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레리아 루이셀리의 『잃어버린 아이들을 위한 아카이브』에 나타난 아카이브의 의미

        이은아 ( Lee Euna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3 No.-

        발레리아 루이셀리의 『잃어버린 아이들을 위한 아카이브』는 중미 출신 아동 난민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 작가는 아동 난민 문제가 미디어에 의해 소비되는 비극적 소재로 남는 것을 비판하는 동시에 여행 서사의 전통과 접목시킴으로써 아카이브라는 개념을 문학적으로 확장시킨다. 본고에서는 우선 아카이브로 기능하기 위한 소설의 구성 방식을 고찰함으로써 ‘잃어버린 아이들’에 관한 다양한 스토리텔링이 어떻게 복합적으로 이뤄지고 있는지 논의한다. 또한 여행 서사를 근간으로 픽션과 증언 문학의 넘나듦을 통해, 문학적 상상력과 자유로움을 누리고, 동시에 아동 난민 문제에 대한 윤리적 경각심을 환기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아카이브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기억하는 방식에 대한 탐구이다. 그 결과로 탄생한 이 소설 자체가 잃어버린 아이들을 위한 다큐멘터리이자 아카이브로 기능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소설이 탐구하고 있는 아카이브의 형식, 기록에 대한 정의, 또한 상실과 망각에 대한 두려움 등을 두루 논의해 보고자 한다. Valeria Luiselli’s Lost Children Archive deals with the issue of children refugees from Central America. Criticizing the reality that this crisis is being used as tragic material consumed by the media, the author expands the concept of archive by combining its plot with the canonical tradition of travel narratives. This essay thus looks at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archive being explored in the novel, definition of documentary, and fear of loss and oblivion. The author creates a new archive of original meaning without losing literary imagination and freedom to provide an ethical awakening to the problem of children refugees. The novel itself, created as a result of its exploration of the way it remembers historically forgotten and lost people, shows that it functions as a documentary and archive for lost children.

      • KCI등재

        중미 난민의 재현과 윤리적 책임: 증언 장르의 새로운 고찰

        이은아(Lee Euna)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21 라틴아메리카연구 Vol.34 No.3

        A New Approach to the Testimonial Genre: The humanitarian crisis caused by the surge of Central American refugees in the U.S.A has emerged as a new subject of the testimonial genre in literature and film. Regarding the representation of refugees from Central America, especially unaccompanied refugee children, the article discusses the reception of readers or critics regarding the difference between veracity and fictionality, the political role of testimonio, and the effects of narrative experiment and rhetorical technique.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fantasy, autobiographical poetry, melodrama, and literary journalism in connection with the effects of testimony are analyzed based on the works of Valeria Luiselli, Javier Zamora, Sonia Nazario, and Óscar Martínez. Regarding how to represent the migrant journey of Central American refugees, this paper attempts to adopt a new approach to what used to be assessed as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estimonial genre by examining the authors’ identification with migrants through (semi) real experience or imagined empathy. Amid the ongoing humanitarian crisis, the authors clearly utter their ethical responsibility to literary activism through fictional and aesthetical configuration.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y are expanding or redefining this genre as new deployment of narrative techniques and representation to make the suffering of migrants more visible and tang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