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해 중부 태안반도 북부 해역의 장안사퇴 표층퇴적물 분포 특성

        장태수,이은일,변도성,이화영,백승균 한국해양학회 2024 바다 Vol.29 No.1

        Unlike the shelf sand ridges moribund in motion, nearshore sand ridges are highly mobile, sensitive to changes in ocean environments, thereby becoming of particular interest with respect to morphological changes. About 5 km off the Daesan port, the Jangan Sand Ridge has been undergoing severe subsea morphological change over the past two decade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and ridges is critical to elucidate the causes of morphological chang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surface sediments of the ridge and its vicinity. For this purpose, 227 sediment samples were acquired using a grab-sampler, the grain sizes being analysed by the sieve-pipette method. In addition, comparison of grain sizes in sediments between 1997 and 2021 was mad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25-years change in sediment composition. Surface sediments along the ridge axis are fine to medium sands with 2-3 phi in mean grain size, whereas, in the trough of ridge, the sediments are composed of gravels and muddy sandy gravels with mean sizes of –2 to –6 phi. Sediments in the crest of the ridge are well-sorted with normal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the basal sediments are poorly-sorted and positively skewed. Along the ridge crest, the sediments are negatively skewed. From 1997 to 2021, the ridge sediments became largely coarser about 0.5 phi. Such coarsening trend in mean grain size can be explained either by elimination of fine sediments during high waves in winter or elimination of fines suspended during sand mining activities in the past.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surface sediments shows that ca. 30 m thick of the sand ridge itself overlies the thin relict gravels. The strong asymmetry of sand ridge, the exposure of ridge base, and reworked gravel lags suggest that Jangan sand ridge is probably sediment-deficit and hence erosive in nature at present. 빈사 상태의 대륙붕 사퇴와는 달리, 연안 사퇴는 활동성이 높으며 주변 해양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해저지형변화의 관점에서 관심의 대상이다. 대산항에서 불과 5 km 떨어진 장안사퇴는 지난 20여 년 동안 격심한 해저지형변화를 겪어오고 있다. 이러한 해저지형변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사퇴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장안사퇴와 주변해역의 퇴적물 분포 양상을 이해하고자, 그랩식 채니기를 사용하여 총 227점의 퇴적물을 획득하고 체질-피펫방식의 입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1997년의 입도자료와 비교를 통해 지난 25년 동안의 퇴적물 입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장안사퇴의 중심부는 평균 입도 2-3∅의 중립사 내지는 세립사로 이루어졌으며, 사퇴의 골은 –2-6∅의 자갈과 니사질역으로 구성된다. 사퇴의 능선 퇴적물은 양호한 분급의 정규분포를 보인 반면에 사퇴의 기저 퇴적물은 불량한 분급과 주로 자갈퇴적물에 소량의 세립 퇴적물이 혼합된양(+)의 왜도를 나타낸다. 사퇴의 중심부 퇴적물은 소량의 잔자갈의 혼합된 음(-)의 왜도를 보인다. 1997-2021년 동안 장안사퇴의 퇴적물은 전반적으로 0.5∅정도 조립해진 것으로 보이며, 겨울철 고파랑의 영향으로 세립질 퇴적물이 제거되었거나 해사채취 시 부유사의 제거로 설명할 수 있다. 표층퇴적물의 공간분포 양상을 미루어 볼 때 잔류 자갈 위에 30 m에 달하는 사퇴 본체가 놓인 것으로 추정된다. 사퇴 비대칭성, 기저면의 노출과 재동이 심한 잔류 자갈의 존재는 장안사퇴가 퇴적물 공급이 충분하지 않음을, 따라서 침식 상태에 놓여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δ13C and δ15N values of sediment-trap particles in the Japan and Yamato Basins and comparison with the core-top values in the East/Japan Sea

        김부근,Shigeyoshi Otosaka,박경애,Shinichiro Noriki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8 Ocean science journal Vol.53 No.1

        Investigation of sediment-trap deployments in the East/Japan Sea (EJS) showed that distinct seasonal variations in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fluxes of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clearly corresponded to changes in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estimated from SeaWiFS data. The prominent high POC flux periods (e.g., March)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enhanced surface-water phytoplankton blooms. Deep-water sedimenttraps exhibited similar variation patterns to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However, their total flux and POC flux were higher than those of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during some months (e.g., April and May), indicating the lateral delivery of some particles to the deep-water sediment-traps. Distinct seasonal δ13C and δ15N variations in settling particles of the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were observed, strongly supporting the notion of seasonal primary production. Seasonal variations in δ13C and δ15N values from the deep-water sediment-trap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However, the difference in δ13C and δ15N values between the intermediate-water and the deepwater sediment-traps may be attributed to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as it sank through the water column. Comparison of fluxweighted δ13C and δ15N mean values between the deep-water sediment-traps and the core-top sediments showed that strong selective loss of organic matter components (lipids) depleted in 13C and 15N occurred during sediment burial. Nonetheless,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particles in the deep-water sediment-trap deposited as surface sediments on the seafloor preserve the record of surface-water conditions, highlighting the usefulness of sedimentary δ13C and δ15N values as a paleoceanographic application in the EJS.

      • KCI등재

        δ<sup>13</sup>C and δ<sup>15</sup>N Values of Sediment-trap Particles in the Japan and Yamato Basins and Comparison with the Core-top Values in the East/Japan Sea

        Khim, Boo-Keun,Otosaka, Shigeyoshi,Park, Kyung-Ae,Noriki, Shinichiro Korean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and 2018 OCEAN SCIENCE JOURNAL Vol.53 No.1

        Investigation of sediment-trap deployments in the East/Japan Sea (EJS) showed that distinct seasonal variations in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fluxes of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clearly corresponded to changes in chlorophyll <TEX>${\alpha}$</TEX> concentrations estimated from SeaWiFS data. The prominent high POC flux periods (e.g., March)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enhanced surface-water phytoplankton blooms. Deep-water sediment-traps exhibited similar variation patterns to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However, their total flux and POC flux were higher than those of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during some months (e.g., April and May), indicating the lateral delivery of some particles to the deep-water sediment-traps. Distinct seasonal <TEX>${\delta}^{13}C$</TEX> and <TEX>${\delta}^{15}N$</TEX> variations in settling particles of the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were observed, strongly supporting the notion of seasonal primary production. Seasonal variations in <TEX>${\delta}^{13}C$</TEX> and <TEX>${\delta}^{15}N$</TEX> values from the deep-water sediment-trap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intermediate-water sediment-traps. However, the difference in <TEX>${\delta}^{13}C$</TEX> and <TEX>${\delta}^{15}N$</TEX> values between the intermediate-water and the dee-pwater sediment-traps may be attributed to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as it sank through the water column. Comparison of flux-weighted <TEX>${\delta}^{13}C$</TEX> and <TEX>${\delta}^{15}N$</TEX> mean values between the deep-water sediment-traps and the core-top sediments showed that strong selective loss of organic matter components (lipids) depleted in <TEX>$^{13}C$</TEX> and <TEX>$^{15}N$</TEX> occurred during sediment burial. Nonetheless,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particles in the deep-water sediment-trap deposited as surface sediments on the seafloor preserve the record of surface-water conditions, highlighting the usefulness of sedimentary <TEX>${\delta}^{13}C$</TEX> and <TEX>${\delta}^{15}N$</TEX> values as a paleoceanographic application in the EJS.

      • KCI등재

        주성분분석법을 활용한 황해 남동 이질대 퇴적물의 기원지 연구

        조현구 ( Hyen Goo Cho ),김순오 ( Soon Oh Kim ),이윤지 ( Yun Ji Lee ),안성진 ( Sung Jin Ahn ),이희일 ( Hi Il Yi ) 한국광물학회 2014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7 No.3

        황해 남동 이질대에서 채취된 51개의 표층퇴적물 시료와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과 중국의 하천 퇴적물 시료 33개에 대해서 반정량 X선회절분석법을 통한 점토광물의 상대적인 함량을 토대로 주성분분석을 도입하여 해양표층퇴적물의 기원지를 연구하였다. 전체 자료의 98% 이상을 반영하는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을 이용하여 R 프로그램을 통해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황해 남동 이질대 퇴적물의 점토광물 함량은 남부 지역과 북부 지역에서 거의 차이가 나지 않으며, 성분도표상에서의 해양퇴적물 분포는 중국의 황하, 양쯔강 퇴적물보다 한국의 하천퇴적물과 더욱 근접한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통계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황해 남동 이질대는 거의 모두가 한국 하천퇴적물로부터 유래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황해 남동 이질대에 한국 하천에서 유출되는 양보다 더 많은 퇴적물이 축적된 이유로는 퇴적물의 침식과 재동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성분분석은 한반도 주변 해역 퇴적물의 기원지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the origin of fine-grained sediments in Southeastern Yellow Sea Mud patch (SEYSM)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upled with semi-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for 4 major clay minerals. We used 51 marine surface sediments from SEYSM and 33 surface sediments of rivers flowing into the Yellow Sea. We made bioplot diagram using R program with principal component 1 and component 2 because the two components might contain about 98% of all data. The content of each clay mineral in the south and north regions of SEYSM are almost similar. In the biplot, SEYSM sediments distribute close to Korean rivers sediments than Huanghe and Changjiang sediment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SEYSM is originated from the Korean rivers sediments. The higher accumulation rate in the SEYSM compared to the sediment discharge from neighboring Korean rivers can be explained by erosion and reworking of surface sediments in this area.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an be used for the provenance research of marine sediment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고창 개방형 조간대 표층 퇴적물의 2014년 계절 변화

        강솔잎,양우헌,진재화,전승수 한국지구과학회 2016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7 No.2

        고창 개방형 조간대는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대조차, 개방형 연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고창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의 계절별 퇴적상 변화를 연구하였다. 2014년 2월, 5월, 8월, 11월의 사계절에 3개 측선을 따라 총 252개 지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표층 퇴적물은 주로 세립 사질 퇴적물로 구성되며, 계절별로 겨울에 조립하고, 여름에 세립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지역 인근의 계절별 파랑과 조위 관측 자료에 근거하여, 고창 조간대의 표층 퇴적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파랑이 조석보다 계절의 변화 효과가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큰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표층 퇴적물이 조립한 반면,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세립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퇴적상 공간 분포는 고조대의 계절별 편차가 저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고조대 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불량하게 나타났다. 고조대에서 저조대 방향으로 갈수록 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이 양호해지며 계절별 편차가 작아졌다.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eastern part of the Yellow Sea), characterized by macro-tidal range, an open-coast type, and sand substrate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in sedimentary facie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Gochang intertidal flat. In the four seasons of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2014, surface sediments of 252 sites in total were sampled and analyzed along three survey lines.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Gochang intertidal flat in 2014 consisted mainly of fine-grained sand sediments showing a trend in grain size to be coarser in winter and finer in summer. Based on seasonal wave and tidal level data recorded near the study area, it was interpreted that the seasonal effects of wave were stronger than those of tide as a factor controlling surface sedimentation. High waves in winter resulted in the coarsening trend of grain size in surface sediments, whereas, during summer time, the sediments became finer by relatively low waves. Spatial sedimentary facies of the Gochang intertidal flat in 2014 represented that seasonal deviation of the upper tidal zon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tidal zone, hence sediments getting coarser in grain size and poorly sorted in the upper tidal zone. From upper to lower tidal zone, the grain size became finer and sediments were better-sorted, showing smaller seasonal deviations.

      • KCI등재후보

        평택화력발전소 취수구 주변 해역에서 세립질퇴적물의 운반양상

        류상옥,장진호,최현용 한국해양학회 2002 바다 Vol.7 No.4

        Distribution of surface and suspended sediments was studied to understand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sediment near the cooling water intake of Pyongtaek power plant o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grainsize of surface sediment during the winter was coarser in the opened northern area than sheltered southern area. During the summer, finer sediment was found in the east (landward) than west due under dominantly the influence of tidal current.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sediments was higher in the winter than summer and in the mid- to deep waters than surface waters. Asymmetry of tidal current induced net landwar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Landwar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was most significant at the beginning of flood time when water level is low. Net suspended sediment fluxes ranged from 3.4$\times$10$^{-3}$ kg.m$^{-2}$ .s$^{-1}$ to 5.7$\times$10$^{-3}$ kg.m$^{-2}$ .s$^{-1}$ This large landward transport of suspended sediments is attributable to combination of enhanced flow induced by intake of cooling water and artificial structures near the water intake. 평택화력발전소 취수구 주변 해역에서 세립질퇴적물의 운반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과 부유퇴적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동계에는 상대적으로 개방된 북측해역에서 조립하고 남측해역에서 세립한 반면. 하계에는 조석의 영향에 따라 서측해역에서 조립하고 동측해역에서 세립한 퇴적상의 변화를 보인다. 부유퇴적물의 농도는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았으며, 표층수보다는 중.저층수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조석에 따라서는, 조류의 비대칭성에 따라 육지 방향으로 이동되는 양이 바다 방향으로 이동되는 양에 비해 뚜렷하게 많았으며, 낙조에서 창조로 바뀌는 수심이 낮은 창조 초반에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장.단기간에 걸쳐 관측된 부유퇴적물의 순이동률은 3.4$\times$$10^{-3}$ kg.m$^{-2}$ .s$^{-1}$~5.7$\times$$10^{-3}$ kg.m$^{-2}$ .s$^{-1}$범위로 육지쪽 취수구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취수구 주변에서 육지쪽으로 발생되는 인위적인 흐름과 주변의 인공구조물에 의해 조류의 순환양상이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 한국 서해 강화 갯벌의 퇴적물 특성

        우한준,박장준,이연규,제종길,최재웅 한국습지학회 2004 한국습지학회지 Vol.6 No.1

        강화 남단 갯벌은 우리나라 서해안의 가장 규모가 큰 갯벌 중의 하나이다. 조석은 전형적인 반일주조로 최대조차가 약 10m 이다. 강화 남단 갯벌은 한강 수계로부터 많은 양의 퇴적물이 유입된다. 연구지역에서 2003년 8월에 83개 정점에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표층퇴적물은 5개의 퇴적상으로 구성 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모래 펄 퇴적물은 강화 남단 갯벌에서 우세하였고, 반면에 모래 퇴적물은 강화도 서부의 수로와 조하대에서 우세하였다. 이 지역의 1997년 8월 퇴적상과 비교하여 모래 펄 퇴적물은 갯벌의 동쪽으로 확장 되었다. 강화도 남단 갯벌에서 채취한 3점의 주상 시료에 대한 퇴적학적 분석 결과, 사층리 모래층, 실트-점토 호층 엽리 실트, 생물교란 실트등 세 개의 퇴적상이 인지되었다. 이들 퇴적상의 분포는 조수로 인근 지역이 전반적으로 퇴적률이 높으며, 특히 동검도 동쪽 갯벌에서 최근 급격한 퇴적 작용이 진행되고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수리학적 관측을 위하여 2003년 6월에 염하수로의 초지대교 부근(K1)과 동검도 남부 수로(K2)에서 12시간 30분 동안 정선 관측을 실시하였다. 잔여유속 계산 결과 이 지역은 썰물이 강하게 나타났다. 각 수층의 부유물질 양에 의하여 계산된 순 부유퇴적물 이동양은 한 조석 주기 동안 염하수로에서는 외해로 309,217.9kg/m가 유출 되며, 동검도 남부 수로에서는 외해로 128,123.1kg/m가 유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검도 남부 수로에 비하여 염하수로의 순 부유퇴적물 이동양이 높은 것은 갯벌의 동부에 한강에서 유입된 많은 부유물질이 퇴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is one of the biggest flats on the west coast of Korea. Tide is typically a semidiurnal with maximum range of about 10m. The tidal flat receives large amount of sediments from Han River system. Surface sediments for sedimentary analyses were sampled at 83 stations in the study area in August 2003. The surface sediments consisted of five sedimentary facies. Generally, sandy mud sediments dominated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whereas sand sediments dominated in channel and subtidal zones of the western part of Kanghwa Island. The area of sandy mud sediment extended to eastward tidal flat compared to sedimentary facies in August 1997. Sedimentary facies analysis of three core sediments from the tidal flat to the south of the Kangwha Island revealed three sedimentary facies: trough-cross-bedded sand, laminated silt, and bioturbated silt. Distribution of the facies in the cores suggested that sedimentation rates has been generally high in the margin of main tidal channel, especially in the east of the Donggeum Island. Twelve-and-half-hour anchoring survey was carried out for measurements of hydrodynamic parameters at Yeomha channel near Choji Bridge(K1) and channel near Donggeum Island(K2) in June 2003. Residual flows indicated strong ebb-dominated tidal currents. Depth-integrated net suspended sediment loads for one tidal cycle were seaward movement with 309,217.9kg/m and 128,123.1kg/m at station K1 and K2, respectively. The higher value of net suspended sediment loads at station K1 suggested that lots of suspended sediments from Han River deposited in the eastern part of tidal flat.

      • 광양만 해역 퇴적물중 PAHs 오염 특성

        조현서(Hyeon-Seo Cho),유영석(Young-Seok You),김용옥(Yong-Ok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4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re widespread contaminants in the marine environment. They are of mainly anthropogenic origin from urban runoff, oil spill and combustion of fossil fuels. Some PAHs are potentially carcinogenic and mutagenic to aquatic organism. The surface sediments core sediments were collected at 12 stations with gravity corer from May, 1998 to July, 1999. PAHs were detected at all of the surface and core sediments. Total PAHs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ranged from 171.40 to 1013.54㎍/㎏ dry wt.. Almost of the surface sediments, naphthalene was the highest in the range of 14.08 to 691.39㎍/㎏ dry wt. and anthracene was the lowest in the range of 0.49 to 22.66㎍/㎏ dry wt. Total PAHs concentrations in the core sediments ranged from 275.04 to 2838.62㎍/㎏ dry wt.. Naphthalene was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40.60 to 2294.06㎍/㎏ dry wt. and anthracene was the lowest concentration(2.63-11.30㎍/㎏ dry wt.). Most of the PAHs profiles in the outer site of Gwangyang bay showed lower concentrations and fluctuations than the inner ba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individual PAHs and Total PAHs in the surface and core sediments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low molecular compounds such as naphthalene, acenaphthylene and phenanthrene. In the relationship of the P/A(Phenanthrene/Anthracene) ratio and F/P(Fluoranthene/Pyrene) ratio, P/A ratio was generally above 10 and F/P ratio was displayed to above 1 in all sediment samples. These data indicate that PAHs in sediments around Kwangyang bay seem to be of both pyrolytic and petrogenic origin.

      • KCI등재

        서해연안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 및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최윤석,송재희,박광재,윤상필,정상옥,안경호 한국패류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8 No.3

        갯벌어장에 서식하는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 및 연안 생태계의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해연안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지역내 갯벌어장 표층퇴적물의 COD, AVS, IL의 지화학적특성은 다소 오염된 지역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양식장 오염니 기준에 비하여 매우 낮은 농도를 보이며 패류의 성장에영향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중금속에 대한 농축비(Ef) 와 농집지수 (Igeo) 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오염원이 적은자연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서식하는 패류에 대한 오염이 적은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연구지역내에 서식하는 패류의 성분원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퇴적물과 패류의 원소함유량의 상관관계는 연관성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패류의 무기원소 및 중금속의 농축은 Mn, Zn에 대해서만 상관관계가 반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갯벌어장의 패류 및 저서생물들이 서식하기에 좋은 조간대 퇴적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어장관리를 위한 중금속 오염에 대한 기준설정이 필요하며, 오염경로와 퇴적물의 오염원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이 요구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between the contents of inorganic elements in shellfish and surface sediments,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elements (As, Ca, Cd, Cr, Fe, Hg, Li, Mn, Ni, P, Pb, Zn) in various shellfish and surface sediments of research area. The enrichment factor (EF) and the index of accumulation rate (Igeo) of the metals showed that the research areas can be classified as moderately polluted, or unpolluted. And also we measure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grain size, chemical oxygen demand (COD), ignition loss (IL) and acid volatile sulfide (AVS). The grain sizes for research areas of surface sediment were similar the ratio of silt and clay in comparison with other sites. The COD and IL in surface sediment ranged from 5.41 to 14.06 mg/g. d.w. (mean 8.78 ± 3.16 mg/g d.w.) and from 0.92 to 3.17% (mean 2.08 ± 0.86%), respectively. Siginificant differences in metal concentrations also were determinated in the shellfish tissue among the different sites. However, except for metals(Mn, Zn), which showed some elevation of concentrations, the variations in the shellfish tissue were not related to variations in the sediment.

      • KCI등재

        제주도 주변 대륙붕 퇴적물의 REE와 Sr-Nd 동위원소 조성

        김태정,윤정수 한국지구과학회 201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3 No.6

        REE, major and trace elements, and Sr-Nd isotopic ratios of surface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were analyzed for identifying the origin of the sediments. The Chemical Index of Alteration (CIA) between 44.2 to 68.9 (av. 59.4) shows a similarity with the Huanghe sediment. The most sediments found within the study areas show a very similar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 that has enriched LREE (La(N)/Sm(N)>3) and small negative Eu anomaly, typically of average shales. The UCC-nornalized REE patterns of the southwestern offshore sediment samples show a very similar pattem with the Changjiang sediment with enriched in most REE and more convex REE pattern than those of the Huanghe and Keum rivers sediments, which indicates that the Changjiang River’s suspended sediments have been transported into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The 87Sr/86Sr isotopic ratios vs εNd(0) values were thus used as a tracer to discriminate the provenance of sediments in the study area. Based on the discriminated diagram, it clearly showed that most sediments in the western and northwestern part were closely plotted with sediments of the Huanghe River. However, th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part near the Changjianf estuary were closely plotted with submerged delta sediments of the Changjiang River. In contrast, the sediment samples of the northeastern part showed discriminative figures from those of the Chinese rivers. It suggests that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must be originated from diverse sources. 제주도 주변 대륙붕해역에 분포하는 퇴적물의 기원지를 해석하기 위해 표층퇴적물의 희토류원소(REE), 주성분 및 미량원소, Sr-Nd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퇴적물의 화학원소에 근거한 변질지수(CIA)는 44.2-68.9(av.59.4)의 범위를 보이며 황하강퇴적물과 유사하였다. 연구지역 퇴적물을 콘드라이트로 표준화한 REE 패턴에서 대부분 LREE가 부화된(La(N)/Sm(N)>3) 작은 Eu 부(-) 이상을 가지는 전형적인 셰일의 희토류원소의 패턴을 나타낸다. UCC로 표준화한 REE패턴에서 연구지역 남서쪽 외해지역의 퇴적물 시료들은 황하나 금강기원 퇴적물보다 양자강퇴적물과 유사한 높은 희토류원소함량과 위로 볼록한 REE 패턴을 보여 양자강기원 부유물질이 제주도 서쪽해역까지 운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87Sr/86Sr 동위원소비와 εNd(0)의 구분지수는 연구지역 퇴적물의 기원지를 밝히는데 지시자로 제시할 수 있었다. 연구지역의 서쪽과 북서쪽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퇴적물은 황하강 퇴적물 주위에 밀집 분포하는 특징을 보이고, 양자강 하구역과 가까운 남서쪽지역의 퇴적물들은 양자강 수중삼각주 퇴적물과 유사성을 보였다. 반면 제주도 북동쪽지역의 퇴적물은 중국의 강기원 퇴적물과는 다른 지역에 위치하는 특징을 보여, 따라서 제주도 주변해역은 복합기원 퇴적물이 집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