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재(艮齋) 문하(門下) 용암(勇菴) 김사우(金思禹)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 간재학의 계승과 극복의 `일리(一理)`적(的) 체용심성론(體用心性論)을 중심으로 ―

        장병한 ( Jang Beoung-ha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5 No.-

        勇菴 金思禹(1857-1907)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간재의 高足 弟子이다. 용암의 現實의 憂患意識 및 學者的 處世觀, 그리고 華夷論과 異端 批判 및 그 對應論은 대체로 스승 간재와 함께 보조를 취하여 계승하는 입장에 서고 있다. 특히 이단 배척에 있어, 용암은 당시 `心卽理`설을 주장하고 있는 한주학파와 心을 理로 주장하려는 즉 主心家들인 화서학파와 노사학파들의 설을 이단 학설로 규정하고 비판한다. 반면 正學은 스승 간재의 `心本性`학과 주자학과 율곡학을 대두시켜 계승 발전시킬 것을 맹서한다. 그런 반면 용암은 知覺, 知識, 三達德설을 비롯한 심성리설에 있어서는 스승 간재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고 자득의 이론을 제안한다. 간재 역시 이들 문제에 대한 용암의 견해에 대해 심각한 병통의식으로 고민한다. 용암은 당시의 도술분열의 관건이 되고 있는 즉, 리기심성의 主從·師弟·尊卑의 관계성 논리의 대안으로 經緯·體用論을 제안한다. 존비와 주종관계는 優劣의 논리에 기인하고 있지만 체용논리는 그러한 우열의식을 다소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一理字`上의 經緯·體用論을 제안한다. 이렇게 되면 華西의 `本心卽理`설의 理, 蘆沙의 `理尊無對`의 理, 寒洲의 `心卽理`의 理를 동시에 모두 어느 정도 섭용하는 가운데, 자파의 심본성설에도 크게 위배되지 않기 때문이다. 요컨대 주자 `性卽理`學의 근원지인 `一理`學으로 歸敬하여 대동적 사상 통일을 구현해 보자는 것이다. 그런 한편 용암은 자신의 자파인 간재학의 `性師心弟說`, `性尊心卑說`, `心本性說` 역시 당면한 시대와 현실에 부응하기에는 많은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직시하고 간재선생에게 합일점을 찾기를 충언한다. 그래서 그는 간재 선생과의 논의를 통해, 心의 중요도를 약화시키기 위해 誠의 중요도를 강조하는 가운데, `性體道用`論과 `達德(道之體)·達道(性之用)論 및 `誠本道用`論을 제시한다. 그러면서 선생이 삼덕이 心의 用이라는 주장에 대해, 용암은 주자의 해석에 근거하여 `三德卽性(理)之同`이라고 하여 理(性)學으로 귀결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용암의 `理`一字上의 經緯·體用論的 理心性說의 展開는 30년간 스승 간재 師門에서 듣고 배운 과정을 통해 일생동안 參究하고 思索하며 考驗하는 것에서 自得한 것이다. 이러한 용암의 이기심성설의 자득론은 당시 일제 강점기 바로 직전의 심성설 논쟁으로 인한 학파 분열을 理學으로 통일 귀속시켜 제국주의의 침략과 일본의 침탈에 항거하는 지침 즉, 大一統의 大同的 民族主體 思想에 근간하고 있다는 것에서, 그 의의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당시 國亡의 克復을 위한 용암의 이와 같은 憂國衷情의 정신체계를 미래의 통일을 위한 指南處로 삼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Yongam Kim Sa-u(1857∼1907) was the principal disciple of Ganjae who is not known to the academia to date. His Virtue Establishment and Deep Learning are evaluated as the pillar of the academia, and the cream of the Confucian scholars. Yongam`s concerning mind of the reality, his scholarly worldview, his criticism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the Civilized and Barbarians, and response theory generally keep abreast with his master Ganjae, and inherit them. Yet, in relation to his master Ganjae`s worldview, Yongam did not hesitate to present counsel and advice, and vowed to consolidate mutual ties among his scholarly colleagues to respond to the times and thoughts. Yongam was deeply concerned about the then problem of the Techniques of the Way being divided. The division of schools and political parties led to the division of the state`s public opinions and the weakening of the state power, eventually to the fall of the state due to external powers. Thus, Yongam asked his master Ganjae to unify thoughts. Yet, he developed his philosophy and reasoning and acquired this learning from 30 years of the studies with his master Ganjae, as well as from self-study, thinking and experience. Such self-acquisition theory of Yongam is based on the guideline under which, prior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he division of studies due to arguments about the Mind theory is unified into the reasoning studies so as to resist the imperial invasion and Japanese deprivation of Korea, making it significant. We should take Yongam`s patriotic mentality for overcoming the state`s difficulties as the guideline for our future unification of Korea.

      • KCI등재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ㆍ新山書院과 비교하여-

        구진성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This article focused on Yongam-Seowon[龍巖書院]’ operating leaders action and their direction. Especially, it is mainly discussed what they were kept of scholarship, immediately after Injo-Coup[仁祖反正]. It was memorial that about Nammyung Jo,Sik[南冥 曺植]’ scholarship, in Yongam-Seowon. In 1609, Yongam-Seowon was authorized by government. In the same year, Deokcheon-Seowon[德川書院], Sinsan-Seowon[新山書院] were authorized, too. These three Seowon were memorial place about Nammyung Jo,Sik. In operation policy discussions, their academic features appear. In Yongam-Seowon, Jeong,In-hong[鄭仁弘]’ impact is huge, from the beginning. Jeong,In-hong is excellent student in Jo,Sik school, and in academic attitude, he is most looked like his teacher. Jeong,In-hong, Lee,Heul[李屹], Jeong,On[鄭蘊], Im,Jin-bu[林眞怤], Pak,In[朴絪] were responsible for operating Yongam-Seowon. They kept up about Jo,Sik memorial activity. Around 1635, Deokcheon-Seowon and Sinsan-Seowon operating leaders were discussed who is addendum memorial scholar in their Seo-won. Yongam-Seowon leaders insisted that the most admirable scholar is there in. Because it is one way to respect Jo,Sik. In this discussion, we may know that their three Seowon’ insistenc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 글에서는 陜川 三嘉에 있었던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성격과 활동을 고찰하였는데, 특히 인조반정 이후 그들이 보여주었던 학문적 지향에 관해 주로 논의하였다. 또한 1609년에 공히 사액되었던 德川書院ㆍ新山書院 등 타 남명 제향 서원의 경우와 비교해 봄으로써,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특징을 좀더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용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1601년경 재건되었는데, 이때 관여한 인물 다수가 鄭仁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용암서원의 원장ㆍ원임을 맡은 인물로는 정인홍, 文景虎, 李屹, 鄭蘊, 林眞怤, 朴絪 등이 있는데, 정온ㆍ임진부ㆍ박인은 인조반정 이후에도 용암서원 내에서 남명 선양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였고, 덕천ㆍ신산서원의 추가 배양 논의에서도 남명 위상의 제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진부는 용암서원에서의 강학을 통해 남명 정신을 강조했고, 박인은 남명 관련 기록물의 정리ㆍ편집을 맡았는데, 이 일들을 정온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정온은 趙任道에게 신산서원 원장을 맡길 만큼 용암서원ㆍ신산서원 내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조임도는 용암서원 측의 입장을 참고하며 신산서원 내의 일을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덕천서원에서는 1635년 무렵 覺齋 河沆을 배향하려는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 사액서원의 지위를 포기하면서까지 배향을 강행하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정온 등 용암서원 운영주체 측에서는 사액의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함과 동시에 하항 외에 鄭逑 등 남명 高弟를 함께 배향해야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 추락해가는 남명의 위상을 제고할 방법을 모색한 것인데, 정구에게서 남명의 영향을 지우려는 집단의 반대로 결국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인홍이 생전에 추구했던 남명 선양 정신의 잔존이라 할만하다. 신산서원에서 金宇顒만을 제향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이들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은 정구도 함께 배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ㆍ신산서원에서는 서원 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집단끼리 논의하고 충돌함으로써, 반정 이후 바뀐 환경에서 적응할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면, 용암서원은 변신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인홍 계열의 영향력이 컸던 곳으로 판단되지만, 이러한 점 때문에 인조반정 이후에도 한동안은 정인홍의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학의 학습과 교육, 정리와 출판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龍巖書院(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덕천서원)ㆍ新山書院(신산서원)과 비교하여-

        ( Jin Seong Gu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이 글에서는 陜川 三嘉에 있었던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성격과 활동을 고찰하였는데, 특히 인조반정 이후 그들이 보여주었던 학문적 지향에 관해 주로 논의하였다. 또한 1609년에 공히 사액되었던 德川書院ㆍ新山書院 등 타 남명 제향 서원의 경우와 비교해 봄으로써,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특징을 좀더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용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1601년경 재건되었는데, 이때 관여한 인물 다수가 鄭仁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용암서원의 원장ㆍ원임을 맡은 인물로는 정인홍, 文景虎, 李屹, 鄭蘊, 林眞付, 朴絪 등이 있는데, 정온ㆍ임진부ㆍ박인은 인조반정 이후에도 용암서원 내에서 남명 선양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였고, 덕천ㆍ신산서원의 추가 배양 논의에서도 남명 위상의 제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진부는 용암서원에서의 강학을 통해 남명 정신을 강조했고, 박인은 남명 관련 기록물의 정리ㆍ편집을 맡았는데, 이 일들을 정온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정온은 趙任道에게 신산서원 원장을 맡길 만큼 용암서원ㆍ신산서원 내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조임도는 용암서원 측의 입장을 참고하며 신산서원 내의 일을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덕천서원에서는 1635년 무렵 覺齋 河沆을 배향하려는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 사액서원의 지위를 포기하면서까지 배향을 강행하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정온 등 용암서원 운영주체 측에서는 사액의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함과 동시에 하항 외에 鄭逑 등 남명 高弟를 함께 배향해야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 추락해가는 남명의 위상을 제고할 방법을 모색한 것인데, 정구에게서 남명의 영향을 지우려는 집단의 반대로 결국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인홍이 생전에 추구했던 남명 선양 정신의 잔존이라 할만하다. 신산서원에서 金宇옹만을 제향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이들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은 정구도 함께 배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ㆍ신산서원에서는 서원 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집단끼리 논의하고 충돌함으로써, 반정 이후 바뀐 환경에서 적응할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면, 용암서원은 변신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인홍 계열의 영향력이 컸던 곳으로 판단되지만, 이러한 점 때문에 인조반정 이후에도 한동안은 정인홍의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학의 학습과 교육, 정리와 출판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Yongam-Seowon[龍巖書院]’ operating leaders action and their direction. Especially, it is mainly discussed what they were kept of scholarship, immediately after Injo-Coup[仁祖反正]. It was memorial that about Nammyung Jo,Sik[南冥 曺植]’ scholarship, in Yongam-Seowon. In 1609, Yongam-Seowon was authorized by government. In the same year, Deokcheon-Seowon[德川書院], Sinsan-Seowon[新山書院] were authorized, too. These three Seowon were memorial place about Nammyung Jo,Sik. In operation policy discussions, their academic features appear. In Yongam-Seowon, Jeong,In-hong[鄭仁弘]’ impact is huge, from the beginning. Jeong,In-hong is excellent student in Jo,Sik school, and in academic attitude, he is most looked like his teacher. Jeong,In-hong, Lee,Heul[李屹], Jeong,On[鄭蘊], Im,Jin-bu[林眞付], Pak,In[朴絪] were responsible for operating Yongam-Seowon. They kept up about Jo,Sik memorial activity. Around 1635, Deokcheon-Seowon and Sinsan-Seowon operating leaders were discussed who is addendum memorial scholar in their Seo-won. Yongam-Seowon leaders insisted that the most admirable scholar is there in. Because it is one way to respect Jo,Sik. In this discussion, we may know that their three Seowon’ insistenc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KCI등재

        옥천 용암사 동서삼층석탑에 대한 고찰

        김지현(Kim, Ji-hyun) 호서사학회 2022 역사와 담론 Vol.- No.101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장령산에 위치한 용암사에는 보물 제1338호에 지정된 동서삼층석탑이 있다. 동서삼층석탑은 대웅전의 좌측인 동북쪽 자연암반 위에 배치되어 있어 일반적인 사찰에서 볼 수 있는 탑과 금당의 위치와 다르다. 이에 대한 이유로 고려시대 성행했던 산천비보(山川裨補)사상에 근거하여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리고 산천비보사상에 의해 조성된 탑들이 대개 단탑(單塔)인데 반해, 용암사 동서삼층석탑은 쌍탑으로 제작되어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고 알려져 왔다. 그런데, 두 탑의 형식과 양식 및 규모 등을 검토해 본 결과 쌍탑으로 건립되었다고 보기에 규모와 양식적 특징 등에 있어 현저한 차이를 보여 시기적인 차이를 두고 조성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한 일제강점기 자료에 용암사 동서삼층석탑이 다른 장소에서 이운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지금의 동서삼층석탑이 처음 건립되었던 장소가 용암사가 아닐 여지가 있음을 인지하였다. 더불어 일제강점기 때 사진에 찍힌 동서 삼층석탑의 모습과 위치, 그리고 서탑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근대기에 서탑을 복원하면서 현재의 위치에 조성했음을 확인하였다. In Yongam-sa(Yongam Temple), located at Jangryeong-san of Samcheong-ri, Okcheon-eup, Okcheon-gun, Chungcheongbuk-do, there is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that is designated as the National Treasure No. 1338.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is built on the natural rocks on northeastern part and left side of the Daewoong-jeon (main building of a temple)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of any pagoda and main prayer hall that is shown in other general temples.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it is presumed to construct on the basis of the Sancheonbibo ideology (a belief that certain landscape requires help and supplement to prevent harms from flowing in) that was popular during the Goryeo Era. And while the pagodas built under the Sancheonbibo ideology are mostly a dantap (single-story pagoda), Yongam-sa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are bult in multiple story pagoda to have the academic value. However,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tyle, scale and others of both pagodas,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scale, style, characteristics and others that there is a view that they were not in fact a twin pagoda but they could be built with time difference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In addition, in the data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confirmed through this survey, there is a record that Yongam-sa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were moved from a different location that the present location of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may not be the present Yongam-sa. Furthermore, through the appearance and location of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that were taken in photograph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rough the relics excavated from stone pagoda, it is confirmed that the they were built up in the current location while restoring stone pagoda in modern times.

      • KCI등재

        대구 의기(義妓) 염농산[‘기생 앵무’]의 생애와 성주군 용암면 두리방천 축조의 의미

        李文基 ( Lee Moon-key ) 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논집 Vol.75 No.-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the life of Yeom Nong-san, who was a famous female entertainer, in a synthetic way and shed focused light on her achievement of building Duribangcheon(豆依防川) in Yongam-myeon, Seongju-gun. The study excavated new materials unknown to researchers and used them as historical materials in the discussion process.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Yeom Nong-san was born between her father Yeom Cheon-hong and her mother Ryu Seong-hyang as the eldest daughter. In her early teens, she became a Gwangi(Female entertainer belonging to the authorities) of Gyeongsanggamyeong. Continuing her activities as a Gwangi until she turned 37(1895), she became so famous that she earned the reputation of “Yeongnam's Famous female entertainer.” Second, she ran a restaurant right after her retirement as a Gwangi and accumulated plenty of wealth. She became the representative of female entertainer organizations in Daegu including “Association of Daegu female entertainers” and “Dalseonggwonbeon(達城券番)”. She accumulated more wealth, running these organizations, and became a landowner by purchasing many rice fields in Daegu and “Saenaedeul” of Yongam-myeon. Third, she made many donations to the “national movement” based on her accumulation of wealth at the end of Joseon and during the Japanese rule. Her remarkable achievements include her financial contributions to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of 1907, the foundation of Myeongsin Girls' School in 1910, and the establishment of Gyonam School in 1937. Finally, she donated a huge portion of her wealth to the construction of Duribangcheon in Yongam-myeon, Seongju-gun in 1919, making the living foundation of farmers in the area stable. It was a great act derived from her sense of responsibility to save the people hit by a disaster and her love for the people.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Yeom Nong-san was a great “patron of national movement” that donated generously her wealth for the people and society beyond the social limitations associated with her status as a Female entertainer treated poorly by people.

      • 영암호에 도래, 월동하는 수로류 군집에 관한 연구

        이두표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1997 연구보고 Vol.6 No.1

        본 연구는 간척사업으로 만들어진 영암호에 대하여 1996년 10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월동수 조류 에 대한 센서스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종합 분석한 것이다. 조사기간동안 총 32종이 기록되었으며 최대 월동개체수는 150,704개체로 나타났다. 종 구성에 있어서는 오리류가 전체 수조류중 56%로 가장 많았고 개체수에 있어서도 오리류가 전체의 94.2%로 가장 많았다. 우점도 순위는 흰뺨검둥오리(36.5%), 청둥오리(28.5%), 흰죽지(6.5%), 홍머리오리(6.0%)의 순이었다. 종다양도는 월평균 1.49로 비교적 낮은 편에 속했다. 간척사업이전인 1985년도에 비하여 종수 및 개체수는 크게 증가하였고 우점종은 도요류에서 오리류로 변화했으며 종다양도가 저하되었다. 본지역은 람사조약이 제시한 국제적 중요습지기준에 해당되며 따라서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The avifauna of reclaimed Yongam Lake was surveyed during 1996 wintering perio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waterbirds wintering in Yongam Lak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birds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claimation of tidal flat. During the wintering period, a total 32 species was observed and the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was 150,704. Among them, ducks accounted for 50% in number of species and 94.2% in number of individual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Anas poecilorhyncha (36.5%), followed by Anas platyrhynchos (28.5%), and then Aythya ferina (6.5%). The index of species diversity was 1.49 in monthly mean compared with previous census conducted in 1985, before reclamation of tidal flat, the present state showed a great increase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and dominant species was replaced waders with ducks, and species diversity has gone down.

      • KCI등재

        19세기 불교가사의 작가 복원과 그 문화사적 함의 -영암 취학의 <토굴가>를 중심으로

        김종진 ( Kim Jong-jin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5 No.-

        가사문학사에서 볼 때 19세기는 종교가사의 시대라 할 수 있다. 천주교는 포교의 자유시대를 맞이하여 가사를 통해 그들의 교리를 전파하였고, 동학교 는 가사를 경전의 대용물로 활용하였으며, 서학과 동학 상호간의 갈등이 가 사를 통해 구현되었다. 그런데 포교의 매체로 가사를 활용한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천주가사와 동학가사의 타자로 동시대에 존재한 불교가사의 19 세기의 양상은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었다. 본고는 19세기의 가사 작가로 서 영암취학(미상-1854경)을 발굴하고 그의 < 토굴가 >를 분석하여 이 시기 불교가사 전개양상을 조망하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영암은 출생연도 미 상으로 1850년대까지 금강산 표훈사의 여러 암자에서 토굴참선에 전념한 인 물이다. 그는 토굴수행으로 이름이 높았으며, 동시에 건봉사의 만일염불회 결 사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한 바 있다. 이는 그가 참선에 전념하면서도 이 시대 의 기풍인 염불신앙의 흥성에도 일정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가 지 은 < 토굴가 >는 토굴을 찾는 과정, 토굴수행의 열락, 득도 후 대중 구제의 서 원을 노래하는 과정이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고 있다. < 토굴가 >는 다른 작품 에서 찾아볼 수 없는 토굴 찾기와 토굴 벗어나기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제시 되어 있고, 토굴생활과 참선의 열락이 서정적으로 표출되어 있는 수작이다. 이와 함께 염불을 권장하는 내용이 담겨있어 참선과 염불을 일원적으로 인식 하였음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작품에는 발원문, 발심장, 권염불문, 권 선문, 게송 등 다양한 불교문학의 양식이 삽입되어 있다. 일견 산만하게 삽입 된 듯한 이러한 양식들은 수용자들에게 다양한 감동의 코드를 제시함으로써 전달력을 증대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이 작품을 통해 19세기 금강산 권 역에서 참선수행의 기풍이 현존했으며, 동시에 염불신앙의 기획과 참선의 수 행이 모순으로 인식되지 않은 19세기 불교문화사의 한 양상을 여실히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aimed at enlightening the writer of < ToGulGa > that means a song of cave dweller`s and it`s meaning as a text producted in 19c. Yongam Chuihak was a zen-monk writer who had been stayed at a cave on Kumgang mountain in 19c. His name had been written at some scripts of this work, but there was no information to enlighten his life and thoughts. In this paper I make sure of the writer`s life and this work`s theme, structure and it`s meaning of the times. This work contained some main themes, the reason why the author seek for cave, and how he process to cave and what kind of happiness he gain at this space. And also he claimed to the peoples who lived in the world of desire that there are no ways to the Buddhist paradise except devotion to practice zen and the repetition of Amida Buddha. And he had an idea that zen practice do not conflict with the repetition of Amida Buddha. In the side of the literary style, it contained a lot of styles that had been circulated as the Buddhist literacy styles. For examples, a prayer, a song of soliciting contributions for religious purposes, and Buddhistic poem written by Chinese letter. It may be seems to be a vague structure. But It could be evaluated that it has a complex structure to supply diverse code of impressions to readers. And it seems to me that < ToGulGa > had reflected the tendency of the Buddhist circles in 19c. At that times it was a natural tendency that a monks practice zen in a hard way and study Buddhist canon at the same time. And a monk devote himself to zen and he stress other peoples to devote themselves to the repetition of Amida Buddha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I do not introduce the distribution of it`s different versions and it`s regional intercourse with each other. It may be needed to another report.

      • 龍巖 李徽在의 生涯와 思想

        도민재 간재학회 2011 간재학논총 Vol.11 No.-

        본 연구는 간재학파의 한 사람인 용암 이휘재(龍巖 李徽在, 1893~1944)의 생애와 사상을 고찰한 것이다. 용암은 어려서부터 행동이 독실하였고 효성이 깊었다. 일찍이 간재 전우의 문하에서 학문을 했으며, 간재 사후에는 석농 오진영을 종유(從遊)하여 간재사상을 계승하였다. 용암은, 학문이란 평상시의 행위가 사물당연(事物當然)의 법칙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경(敬)’을 실천하는 것이며, 성(性)이 모든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간재로부터 전수받은 ‘성존심비(性尊心卑)’설을 지키고 ‘심즉리(心卽理)’설을 비판하였다. 예설(禮說)에 대해서는 선현의 설을 맹종하기보다는, 항상 경전(經傳)을 상고(詳考)하여 의리에 합당하면서 또한 현실과 괴리되지 않게 실천하는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또 임진왜란 당시의 중봉(重峯)과 제봉(霽峰)의 절의정신에 대하여 재평가함으로써, 일제 강점기의 현실에서 절의정신(節義精神)을 되새기고자 했다. 이와 같이 용암은 외세의 침략에 의해 국권이 상실되고 유교적 전통이 붕괴되는 시기에 살면서, ‘성존심비’의 간재학을 계승하여 유학의 도학정신(道學精神)을 지키는 삶을 살았다.

      • 龍巖李徽在의 生涯와 思想

        都民宰 간재학회 2010 간재학논총 Vol.11 No.-

        본 연구는 간재학파의 한 사람인 용암 이휘재(龍巖李徽在, 1893~1944)의 생애와 사상을 고찰한 것이다.용암은 어려서부터 행동이 독실하였고 효성이 깊었다. 일찍이 간재 전우의 문하에서 학문을 했으며, 간재 사후에는 석농 오진영을 종유(從遊)하여 간재사상을 계승하였다.용암은, 학문이란 평상시의 행위가 사물당연(事物當然)의 법칙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경(敬)’을 실천하는 것이며, 성(性)이 모든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간재로부터 전수받은 ‘성존심비(性尊心卑)’설을 지키고 ‘심즉리(心卽理)’설을 비판하였다.예설(禮說)에 대해서는 선현의 설을 맹종하기보다는, 항상 경전(經傳)을 상고(詳考)하여 의리에 합당하면서 또한 현실과 괴리되지 않게 실천하는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또 임진왜란 당시의 중봉(重峯)과 제봉(霽峰)의 절의정신에 대하여 재평가함으로써, 일제 강점기의 현실에서 절의정신(節義精神)을 되새기고자 했다.이와 같이 용암은 외세의 침략에 의해 국권이 상실되고 유교적 전통이 붕괴되는 시기에 살면서, ‘성존심비’의 간재학을 계승하여 유학의 도학정신(道學精神)을 지키는 삶을 살았다.

      • KCI등재

        『응운공여대사유망록(應雲空如大師遺忘錄)』의 상호텍스트성

        이대형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1 No.-

        19세기에 활동한 응운 공여(應雲空如, 1794~?)는 화엄학으로 유명했던 용암 혜언(龍岩慧彦, 1783~1841)의 제 자이며, 당대 저명한 문신 김조순(金祖淳)에게 호를 받고 그와 편지를 교류한 승려인데 현재는 이렇다하게 알려 진 바 없다. 그의 유망록 에 시는 한 편만 있고 나머지는 산문만 수록되어 있으니, 문예미에 대한 관심이 적 었다고 짐작된다. 사상적으로는 「삼교성명설」 등에서 삼교일치론을 주장하였고, 나아가 칠성경(七星經) 을 읽으라고 권하였다는 점에서 도교적 취향을 보인다. 응운 공여의 글쓰기에는 상호텍스트성의 측면에서 볼 부분이 상당히 많다. 기존 문헌을 글쓰기에 이용하는 것 은 일반적이지만 글 전체가 인용으로 채워지는 경우들은 특이하다 하겠다. 인용을 할 때는 대체로 발췌 축약하 는 경우가 많은데 축약하면서 일부 표현구조를 바꾸기도 하고 그러다 보니 본래의 의미와는 달리 읽힐 수 있는 경우들도 생겼다. 공여는 자기만의 독자적인 글을 쓴다는 의식보다는 기존의 문헌을 활용하여 현재 문제되고 있는 것들에 대한 해답을 구하여 지금 필요한 글을 쓰는 데 중점을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용 위주의 글쓰기가 그만의 독특한 것은 아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고려 승려 진각 혜심(眞覺慧諶)이나 조선 김시습( 金時習)의 불교 저술에서도 확인되는 등 불교 관련의 문헌에서 드물지 않게 발견된다. 이는 사실보다는 의미를 중시하는 불교적 태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he Youmangrok(遺忘錄) is written by Eungoon Gongye(應雲空如)r; he was the direct disciple of Yongam Heoeon(龍岩慧彦) who was known for Hwaom idealism. His buddhist pen name, ‘Eungoon’, was given by Kim Jo Soon(金祖淳) who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ivil service bureaucrat at the time and they carry out their relationship through exchange letter. Youmangrok is composed by only one poetry and the remaining parts are prose, which is not common way of collection work in Josun. So we can assume he had less interest in beautiful literary art. He assisted unity of the three religions, and encouraged to read the Sutra of Big Dipper(七星經). The writing style of Eungoon Gongyer seems to be based on the mutual text way. If you read Youmangrok carefully, you will find that it is composed of quotation mostly. It is common to use summary or extract when quote from other references, but he sometimes modify, revise, and skip the original part when he quote. Because of this way, there are sometimes misreading and misunderstanding parts as well. He might prefer to use the existing reference for supporting his opinion, instead of his own independent writing. This mutual text method of writing is not only available in his work; occasionally, we can still find this writing style in the Buddhist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