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성인에서 체질량지수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률: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 자료

        여혜정,박가윤,강동연,문나연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6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re are several international studies that suggest obese populationsare not likely to wear seatbelts when driving a car. Even though the rate of seatbelt use in Korean adults is 79.8%, which is much lower than 94% forOECD countries,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lated to this particular issu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seatbelt use in Korea where BMI standards, laws, cultures, and social conventions totally differ from those ofwestern countr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556 drivers, aged 19 or older, using raw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urvey (2013–2015). A stratified and cross-sectional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seatbelt use rates according to BMI, and a multivariable logistic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 (OR) of seatbelt use by BMI groups. Results: Increase in BMI resulted in a decrease in seatbelt use. The extremely obese group particularly had much lower rates of seatbelt use comparedto other groups. After adjusting other variables, only the extremely obese group had much lower rates of seatbelt use (OR 0.68, 95% confidenceinterval 0.53–0.87). Conclusion: Seatbelt use rates according to BMI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n-obese group, the overweight group, and the obesegroup. However, the extremely obese group had a tendency to not wear seatbelts when driving a car. 연구배경: 국내 비만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비만한 운전자들은 정상 체질량지수를 가진 운전자들보다 안전벨트착용률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들이 외국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국내의 경우, 성인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79.8%로 크게 낮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서양과는 비만에 대한 체질량지수 기준치, 법과 문화, 사회적 통념이 다르게 적용되는 국내환경에서의 체질량지수와 안전벨트 착용률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년) 원시자료를활용하여 19세 이상 성인 운전자 8,5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률을 교차분석 및 층화분석을 통해확인해보고, 독립변수로 체질량지수,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지역, 직업변수를 보정하여 체질량지수 정상군에 대한 과체중군, 비만군, 그리고 고도비만군의 안전벨트 착용률의 승산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과: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 고도비만군으로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안전벨트 착용률은 72.0%, 70.1%, 69.3%, 60.1%로 점점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고도비만군의 경우는 60.1%로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의 경우보다 큰 차이로 낮은 착용률을 보였다(P<0.001). 다른 변수들을 보정한 후의 과체중군(adjusted OR 1.00,95% CI 0.88–1.14), 비만군(adjusted OR 1.02, 95% CI 0.89–1.17)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고도비만군의 경우에만 착용률이 크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adjustedOR 0.68, 95% CI 0.53–0.87). 결론: 국내 체질량지수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률은 과체중군과 비만군에서는 정상군과 큰 차이가 없으나, 고도비만군의 경우 착용률이 크게 떨어지므로,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통학버스 이용 대학생의 안전띠 착용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의 융합적 접근

        문현정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통학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의 안전띠 착용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 정도를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통학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 118명이며, 자기기입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Scheffe's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안전띠 착용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천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띠 착용에 대한 인식은 대상자의 마지막 안전 띠 미착용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태도는 성별, 연령, 안전띠 미착용 시점에 따라, 실천은 대상자의 성별, 연령, 통학시간, 안전띠 미착용 시점, 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통합적인 안전사고 예방 보건교 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vels of awareness, attitude and practice of wearing seatbelt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a long distance commute.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a convenience sample of 118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and Scheffe'test using SPSS version 22.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awareness, attitude and practic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attitude and practice according to some of general characteristics(gender, age, commuting time, the last point of no seatbelt, socioeconomic statu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develop an accident prevention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