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전 후 외세의 개입에 따른 영향과 갈등 -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살펴본 제주4 3과 대만2 28의 원인(遠因)-

        변현정 ( Byeon Hyeon-jeong ),고경아 ( Go Gyeong-a ),허선주 ( Sun-ju ),송은경 ( Song Eun-gyeong ),정창원 ( Jung Chang-w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9

        본고에서는 일본의 식민지였던 대만과 조선의 전후처리과정에서 등장하였던 외세의 개입과 이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갈등의 집약체로서 제주4·3과 대만2·28에 대해 주목해 보았다. 두 사건 모두 국가에 의해 자행된 백색테러라는 공통점과 양민학살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카이로회담에서 조선은 신탁통치, 대만은 중화민국으로의 귀속이 결정되었다. 미군은 신탁통치 과정에서 일제의 체제를 활용하면서 오히려 대중들의 삶을 어렵게 만들었다. 미군정의 통치를 받게 된 남한에서는 인민위원회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특히, 인민위원회는 각 지역의 치안을 맡았는데, 제주도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이들은 농민, 노동자, 부녀자 등의 일반 민중들의 지지를 받고 있었지만, 미군에게는 불만스러운 존재일 수밖에 없었다. 3·1절을 맞아 제주에서는 가두시위가 진행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미군정은 제주를 붉은 섬으로 인식하여 좌익세력을 척결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미군정의 조치에 반발한 남로당은 1948년 4월 3일을 기해 무장봉기를 일으키게 되고, 그 진압과정에서 무차별적인 양민학살이 자행되었다. 대만은 중화민국으로 귀속되면서 국민당정부가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행정장관에 임명된 陳儀는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대만에 대한 본격적인 통치를 시행하였다. 하지만 陳儀로 대표되는 국민당정부의 대만통치는 대만의 사정을 이해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대만은 국민당정부의 전매제 실시와 중국대륙으로의 물자 매각이라는 요인으로 인해 상당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당시 대만인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근대적인 교육과 의료시스템을 경험한 바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시행된 황민화정책으로 일본문화에 대해 상당히 익숙해 있었고, 국민당정부의 지도층은 이를 이해하고 파악하려는 노력대신 대만인이 노예화되었다는 인식을 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대만인들은 국민당정부의 관직독점과 부정부패에 불만을 가지게 된다. 대만인은 점점 조국으로 돌아간다는 기대는 버리게 되었고, 대만인들은 스스로를 본성인(本省人)이라 칭하며, 외성인(外省人)들과의 거리를 두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발생한 충돌이 바로 2·28사건이다. 말하자면 일본의 패전이후 변화된 국제정세로 인해 조선과 대만에 유입된 외세들이 현지인들과 빚어진 갈등에서 제주4·3과 대만2·28이 발발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he Taiwan February 28 Incident as the result of the intervention of foreign powers and all the conflict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handling postwar issues in Taiwan and Joseon that were Japanese colonies. Both the two incidents were the white terrors committed by the governments and innocent people were massacred. At the Cairo Conference, it was agreed to establish a trusteeship in Joseon and to return Taiwan to the Republic of China. Under the trusteeship, the United States utilized the system of the Japanese Empire, and made people’s life even harder. In South Korea under the U.S. military rule, many activities of the People’s Committee were observed. In particular, the People’s Committee was in charge of public security in each region, and Jeju was no exception. The committee had a broad base of support from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farmers, workers and women, but it must have been an eyesore to the U.S. military. In the meantime, a street demonstration was staged in Jeju to celebrate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U.S. military rule took this opportunity and decided to eradicate leftists, recognizing Jeju as the ‘Red Island.’ The South Korean Workers' Party rose up in arms against the action of the U.S. military rule on April 3, 1948, and innocent people were indiscriminately killed in the course of suppression. As Taiwan was returned to the Republic of China, the Kuomintang of China came to power. Chen Yi (陳儀), appointed as the Minister of Administration, wielded absolute power and started to rule Taiwan in earnest. The Kuomintang’s rule over Taiwan, led by Chen Yi, moved in a wrong direction without understanding the circumstances of Taiwan. Taiwan experienced serious infla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monopoly system by the Kuomintang government and the disposal of goods to Mainland China. Back then, Taiwanese people experienced modern education and medical systems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ism. In particular, the Japanization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made Taiwanese people familiar to Japanese culture in the process. The leadership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thought Taiwanese people were enslaved by Japan, instead of making efforts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situations. On the contrary, Taiwanese people started to express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monopoly of public posts and corruption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They gradually came to abandon their expectations for going back to their homeland, and called themselves benshengrens (本省人, meaning people of this province), keeping their distance from waishengrens (外省人, meaning people of non-Taiwan provinces). A clash that occurred against this backdrop was the February 28 Incident. In other words, foreign powers that flew into Joseon and Taiwan due to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s after Japan’s defeat came into conflicts with natives, resulting in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he Taiwan February 28 Incident.

      • KCI등재

        대만의 2·28 轉型正義와 역사 교과서 서술

        김종훈(Kim Jong Hu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1

        대만의 2·28 轉型正義에는 민족 의제, 족군 의제, 민주주의 의제가 중첩되어 있다. 2·28은 기본적으로 비민주적인 국민당 정권에 대한 민중의 저항에서 시작되었으나 대만 역사의 특수성으로 인해 사건의 양상이 중국인(외성인)과 대만인(본성인)의 충돌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1990년대에 민주화와 함께 轉型正義가 추진되는 과정에서도 각각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사건의 핵심 성격을 중국인󰠏대만인의 갈등(민족 의제), 본성인󰠏외성인의 갈등(족군 의제), 독재자󰠏민중의 갈등(민주주의 의제)으로 보는 견해가 대립하였다. 정부는 1992년부터 2·28에 대한 진상 조사, 총통의 공식 사과와 기념비 건립, 피해자 보상 등을 실행에 옮겼으나 2·28 轉型正義가 과거에 사건의 가해자였던 국민당 정권에 의해 추진됨으로써 진상규명에서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는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2·28 轉型正義 추진에 따라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서술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1995년까지 국민당 정부하에서 발간된 국정 교과서는 2.28 사건의 진상을 축소하고 轉型正義 추진에 대해 국민당의 긍정적 역할을 강조하는 관제적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검정 교과서가 발간되고 2·28 轉型正義 추진 성과가 반영되면서 사실에 기초한 서술이 이루어지고 진상에 다가설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교과서 서술의 쟁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사건의 원인을 민족 문제, 족군 문제, 민주주의 문제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고 있는가이고, 다른 하나는 장개석과 국민당의 책임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시기마다, 교과서마다 2·28의 성격 규정에 대한 시각차에 따라 강조점이 다르다. 후자의 경우는 필자가 검토한 어떤 교과서도 장개석의 책임 문제를 다루지 않고 있어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는 없는’ 轉型正義가 교과서 서술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National agenda, Ethnic Group agenda, and Democratic agenda are intertwined in 2.28‘s Transitional Justice. 2.28 started with Taiwanese resistance to the undemocratic KMT regime. In the 1990s,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and transitional justice, there were conflicting views of the core nature of the case as the Chinese vs. Taiwanese conflict (national agenda), Native Taiwanese vs. Waishengren conflict (ethnic agenda), and the dictator vs. people conflict (democratic agenda). From 1992, KMT government carried out a fact-finding investigation for 2.28, the president’s official apology, building the memorial monument, and compensation for victims. But the situation in which there were “victims but no perpetrators” occurred in the fact-finding investigation. Following the promotion of 2.28 Transitional Justice, there were also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State-designated textbooks published under the KMT government until 1995 had a state-led character that reduced the truth of the case and addressed the positive role of KMT. However, as authorized Textbook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those Textbooks have reflected the result of the promotion of 2.28 Transitional Justice, and thereby the descriptions based on facts were made in Textbook and it has laid the foundation to get to the bottom of the case. There were two issues in the Textbook description: One is whether to view the cause of the incident as a national issue, an ethnic issue, or a democratic issue. The other is how to deal with the responsibility of Chiang Kai-shek and KMT. In the former case, the emphasis differs depending on each period, each Textbook, and each perspective on the characterization of 2.28. In the latter case, none of the Textbook I have reviewed deals with the issue of Chiang Kai-shek‘s responsibility, so Transitional Justice, which has ‘victim but no perpetrator’, is reflected in the textbook description.

      • KCI등재

        리앙(李昻)의 『화장한 피의 위령제(彩妝血祭)』를 통해 본 애도의 정치

        김순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中國硏究 Vol.79 No.-

        “A Powdered Bloody Sacrifice for Departed Souls,” Li Ang’s novella published in 1997, is a narrative of mourning for the victims killed in the February 28th Incident of 1947 and by the subsequent white terror. At the same time, it is a narrative of consolation and hope for the survivors burdened to mourn the departed. We find two axes in the story. A family memorial service for consoling the souls is one axis, and the pain and discord surrounding the family history of Mother Wang who leads the opposition is the other. The juxtaposition of a “private” family memorial service and a “public” sacrifice for the departed souls of the “February 28th” victims is related to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employs two narrators: the main narrator and a co-narrator. It is also related to the “death photos” that exist only as hearsay. The truthfulness of the photos is emphasized more by not turning up, and that leads to a realization that the truth remains placed in an oppressive environment. This helps foster the spirit of resistance and solidarity. The suicide of Mother Wang in “A Powdered Bloody Sacrifice for Departed Soul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remorsefulness for not having protected her son from the violence of the powerful, and of the double guilty conscience about her husband and her son. She casts her body as an expression of her wishes that the lamp that bears three names, those of her diseased uncle died in the February 28th, of her husband and her son killed in the white terror, may drift afar. This demonstrates her wishes for the realization of justice and the revelation of historical truth. “A Powdered Bloody Sacrifice for Departed Souls” by Li Ang is consistent with Judith Butler’s idea for transforming the sorrow of a community into the power of political activity. Mourning for the departed in a world of violent oppression is bound to be postponed indefinitely. It might even be said that the mourner becomes the object of the mourning. The sorrow that can be expressed only by suicide calls for a clearer, louder voice of the community. “A Powdered Bloody Sacrifice for Departed Souls” is a response to such a calling. 1997년에 출판한 리앙(李昻)의 중편소설 『분장한 피의 위령제(彩妝血祭)』는 1947년 발생한 ‘2․28사건’과 그 이후의 백색공포로 인해 사망한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의 서사이다. 동시에 사망한 희생자들을 애도해야 하는 책임을 진 살아남은 자들에 대한 위로와 소망의 서사이다. 한 가족 추도회라는 명분을 빌려 행해지는 위령제 행사가 이 작품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면, 반대진영 운동을 이끈 왕대모(王妈妈)의 가족사를 둘러싼 아픔과 갈등이 또 다른 축을 이루고 있다. 사적인 ‘가족 추모회’와 공적인 ‘2․28’ 위령제 행사라는 이중적 형식은 주서술자와 부서술자를 등장시키는 작품의 이중서술 구조 형식과도 연결된다. 또한 소문으로만 존재하는 ‘죽음의 사진’의 존재와도 연결된다. 사진은 드러나지 않음으로써 그 진실성이 더욱 강조되고, 진실이 아직 드러날 수 없는 억압적 환경에 놓여 있다는 인식을 줌으로써 반항성과 결집성을 이끌어 낸다. 『분장한 피의 위령제』에서 왕대모의 자살은 권력의 폭력으로부터 아들을 잘 지켜내지 못했다는 참회의식, 그로 인해 발생한 남편과 아들에 대한 이중적 죄의식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동시에 자신의 몸을 던져 ‘2․28’ 때 죽은 큰아버지, 백색공포 때 죽은 남편 그리고 아들과 자신의 이름을 적어서 강에 띄운 등불이 더욱 멀리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공평한 정의가 실현되고 역사적 진상이 밝혀지기를 바라는 염원을 드러내고 있다. 리앙의 『분장한 피의 위령제』는 공동체의 슬픔을 정치적 행동의 힘으로 바꾸고자 한 버틀러의 인식과 맥을 같이한다. 폭력적이며 억압된 세계 속에서 망자에 대한 애도는 기약 없이 연기될 수밖에 없다. 심지어 애도의 주체 역시 애도의 대상이 되고, 자살로밖에 표현될 수밖에 없는 이들의 슬픔은 더 큰 공동체의 목소리를 요구하고 있다. 『분장한 피의 위령제』는 이러한 요구에 대한 ‘응답의 목소리’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