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과 삶의 균형(WLB : Work-Life Balance)은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가?

        탁경운(Kyung-Woon Tak),김선우(Sun-Woo Kim),서상혁(Sang-Hyuk Suh)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5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WLB : Work-Life Balance)이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 및 조직 내 혁신 행동을 향상시키는지 여부, 그리고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이 일과 삶의 균형(WLB)과 혁신 행동 간 관계에 간접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일과 성장의 균형(WLB_G)과 대인 조화 그리고 창의적 노력으로 나타났고 대인 조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일과 가정의 균형(WLB_F)과 일과 성장의 균형(WLB_G)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과 성장의 균형(WLB_G)과 대인 조화였다. WLB의 세 개 하위 변수와 혁신 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대인 조화와 창의적 노력의 간접 효과 역시 일부 확인 되었다. 더불어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매개변수 간의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일과 가정의 균형(WLB_F)이나 일과 성장의 균형(WLB_G)과 대인조화, 창의적 행동 및 혁신행동 간에는 시너지 관계가 존재하고, 일과 여가의 균형(WLB_L)과 대인조화, 창의적 노력 및 혁신행동 간에는 배타적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다른 산업 간의 일과 삶의 균형(WLB)에 대한 연구와 일과 삶의 균형(WLB)과 혁신행동에 이르는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한 연구가 기대된다.

      • KCI등재

        WLB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영감적 동기부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허제인,장영철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9 창조와 혁신 Vol.12 No.2

        This study validated the effect of WLB on the employee engagement of members of an organization, as well as the coordination of the inspirational motivation factors among the sub-factors of transformative leadership. As a result of this study, WLB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ask immersion of employee engagement(work-leisure, work-life) bu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work-growth. And the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was only work_life. The WLB's influence on employee engagement, which consists of job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has a positive effect in common. This shows that recent on-time commute by many companies has a very large impa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at the same time, a desirable influence on job immers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djustments showed no adjustments to the WLB and employee engagement. This indicates that WLB will have to focus on having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It means that the WLB has a strong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and task immersion of its members, so it can have the desired effect of WLB without any adjustment. In conclusion, because WLB's positive effects, such as health, welfare, and job satisfaction,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reduction of absenteeism are the individual areas of the organization's system and the leadership's individual areas, it can be said that if WLB is well equipped with the system within the organization, the WLB can produce as much as possible without the individual efforts of the leaders. 본 연구는 WLB가 조직 내 구성원들의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직무몰입,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요인 중 영감적 동기부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WLB와 종속변수인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가설에서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하위요인인 직무몰입에는 일-여가, 일-삶이 정(+) 의 영향을 미치고 일-성장의 관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에는 일-성장은 부(-)의 효과, 일-삶은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WLB의 영향력은 일-삶의 요인이 공통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WLB의 모든 하위요인이 종속변수인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는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립변수인 WLB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모든 하위요인에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있다는 점에 집중해야 할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WLB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의 강도가 강하기때문에 조절효과가 없어도 바람직한 WLB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조직구성원의 건강, 복지 그리고 직무만족, 생산성 향상, 결근율 감소 등 WLB의 긍정적인 효과는 조직의 시스템이고 조절변수인 영감적 동기부여는리더들의 개별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WLB가 조직 내 시스템으로 잘 갖춰져 있다면리더들의 개별적인 노력 없이도 WLB가 기대하는 효과는 얼마든지 만들어 갈 수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업무구조, 조직문화, WLB제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관(Kim, Jong-Kwan),이윤경(Lee, Yeun-Kyeo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0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6 No.4

        일과 생활의 균형이란 근로자들의 일과 일 이외의 생활을 조화롭고 균형 있게 만들어 줌으로써, 근로자들에게는 개인적인 삶의 만족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회사는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전략이다 일과 일 이외의 생활간의 균형 및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 요인들은 효율적인 업무구조, 일과 생활의 균형을 지원하는 각 영역의 문화적 요소, 일과 생활의 균형을 지워하는 정책과 지원프로그램, 마지막으로 일과 생활 간의 균형을 위한 개인적 요인(일과 생활의 균형에 대한 기술습득과 개인적 신념)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영향요인과 일과 생활의 균형,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업무구조, 조직문화, 제도적 지원과 일과 생활의 균형의 관계를 살펴보면, 업무효율성, 업무량, 조직문화 제도적 지원은 모두 이로가 생활의 균형과 유의적인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업무구조, 조직문화, 제도적 지원은 일과 생활의 균형을 매개로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일반기업과 공공기관 간 의식의 차이에 따라 변수간의 영향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분석한 결과 업무효율성과 조직문화가 일과 생활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일과 생활의 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간의 차이가 유의함을 알 수 있다 Work-Life Balance(WLB) from the Western various nations it is already rising in core subject of 21st century human resource․organization management This article searches constituent that influence to it to all individuals' wlb and examines about effect that WLB gets in organizational efficiency For This article search effect that work efficiency, workload, organizational culture, institutional support get WLB, distributed questionnaire to Pusan․Ulsan․Kyeungnam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 Used statics package SPSS 140 and AMOS 70 for analysis and thought to execut inte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analysis, searched relation between variable Examine analysis result, work efficiency, workload, organizational culture, institutional support and WLB are relation that it is meaning there are many Workload WLB becomes low Work structure is more efficient, organizational culture is more worker-friendly, institutional support is many, WLB rises(adopted Hypothesis1, Hypothesis2, Hypothesis3) Examine relation of WLB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feel that worker accomplishes WLB, organizational commitment rise and turnover intent become low and stress become low(adopted Hypothesis4) About WLB's mediation effect, partial choice is available Work efficiency appear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 significant influence by WLB Workload and Organizational culture appear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 and stress significant influence by WLB Institutional support appear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tress significant influence by WLB(partial adopted Hypothesis5) According to result that Hypotheses 6 that suppose that is worker's awareness according to formation (corporation, institution) is different, and therefore, influence of elements may be different, there was relevant difference in pass work efficiency→WLB, pass organizational culture→WLB, pass organizational culture→organizational efficiency, pass WLB→organizational efficieny Thing which can know in result that enterprise must improve organizational culture for WLB elevation and public institution must try for business efficiency improvement I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rganization, but was expose that exert effect that the workload is biggest to WLB in two organization 40 hours 5day labor system was introduced much, but actuality work hours by the much business amount exceed this

      • KCI등재

        중국의 조직 리더십과 근로자의 WLB(Work-Life Balance)에 관한 연구: 기업과 공무원 조직을 중심으로

        왕서혜,박상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8 中國硏究 Vol.77 No.-

        The attention of Chinese laborers to the work-life balance (WLB) is increasing in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that means in order to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th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atmosphere within the organization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On the one hand, because of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enterprises, Chinese enterprise laborers are faced with the imbalance of work pressure and working life. On the other hand, Chinese civil servants have been under concern for their professional advantages and images such as “iron rice bowls” – means a stable job. Under this circumstance, the research not only analyzes causality among three variables such as the leadership, the WLB supporting climate and WLB awareness, but also study the mediating effect, taking the Chinese enterprise laborers and civil servants as the research object as well as aiming for a comparative study of two organization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eadership, the WLB supporting climate and the WLB perception within the organization of enterprises and State organs. Compared with civil servants, business workers have difficulty in enjoying the relevant assistance of WLB in the organization and this state leads to the problem of uneven working life. Second, leadership’s balanced processing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positive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to WLB supporting climate both in enterprises and state organs. However, a negative impact of scheduling flexibility supporting climate on the organization is led by leadership’s inspirational motivational in business organizations and the charisma of a leader in public employee groups. Finally, it can be proved that the WLB supporting climate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leadership and the WLB perception. 급변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중국 내 근로자들의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WLB 지각 향상을 위한 조직의 리더십 및 분위기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편 기업 간 치열한 경영 환경에 따라 중국 기업의 근로자들은 직무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불균형을 겪고 있는 반면 중국 공무원들은 유리한 대우 및 ‘철 밥그릇(铁饭碗)’ 이라는 이유로 호감을 얻고 있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 기업의 근로자 및 공공기관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WLB 지각에 관한 비교 연구를 하는 것을 목적이다. 리더십, WLB 지원분위기, WLB 지각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WLB 지원분위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WLB 지원분위기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기업 근로자와 공무원 간 리더십, WLB 지원분위기, WLB 지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보다 기업 근로자가 WLB에 관한 지원을 받기 힘들어 보이며, 일과 삶의 불균형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균형정보처리 및 개별배려가 WLB 지원분위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에서의 동기부여와 공무원조직에서의 카리스마리더십이 일정유연성 지원분위기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이 WLB 지각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WLB 지원분위기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기업과 공공기관에 있어서, 리더십이 WLB 지원분위기를 형성하게 하고 구성원들의 WLB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여성고령자의 경제활동 지속을 위한 고용정책 및 WLB를 위한 제언

        권혁남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mployment policy and WLB for the continuation of aged women's economic activities as a way to solve aged women's work problems. Business owners feel burdened in hiring aged women workers since they face many obstacles in work life such as deterioration of work ability due to shortage of vocational experience, health problems due to physical aging, and the problem of balance between family life and work life. WLB provides a managerial policy that can handle such problems in detail, and thus policies on aged women's work established as a way of WLB management plan enables the firm to have a reasonable process that not only alleviates the complaints of work of aged women but also relieves the burdens of business managers who are leading companies or businesses when hiring aged women. However, considering the life period characteristics o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ged women, it can hardly be expected for company owners or business owners to prepare a WLB policy for aged women voluntarily, so government organizations will need to establish such policy with initiatives. Therefore, this study searched for a WLB system that can become a proper plan by looking into the employment policy for aged women that is currently in execution and extracting things to improve policy in order to propose a plan required in establishing the WLB system for aged women at the government level. To that end, chapter 2 looked into the overall conditions of aged women's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work and the policies on aged women's work to present an execution of our country through a preliminary study. Chapter 3examined main points of the WLB for aged women workers based o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WLB and also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WLB for aged women through cases in Korea and Finland. Chapter 4 offered suggestions on desirable policies on the WLB as a measure to improve and complement problems of aged women’s working in Korea through this consideration.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the examination on the WLB system for aged women the study subjects were clarified, and the WLB system for aged women that government and companies shall execute was proposed.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실증분석: 제4차 및 제5차 근로환경조사 자료의 활용

        김효진 ( Kim Hyojin ),문춘걸 ( Moon Choon-geol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9 사회보장연구 Vol.35 No.2

        제4차 및 제5차「근로환경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신체·정신적 건강, 근로환경, 개인특성, 직장특성 등이 취업자의 ‘일과 삶의 균형(WLB)’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체 표본, 임금근로자 표본, 자영업자/사업주 표본을 대상으로 순서형 로짓모형을 추정하였다. OMD 추정법에 기반한 검정 결과, WLB 분석 모형이 임금근로자 표본과 자영업자/사업주 표본 간에 동질적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분석 결과, 신체·정신적 건강은 WLB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근로시간은 길어질수록 그리고 시간외 근무는 빈번할수록 WLB를 악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5차 임금근로자 표본에서는 유연근무제가 WLB에 미치는 영향이 소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자의 경우 일용직/임시직 근로자에 비해 상용직 근로자의 WLB가 더 높고, 자영업자/사업주의 경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사업주에 비해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의 WLB가 더 낮았다. Using the 4th and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s (KWC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factors, work-related fac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place characteristics on work-life balance (WLB) of the employed persons in Korea. We estimated ordered logit models of WLB separately for the full sample, the subsample of the salaried workers, and the subsample of the self-employed persons and business owners. We conducted the OMD-estimation-based test for homogeneity of WLB models between the two subsamples, rejecting the homogeneity. From the subsample estimation results, we found that bette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ffects WLB positively while longer working hours and frequent overtime affect WLB negatively. Surprisingly, all types of flexibility-enhancing arrangements of work for the salaried workers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5th KWCS subsample of the salaried workers. Among the salaried workers, WLB of permanent workers is higher than that of both daily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Among the self-employed persons and business owners, WLB of the subsample without employees is lower than that of the subsample with employees.

      • KCI등재

        Work-Life Balance(WLB) 영향요인에 관한 메타 분석

        김종윤(Jhong Yun Kim),박선민(Seon Min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Work-Life Balance(WLB)와 관련 다수의 실증 연구 결과물을 토대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WLB와 그 관련변인 간의 관계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8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 게재 논문을 연구 분석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으며, 총 27편의 국내 학술지의 126개 하위그룹의 통계치를 가지고 코딩을 진행하였고,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WLB와 관련된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0.365로 작은 효과 크기를 보였다. 둘째, WLB가 영향을 미치는 종속변인 구분의 효과크기는 직무몰입, 혁신, 성과,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WLB 연구의 종속변인이 개인 초점일 때보다는 조직 초점 변인일 경우 효과크기가 두 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WLB 연구의 종속변인이 희생,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와 같이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종속변인은 –0.254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직무만족, 정서몰입과 같이 정적인 영향의 종속변인은 0.576의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가지는것으로나타났다. 다섯째, WLB 하위요인구분간효과크기는일-성장균형, 일-가정균형, 일-여가 균형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based on results of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work-life balance(WLB),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WLB and other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prior to December 2018 were collected. Data was collected using an online database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and Scientific Information Service, and a total of 27 studies and 126 sub data were coded. Data was analyzed using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of WLB was 0.365, indicating a small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s of 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by WLB included immersion, innovation, and performance in order. Third, the effect size of organizational focus variables was more than twice as big as that of individual focus variables. Fourth, the negative theoretical background dependent variables of WLB, such as sacrifice, job stress, and turnover showed -0.254 effect size, and the positive theoretical background dependent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have mid-size effect (0.576). Fifth, the effect size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in the order of work-development balance, work-home balance, and work-leisure balance.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국내기업의 고객지향적인 WLB 프로그램 도입방안

        신호균,김준우,김영애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經營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국내 여성인력의 경제활동참여를 높이고 일과 가정이 조화되는 고용환경 구축을 위하여 국내기업의 고객지향적인 WLB 프로그램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WLB프로그램 도입의 초기단계에 있는 국내기업의 현실을 고려하여, 국내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WLB 프로그램 설계속성의 중요도와 속성수준들의 부분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연구의 결과 국내 여대생들은 WLB프로그램의 설계속성 중에서 지원내용에 해당하는 생활(Life)지원과 일(Work)지원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지원형태와 지원대상을 그 다음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속성수준별 부분가치의 선호도는 지원대상은 개인보다는 가족중심으로 WLB 프로그램을 지원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work)지원 내용은 승진 및 보상을, 생활(life)지원 내용은 여가 및 문화생활을, 지원형태는 재정적 지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취업성향에 따라 분류된 세분집단별 설계속성의 중요도와 속성수준별 부분가치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WLB프로그램을 도입하려는 국내기업에게 미래수요자들의 세분화된 니즈를 반영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suggest introduction plan of customer-oriented WLB(work & life balance) program in domestic companies to set up employment environments with harmony of work & family for improving participation of economic activity of domestic woman power. For this purpose, conjoi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base of domestic Korean female students along with architectural importance and factor levels by considering practices in domestic compani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domestic female students endowed life and work support 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and followed by support type and object among all architectural attributes in WLB program. Moreover, preference toward partial value in each level shows that family orientation rather than individual base. In specific contents for the work and life are promotion and compensation, and leisure and cultural time respectively. They preferred financial support to any other factors in support type. Also, analysis of architectural importance in each group and partial value in each level classified according to job searching preference was helpful in deriving implication in terms of segmented needs of future demand of domestic companies to introduce WLB program.

      • KCI등재후보

        일·생활 균형과 구성원간 갈등관계 : 직장 내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효과 중심으로

        이양표 ( Lee Yang-pyo ),최창범 ( Choi Chang-bum )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최근 MZ세대의 사회진출과 여성인구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던 기존 그룹과 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기업은 업무성격과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의 활성화에 따라서 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따라, 회사에서 실질적으로 운영중인 WLB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보편타당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생활 균형 수준 향상을 위한 제도는 남녀 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여건을 제고하고 MZ세대의 직장에 대한 이상적 가치관과 부합하며, 융통성 있는 경력 설계를 가능하게 해 여성의 노동시장 탈락을 예방하고,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 또한, MZ세대의 사회진출과 여성인구(Working Mom)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는 기존 직장 그룹과 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회사 및 조직은 유연근무제도 등 일·생활 균형과 업무성격에 따라서 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공공기관 및 중견·대기업에서 실제 운영 중인 WLB를 위한 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보편타당한 WLB 지원제도의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근로환경에 대한 정책과 인식이 변화하는 가운데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실무적 합의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 및 업무성격에 따른 직무몰입 영향을 분석하여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운영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상호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일·생활 균형 수준과 업무 성격이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2x2 매트릭스모형으로 구성하여 상호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4가지 갈등형, 주도형, 동조형, 협동형 그룹으로 분류하여 상호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첫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협업 지향적인 갈등형 그룹은 직무몰입의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입장의 협업을 강조하는 업무 형태에서는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를 도입하는데 제한된 입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개인 지향적인 주도형 그룹은 직무몰입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MZ세대의 사회진출 및 여성인구의 고용률 증가를 반영하여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성화하여 WLB 수준과 부합할 때 직무몰입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하며,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의 적절한 활용이 가능함이 검증 되었다.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일·생활 균형 수준과 업무 성격을 요인으로 구성원의 성격을 세분화한 것이며, 실무적 시사점은 공공기관 및 대기업에서 운영중인 WLB 지원 제도를 그룹화하여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다양한 조직이나 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폭넓게 설정하고,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와 업무성격을 세분화 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with the MZ generation's entry into society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female population, conflicts are occurring between workplace groups that value WLB and existing groups that emphasize collaboration due to differences in work orientation.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that utilize work-life balance support systems show differences in job Commitment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work and the activation of the support syste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WLB support system actually operated by the company and present universally valid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system for work-life balance and to find practical consensus amid changes in policies and perceptions of the working environment. Second,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level and job immersion according to work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to verify the mutual influence in order to establish standards for WLB operation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a 2X2 matrix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and work characteristics on job commitment, and f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conflict-type group members, second,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leading group members, third,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agreeable group members, and fourth,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cooperative group members. To conduct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mployees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s and large corpor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days from October 23 to 31, 2023, and 163 people responded,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a valid sample of 152 people, excluding 11 copies that were insincere responses or gave up midway. As a result of the study's hypothesis testing, first, the conflict type group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level of job engagement at 1.43. Second, the proactive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job engagement at 4.54. Third, the conformity group showed a slightly lower level of job involvement at 2.58. Fourth, the cooperative group show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job involvement at 3.80.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subdivides employees’ personalities into factors based on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and nature of work.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WLB support systems oper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large corporations by grouping them.

      • KCI등재

        일·생활 균형과 구성원간 갈등관계 : 직장 내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효과 중심으로

        이양표,최창범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최근 MZ세대의 사회진출과 여성인구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던 기존 그룹과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기업은 업무성격과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의 활성화에 따라서 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따라, 회사에서 실질적으로 운영중인 WLB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보편타당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생활 균형 수준 향상을 위한 제도는 남녀 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여건을 제고하고 MZ세대의 직장에 대한 이상적 가치관과 부합하며, 융통성 있는 경력 설계를 가능하게 해 여성의 노동시장 탈락을 예방하고,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 또한, MZ세대의사회진출과 여성인구(Working Mom)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는 기존 직장 그룹과 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회사 및 조직은 유연근무제도 등 일·생활 균형과 업무성격에 따라서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공공기관 및 중견·대기업에서 실제 운영 중인 WLB를 위한 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여보편타당한 WLB 지원제도의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근로환경에 대한 정책과 인식이 변화하는가운데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실무적 합의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및 업무성격에 따른 직무몰입 영향을 분석하여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운영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상호간의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일·생활 균형 수준과 업무 성격이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2x2 매트릭스모형으로 구성하여 상호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4가지 갈등형, 주도형, 동조형, 협동형 그룹으로 분류하여 상호관계를확인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첫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협업 지향적인 갈등형 그룹은 직무몰입의 수준이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입장의 협업을 강조하는 업무 형태에서는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를 도입하는데 제한된 입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개인 지향적인 주도형 그룹은직무몰입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MZ세대의 사회진출 및 여성인구의 고용률 증가를 반영하여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성화하여 WLB 수준과 부합할 때 직무몰입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하며,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의 적절한 활용이 가능함이 검증 되었다.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일·생활 균형 수준과업무 성격을 요인으로 구성원의 성격을 세분화한 것이며, 실무적 시사점은 공공기관 및 대기업에서 운영중인 WLB 지원 제도를 그룹화하여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다양한 조직이나 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폭넓게 설정하고,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와 업무성격을 세분화 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with the MZ generation's entry into society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female population, conflicts are occurring between workplace groups that value WLB and existing groups that emphasize collaboration due to differences in work orientation.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that utilize work-life balance support systems show differences in job Commitment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work and the activation of the support system.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WLB support system actually operated by the company and present universally valid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system for work-life balance and to find practical consensus amid changes in policies and perceptions of the working environment. Second,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 level and job immersion according to work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to verify the mutual influence in order to establish standards for WLB operation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a 2X2 matrix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and work characteristics on job commitment, and f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conflict-type group members, second,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leading group members, third,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agreeable group members, and fourth, analysis of the job involvement level of cooperative group members. To conduct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mployees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s and large corpor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days from October 23 to 31, 2023, and 163 people responded, and the analysis was based on a valid sample of 152 people, excluding 11 copies that were insincere responses or gave up midway. As a result of the study's hypothesis testing, first, the conflict type group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level of job engagement at 1.43. Second, the proactive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job engagement at 4.54. Third, the conformity group showed a slightly lower level of job involvement at 2.58. Fourth, the cooperative group showed a slightly higher level of job involvement at 3.80.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subdivides employees’ personalities into factors based on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and nature of work.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WLB support systems oper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large corporations by groupi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