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련의 체제적 목표와 소련군행정청의 대소련점령지역(동독)‘교육개혁’(1945-1949)

        윤용선(Yun, Yong-Seo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소련점령지역 시기(1945-1949)는 동독의 역사에서 훗날 동독 사회의 토대가 마련된 중요한 시기로 평가된다. 나치체제의 붕괴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체제를 모색하던 소련점령지역에서 최고통치기구 역할을 수행한 소련군행정청은 전면적인 사회개혁을 추진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소련군행정청이 추진한 사회개혁은 사회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고 있었으며, 개혁에는 당연히 교육도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조치들은 다른 분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훗날 동독 교육제도의 근간이 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당시 이루어진 소위 ‘교육개혁’에 있어서 소련의 역할, 영향, 의도 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소련군행정청이 교육정책에 참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여기에서는 무엇보다도 소련군행정청이 개혁을 추진한 기구와 인력에 영향력을 행사했던 과정과 양자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은 초기 ‘교육개혁’이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소련 망명인사들로 구성된 소위 ‘울브리히트 그룹’과 소련군행정청의 긴밀한 협조 하에 이루어짐으로써 소련의 의도를 충실하게 반영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러나 이처럼 교육정책이 소련의 통제를 받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점령지역에서 이루어진 초기 교육제도의 변화는 사회주의적 혹은 스탈린 주의적 색채를 드러내지 않았고 오히려 바이마르 시대의 자유주의를 연상시켰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이유는 독일의 사회주의자들뿐만 아니라 부르주아 계급의 지지를 의도했던 소련의 대독일 정책과 관련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련군행정청이 교육 분야에서 행한 최초의 정치적 개혁은 ‘탈나치화’ 작업이었다. 교사의 대량해고와 교과내용의 전면적인 개편의 형태로 나타난 ‘탈나치화’ 작업은 같은 시기 독일의 서부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이러한 작업은 어느 모로 보나 소련점령지역의 민주화의 일환인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소련의 ‘위장 민주주의’는 동서냉전이 가시화되던 1947년경부터 점차 가면을 벗기 시작했으며, 그로 인해 교육 역시 소비에트화의 길로 접어들고 있었다. 교과내용과 형식은 스탈린주의가 절정에 달했던 1930년대 소련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채워졌다. 아울러 학교에서는 이제 민주주의 보다 사회주의가 강조되었으며, 교육의 공간에서 제기되는 일체의 자유주의적 요구는 즉각적이고 엄격한 탄압을 받았다. In the history of the GDR, the period of the Soviet occupation era of Germany(1945-1949) is often considered as a time in which the bases of the future eastgerman society are founded. In the Soviet Occupation Zone(SBZ), sought after the breakdown of the national-socialistic dictatorship after a new social system, the Soviet Military Aministration in Deutschland(SMAD) as the top administration-organ drove an extensive reform, including the educational reform. The educational policies turned into the future educational-frameworks of the GDR like the political measures in other area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function, effect and motivation of the Soviet educational reforms of the SMAD in the SBZ. In the essay, one treats as well as the process, with which SMAD interfered into the education policy, as also circumstances between the SMAD and the German institutions. The present work concludes that educational reform in the SBZ took place under the narrow cooperation of the so-called ‘Ulbricht-Group’ and the SMAD, represented the Soviet interest consistently. Although the education policy stood in the SBZ under the Soviet control, it did neither look like the beginning socialistic nor stalinistic, but it rather reminded of the democratically oriented educational system of the Weimar Republic. The reason for this misrepresentation lies, above all, in the Soviet politics toward Germany right after the World War Two. The first political reform-politics of the SMAD took place in the SBZ was the so-called ‘Denazification’. Since similar ‘Denazification’ proceeded also in the west-part of Germany by the western Alliance, both educational politics appeared in much sense as one of the democratic measures to the all members of the Alliance. But the ‘Scheindemokratie(pseudo-democracy)’ of the Soviet Union exposed itself from 1947 as the Cold War began. Education and schools turned out into the suction of the Sovietization. Contents and Forms of Education in the whole resulted from the Soviet experiences that the Russians had done in the 1930s as the Stalinism had reached its climax. Then, socialism was emphasized more than democracy at school, and, as a result, all demands for democracy immediately met brutal prosecutions.

      • KCI등재

        소련점령하의 공산주의 수용과 해결 법리 -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제1차 ‘토지개혁결정’의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

        표명환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9 法과 政策 Vol.25 No.2

        This paper begins by examining the first land reform decision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The first land reform decision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relates to a request for a constitutional appeal against the guideline for the resolution of the deprivation of property based on Soviet occupation law and occupation. The object of the judgment in this case is the Joint Declaration No. 1, which became a part of the Unification Treaty. The Joint Declaration No. 1 declares that: “The deprivation of property (1945-1949) on the basis of occupation law and occupation rights shall not be revoked. The Soviet and East German governments can not overturn the current deprivation of property. The West German government recognizes these former deprivation of property right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events. The West German government reserves the decision of the German Parliament on the final decision on the adjustment benefit by the countries in the future In this decision,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rejected the Constitutional claim of the applicant.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solution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can be applied to deprivation of communism under Soviet occupation is different from Article 23 (1) of the Basic Law of West Germany.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the resolution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to solve the problem of deprivation of property by the Soviet occupation of North Korea. Therefore, this thesis presented the legal way of settlement based on Article 3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rticle 100 of the Founding Constitution etc. And as a solution to the deprivation of property, the compensation method by the bond is suggest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method is that the deprivation of property in North Korea is a “violation of property rights by illegal organizations”. Accordingly, the “principle of compensation by bonds” established by the duty of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of the unified Korea and the protection legislation of the Unification Parliament. 본 논문은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제1차 토지개혁결정을 검토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연방헌법재판소의 제1차 토지개혁결정은 독일통일과정에서 동독지역에서의 소련점령법 및 점령고권에 근거한 수용의 해결지침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에 관한 것이다. 이 사건에서 심판대상이 되었던 것은 통일조약의 구성부분이 된 공동선언 제1호의 “점령법 및 점령고권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수용조치(1945-1949년)는 취소되지 아니한다. 소련 및 동독정부는 당시의 수용조치를 번복할 수 없다. 서독정부는 과거의 이러한 조치들을 역사적 사건이라는 관점에서 인식한다. 서독정부는 향후 시행될 국가의 조정급부에 관한 종국결정을 전체독일의회의 결정에 유보한다”에 관한 것이었다. 이 결정에서 독일연방헌법재판소는 서독기본법 제23조 제1항의 한정적 효력범위, 과거불법에 대한 사후적 조정 등을 근거로 공동선언을 구성부분으로 하고 있는 통일조약법률에 대한 청구인의 헌법소원을 기각하는 결정을 하였다. 본 논문은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해결법리를 북한지역에서의 소련점령하에 있었던 공산주의 수용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북한지역에서의 소련점령은 독일에서와 달리 보호점령으로서 소련군의 명령에 따른 북조선임시위원회의 토지개혁법령 및 세칙에 의하여 수용되었다는 점에서 구별되고 그리고 또한 대한민국 헌법 제3조의 효력범위가 서독기본법 제23조 제1항과 다르게 규정하고 있다는 점 등에 근거하여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해결법리의 적용은 적절하지 않다고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대한민국 헌법 제3조 및 제헌헌법 제100조 등에 근거하여 대한민국 헌법의 성립 전후를 시점으로 한 해결의 법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해결방법에 대하여는 ‘불법단체에 의한 재산권침해’라는 관점에서 통일한국의 기본권보호의무와 그에 따른 통일의회의 보호입법에 의한 ‘채권에 의한 보상원칙’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The Causes of the Korean War(1950-1953)

        온창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0 국가안보와 전략 Vol.10 No.3

        The causes of the Korean War (1950-1953) can be examined in the two categories, ideological and political. Ideologically, the communist side, including the Soviet Union, Communist China, and North Korea, desired to secure the Korean peninsula as a part of the Asiatic mainland in a communist bloc. Politically, the Soviet Union considered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ight of Poland in Eastern Europe as a spring board to attack Russia, asser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be “loyal” to the Soviet Union. Because of this policy and strategy posture,the Soviet military government in North Korea (1945-8) rejected any idea of establishing one Korean government under the guidance of the United Nations. The two Korean governments, instead of one, were thus established, one in South Korea under the blessing of the United Nations and the other in the north under the direction of the Soviet Union. Observing this Soviet posture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n leader Kim Il-sung asked for the Soviet support to arm North Korean forces and Stalin fully supported Kim and secured newly-born Communist China’s support for the cause. Judging that it needed a buffer zone against the West and the Soviet aids for national building, the Chinese government readily accepted a role to aid North Korea, specifically, in case of the full American intervention in the projected war. With the full support from the Soviet Union and comradely assistance from Communist China, Kim Il-sung of North Korea attacked South Korea with the North Korean forces better armed, equipped, prepared than their counterparts of South Korea in the confidence and hope that he could expand his political basis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This became the “naked” cause of the Korean War, embracing all other immediate and remote, direct and indirect, definite and circumstantial ones. Because of the swift American and UN intervention in the war, however, the communist side could not secure a quick victory but could recover the status quo ante-bellum only after the Chinese full interference for the fighting. After the fighting for one year, both sides acquiesced in the fact that the Korean problem was too complex to be solved my military means only. The result was an honorable armistice,leaving the ultimate solution on the Korean issue to time and future, producing the two self-claimed victors. The conclusion of the war in this manner, a cease-fire rather than a peace,in fact, set another type and nature of war in the Korean peninsula, a subversive war, employing all kinds of violent and seemingly peaceful ways and means particularly by North Korea. North Korea, that had failed to communize Korea by military means,has engaged in a subversive war against South Korea in order to overthro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its regime by mobilizing all available destructive and disruptive, deceitful and devious measures and means even in the post-Cold war period. In this regard, the Korean War (1950-3) has not ended in name and fact, and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Korean War still lingers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북한의 단독정권 수립과정과 정치적 함의

        이지수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3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4 No.2

        The author argues that: first, North Korea, from the beginning, was not a common state but a revolutionary military base, which was built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Soviet military occupation after the World war II. Secondly, under the status of revolutionary military base, people’s political supports or input does not matter in North Korean politics. Third, as a highly controlled society, North Korea needs permanent political and military tension from the beginning. The South wants peace whereas the North needs violence; that’s the Korean tragedy. 해방이후 소련군 진주 하에 한반도의 북부에 수립된 체제의 성격은 스스로가 주장하듯이 일상적인 의미의 국가라기보다는“민주기지”로 집약된다. 그들이 지향하는 공산체제에 관한 이론에 따르면, 공산체제가 완성되면 제도로서의 국가는 소멸하게 되어 있다. 즉, 1948년 수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그 공식적인 호칭과는 무관하게 조국통일과 나아가 세계 공산혁명이 완수되는 시점에서는 더 이상 국가로서 존재하지 않는 과도기적 존재이다. 아울러 국가가 인적 물적 자원의 소유 및 사용에 대한 배타적이며독점적인 지위를 누리는 것은 동서고금의 국가들의 전시체제의 경우와 유사하다. 이 점에서 본다면, 1948년 수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국가가 아니라 (혁명)기지였으며 이것은 체제수립이후 지금까지 관통되는 특징이다. 단독정권수립의 정치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발부터 인민들의 지지를 수렴하는 과정이 아니라 위로부터의 일방적인 통제로 시작된 북한 체제는 체제의 성격 또한 인민의 의사 혹은 지지를 수렴하는 것이 제도적으로 차단된 사회주의 체제로서의 한계를 갖는다. 둘째, 중앙 권력의 일방적인 통제와 지도로 유지되는 혁명기지 체제 성격상 정치권력 또한 유지 지속 및 강화가 인민들로부터의 지지가 아니라통제에 의존하는 속성을 갖게 되었다. 셋째, 정치권력이 속성상, 통제에 의존하는 관계로, 대내외적 긴장은 항상적으로 요구된다. 긴장은 필요에 따라 조성하기도 한다.

      • KCI등재

        발트 3국 내 러시아 디아스포라의 사회적 지위 변화 연구

        서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4 EU연구 Vol.- No.69

        이 논문의 목적은 발트지역 디아스포라의 이주 과정과 사회적 지위의 변화를 중세 시절부터의 사례를 들어 고찰해 보는 것이다. 무역 거점지 건설, 구교도, 군사적 필요에 의한 주둔, 그리고 최근 소련의 지배에 달하는 긴 시간 동안 러시아인들은 발트 독일인들과 마찬가지로 발트지역의 문화적 경제적 측면에 많은 영향력을 끼쳤다. 소련 시절 발트지역의 러시아인들은 출신을 불문하고 동등한 사회적 지위를 약속받으며 자신들의 역할을 평등하게 수행할 수 있었으나 발트 3국의 독립 후 그들은 시민법, 언어개혁 등으로 인해 그들의 사회적 입지는 점차 줄어들었다. 발트지역에서 거주하던 러시아 디아스포라들의 다양한 사정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규정하는 법적 구조적 제한은 때론 냉철하게 때론 온건하게 적용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물리적 충돌로 구현되기도 하였다. 발트 3국은 국토의 면적도 작고 인구 역시 적지만 다민족들로 구성되어 다양한 역사와 문화가 복잡하게 얽혀있고, 그런 이유로 인해서 발트 3국을 구성하는 다양한 민족을 이해하지 못하면 그 지역에 대한 이해 역시 올바르게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러시아 디아스포라는 현재의 발트 3국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 중 하나다. 발트 3국 내 러시아 디아스포라 연구는 단지 발트 3국과 러시아의 관계만이 아니라 유럽연합의 안보와 러시아와의 관계를 분석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열쇠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emplate the immigration process and the transition of the Russian diaspora's position in Baltic States, from medieval times to the present day. Similar to the Baltic Germans, the Russians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ultural and economic aspects of the region, impacting the construction of trade centers, the immigration of Old Believers, and the military presence, among other factors. Following the annexation by the Soviet Union, all Soviet citizens were promised equal rights to participate impartially in society. However, their social position deteriorated due to citizenship and education reform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legal limitations defining their social status based on various factors have been studied both realistically and moderately, resulting in physical conflicts. Despite the Baltic States' small territory and population, they are a multinational society with intertwined histories and culture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region is nearly impossible without awareness of the situations of the nations that make up these countries. The Russian diaspora plays a crucial role in comprehending the Baltic States. Research on the Russian diaspora in the Baltic States not only provides insight into the bond between Russia and the Baltic States but also offers a key to analyzing and anticip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uropean Union's security and Russia.

      • KCI등재

        구 동독 사회정책의 이념과 실제

        김상철 ( Sang Cheol K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6 질서경제저널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formation of ideology and historical evolution of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in connection with the unification of Germany.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ollapse of the DDR and social policy. This study speculates the following questions: in former East Germany, what had been the basic philosophy of social policy?; how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had been changed by the time of the Soviet occupation in the critical period until the fall of the Berlin Wall?;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ormer East German social policy?;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ideology and practice of social policy?; what are impact of, the fall of former East Germany on social policies?; are there any possibilities to get lessons from the DDR experiences for designing social policies i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near future? This research shows that former East Germany appeared to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as no concept of a consistent form of social policy until 1989. Second, social policies of the DDR are much more comprehensive than the field of social policy of West Germany. Third, special difference between East Germany and other countries in social policies is that social policy in former East Germany is mainly done in within the enterprise level. Fourth, in formal East Germany it was established centralized single social insurance system. Autonomous executive power of formal social insurance has been destroyed, the administration of social insurance has been in charge of Free German Trade Union Federation (FDGB). Fifth, DDR was attempting to expand social policy since 1971. The result of excessive state intervention not based on the economic pow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llapse of the DDR.

      • KCI등재

        韓國戰爭 前後, 對日講和條約 論議에 의한 아시아 내에서 日本의 安保와 位相

        柳芝娥(Yoo, Ji-A) 한일민족문제학회 2010 한일민족문제연구 Vol.18 No.-

        1951年9月8日、サンフランシスコで開催された講和会議で、日本は連合国との講和條約を締結し、翌年1952年4月28日その講和條約が発效することによって連合国による日本の占領は形式上、終止符を押した。この対日講和条約は日本が独立国家として復帰したという意義を持つだけでなく、東アジアで日本と戦争状態にあった国家、または日本の殖民地下においてあった国家との関係にも少ない影響を及ぼしたと言える。講和条約の特性は朝鮮戦争の勃発を前後にしてアメリカはもちろん日本でも早期講和条約に対する論議が急変した事実で明確に現われる。アメリカは中国の共産化と米ソ冷戦が固着化して行く状況で、日本をアジアで自由主義陣営の堡塁として作りあげようとする計画を推進して行った。そして朝鮮戦争が勃発すると、アメリカはその計画を早期対日講和條約と自由主義陣営のみを対象にする断片条約として具体化した。サンフランシスコで開かれた講和会議には中国が招待されず、韓国も日本との間で交戦関係ではなかったという理由で招請されなかった。即ち、共産陣営または日本の独立回復や以後日本の再建に障害の素地を提供する可能性がある国家が完全に排除された資本主義陣営国家が中心になった単独講和という形態で条約が調印されたのである。これは日本が冷戦に主体的に加わる形態を取ることで独立を回復しようとする意図を現わした選択であると言える。また、対日講和条約締結過程で現われた特徴は講和條約自体が日米安保条約の締結と一セットになって締結されたとことである。朝鮮戦争勃発後、アジアで共産化の進行と米ソ冷戦の激化によって、吉田首相を中心にした日本政府は対日講和条約準備作業の一環として安保條約案を準備した。その理由はソ連に対する牽制と共産圏に対する憂慮をあげることができる。また、アメリカも同じような理由のために日本との安保條約を準備したと言える。しかし、日本はその安保条約によってアメリカに従属されることになった。それだけでなく、日本は自らアジアを軽視する路線を取るようになった。すなわち、対日講和条約による日米安全保障体制が日本とアメリカに安保上の下敷石になったといえども、日本のアジアでの立場はより退歩する結果をもたらした。特に韓国の場合、朝鮮戦争で日本との関係で積極的な代案を出すことができなかったために、サンフランシスコ条約に参加することができなくなった。そのために以後韓日関係は日本の領土問題処理を含めて、韓日予備会談で多くの難航を経るようになった。またこのような問題は現在歴史教科書問題など、他の解決されない問題を生じさせ東アジアの国際問題として残っている状況である。 Japan concluded the writing of a peace treaty with allied powers at a peace conference held in San Francisco on September 8, 1951. In the next year, the Japanese occupation by the Allies powers ended officially, as the Treaty entered into force at April 28, 1952. The Japan Peace Treaty was symbolic of Japan's comeback as an independent nation, as well as having a considerable impact on its relationships with other East Asian count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ace treaty appear in the fact that discussions on a peace treaty in Japan have been changing rapidly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sinc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U.S.A. promoted the plan that Japan made as a fortification of the liberal camp in Asia in the situation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U.S.-Soviet Union Cold War took power and started to work more actively to Asia as soon as the Korean War began. In addition, Japan signed a Japan-US security treaty along with the peace treaty as one set.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Japanese Government, led by Prime Minister Yoshida, prepared for the security treaty as a ancillary means to the peace treaty. This was because of the containment of the Soviet Union and anxiety about the Communist bloc; in the same context, the U.S.A. had prepared for security treaty with Japan for a similar reason. However, not only did Japan end up being a subordinate to the U.S.A., but also Japan have been neglect the rest of Asia as a result of the security treaty. In other words, it resulted in a point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Asian countries were more backward, even though it became a footstone for security positioning in Asia due to the new Japan-US security system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Korea was not able to participate in the writing of the San Francisco treaty at the time, due to the Korean War. Therefore, the Korea-Japan preparatory meeting incited a lot of new arguments including territorial issues. In addition, such problems are now left only in history textbooks and as problems confined only to East Asia.

      • KCI등재

        독일통일과정에서의 재산반환문제에 대한 검토

        박진완 유럽헌법학회 2014 유럽헌법연구 Vol.16 No.-

        동독이 서독연방에 가입하는 형태의 서독중심의 독일통일의 과정에서 각자의 필요에 따라서 특히 부동산의 경우에 는 동독에서의 재산관계(Eigentumsverhältnis)에 대한 새로운 질서정립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기본적 입 장은 한국에서의 통일과정에서의 재산권 질서 형성에도 그대로 적용될 가능성이 많다. 독일 통일이후의 구동독 시절의 재산몰수의 문제에 대해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구소련 점령지역(Sowjetische Besatzungszone) 내에서 그리고 그 후 독일민주공화국(Deutsche Demokratische Republik)에서 자신의 재산을 상 실한 수천명의 동독인들과 서독인들이 관련되어 있다. 소련의 점령권력 그리고 독일민주공화국 정부를 통한 몰수(Enteignungen) 그리고 도주와 추방을 통한 재산상실은 법치국가원리(rechtsstatliche Grundsätze)와 합치될 수 없는 토지소유, 기업 혹은 그 이외의 다른 재산에 대한 침해를 초래하였다. 독일통일과정에서 이러한 잘못된 재 산질서 형성을 바로잡는 것은 독일재통일과정에서의 중요한 정치적 관심사일뿐만 아니라, 통일 후 독일연방의 법 질서의 새로운 통합과 조정이라는 현실적인 법적 필요성에 근거한 것이다. 재산의 현실적 가치가 용익권(Nutzungsrecht)보다 적은 의미를 가지는 동독의 재산법 질서 속의 재산관계는 다시 통일된 독일에서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는 연방독일의 재산권 질서의 형성에 있어서 어떻 게 과거의 동독시절의 보상없이 행해진 몰수재산에 대한 법적 귀속의 문제가 중요한 쟁점으로 다루어지게 되었다. 독일 기본법 제14조에 의한 재산권 보장(Eigentumsgarantie)이 독일연방가입전의 독일민주공화국(DDR)에 대하여 바로 소급적용될 수 없기 때문에, 이의 해결을 위한 정치적 결정의 재량영역(politischen Entscheidungsspielraum) 은 존재하였다. 독일연방공화국의 입장에서 볼 때, 40년 동안 독일민주공화국은 바로 서독의 재산권 질서가 바로 소급적용될 수 없는 새로운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상황에 의하여 생성된 기준(Maßgabe)을 발전시켰기 때문에, 이 를 바로 변경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양자의 차이를 극복하여 법적 동화를 실현하기 위한 독일연방법무부를(Bundesministerium der Justiz) 법적통합노력의 진행이 지속적으로 행해졌다. 독일민주공화국의 오래된 불법을 새로운 것으로 대체할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관련자들의 이익들을 고려 한 사회적 합의의 형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1989년까지의 동독의 강제처분의 확실한 인정 혹은 1945년 5월전으로 완전한 소급적 적용 역시 현실화될 수 없는 것으로 보여졌다. 이미 행해진 몰수처분(Enteignungsmaßnahmen)과 관련하여 두개의 분리된 고찰단계가 고려되었다: 1945년에서 1949년까지의 구소련 점령기간 그리고 1949년에서 1989년까지의 구소련에 의하여 지원된 독민주공화국의 독일사회주의통일당의 지배(SED-Herrschaft in der DDR). 1990년 6월 15일에 우선적으로 일반적 원칙이 규정된 연방정부와 독일민주공화국의 정부의 공동선언(Gemeinsame Erklärung der Bundesregierung und der Regierung der DDR)이 발표되었다. 이 선언은 통일조약에 별첨(Anlage) Ⅲ 으로 부속되어, 통일조약의 구성부분이 되었다. 동독의 인민회의(Volkskammer)에서의 일반적 입법절차를 거치지 않은 미해결의 재산문제의 규율법률(Gesetz zur Regelung offener Vermögensfragen)이 첨부 II의 형태로 통일조약 에 편입되었다. 이 법률은 공동선언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있고, 상세한 실행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두 독일국가의 정부들 사이에 지루하고 고통스러운 회담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합의될 수 있었던 해결책은, 우선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 원칙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Görtemaker, 위의 책, 86쪽. :① 제2차세계대전에서의 항복(Kapitulation)시점부터 독일민주공화국 건국 시점까지의, 즉 1945년 5월 8일부터 1949년 10월 7일까지의 재산침해에는 소급되어 질 수 없다. 점령법(Besatzungsrecht)에 의하여 특히 이른바 1945 년 9월의 토지개혁(Bodenreform)의 범위에서 행해진 이 시기에 행해진 몰수 그리고 재산에 대한 제한은 그 효력이 인정된다. ② 1949년 10월 7일 이후에 몰수된 내지 독일민주공화국의 국가적 신탁행정(Treuhandverwaltung)하에서 관리된, 토지소유를 포함한 재산은 원칙적으로 이전의 재산권자 혹은 그들의 상속인에게 반환되어야만 한다. 예외적 상황 이 존재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보상보다 반환의 원칙(Prinzip Rückgabe vor Entschädigung)이 유효하게 적용 된다. 이러한 두원칙들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제기되었고, 가장 우선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어떤 경우에 독일 기본법 제14조에 의하여 보장된 재산권 침해로 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1991년 4월 23일 독일연방헌법재판소(Bundesverfassungsgericht)는 이전의 구소련점령지역(Sowjetische Besatzungszone) 내에 서 1945년부터 1949년까지의 점령국법 혹은 점령국 고권에 근거한 몰수는 취소되지 않는다고 결정하였다. 1996년 4월 18일의 자신의 결정(토지개혁 Ⅱ(Bodenreform Ⅱ))에서 독일연방헌법재판소는 새롭게 점령국고권에 의하여 몰수된 부동산의 반환제외의 헌법위반성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독일연방헌법재판소는 2004년 10월 26일의 토 지개혁 Ⅲ(Bodenreform Ⅲ) 속에서 1945년부터 1949년까지 이전의 구소련점령국지역 속에서 행해진 몰수의 국제 법 합치여부 그리고 가능한 국제법 위반성에 대한 독일연방공확국의 헌법적 구속과 관련된 헌법소원에 대하여 판 단하였다. 이 두 개의 결정들 속에서도 독일연방헌법재판소는 일관되게 자신의 판례를 통해서 구소련점령국 시절 에 행해진 재산몰수에 대해서는 국가적 책임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In German reunification process achived as a form that communist the German Democratic Repbulic join to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it is necessary to shape in particular new order for real estate on the demand of each German state. This basic concept of German Reunification can be applicable for building up legal order for the right of property in the Korean future unification process. Open property problem belongs to the most difficult social political problem with which was with reunification process of both German states in the year 1990 difficult to deal. In its Judgment from 4. 23. 1991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stated that the seizure through Sovietish land reform on the basis of occupation law or occupation offical power in East Germany according to article 41Ⅰ Treaty of Unification in connection with Nr. 1 S. 1 Joint Declaration (Gemeinsame Erklärung) could not any more undo (BVerfGE 84, 90 (114 f.)). This has regulating has in the German Basic Law (Grundgesetz) administrative finality (Art. 143 Ⅲ German Basic Law).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has taken this for consititutional (BVerfGE 84, 90 (118 ff. 125 ff.)). This main standpoint of the German Constitutional Court is to be maintaind in its ruling on land reform II, III.

      • KCI등재후보

        미군정 구호정책의 성격과 그 한계: 1945∼1948

        박보영(Park Bo-Young)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사회연구 Vol.- No.9

        미군정기의 사회복지제도는 건국이후부터 제2공화국까지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기본 틀로서 유지되었다고 평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에는 미군정기의 사회복지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했을 뿐 아니라, 기존 연구들의 경우 통계자료에 의존해 그 당시의 복지제도를 단편적으로 기술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 연구는 이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정책의 행위자가 국가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구호정책 행위자인 미군정 국가의 성격을 분석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미군정이 미군정기의 사회경제적 상황속에서 어떻게 구호정책을 펴나갔는지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미군정 당국은 남한민중들의 삶을 개선시킬 수 있는 근본적이고 제도적인 접근을 도외시한 채 시혜적이고 제한적인 성격의 전근대적 사회복지제도로서 구호정책을 운영하였다고 주장한다. 즉 미군정기의 구호정책에서는 최저생활의 보장과 국가책임의 강화라는 근대적 복지체제의 모습을 거의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이 연구는 그 원인으로 구호정책에 대한 미군정 당국의 정책의지 결여를 꼽는다. 왜냐하면 미군정의 주된 관심사는 ‘남한의 혁명적 분위기를 통제해 반공체제를 건설하는 것’이었지 ‘남한민중들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는 미군정기의 구호정책은 미군의 남한점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또 하나의 점령정책에 불과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developed the relief policy to focus on the policy intentions of USAMGIK, a relief policy actor, in the socio-economic settings of those days. It shows that the USAMGIK relief policy relied mostly on temporary emergency relief, and is also very low-grade despite welfare needs which were largely in demand. As a consequence, the USAMGIK relief policy did not develop into the modern welfare system model which is institutional and systematic, but the premodern relief system model which is benevolent and unsystematic. This paper answers such questions as just why the USAMGIK relief policy did not develop into a modern public assistance model, and why it has the benevolent and unsystematic characteristics. The USAMGIK had concentrated on political stability in South Korea to use the social welfare as control means, but they cared nothing to construct the modern welfare system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concept containing social security. In turn, it was the public order of South Korea society that was important to the USAMGIK authority rather than the quality of life of South Korean people. This is because the USAMGIK had been established focusing on the Asian-Pacific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 to make South Korea a ‘bulwark against Soviet communism’. On that basis, this paper argues that the relief policy was not a set of welfare policies, but rather a part of the occupational policies for occupying the South Korea with unstudied ea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