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손현정(Hyun-Jung Son),이상원(Sang-Won Lee),조문희(Moon-Hee Cho) 한국언론정보학회 201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8 No.4

        본 연구는 확장된 UTAUT2 모델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주요 잠재적 수용자인 대학생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인포테인먼트기능으로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대한 분석을 위해 기존의 UTAUT 모형에서 상정하고 있는 핵심변수 네 가지 즉,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외에 쾌락적 동기, 가격 효용성, 인지된 위험을 추가한 확장된 UTAUT2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UTAUT 모델의 주요 변인인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및 촉진조건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UTAUT2 모델에서 추가된 변인인 쾌락적 동기와 가격 효용성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UTAUT2 모델의 이론적인 검증이었는데, UTAUT1 모델의 주요 변인들뿐만 아니라 UTAUT2 모델에 새롭게 추가된 변인인 쾌락적 동기 변인과 가격 효용성 변인이 모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의도를 잘 설명하는 변인임을 확인함으로써 UTAUT2 모델이 새로운 ICT 기술의 수용을 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는 모델임을 밝혔다. 따라서 UTAUT2 모델에 관한 이론적인 검증은 새로운 ICT 기술 수용 및 다른 다양한 연구주제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Using data from an online survey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 based on an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Technology (UTAUT) (UTAUT2 Model).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from original UTAU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 Also,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reveal that added factors from UTAUT2 like hedonic motivation and price value are influential factors to explain intention to use wearable devic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need to test the UTAUT2 model in the context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 KCI등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UTAUT2)을 적용한 O2O 외식 플랫폼 서비스 품질이 재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순홍,유병국 한국물류학회 2023 물류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employs the UTAUT2 model, an extension of the TAM model, to examine how O2O platform services influence customer reuse within the food industry. Service quality variables such as online information quality of the food platform and offline delivery service quality of delivery companies are set as preceding variables of the UTAUT2 model. Emplo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s influence on customer intention to use UTAUT2 as a paramet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platform service variabl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variables (effort expectations, performance expectations, social influence, and hedonic motivation) of UTAUT2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2). Meanwhil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delivery service quality on UTAUT, social and hedonic factors did not seem to have an effect. The research implies that consumers encounter many negative factors, such as price burden and delivery delays, regarding the delivery service itself. In addition, the anticipation of the order and the time spent waiting act as negative factors, while failing to influence pleasure. 본 연구에서는 TAM 모형을 확장한 UTAUT2모형을 활용하여 외식업종에서의 O2O 외식 플랫폼 서비스가 고객 재사용에 미치는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UTAUT2(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델) 모형의 선행 변수들로 외식플랫폼 자체의 온라인 정보품질, 배달업체의 오프라인 배송 서비스 품질 등의 서비스품질 변수들을 선행변수로 설정하고, UTAUT2를 매개변수로 하여 고객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선행 변수인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품질 변수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노력기대,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쾌락적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오프라인 서비스품질이 UTAUT2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사회적 영향과 쾌락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력기대,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 변수들은고객 재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는 온라인 외식 배달 플랫폼 업체들은 본 연구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객들의 즐거움과 경제적 부담을 절감하기 위해서 다양한 이벤트 사업, 온라인 상호작용 강화와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고객들의 주문 사항에 대해 지역 특색에 맞는 음식점 유형별 가맹점 추천, 사회적 공헌 사업확대 사업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그린기술 채택에의 디지털 지식풍부성의 역할: 디지털 옵션 이론 관점에서

        유호선 ( Hosun Yoo ),이남연 ( Namyeon Lee ),권오병 ( Ohbyung Kwon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5 情報시스템硏究 Vol.24 No.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린 기술의 채택 현상을 디지털 지식의 제공 여부로 이해하는 것이다. UTAUT2를 이론적 기반으로 하되 디지털 옵션 이론과 결합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UTAUT2 관련 연구들이 IT자체에 대한 수용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IT의 산물인 디지털지식이 그린 기술이라는 대상을 채택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초점을 두었다. 연구설계/방법론/접근법 UTAUT2를 근거로 하되 그린 기술의 채택 현상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그린기술을 위한 수정된 UTAUT2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그에 맞는 36개의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다. 각 문항의 측정은 리커트 7점 척도를 채택하였다. 한 기관의 패널 자료로부터 총402명의 유효한 설문을 획득하였다. 사전 검증을 마치고 획득한 설문결과를 PLS 2.0M3와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통계분석 결과 개발된 UTAUT2 수정 모형은 수요자들의 그린기술 채택 현상을 적절히 설명하는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사회적 영향은 전통적인 UTAUT나 UTAUT2에서 사용하는 효용가치나 쾌락가치보다 그린기술의 채택하는 맥락 하에서의 수용 행위를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디지털 지식과 그린기술의 채택, 즉 환경 친화적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아울러 디지털 지식은 어떤 잠재적 사용자들이 그린기술을 잘 활용하고 있는 그들의 동료들로부터 학습하기 위해서 유용한 매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ole of digital knowledge in accepting the green technology. This study combined digital option theory with the second version of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2). Contrary to other studies in which the UTAUT2 is used to explain IT adoption behavior, we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the UTAUT2 from a new angle, incorporating an important aspect of IT, that is, digitized knowledge richness, as a determinant of the UTAUT2. Design/methodology/approach Grounded in the UTAUT2,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novel constructs dedicated to explaining green technology adoption. In this study, an amended version of the UTAUT2 specific to green technology is offered that better explains the green technology adoption behavior of consumers. Using the items identified by content analysi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with 36 survey items. We measured all the items on a seven-point Likert-type scale. We randomly selected 402 survey respondents from a set of panel data. After a pilot study, we analyzed the main survey data by using PLS 2.0M3 and SPSS 20.0, and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hypotheses. Finding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UTAUT2 was found to be extendable to technologies other than conventional IT. Social influence is more significant than conventional utilitarian and hedonic-based constructs such as those utilized in the UTAUT and UTAUT2 in explaining adoption behavior in the context of green technologies. The hypothesized connection between digitized knowledge richness and adoption intention wa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studies on the role of IT in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produc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digital knowledge can also encourage people to try green technology when they learn that their peers are already using the technology successfully.

      • The Studies of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in M-Commerce Context

        Shoaib Imtiaz 한국디지털융합학회 2018 IJICTDC Vol.3 No.1

        The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information system (IS) innovations have been a key apprehension for research and practice. Since the emergence of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it has been used by a large number of studies for the adoption and acceptance of different technologies (e.g. m-commerce), and hence it seems to have turned into a prevalent theoretical choice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T)/information system (IS) adoption and diffusion. With the progress of this theory and finding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paper presents the critical review on the studies of the UTAUT and UTAUT2 model by focusing on the findings of basic constructs of these two models to predict Behavioral Intention (BI).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of UTAUT and UTAUT2 reveals that constructs of these two models contributed to Behavioral Intention to adopt and use m-commerce and its applications.

      • KCI등재

        모바일 뱅킹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병규 한국유통경영학회 2019 유통경영학회지 Vol.22 No.1

        Mobile banking was one of the core servic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y revolution. Public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was a very important issue for market diffusion. Nevertheless, there were still few empirical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acceptance or use intention and usage behavior of mobile banking technolog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based on the extended UTAUT(UTAUT2) model in the mobile banking industry and discussed it with the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analysis. As a result, the main variables of the existing UTAUT1 model,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habit of UTAUT2,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the impact between these two factors was performance expectancy (β = .354, t = 7.477)> habit (β = .252, t = 4.842)> effort expectancy (β = .154, t = 3.476)> social influence( β=.138, t = 2.601).The facilitating conditions of UTAUT1 and the hedonic motivation of UTAUT2 were analyz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The intention to use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tual u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hypothesis that trust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has been accepted. In other words. trust was tested as a mediator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hedonic motivation, habit and intention to use. Therefore, all of the hypothesis established to test the mediating role of trust have been accepted. 모바일 뱅킹은 4차 산업의 핵심 서비스 기술 중의 하나이다. 시장 확산을 위해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성 문제(public acceptance)는 대단히 중요한 이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 소비자들의 모바일 뱅킹 기술에 대한 수용 내지 사용 의도나 사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뱅킹 산업에 있어서 확장된 UTAUT2 모형을 기반으로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와 비교를 통해 논의를 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UTAUT1 모형의 주요 변인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및 UTAUT2의 습관이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들의 영향 관계는 성과기대(β=.354, t=7.477) > 습관(β=.252, t=4.842) > 노력기대(β=.154, t=3.476) > 사회적영향(β=.138, t=2.601)순으로 나타났다. UTAUT1의 촉진조건과 UTAUT2의 쾌락적동기는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용 의도는 실제 사용과 추천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한편, 신뢰성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에 매개 역할을 할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채택이 되었다. 즉. 신뢰성은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쾌락동기, 습관과 사용 의도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매개 역할중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와 경 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최고경영자 태도의 조절효과

        이종근,길종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한국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 온 제조업이 위기에 직면하면서 제조업 전반에 걸쳐 스마트 팩토리 도입 및 구축을 통한 경쟁력 확보를 꾀 하려는 추세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면서 신기술을 수용함에 있어서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도입 및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 석하고 경영성과로 이어지도록 대안을 찾는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신기술 수용이론의 하나인 통합기술수용이론 (UTAUT)을 중심으로 신기술 수용요인이 도입의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성공적인 스마트 팩토리 도입을 위한 기술적, 경 영적 측면의 요소를 파악하는 학문영역의 확장 가능성 발견과 기업의 경영환경에 적합한 스마트 팩토리 도입 모델을 구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을 결정하는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의 요인(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 진조건)과 스마트 팩토리 도입 의도와 경영성과 간의 직접효과를 분석하고, 도입의도의 매개효과 및 최고경영자의 태도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 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UTAUT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이 클수록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는 증가했지만, 촉진조건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스마 트 팩토리 기술과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도입에 필요한 스킬이나 지식이 부족하고 기존 기술과 융합 가능성 역시 미흡해 전문인력 확보나 시스템 결합과 활용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UTAUT의 하위속성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이 증가할수록 경영성과가 향상되지만 촉진조건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신기술 도입을 위한 시스템과 내부역량 구축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직특성을 반영한 요인(시스템 구현 역량, ICT 활용 역량, 협력관계 등) 을 추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조직원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만족도나 지속적인 사용의지 등은 품질향상, 생산비용과 구매비용 등 원가절감 으로 이어져 스마트 팩토리 수용의도요인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UTAUT 요인과 경영성과 간에 도입의도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성과기대와 사회적 영향은 부분매개, 노력기대는 완전매개를 하고 있고, UTAUT 요인은 도입의도 요인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최고경영자의 태도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인적·물적자원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이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 감소와 수익성 향상, 고용창출 등의 경영성과로 이 어질 수 있도록 신기술 도입을 위한 스킬 및 역량을 강화하고 시스템 구축을 위해 최고경영자가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비전 수립 및 관심과 몰입 수준을 증대시키고, 스마트 팩토리 도입과 구축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s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Korean economy. As it faced a crisis, there has been a trend to secure competitiveness by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smart factories throughout the manufacturing industry, now becoming a necessity rather than an option. Also,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SMBs in introducing and developing smart factories and find alternatives leading to management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expansion potential of the academic field which deals with the elements in the aspect of technical and management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smart factories and provide basic data on building a smart factory introduction model suitable for corporate management environment by verifying the impact of the factors in accepting newtechnologies on the intention to introduce the technologies andmanagement performance centering on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which is one of the theories on accepting new technologies discussed recently.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the UTAU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used to determine the introduction of a smart factory and the direct effect between the intention to introduce smart factory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also perform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ntion to introduce and the effect of adjusting CEO's attitud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ntion to introduce a smart factory increasedwhenthe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ofUTAUT increased.However, the facilitating conditions did not have effect. For companies lacked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to introduce the smart factory technology and system and the integration with the existing technology also deemed unlikely,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or prepare the bases for systemintegration and utilization. Second, themanagement performance improvedwhen the sub-attributes ofUTAUT, such as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increase, but facilitating condition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Since there is a lack of systemandinternal capacity building for the introduction of new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performanadditional study to cover the factors reflect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ystemimplementation capacity, ICT utilization capacity,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orwillingness to use the smart factory currently used bymembers of the organization led to quality improvement and the reduction of costs, suchas production cost and purchase cost, indicating that the factors for the intentionto accept the smart factory hada positive (+) effect on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inverifying themediating effect of the introductionintentionbetweenUTAUT factors andmanagement performance, the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had partiallymediating effect, and the effort expectancy had completemediating effect. The UTAUT factors had the effect of adjusting the CEO’s attitude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n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the introduction intention. The adjusting effect that ledsocial influence intomanagement performance depending onCEO's interest andsupport hadthe greatest and the rest of the factors also hadadjusting ef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skills and capabilities regarding the introductionof newtechnologies and forCEOs to establish a visionfor the smart factory,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and attention, and provide unsparing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mart factory so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smart factory to SMBs, which haveweak humanandmaterial resources,would leadtomanagement performance such as productivity improvement, decrease in defect rate, profitability improvement, and job creation.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UTAUT 기반 의과대학 교수의 의학교육 테크놀로지 수용 요인 탐색

        천경희,박영순,이태희,권택근,이영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급격한 교육환경 변화 상황에서 의학교육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 의과대학 교수들의 테크놀로지 수용 정도와 수용 현황을 파악하고, 교육 관련 테크놀로지에 대한 태도, 행동의도, 실제 사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기술수용모델인 UTAUT에서 제시하는 수행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및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행동의도와 사용증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임상교수 52명, 기초교수 18명 총 70명의 교원을 대상으로 표준절차에 따라 번안한 UTAUT 검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코로나19 초기, 의학교육 테크놀로지 사용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평균 242,500원의 테크놀로지 구매비용이 발생하였다. 의학교육 테크놀로지의 수용 정도를 살펴본 결과, 소속, 근무연한, 테크놀로지 사용개수, 새롭게 설치/구매한 프로그램 여부에 따라 UTAUT 요소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UTAUT 투입요인 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촉진조건과 수행기대로 약 54%의 설명력을 가졌으며, 사용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행동의도로 약 10%의 설명력을 가졌다. 결론적으로 의과대학 교수의 적극적인 의학교육 테크놀로지 수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촉진조건에 해당되는 대학 내 테크놀로지 서비스와 인적지원이 확대되어야 하며, 테크놀로지 사용이 학생교육 및 기타 업무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지속적인 교육 및 홍보 전략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교수별 특성을 고려한 수용전략의 마련이 요구되며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수 있는 대학 차원의 조직적, 시스템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xtent of technology adoption and its current status among medical school professors who have actively embraced medical education technology in situations of rapid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such as COVID-19. It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behavioral intentions, and actual usage of educational technology. To achieve this, the study us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TAUT), which examines how behavioral intentions and usage differ based on performance expectations, effort expectations,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tandard UTAUT questionnaire, with 70 faculty members participating, including 52 clinical professors and 18 basic science professors. During the early stages of COVID-19,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se and purchase of medical education technology, with 44.3% of respondents utilizing seven or more programs. The acceptance level of medical education technology varied significantly based on factors such as affiliation, years of service, the number of technologies used, and the acquisition of new programs. Among the UTAUT factors, facilitating conditions and performance expectati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s, explaining approximately 54% of the variance, while behavioral intentions had a 10% explanatory power on usage increase. In conclusion, to promote the active adoption of medical education technology by medical school professors, universities should expand technology services and provide personnel support in alignment with facilitating conditions. Continuous education and promotional strategies should be implemented to ensure that technology usage contributes to student education and overall job enhancement. Additionally, tailored adoption strategies considering individual professor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and universities need to provide organizational and systemic support for the utilization of various technologies.

      • KCI우수등재

        인터넷 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

        오종철(Jong Chul Oh) 한국경영학회 2010 經營學硏究 Vol.39 No.1

        The most notable issue related to studies on information technologies like Internet services is use and acceptance of Internet technologies. Individual`s belief and attitude influence the most use and acceptance of Internet technologies (Rogers, 2003) and the belief and attitude are linked with social influences that are formed by individual attitude and others` effects. Many researchers have produced various theories about the intention of accepting Internet technologies and actual uses. Most theories on technology acceptance argue that the acceptance is determined by user`s attitude and behavior rather than by features of information technology. Moreover, it is also determined by users` perception as for the technology. These days, many studies about Internet technology acceptance are being carried out and a variety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according to service type are verified. However, since these studies have different perceptions about individual`s acceptance and examine different services, it is needed to conduct a study which examines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from an integrated perception. Reflecting this demand, Venkatesh (2003) formulated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odel by consolidating the constructs of eight major studies on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This is a theory that unifies major theories on the acceptance and it explains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acceptance better than any other theories. However, UTAUT model by Venkatesh(2003) ignored some concepts such as trust and flow which impact on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information system when it explained user`s technology acceptance. Hence, this study intends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UTAUT model and re-evaluate it. Following is the subdivision. Firstly, this paper provides and verifies new unified model of technology acceptance by adding concepts of trust and flow that UTAUT model formulated by Venkatesh (2003) ignored. Secondly, it checks the differences in effects according to type of Internet service as for online game and e-learning service user`s acceptance and draws meaningful conclusions for academic and strategic studies. The service types where this paper focuses are e-learning which has practical features, and online game that has emotional and enjoyable features. In order to examine this subject, samples are drawn from 211 people who utilize Internet frequently. The samples are tested via reliability, factor, correlation, bootstrap path analysis of PLS visual statistics program.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makes academic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evaluates UTAUT model formulated by Venkatesh(2003) concerning acceptance and use of Internet servic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have it that independent variables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intention and behavior of acceptance. Moreover, it appears that the newly added two variables, flow experience and trust, have a relatively bigger effect than those used in UTAUT model does. Therefore, effectiveness of the two factors(flow and trust)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UTAUT model and, at the same time, UTAUT model`s limitations. Second, this paper suggests new direction for studies on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ype of Internet service by examining variables that effect usage intention and actual usage, and finds out that the actual variabl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UTAUT model. Many researchers carried out many studies on information technology acceptance like TPB(Azjen, 1991)and TAM(Davis, 1986). Nonetheless, fas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providence of various services made it impossible to expla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s acceptance with only one model unlike the time when the studies on the subj

      • KCI등재

        UTAUT에 기반한 m-learning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송형철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This study aims m-learning based on UTAUT and learners' satisfaction For empirical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89 university students and SPSS 22.0, AMOS 21.0 were used. The result of structu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xpectancy was influenced by security, diversity, economics. Second,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ffect learners' satisfaction. This research provide practical guidance in m-learning based on UTAUT amd the limltation of this research and future study are discussed. In the future, variables of m-learning based on UTAUT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besides university students will be complement to analyz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UTAUT에 기반한 m-learning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각 요인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289부의 설문지를 SPSS 22.0,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보안성이 성과기대와 노력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다양성과 경제성도 성과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는 학습자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이런 결과는 UTAUT에 기반한 m-learning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이와 같은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UTAUT에서 제시된 요인 중 일부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에는 대학생 외에 일반인에 대한 분석도 포함하여 UTAUT에 기반한 m-learning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변수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보완하고자 한다.

      • KCI등재

        VR과 AR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사용의도 분석

        최한올 한국미래교육학회 2018 미래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에 대한 사용의도를 확장된 통합기술수용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국의 초등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VR과 AR의 교육적 사용의도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된 요인은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의 4개(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2)의 2개(쾌락적 동기, 비용가치), 그리고 기타 1개(지각된 위험)의 총 7개이다. 분석결과, UTAUT 요인 기반의 ‘모형2’ 에서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노력기대’ 순으로 이었으며, UTAUT2 요인 기반의 ‘모형3’에서 교사의 사용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요인은 ‘비용가치’, ‘사회적 영향’, ‘쾌락적 동기’, ‘성과기대’ 순 이었다. 본 연구의 7개 변인이 모두 투입된 최종 모형에서는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비용가치’, ‘쾌락적 동기’, ‘사회적 영향’, ‘성과기대’, ‘지각된 위험’ 순 이었으며, 이 때 ‘지각된 위험’은 초등교사의 VR과 AR의 사용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설문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과반 수 이상은 VR과 AR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하여 긍정적인 응답반응을 보였다. 때문에 VR과 AR을 미래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고려하되,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교육적 연구가 적극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using VR and AR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ing on UTAUT2(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Two hundred elev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The factors included in the study were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in UTAUT(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hedonic motivation', 'price value' in UTAUT2 and 'perceived risk'.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gender', 'career', 'academic background'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using VR and AR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in 'model 2',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effort expecta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eachers' intention to utilize VR and AR. Third, 'price value', 'social influence', 'hedonic motivation', 'performance expectancy' demonstrated positive association with using VR and AR of teachers in 'model 3'. Finally, 'price value', 'hedonic motivation', 'social influence', 'performance expectancy' are positively related with using VR and AR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risk' is also negatively related with using them in final model. 'Effort expectancy' and 'facilitating conditions', however, were not relevant to intention to use VR and AR of teachers. In the study, a majority of teachers had a positive view of using VR and AR, even if they expressed concern about negative effects of VR and AR in the classroom. Therefore, following study is required to introduce VR and AR to the classroom smoothly and educatio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