상은 청소년이 문학담론의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청소년기를 성인기를 준비하는 예비 단계가 아니라 청소년기 자체를 하나의 독립된 세계로 인정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이면에는청소년기를 미성숙한 시기라는 보편적인 인식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가 있으며, 청소년세계가 기성(성인)세계의 하위 세계가 아니라 독자적인 세계라는 전제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시는 독자적인 미의식을 갖출 때 문학담론으로 수용될 수 있다.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피기에 앞서 이 글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정신적 ‘불안’을 발견하고, 그것을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는 청소년기의 중요한 특징인 ‘불안’을 시적으로 폭로하는 일이다. 이 과정을 통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밀한영역과 소통하고 청소년세계와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청소년시는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낭만적 동경을 핵심적인 주제로 삼고, 청소년세계의 모순을 ‘다른 세계’ 속에서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말하는 ‘다른세계’는 청소년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성(성인)세계를 넘어 선 지점으로, 청소년들이 낭만적으로 동경하는 상상 속에 존재하는 세계이다. 이러한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청소년시는 부정표현을 방법론으로 채택하고 있다. 청소년시에서 부정은 청소년세계는 물론 기성(성인)세계를 모두 아우른다. 청소년시는 세계의 부정을 통해 ‘다른 세계’를 동경하고 ‘다른 세계’라는 맥락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만든다. 물론 그것만으로는 ‘청소년시 현상’을 ‘청소년시 담론’으로 확정하기에는 무리이다. 따라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 ‘현상’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 이면에서 청소년시의 본질과 청소년시가 지향하는 지점을 가려낼 수 있을 때, 청소년시는 ‘현상’이 아니라 ‘장르’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권유성 ( Kwon Yu-seo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1 No.-

        이 글은 2010년 이후 발간된 청소년 시집을 대상으로 청소년 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청소년 시는 과거의 청소년 시와 달리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창작된 시들이 대부분이다. 이 글은 이 같은 청소년 시의 특징을 시적 화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 시의 시적 화자는 매우 다양하게 설정되고 있었는데, 그것은 청소년 집단의 다양한 경험을 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 시는 한 편의 시에 표면적인 청소년 화자 이외에 시인과 겹쳐지는 숨은 화자가 개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런 현상은 시인이 의도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는데, 그 원인은 시인이 가진 계몽적 의도 때문으로 볼 수 있었다. 즉, 표면적으로 설정된 청소년 화자의 목소리를 갈라지게 만드는 숨은 화자의 목소리는 시인의 계몽적 의도나 의지의 산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청소년 시는 표면적으로 청소년 화자에 의해 발언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시인의 시선 아래 통제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런 청소년 시의 특성 때문에 청소년 시에 실제 청소년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방식은 매우 제한적이었는데, 그것은 시인의 통제를 뚫고 틈입하는 방식으로 청소년의 목소리가 수용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금지와 금기에 둘러싸인 청소년의 실제 목소리는 청소년 시에서 소음이나 욕설 혹은 그와 유사한 차원에서 수용되거나 발현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언어가 되지 못하는 그런 소리들은 청소년의 존재가 발현되는 순간에 출현하는 것이기도 했다. 최근 청소년 시는 청소년을 집단적 훈육의 대상에서 개별성을 지닌 독자적 존재로 바라보고자 하는 청소년 담론의 전환에서 촉발된 것이다. 그러나 기성시인이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최근의 청소년 시는 창작의 의도와는 별개로 실제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배제하거나 억압할 가능성을 일정부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시가 그 가능성을 확장해가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수용할 수 있는 시적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genre traits of Korean adolescent poetry since 2010. Adolescent poetry, as the name suggests, speaks for a group of adolescents. This paper closely studies the problem of the poetic speaker. A poetic speaker in adolescent poetry is placed in various types of settings. For it is necessary to express what adolescents experience in different situations. However, adolescent poetry frequently depicts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a surface speaker and a hidden speaker in a poem. This phenomenon is the unwitting result of poet`s intention to enlighten. Thus, even though an adolescent speaker articulates a adolescent poetry on the surface, it is actually controlled by the poet`s intentions. Given these traits, it is very difficult for adolescent poetry to reflect their voices. Therefore, the only method to include their vivid voices in poetry through noise, abuse, and other experiences. However, such non-language sounds began to emerge the moment adolescents appeared on the stage.

      • KCI등재

        청소년시의 가능성 연구

        문신(Moon, Shin)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이 글은 2010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는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는 문학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가 새로운 문학 담론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인지를 미리 가늠해보는 일이 된다. 따라서 창작 미학적 측면에서 청소년시의 독자적 미의식을 생산할 수 있다면, 청소년시가 단순한 현상에 그치지 않고 21세기 중요한 문학담론으로 소통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된다. 청소년시 현상은 청소년이 문학담론의 주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청소년기를 성인기를 준비하는 예비 단계가 아니라 청소년기 자체를 하나의 독립된 세계로 인정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이면에는 청소년기를 미성숙한 시기라는 보편적인 인식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새로운 시도가 있으며, 청소년세계가 기성(성인)세계의 하위 세계가 아니라 독자적인 세계라는 전제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시는 독자적인 미의식을 갖출 때 문학담론으로 수용될 수 있다. 청소년시의 미적 특성을 살피기에 앞서 이 글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불안’을 발견하고, 그것을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는 청소년기의 중요한 특징인 ‘불안’을 시적으로 폭로하는 일이다. 이 과정을 통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밀한 영역과 소통하고 청소년세계와 공감할 수 있게 된다. 청소년시는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낭만적 동경을 핵심적인 주제로 삼고, 청소년세계의 모순을 ‘다른 세계’ 속에서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서 말하는 ‘다른 세계’는 청소년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성(성인)세계를 넘어 선 지점으로, 청소년들이 낭만적으로 동경하는 상상 속에 존재하는 세계이다. 이러한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청소년시는 부정표현을 방법론으로 채택하고 있다. 청소년시에서 부정은 청소년세계는 물론 기성(성인)세계를 모두 아우른다. 청소년시는 세계의 부정을 통해 ‘다른 세계’를 동경하고 ‘다른 세계’라는 맥락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만든다. 물론 그것만으로는 ‘청소년시 현상’을 ‘청소년시 담론’으로 확정하기에는 무리이다. 따라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청소년시 ‘현상’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그 이면에서 청소년시의 본질과 청소년시가 지향하는 지점을 가려낼 수 있을 때, 청소년시는 ‘현상’이 아니라 ‘장르’가 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at is actively being created from 2010. This is a preliminary assessment of whether or not the youth poetry, which appears as a literary phenomenon, can form a new literary discourse. Therefore, if we can produce the aesthetic sense of youth in the aspect of creative aesthetics, it is not only a mere phenomenon but also a possibility to communicate with important literary discourse in the 21st century. The reason why youth poetry phenomenon is important is that teenagers are beginning to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literary discourse.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dolescence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world rather than as a preliminary stage for adulthood. Behind that, there is a new attempt to escape the universal perception that adolescence is immature, and there is a premise that the adolescent world is not a sub-world of the established world but an independent world. Therefore, youth poetry can be accepted as literary discourse when it has its own aesthetic sense. Before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youth poetr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goal should be to discover the physical and mental `anxiety` in adolescence and to share it socially beyond individual dimensions. This is a poetic exposition of anxiety, an important feature of adolescence. Through this process, youth poetry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circle of the youth and empathize with the youth world. In pursuit of these goals, youth poetry has shown that romantic longing is a central theme and that the contradictions of the youth world are being resolved in the `other world`. The `other world` mentioned here is a world that exists beyond the ready-made (adult) world that affects the youth world and exists in the imagination that young people are romantically admired. In order to express such a world, youth poetry adopts negative expression as a methodology. Negative in teenagers encompasses both the adolescent and adult worlds. Youth poetry admires the `other world` through the denial of the world and creates its identity in the context of `other world`. Of course, it is unreasonable to determine `the phenomenon of youth poetry` as `discourse of youth poetry`. Therefore, when the youth phenomenon of the present time is examined carefully and the essence of the youth poetry and the point where the youth poetry is aimed at can be found out from behind, the youth poetry can be a `genre` have.

      • KCI등재

        청소년시 교육의 방향

        김금내(Kim, Geum-na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본 연구는 동시문학 담론에서 청소년시의 특성을 규명하고 학습독자의 청소년시 감상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시는 동시문학의 근간이 되는 동심을 현재를 살아가는 아동 내면의 주체적인 목소리로 해석하고자 하는 문학적 시도에서 성립하였다. 청소년시는 불온한 정서를 형상화하여 동시문학의 외연을 넓힌다. 청소년시에 대한 학습독자의 반응 양상은 불온한 정서를 긍정하거나 청소년 화자의 목소리에 공감과 반감을 보였으며 ‘나’와 ‘우리’에 대한 질문을 만들어 소통하고자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시에 대한 학습독자의 반응을 토대로 교육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시 제재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학습독자에게 청소년시 텍스트를 자율적으로 찾아 읽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습독자가 청소년 화자에게 공감과 반감을 느끼는 지점을 의미 구성 과정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학습독자 간에 청소년 이미지를 소통하며 공동(共動)-주체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dolescent poetry embodies disturbing emotions and plays a role in expanding the scope of poetry for children. Learning readers" responses to adolescent poetry showed both sympathy and antipathy to adolescent speakers" voices, and they wanted to communicate by making questions about “I” and “We.” Approach of adolescent poetry education method may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various adolescent poetry should be introduced and learning readers should be given autonomy in selecting poetry. Second, Learning readers should be able to continuously utilize points where they feel empathy and antipathy toward adolescent speakers. Third, learning readers should be guided to foster co-subjectivity by communicating adolescent images embodied in adolescent poetry.

      • KCI등재

        『문예운동』 특집 ‘청소년들에게 보내는 시’에 나타나는 청소년 문학의 양상과 의미

        정용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3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32

        This thesis studies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Poems to Youth’ prepared as a special feature in The Literary Movement No. 71, No. 72 in 2001. In a situation where the concept of ‘adolescent poetry’ was not clear at the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16 poems written by poets of the older generation for young readers had a mixed perception of ‘youth as an individual’ and ‘youth as a member of the state’ there was. A ‘adolescent Poetry’ after 2010 places an important value on expressing the reality and thoughts of youth as they are. However, ‘Poems to Youth’ showed a slightly different appearance. Most notably, in the aftermath of the June 15, 2000 inter-Korean summit, expectations for reunification are growing, and it also contains content that promotes patriotism. While cheering for the ‘youth’ to form a healthy self, the reason for such support included expec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such as society, nation, and nation, as well as individual happiness.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youth literature, including youth poetry, is highly likely to change while reflecting the situation of each era. Looking at the aspects of youth literature according to various times, it is expected that meaningful results will be drawn.

      • KCI등재

        문학 교실에서 청소년시의 역할 연구 - 청소년을 ‘위한’ 시와 청소년‘의’ 시에서 나타나는 현실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민재원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3

        This paper reviews points of contact and gaps which appears between poem for adolescents and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s extending the notion of critic so as to consider adolescents as critical subjects who evaluate the world on their own context and point of view. I am Red(Nan-Ppalgang), a book of poem for adolescents, and Teacher feels to cry again(Ul-Ppil), of adolescents show different realization to each other: the former, adolescents have something to do for their future and society; the latter, adolescents have little vitality to adventure the world and life. And learning activity about adolescent poetry, ‘Yellowish green yet (Ajikeun yeondu)’ in textbook leads learners to just be a listener in one-way-dialogue and the poem functions in transmitivity. Learners as adolescents should get a right to be a speaker in inter-dialogue for palpating literary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in our life and world and poem would function in productivity. 본 연구는 청소년을 ‘위한’ 시와 청소년‘의’ 시에 나타나는 접점과 간극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평의 개념을 확장하여 청소년 또한 자신의 맥락 위에서 삶과 세계에 대한 비평 주체로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고, 『난 빨강』과 『울삘』에 나타난 현실 인식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서로 간에 놓여 있는 간극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 수록된 청소년시 <아직은 연두>에 대한 학습 활동이 문학 교실의 생산성보다는 전수성을 강화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살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학교 문학 교실이 일방적 대화의 청자로 청소년을 호명하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고 청소년들 또한 동등한 비평 주체로 자신이 바라보는 세계와 자신의 삶에 산재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문학적으로 해결하는 권리를 가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청소년의 공감능력 함양을 위한 허난설헌 시가 교육 연구 - 소수자성을 중심으로 -

        배교선 ( Bae Kyosu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4 先淸語文 Vol.53 No.-

        This article aims to propose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ng HeoNanseolheon’s poetry for cultivating adolescents’ empathic ability.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literary text is a key competency that literature education should make learners cultivate. Yet, it has always been a problem that the unfamiliar otherness of classics is easily likely to be recognized only as ‘a difference’, which is difficult for learners to empathize with. Accordingly, this study believes that we need more researches to scrutinize the problem of ‘familiarity’ or ‘similarity’ that classics can have for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sign an education that can foster empathic ability grounded on intersubjectivity while learners experiencing HeoNanseolheon’s poetry through the similarity, the characteristics of minority.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elaborated on those things below. First of all, I revealed the concept of ‘empathic ability’ this study aimed at and its components to provide a specific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that process, empathy was conceptualized as ‘an ability related to all cognitive and emotional attempts to approach others who cannot be returned to me through similarity/commonness’. Also, As components of this empathy ability, 1) ‘Cognitive perception ability through discovery of similarity」, 2) 」Emotional response ability through resonance of affect(情動), and 3)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transposition of gaze」were derived Second, in order to prepare the conditions for communication between HeoNanseolheon’s text and adolescent readers, ‘the characteristics of minority’ was recontextualized by comprehensively referring to the discussion of G. C. Spivak and G. Deleuze. Third, the term ‘text-other’ was introduced to refer to a personified other composed by the learner through the voice heard from the text. In order for readers to compose the personified other from the text, the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body” implied in the text. In this context, the ‘body’ includes the movements, posture, facial expressions, and gaze, accompanying the voice from the text when it takes expressive actions. Fourth,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this study supposed that HeoNanseolheon’s text and youth learners share characteristics of minority as similarities in that they are ‘prone to lack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due to the position where they are oppressed’, and ‘latent in the desire to resist not to belong to the mainstream order.’ In addition, by specifically reviewing a number of HeoNanseolheon’s texts, this study confirmed that characteristics of minority of youth and those of HeoNanseolheon’s texts can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similarity. Fifth,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article set up three phases to cultivate empathic ability, which were 1) Detecting emotion through microscopic-reading of the text-other’s body, 2) Actualization of the text-other through the mediation of a minority-body of learners, and 3) Building a mutual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through a meta-view. Finally, by using the above discussion as a stepping stone, I designed a set of education of HeoNanseolheon’s poetry for cultivating adolescents’ empathic ability. Section 1 suggested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1) Formulation of the other through intertextuality among numerous HeoNanseolheon’s poetry, 2) Awareness of spatiality of Gyubang (which is a room where gentry women stay in the Joseon dynasty era) and classroom, and 3) Setting standards for text-retelling on the theme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minority. Lastly, Section 2 proposed specific ways to practice these educational contents, like 1) Expanding cognition about the author using ‘expert-learning-activity models’, 2) Interpreting space through creating soundscape, and 3) Writing a dialogue play for empathic communica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learners can communicate through similarity with classical text which used to be considered too unfamiliar due to spatio-temporal distance, and that they can cultivate empathic ability in the middle of appreciating the text. This would be meaningful in that learners can enhance abilities to 1) participate in texts using their bodies, 2) deepen their abilities to read medieval women’s poetry in ethical ways, and 3) enrich the capability to view their selves and the world where they live through otherness.

      • KCI등재

        청소년 시에 나타난 심리적 문제와 문학교육의 방향 -학교 폭력 문제를 중심으로-

        김남희 ( Kim Nam 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지원할 수 있는 문학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청소년 시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심리적 문제에 주목하였다. 문학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심리적 문제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삶의 조건과 고민이 문학 경험의 중심에 놓여야 하기 때문이다. 청소년 시에 나타나는 문제 상황 중, 이 논문에서는 특히 학교 폭력의 상황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분석하였다. 청소년 시에 나타나는 학교 폭력의 경험은 크게 실제적 피해 경험, 잠재적 피해 경험, 방관자 경험으로 유형화된다. 실제적 피해자는 자신의 창작 시를 통해 내적으로 불안한 심리 상태를 드러내거나, 누군가의 구제를 기대하는 심리를 보여준다. 잠재적 피해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심리를 위장하는 경향을 보인다. 방관자의 경우에는 문제 상황을 회피하거나 합리화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학교 폭력이라는 유사한 문제 상황에서도 개개인에 따라 그것을 경험하는 방식이 다양할 뿐 아니라, 동일한 경험을 하면서도 개별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문학교육의 차원에서 이들의 심리적 문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문학 치료의 관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 창작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청소년들의 심리적 문제를 세밀하게 진단하고, 지지 단계-통각 단계-행동 단계-통합 단계라는 시 치료의 절차를 참조함으로써, 심리적 문제 상황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내적 감정을 자각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청소년들이 경험하게 되는 치유의 경험이야말로 문학교육이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용일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that can support the psychological problems faced by young people. For this, we analyzed psychological problems shown in poetry by young people. In particular, we categorized the psychological problems they experienced in the situation of school violence.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hown in the adolescents` poetry is largely divided into the experiences of actual victims, potential victims and onlookers. Actual victims showed an inner psychological state of anxiety or a psychological expectation of someone`s relief. Potential victims tended to disguise their own psychology, and onlookers tended to avoid problems or rationalize themselves. In this way, not only is there a variety of ways to experience a similar situation of school violence, but also the psychological problems experienced by individual teenagers vary with their experiences. To effectively support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at the level of litera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If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adolescents are closely diagnos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poetry writing therapy program and if we use the referral procedure of poetry therapy, it will be possible to help young people experiencing psychological problems to be aware of and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And in the process, young people will experience healing.

      • KCI등재

        청소년시의 미적 현재와 목표

        문신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89

        이 논문은 청소년시가 창작되고 있는 현재적 상황을 분석한 후, 청소년시의 미적 목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0년 이후 본격적으로 나타난 청소년시는 주로 청소년의 삶을 청소년 화자를 통해 청소년에게 전달해왔다. 청소년시가 청소년 화자를 내세운 건 청소년 독자와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청소년시에 강조되고 있는 청소년 화자의 발화 특징을 두 가지로 요약하였다. 성장 지향의 정체성과 불확실성에 기반한 존재론적 가능성이다. 이러한 특징적 발화행위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이 논문은 청소년시의 세 가지 미적 목표를 제시하였다. 세계 인식의 내용, 지도 원리의 적용, 자아정체성 형성이 그것이다. 미적 목표에 도달하게 되면 청소년시는 청소년의 내면적 성장을 도모하고, 청소년이 기성세대와 융합할 수 있는 사회화에 기여하며, 경험 현상 이면에 감추어진 사태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게 해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youth poetry is being created and then propose the aesthetic goals of youth poetry. Youth poetry, which has appeared in earnest since 2010, has mainly delivered the lives of teenagers to teenagers through youth speakers. Youth poetry has put forward youth speakers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youth readers. Accordingly,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emphasized in youth poetry in two ways. One is the identity of growth-oriented, and the other is the ontological possibility based on uncertainty. To support these characteristic speech behaviors, this paper presented three aesthetic goals of youth poetry. These include the content of world perception, the application of guiding principles, and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When the aesthetic goal is reached, youth poetry will promote the internal growth of adolescents, contribute to socialization in which adolescents can converge with the older generation, and approach the nature of the situation hidden behind the experience phenomen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