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클라우제비츠 삼위일체의 현대적 해석

        김태형,오경택 육군군사연구소 2020 군사연구 Vol.- No.149

        The Trinity of Clausewitz is the frequently quoted concept by scholars and military professionals in conjunction with 'war is a continuation of politics by other means', 'military genius', and 'physical fatigue, fear, fog, and friction.'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Trinity is divisive. This thesis explores the nature of the Trinity and its application to the modern warfare in order to resolve the two interpretative problems: First,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the Trinity, Second, insufficient considerations related to more complex and complicate operational environment. First, we will explore the general misunderstandings of the Trinity in the quest for the essence of the Trinity and analyze the nature of the Trinity based on the context of 'On War'. In the chapter of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Trinity 1', the subject, as well as the elements of the nation which is characterized with people, state, and military, is proved that it contains all three elements of Trinity. In the chapter of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Trinity 2', Clausewitz's logical flow of the Trinity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elements in the duel' and the 'Trinity', and tried for the expansion of concept of the Trinity using characteristics of Complexity Theory and the complex adaptive system. In this context, this thesis is expected to be a basis for critical and creative approaches in the later doctrinal and theoretical fields through the in-depth discussions of Clausewitz core concept, the Trinity. 클라우제비츠의 삼위일체(Trinity)는 ‘전쟁은 또 다른 수단에 의한 정치의 연속’, ‘군사적 천재’, ‘전쟁의 속성으로서 육체적 피로, 공포, 불확실성, 마찰’ 등의 개념과 더불어 『전쟁론(On War)』의 유명한 개념 중 하나이다. 이 개념은 학자들과 군인들에게 가장 빈번히 인용되지만 그 해석은 분분하며, 때로는 잘못된 방향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삼위일체의 잘못된 적용에 대한 두 가지 문제점을 첫째, 삼위일체의 본질에 대한 이해부족, 둘째, 복잡한 작전환경에 부합된 현대적 해석 부족으로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삼위일체의 본질을 분석하여 그 개념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먼저, ‘삼위일체의 본질탐구‘에서는 삼위일체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에 대해 알아보고 『전쟁론』의 내용을 기초로 삼위일체의 본질 - 이성, 감성, 우연성 - 을 탐구할 것이다. ‘삼위일체의 현대적 해석 1’에서는 국가의 구성요소로서 국민, 국가, 군대의 개념을 확장 적용하여 각 주체들은 삼위일체의 본질 세 가지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설명하겠다. ‘삼위일체의 현대적 해석 2’에서는 삼위일체 도출과정의 논리적 흐름 속에서 ‘싸움의 세 가지 요소’와 ‘삼위일체’의 연계성을 규명하고, 개념의 확장과 상호연결을 시도할 것이다. 본 논문은 단순히 삼위일체를 다른 방법으로 해석하는 시도로 그치기보다는, 복잡한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적용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의 새로운 해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클라우제비츠의 핵심개념인 삼위일체의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이 차후 교리, 이론 분야에서 비판적, 창의적인 접근을 할 수 있는 근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존 칼빈의 공교회적 삼위일체론 이해와 신학적 공헌

        김은수 한국조직신학회 2017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9 N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the very essence of Christian biblical understanding of God, the summary of Christian theology as a whole, and the ground-foundation of confession of faith. Especially,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catholic church’ had been developed and established by the ancient Eastern/Western Church Fathers. In the era of Reformation, however, it was John Calvin(1517-1564) who made the most creative theological contributions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erefore, in this study, I analyzed Calvin’s important theological factors and contributions for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hi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For this, firstly, I examined historically the development of his theological thought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the controversies with the anti-trinitarianists of the 16th century. And then, I analyzed his theological magnum opus,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1559) for his critical successions of the classical doctrine of the Trinity and his own creative theological contributions. In conclusion,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catholic church’ was successfully completed and more firmly established in Calvin’s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Finally, I suggested a helpful propositions for a more proper understanding in church of Korea according to ‘the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catholic church’. ‘삼위일체 교리’(the Doctrine of the Trinity)는 기독교의 성경적인 신이해의 정수를 요약하는 것임과 동시에 하나의 전체로서 기독교 신학의 총괄이자 신앙고백의 핵심 기초이다. 특히 고대 동/서방교회의주요 교부 신학자들에 의한 위대한 신학적 기여들을 통하여 ‘공교회(보편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발전 그리고 확립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종교개혁기에 있어 삼위일체론 교리와 관련하여 가장 독창적인 신학적 기여를 한 신학자는 존 칼빈(John Calvin, 1517-1564)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칼빈이 그의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에서전개한 삼위일체론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서, 그의 중요한 신학적 특징들과 독창적인 공헌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먼저, 16세기 반(反)삼위일체자들과의 논쟁 속에서 칼빈의 신학적 이해가 어떻게 발전되어 갔는지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나아가그의 교의학적 주저인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최종판(1559)에 나타난 삼위일체론 이해에 대한 집중적인탐구를 통하여 그의 신학적 이해에 있어 공교회적 특징들에 대한 비판적 계승에 있어 특징적인 요소들과 신학적 배경이 과연 무엇인지를 살펴봄과 동시에 칼빈 자신의 독창적인 신학적 공헌들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실로 고대 정통 교부 신학자들과 니케아-콘스탄티노플 공의회를 통하여 정립된 ‘공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는 바로 존 칼빈의 이전의 정통적 견해들에 대한비판적인 계승과 더불어 그 자신의 독창적인 이해와 신학적 기여에의하여 비로소 온전하게 완성되었음이 드러났다. 또한 마지막으로그러한 칼빈의 ‘공교회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이해가 오늘날 한국교회의 왜곡된 삼위일체론 이해를 올바로 교정함에 있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에서 본 칼뱅의 삼위일체론

        김선권 한국조직신학회 202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how the immanent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appeared in Calvin’s theology and what the relationship was between them. The immanent Trinity is God for God and the economic Trinity is God for us. Calvin defined the Trinity as three persons in one essence. Father, Son and Holy Spirit are distinguished in subsistence. Calvin defined person by the essence and the peculiar property. In essence there is no beginning. The Father has not been generated. The Son is eternally begotten. The Holy Spirit proceeds from the Father and the Son. In the economic Trinity, to the Father is attributed the beginning of action, the fountain and source of all things: to the Son, wisdom, counsel, and arrange- ment in action, while the energy and efficacy of action is assigned to the Spir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Trinity and the immanent Trinity reveals that immanence precedes ontologically the dispensation, but the other precedes epistemologically the one. The knowledge of the immanent trinity revealed through the economy(oikonomia) is limited and awaits eschatological achievement. The Father can be held to be greater than the Son only economically. This thus excluded any ontological subor- dination. Calvin’s doctrine of the holy Trinity is soteriological and practical. The fact that God is the Father of Christ is that he becomes our Father. 이 글은 칼뱅신학 안에서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가 어떻게 나타나며, 이 둘 간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재적 삼위일체는 자신 안에 계신 하나님이며 경륜적 삼위일체는우리를 위한 하나님이다. 칼뱅은 삼위일체를 “한 본질 안에 세 인격”으로 정의한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인격에 있어서 구별되지만 본질에있어서 하나인 한 분 하나님이다. 칼뱅은 인격을 본질과 고유성으로 정의한다. 본질에 있어서는 시작이 없고 자존한다. 위격에 있어서는 아들은 성부에게서 나시고, 성령은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오신다. 내재적삼위일체에서 성부의 고유성은 출생시킴, 성자의 고유성은 출생, 성령의 고유성은 발출이다. 경륜적 삼위일체에서 성부의 고유성은 창조, 구원, 성화를 포함하는 모든 활동의 시작이며 성자의 고유성은 모든 활동에 대한 지혜이며 성령의 고유성은 이에 대한 능력과 효력이다. 칼뱅은 성부와 성자의 연합이 내재와 경륜 모두에서 나타난다고 주장하면서 성령을 위격 간의 연합의 끈으로 본다. 경륜적 삼위일체와 내재적삼위일체의 관계는 존재론적으로는 내재가 경륜을 앞서지만, 인식론적으로는 경륜이 내재를 앞서서 계시한다. 경륜을 통해 계시된 내재의지식은 한계가 있으며 종말론적 성취를 기다린다. 경륜이 완성되는 곳에서 삼위의 관계는 내적인 관계로 복귀되면서 밖을 향한 관계를 유지한다. 영원한 로고스는 영광스러운 육체를 가지면서 스스로 머리가 된다. 구원 경륜에 나타난 성부에 대한 성자의 종속은 존재론적이지 않다. 중보자로서의 구속 사역 때문이다. 칼뱅의 삼위일체론은 구원론적이고 실천적이다. 선험적이기보다는 후험적이다. 하나님이 그리스도의 아버지라는 사실은 그가 우리들의 아버지가 된다는 사실에 있다. 삼위‐하나님에 대한 모든 헛된 사색을 몰아내고, 성경이 계시하는 삼위‐ 하나님에 대한 이해에 철저히 충실하면서도, 인식론적 한계를 인정한다. 그러므로 삼위‐하나님을 이해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경배해야 한다.

      • KCI등재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판넨베르크의 관점에서

        최승태 한국조직신학회 202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valuate Moltmann’s sociological trinity from Pannenberg’s perspective.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 inner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have been separated. By this separation, traditional theology has wanted to represent that God is transcendent and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e creation. This separation has also been shown by distinguishing De Deo Uno and De Deo Trino. For when the divine three persons are not united, the doctrine of God might fall into the theory of three gods. This is emphasized by the substance-trinity and the subject-trinity. However, Jurgen Moltmann argues that if the trinity is expressed by substance or subject, the trinity might fall into an abstract monotheism because the three-ness will return to the oneness. Then the Christian doctrine of God loses its identity. So Moltmann says that the unity of the three divine persons should not depend on substance or subject. Rather he understands the unity as the perichoresis among them. Through this perichoresis, he asserts that the trinity becomes a community based on the fellowship of love among the three divine persons. And since love is always tending toward others, the trinitarian community is not closed, but opened to the world. In this sense, the trinity can be called an idealistic model of communion for all kinds of community on earth. This may be Moltmann’s contribution for the trinitarian theology. In spite of this, Moltmann distinguishes between the Father’s monarchy and the life of the trinity, and he says that the relations of the trinity depend on the monarchy of the Father, while the life of the trinity is accomplished by the perichoresis among the three persons. However, in this case, Pannenberg says that the trinity finally returns to the monarchy of God. Then the trinity will be reduced to monotheis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nnenberg suggests the concept of “spirit” or “deity” and the theory of the monachy of the Father. According to Pannenberg, when the concept of spirit and the Father’s monachy apply to the trinity, the three divine persons become one only by expressing the spirit, and the Father’s monarchy is maintained and fulfilled by the commitment of the Son and ths Spirit. So Pannenberg asserts that the trinity will not be reduced to monotheism. Thus Pannenberg’s trinity seems to be a good compliment for Moltmann’s one. 본 논문의 목적은 몰트만이 제시하는 사회적 삼위일체론이 가진 내용과 특징 등을 살펴보고, 이것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판넨베르그의 입장에서 평가해보는 데 있다. 전통적 삼위일체론은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를 구분하여, 한 분 하나님을 먼저 다루고, 다음에 삼위일체 하나님을 다루었다. 이것은 하나님의 초월성 혹은 단일성을 보호하기 위해서였는데, 이런 현상은 초대교회에서 중세에 이르는 실체 삼위일체론과 근대 이후의 주체 삼위일체론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그러나 몰트만은 삼위일체의 일체성을 한 실체, 혹은 한 주체에 둘 경우, 삼위일체론은 결국 일신론으로 환원되어 버린다고 비판한다. 그렇게 되면, 삼위일체론은 그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기독교 신론의 정체성도 사라지게 된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몰트만은 세 신적 인격들의일체성을 실체나 주체가 아니라, 삼위일체적으로, 즉 세 인격 사이의순환적 일치로 이해함으로써, 삼위일체의 삶이 사귐의 공동체임을 밝힌다. “하나님은 사랑”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세 신적 인격들의 순환적인 일치의 바탕이 사랑이고, 따라서 삼위일체는 사랑의 사귐 속에 있는공동체가 되는 것이다. 더욱이 사랑은 언제나 타자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개방적이므로, 삼위일체는 모든 공동체의 모델이 될 수 있다. 바로이점이 삼위일체 신학에 대한 몰트만의 공헌이라고 생각된다. 그런데 몰트만은 세 신적 인격들의 관계와 삼위일체의 삶을 분리하여, 삼위일체의 관계는 아버지의 군주체제에 의존하는 반면, 삼위일체의삶은 세 신적 인격들의 순환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그러나 판넨베르크는 이렇게 분리할 경우, 삼위일체가 아버지의 군주체제로 회귀되어, 결국 일신론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모순을해결하기 위해, 판넨베르크는 영의 개념과 아버지의 군주국 이론을 제시한다. 판넨베르크에 따르면, 세 신적 인격들은 영 혹은 신성을 드러내는 한에서 하나가 되고, 아버지의 군주국은 내재적 삼위일체에서뿐 아니라, 경륜적 삼위일체, 즉 삼위의 사역에 의해 유지되고 완성된다. 이렇게되면, 삼위일체의 관계와 삶은 세 인격들의 상호의존 혹은 상호 헌신으로 유지된다고 보아야 한다. 삼위의 상호의존을 통한 사역으로 아버지의 군주체제가 보존되고 완성되기 때문에, 삼위일체가 일신론으로 환원될 가능성이 차단된다. 이런 점에서, 판넨베르크의 이론이 어느 정도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의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몰트만의 삼위일체론과 기독교 예배

        이찬석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6

        역사적 예수로부터 복음은 시작하지만, 교회의 시작은 예수의 부활에 있으므로 기독교 예배에 있어서 중심은 예수 그리스도가 되어야한다. 실제적으로 초대교회로부터 기독교 예배는 예수의 부활 사건, 넓게는 일련의 구속사건 전체를 중요한 예배의 주제로 다루어 왔다. 예배의 초점과 전망을 기독론으로 맞추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많은 예배학자들은 기독론 중심적으로 예배를 정의한다. 폴 훈(Paul W. Hoon)은 예배를 기독론에 근거하여 정의하면서 예배의 의미 분석도 근본적으로 기독론적 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훈의 예배에 대한 정의에 있어서 중심적 개념은 ‘하나님의 계시’와 ‘인간의 응답’으로 보인다. 이 양자의 중심은 그리스도이신 예수이다. 루터교 신학자 피터 부르너(Peter Brunner)도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봉사한다는 뜻과 사람이 하나님께 봉사한다는 이중적 의미를 이용하여 예배의 이중성(duality)을 주장한다. 예배를 정의함에 있어서 하나님의 계시와 인간의 응답, 사람에 대한 하나님의 봉사, 하나님께 대한 사람의 봉사와 같이 예배의 이중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정의이며 기독론 중심적이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는 중보자로서 하나님의 결정적인 계시이고, 인간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계시된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면서 응답하기 때문이다. 기독교 예배의 핵심적인 측면중의 하나가 하나님의 계시라면, 계시의 주체는 성부 하나님이나, 성자 예수 그리스도로만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신론은 삼위일체 하나님이기 때문이다. 몰트만은 일신론(一神論)이 지니고 있는 위험성을 지적하면서 기독교의 신론은 일신론이 아니라 삼위일체론이라고 주장한다. 현대 신학의 신론은 삼위일체론을 기술하는 경향으로 전환되면서 기독교의 신론은 삼위일체론임을 구조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기독교 정체성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예수 그리스도이므로 기독론은 기독교와 신학의 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독론 중심적이 된다는 것이 삼위일체성을 약화시킨다면 일신론적인 위험성을 내포하게 된다. 예배에 대한 정의에 있어서도 기독론 중심적이면서 삼위일체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기독교의 예배가 하나님의 계시와 인간의 응답을 중요한 축으로 한다고 하였을 때, 하나님의 계시는 예수 그리스도에 제한되지 않고, 성령 하나님에게로 삼위일체 하나님에게로 계시의 지평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독교 예배는 기독론 중심주의를 넘어서 삼위일체 중심적으로 정의되고 구성되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현대신학의 삼위일체론에 있어서 큰 기여를 한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을 고찰하면서 예배의 의미를 살펴본다. 첫 번째는 예배의 이중성에서 예배의 삼중성으로 전환되어져야 함을 제시한다. 몰트만은 송영을 중심으로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의 관계를 상응의 관계로 이해하고 있으므로 기독교 예배는 계시와 응답이라는 이중적 구조에서 하나님의 계시, 인간의 응답, 송영이라는 삼중적 구조가 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두 번째로, 기독론 중심에서 삼위일체 중심적 예배가 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몰트만은 신약성서로부터 삼위일체의 형태를 아버지-아들-성령의 순서만이 아니라 아버지-성령-아들의 순서와 성령-아들-아버지의 순서도 발견하면서 성령의 역할을 강조한다. 여기에서 예배는 기독론중심주의에서 삼위일체 중심주의에 기반을 두어야 함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몰트만은 송영론적 삼위일체를 통하여 삼위일체의 종말론적인 측면을 강조한다. 여기에서 기독교의 예배는 종말론적 측면을 담보해야 함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기독교 예배는 하나님의 영광과 인간의 성화를 동시에 추구하기 위하여 이중적인 정의에서 삼중적인 정의로 전환되어져야 하고, 기독론 중심성에서 삼위일체 중심적으로 전환되어져야 하고, 종말론적 차원을 확보함으로 하나님의 영광과 인간의 성화를 동시에 추구해야 함을 강조한다. Although Gospel began with Jesus Christ, the beginning of church was based on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n this sense, the focus and vision of Christian worship should be Christocentric. Paul Hoon defines Christian worship as God’s revelation and Christian’s response to God’s grace. Here, Jesus Christ is working as the center of Christian worship. Peter Brunner also understands Christian worship focusing on Jesus Christ. Brunner defines Christian worship as God’s service to human being and human being’s service to God. After all, Hoon and Brunner suggests the duality of Christian worship based on Jesus Christ. To define Christian worship focusing on the duality can be said as Christocentric because the definition presupposes that Jesus Christ is the crucial revelation of God and the mediator between God and the world/human being. If God’s revelation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in Christian worship, the subject of the revelation should be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because God in Christian tradition is not monarchian but trine. Indicating the dangerously aspect of monotheism, Moltmann strongly insists that the concept of God in Christian tradition is not monotheism but Trinitarianism. Because the essential factor of Christian identity is Jesus Christ, Christology can be said as the blossom of Christian theology. Theology without Christology can be degraded as a religious philosophy. However, to be Christocentric does not mean to weaken the Trinity. Therefore, Christian worship should be defined and composed focusing on the Trinity beyond Christocentric. This study articulates Moltmann’s theology of the Trinity which contributes to modern theology of the Trinity and tries to find out liturgical meaning. Focusing on his books, The Trinity and the Kingdom, The Church in the Power of the Spirit, The Spirit of Life, this article tries to suggest the liturgical meaning of Molmann’s notion of the Trinity. Firstl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definition and structure of Christian worship should be transformed from the dual perspective to the triple perspective. Molmann thinks that the immanent Trinity corresponds to the economic Trinity through doxology. Therefore, the duality of Christian worship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ree factors, God’s revelation, the response of human being, and the doxolog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structure of Christian worship should be transformed from the Christological perspective to the Trinitarian perspective. Moltmann emphasizes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his doctrine of the Trinity. According to him, there are many forms of the Trinity. Beyond the Father-the Son-the Holy Spirit, there are the Father-the Holy Spirit and the Holy Spirit-the Son-the Father in the New Testament. Therefore, Christian worship should extend its horizon from Christology to the Trinity. Thirdly, this article concentrates on the eschatological aspect of Molmann’s theology of the Trinity. He emphasizes the eschatological aspect through the doxological Trinity. Therefore, Christian worship has to hold the eschatology.

      • KCI등재후보

        칼 바르트와 위르겐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적 차이에 관한 탐구

        오성욱 ( Sung Wook Oh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위르겐 몰트만은 칼 바르트의 신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신학적 자리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전개한 탁월한 신학자이다. 그러나 삼위일체론과 관련하여,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은 바르트의 삼위일체론적 강조점을 “단일 군주론”으로 비판하고, 성령의 인격성에 관한 진지한 성찰의 부재를 문제 삼고 있다. 몰트만은 성령의 인격성이 담보된 내재적 삼위일체를 탐구하는 길의 시작을 경세적 삼위일체로 지목하는 새로운 방향성 즉, 군주론적, 역사적, 그리고 성만찬적 삼위일체에서 삼위일체론적 영광송으로 향하는 초월과 신비를 제시했다. 이러한 삼위일체론의 탐구방향성에서 인간의 경험과 역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바르트가 은유적으로 주장하는 “하나님의 반복”으로서 삼위일체는 내재적 삼위일체 하나님의 계시사건이 삼위일체를 탐구하는 토대가 되고 방향성이 된다. 이러한 방향성에서는 인간의 경험과 역사는 삼위일체 탐구의 일차적 자료가 될 수 없다. 본 논문은 바르트와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적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이 삼위일체론적 차이는 옳고 그름, 혹은 보수와 진보라는 내용에 관한 차이를 넘어서 삼위일체론이 지향하는 방향성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 차이를 내용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면밀하게 검토해 보면, 그 차이가 보다 명확해 진다. 내용과 구조적인 관점에서 전망해 보면 서로 다른 견해를 제출하고 있지만, 양자택일의 관점에서 바르트와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을 전망하지 말고, 양자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전망하여 복음주의 삼위일체론의 수립을 위한 진지한 대화의 파트너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이를 기반으로 할 때, 삼위일체 교리가 현대 신앙인들에게 여전히 살아있는 믿음의 비밀과 신앙의 기준이 될 수 있는 포괄적이면서도 종합적인 복음주의 삼위일체론의 모색에 착념할 수 있을 것이다. Jürgen Moltmann positively imbibed the theological perspective of Karl Barth, newly interpreted Barth’s theology from his Sitz Im Leben, and proposed his own specific theological thoughts. Concerning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owever, Moltmann castigated Barth’s Trinitarian perspective as Monarchianism, pointing out that there is no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in hi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Instead, Moltmann suggested that we should begin with the economic Trinity to arrive at the immanent Trinity, which includes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That is to say, we can understand the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Monarchial, historical, eucharistic Trinity to the doxological Trinity, transcending the economic Trinity. This article aims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Karl Barth’s and Jurgen Moltmann’s perspectives of the Trinity. While Barth focuses on the divine unity of the Three Persons found in the jargons of the “three modes” and “repetition of God,” Moltmann strives to interpret the Trinity from the perspectives of pneumatology, anthropology, Christology, soteriology, ecology, eschatology. Such a comprehensive Trinity challenges us to review the immanent Trin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nomic Trinity. We must synthesize these strong points of the Trinity proposed by these two theologians. Moreover, through forming a dialogue between Barth/Moltmann and other evangelical theologians, the Christian community strongly stands on a Trinitarian basis.

      • KCI등재

        A Study on Schleiermacher’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김인수(Insoo K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0

        본 논문은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삼위일체론의 독특성에 관해 연구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슐라이어마허는 그의 신학에서 삼위일체론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나아가 사벨리아니즘을 따른다고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슐라이어마허의 삼위일체론은 기독교 신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교부들의 삼위일체 이해와 그 맥락을 같이 함으로 전통을 고수함과 동시에 재해석하여 발전시켰음을 보여준다. 슐라이어마허에게 삼위일체론은 추상적인 교리적 관념이 아니다.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며 나아가 하나님의 인과율에 따라 인간의 의식과 감정 속에 깃든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할 수 있도록 틀을 마련해 주는 중요한 삶의 원리이다. This essay explores the Trinity of Friedrich Schleiermacher. Generally, Schleiermacher has been accused of marginalizing the Trinity in his theology and as reflecting Sabellius’s theology. The author argues that the Trinity for Schleiermacher is not marginalized; rather, it plays a pivotal role in understanding Christian faith. Although the Trinity refers to God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in Schleiermacher’s Trinity, the persons are not separate; each is the essence of the divine. In this sense, the Trinity of Schleiermacher exceeds Sabellianism by drawing on patristic theology, such as the writings of Athanasius, Irenaeus, and the Cappadocians. However, Schleiermacher goes beyond the early fathers by applying his concept of the Trinity to Christian consciousness. Although Schleiermacher is the so-called father of modern liberal theology, he developed the doctrine of the Trinity within the tradition to apply to religious feeling and consciousness, which was a contemporary issue. After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chleiermacher’s Trinity and the patristic theology, the author describes Schleiermacher’s novel perspective on the Trinity: God’s redemptive love is embedded in the Trinity.

      • KCI등재

        사회적 삼위일체론이 현대 삼위일체론의 실천적 의미에 끼친 영향

        박상언(Sang-Eon Park)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2 신학논단 Vol.69 No.-

        This article traces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about the Trinity in contemporary christian theology. In the development of trinitarian doctrine, there have historically emerged positively profound insights such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mmanent and economic Trinity and the doctrine of vestiges of the Trinity in creation. These insights have led to further creative explorations about the nature of God and God’s activity in the world.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re are two kinds of the Trinity: the immanent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The immanent Trinity refers to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of the Father, Son, and Holy Spirit immanent within the essence of God. The economic Trinity, by contrast, refers to God’s relationship with creation, i.e., the acts of the triune God with respect to the creation, history, salvation, the formation of the Church, the daily lives of believers, etc., describing how the Trinity operates within history in terms of the roles or functions performed by each ofthe persons of the Trinity. In the twentieth century, social trinitarians including Jurgen Moltmann and Leonardo Boff started to have a deeper appreciation of the economic Trinity than in previous centuries, by making it even more economic, i.e., by exteriorizing it toward the realm of creation more, than before. For Moltmann and Boff, the Son of the economic Trinity is no longer identical with God the Son of the ontological Trinity. For Moltmann, the exteriorization process goes even further because he regards not just the Son but all the three persons of the economic Trinity as three distinct centers of consciousness and action. Theology must contribute to make Christian practice a ‘theologically-based’ action and confession. This aspect is important for the practical theology. In order to be Christian worship, liturgy and life, it must refer to God as Father, Son, and Holy Spirit in our prayers, praises, and baptism as it is written in Scripture. In this article, we have studied how the social Trinity relates the Christian life with social practices. This article traces the development of discussion about the Trinity in contemporary christian theology. In the development of trinitarian doctrine, there have historically emerged positively profound insights such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mmanent and economic Trinity and the doctrine of vestiges of the Trinity in creation. These insights have led to further creative explorations about the nature of God and God’s activity in the world.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re are two kinds of the Trinity: the immanent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The immanent Trinity refers to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of the Father, Son, and Holy Spirit immanent within the essence of God. The economic Trinity, by contrast, refers to God’s relationship with creation, i.e., the acts of the triune God with respect to the creation, history, salvation, the formation of the Church, the daily lives of believers, etc., describing how the Trinity operates within history in terms of the roles or functions performed by each ofthe persons of the Trinity. In the twentieth century, social trinitarians including Jurgen Moltmann and Leonardo Boff started to have a deeper appreciation of the economic Trinity than in previous centuries, by making it even more economic, i.e., by exteriorizing it toward the realm of creation more, than before. For Moltmann and Boff, the Son of the economic Trinity is no longer identical with God the Son of the ontological Trinity. For Moltmann, the exteriorization process goes even further because he regards not just the Son but all the three persons of the economic Trinity as three distinct centers of consciousness and action. Theology must contribute to make Christian practice a ‘theologically-based’ action and confession. This aspect is important for the practical theology. In order to be Christian worship, liturgy and life, it must refer to God as Father, Son, and Holy Spirit in our prayers, praises, and baptism as it is written in Scripture. In this article, we have studied how the social Trinity relates the Christian life with social practices.

      • KCI등재

        A Missional Perspective of Moltmann's Trinity for the Suffering World

        LEE Byung-Ohk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4 장신논단 Vol.46 No.3

        The on-going missional church conversation in North America has been rooted in Newbigin’s trinitarian missiology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Barth’s Trinity. In particular, Barth’s Trinity, with its emphasis on God’s sovereignty, has brought a new understanding of mission in which God, rather than the Church, is regarded as the subject of mission. One the one hand, the missional church conversation has helped the Church participate in God’s mission in the world. One the other hand, it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suffering in the world, despite its emphasis on the world. It has not focused on the fact that Newbigin partly addressed suffering in terms of trinitarian mission. In Moltmann’s view, the missional church conversation seemingly has little to do with suffering in relation to the Trinity. In contrast, Moltmann develops an open social Trinity focusing on mutual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of the three divine persons, which are open to humanity and the world. Moltmann is concerned with the suffering of both God and humanity in trinitarian terms. This article primarily explores Moltmann’s open social Trinity in order to enrich the missional church conversation toward getting involved with the suffering of the world. The discussion starts by briefly by exploring the legacies of both Barth’s Trinity and Newbigin’s trinitarian missiology in relation to the missional church conversation. This is followed by Moltmann’s understandings of the Trinity and suffering, dealing with the following subtopics: an open social Trinity, perichoresis as the basis of Moltmann’s Trinity, an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history, the triune God as a suffering God, and love and suffering. After critical engagement with Moltmann’s Trinity, this article proposes missiona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hurch and the North American Church. Moltmann’s Trinity may help the missional church conversation deal with suffering in the world in terms of the trinitarian mission.

      • KCI등재

        레오나르도 보프의 "페리코레시스-연합 모델"에 관한 비판적 고찰

        백충현(Chung Hyun Baik) 한국기독교학회 201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79 No.-

        This paper provides a critical review of Leonardo Boff`s model of perichoresis-communion, with which he seeks a transformation in social relations amist economic inequality and political oppression. Placing his model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renaissance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is paper analyses and reappraises his dealings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Trinity and society. In so doing, this paper argues that Boff`s own theological limitations lurking in his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Trinity and society finally betray his "social project" or "liberation program." Boff`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is remarkably characterized by his emphasis on perichoresis, which means complete communion among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ccording to Boff, such perichoresis could imply not only Filioque (and from the Son), but also Patreque (and from the Father) and Spirituque (and from the Spirit). This complete communion of perichoresis becomes "the basic thesis" or "the structuring principle" for his discussion. With these Boff has a theological prospect that faith in the Holy Trinity would be able to unleash its liberating potential in society. However, a meticulous review of Boff`s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the economic Trinity and the immanent Trinity shows that, despite his original intension to accept Rahner`s rule of identity, he unavoidably leads to introducing a gap between them, which, in turn, comes to loosen a close link, correlation, or correspondence between them. Thus, for him, the immanent Trinity is much more than the economic Trinity. And Boff states that the mystery of the Trinity is partially, not fully, manifested to us, and that the economic Trinity provides merely glimpses of the immanent Trinity. Another careful reading of Boff`s discussion on the economic-immanent Trinity relation reveals that his prominent concentration on the unfathomable mystery lurks in his discussion on the Trinity and thus betrays his own theological prospect. In brief, Boff`s strong focus on the mystery of the Trinity makes an impact on his position which opens a wide gap between the immanent and the economic Trinity. And this gap, in turn, finally betrays his "social project" or "liber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