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cale-space filtering을 이용한 홍채인식 보안시스템 구현

        주상현,강태길,양우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09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5

        본 논문에서는 Scale-space filtering 방법을 사용하여 홍채인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을 구현 하였다.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Scale-space filtering과 영상의 Concavity를 이용하여 2차원 코드를 추출하여 서버에 저장된 코드와 비교하여 신분을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보안 시스템을 구현한 후 실제 홍채영상을 이용하여 실험한 후 FAR과 FRR을 측정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입증하였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스케일-스페이스 필터링을 통한 특징점 추출 및 질감도 비교를 적용한 추적 알고리즘

        박용희 ( Park Yong Hee ),권오석 ( Kwon Oh Seok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5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6 No.5

        본 논문에서는 시퀀스 이미지에서 스케일-스페이스 필터링을 통한 특징점 추출과 질감도(texturedness) 비교를 적용한 특징점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해서 정의된 오퍼레이터를 이용하는데, 이때 설정되는 스케일 파라미터는 특징점 선정 및 위치 설정에 영향을 주게 되며, 특징점 추적 알고리즘의 성능과도 관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케일-스페이스 필터링을 통한 특징점 선정 및 위치 설정 방안을 제시한다. 영상 시퀀스에서, 카메라 시점 변화 또는 물체의 움직임은 특징점 추적 윈도우내에 아핀 변환을 가지게 하는데, 대응점 추적을 위한 유사도 측정에 어려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Shi-Tomasi-Kanade 추적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아핀 변환에 비교적 견실한 특징점의 질감도 비교를 수행하는 최적 대응점 탐색 방법을 제안한다.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of feature point extraction using scale-space filtering and a feature point tracking algorithm based on a texturedness similarity comparison. With well-defined operators one can select a scale parameter for feature point extraction; this affects the selection and localization of the feature points and also the performance of the tracking algorithm. This study suggests a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scale-space filtering. With a change in the camera`s point of view or movement of an object in sequential images, the window of a feature point will have an affine transform. Traditionally,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similarity between correspondence points, and tracking errors often occur. This study also suggests a tracking algorithm that expands Shi-Tomasi-Kanade`s tracking algorithm with texturedness similarity.

      • KCI등재

        신분인식을 위한 2D 홍채코드 크기에 관한 연구

        주상현,양우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2

        본 논문은 scale-space filtering을 이용한 홍채인식 알고리즘으로 추출한 홍채코드의 크기별 인식성능을 분석한 것이다.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홍채 이미지를 생성하고 scale-space filtering을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16가지 크기의 코드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코드는 Hamming Distance를 이용한 정합 방법으로 FAR과 FRR을 구하여 코드별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든 코드가 동일인과 타인 집단 사이에 겹치는 부분이 적어 제안한 알고리즘의 우수성이 입증 되었으며, 실제로 구현 하였을 때의 사용의 편리성을 중심으로 홍채 코드의 크기별 성능을 분석 하였다. 상용화를 고려하여 신뢰성이 높으며, 오거부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는 홍채인식 시스템에 적합한 홍채코드도 제시하였다. This paper has analyzed recognizing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size of iris codes extracting by iris recognition algorithm using scale-space filtering. The iris images were created through pre-processing, the features were extracted by scale-space filtering, and the codes of 16 sizes were generated. The generated code's performance was compared for each code to calculate FAR and FRR by matching method utilizing Hamming distance. Every code had little overlapping portion between same person and other persons group so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superiority was proved, and the performance of iris codes was analyzed for each size focused on convenience to use when implementing in realization. In addition, the iris codes suitable to iris recognition system that is high-reliable and is able to reduce user's inconvenience due to mis-rejection has been presented considering for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홍채인식을 이용한 정보보안을 위한 휴대용 신분인식기 개발

        주상현,양우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5

        본 논문에서는 본 논문에서는 특정 부위 조명 방법을 제시하고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을 이용한 홍채 영상의 특징 추출방법을 활용한 시스템 구현을 소개하였다. 홍채 영상이 구해지면 중심과 반경을 구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 영상은 극좌표 영상으로 변환되어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을 한다. 스페이스 필터링 영상에서 특징이 추출되면 홍채 코드가 만들어진다. 동일인 및 서로 다른 사람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제시한 특징추출 방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urity system using iris recognition. This system acquires images with infrared camera and extracts the 2D code from a infrared image which uses scale-space filtering and concavity. We examine the system by (i) extract 2D code and (ii) compare the code that stored on the server (iii) mearsure FAR and FRR using pattern matching.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very suitable.

      • KCI등재후보

        홍체를 이용한 생체인식 코드 추출

        양우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0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6

        본 논문은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 기법을 활용하여 홍채영상으로부터 사람마다 고유한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추출되는 특징은 성능이 우수하고 신뢰도가 높아 고속의 자동 인식 시스템의 제작에 활용 될 수 있다.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우선 홍채영상으로부터 홍채 부분을 분리하고 홍채의 중심과 반경을 산출한 후, 노이즈가 심한 부분을 제거하고 2D 형태의 고유한 특징들을 추출한다. 노이즈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이 사용된다.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18명으로부터 얻은 272개의 홍채영상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제시하고 있는 알고리즘이 성능과 신뢰도 측면에서 매우 우수함을 보여준다.

      • KCI등재

        퍼지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다중 스펙트럼 자기공명영상의 분할

        윤옥경,김현순,곽동민,김범수,김동휘,변우목,박길흠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0 의공학회지 Vol.21 No.4

        본 논문에서는 T1 강조영상, T2 강조 영상 그리고 PD의 영상의 특징을 상호 보완적으로 이용한 자동적인 영상 분할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분할 알고리듬은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첫 단계에서는 PD 영상으로부터 대뇌 마스크를 획득한 후, T1과 T2, PD의 입력 영상에 대뇌 마스크를 씌워 각각의 대뇌 영상을 추출하고, 둘째 단계에서는 대뇌 내부 조직에 해당하는 두드러진 클러스터(outstanding cluster)를 3차원 클러스터들 중에서 선택한다. 3차원 클러스터는 최적스케일 영상(optimal scale image)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공간상에서 화소가 밀집된 봉우리들을 교집합해서 생성되는 클러스터로 결정한다. 최적스케일 영상은 각 2타원 히스토그램에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을 적용시키고 그래프(graph) 구조를 검색하여 2차원 히스토그램의 모양을 가장 잘 나타내는 봉우리(peak) 영상을 최적 스케일 영상으로 선택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앞에서 찾은 두드러진 클러스터의 중심값을 FCM 알고리듬의 초기중심 값으로 두고, FCM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대뇌 영상을 분할한다. 제안한 분할 알고리듬은 정확한 클러스터의 중심값을 계산함으로 초기 값을 영향을 많이 받는 FCM 알고리듬의 단점을 보완하였고 다중 스펙트럼 영상의 특성을 조합하여 분할에 이용함으로 단일 스펙트럼 영상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n automated segmentation algorithm is proposed for MR brain images using T1-weighted, T2-weighted, and PD images complementarily. The proposed segmentation algorithm is composed of 3 step. In the first step, cerebrum images are extracted by putting a cerebrum mask upon the three input images. In the second step, outstanding clusters that represent inner tissues of the cerebrum are chosen among 3-dimensional(3D) clusters. 3D clusters are determined by intersecting densely distributed parts of 2D histogram in the 3D space formed with three optimal scale images. Optimal scale image is made up of applying scale space filtering to each 2D histogram and searching graph structure. Optimal scale image best describes the shape of densely distributed parts of pixels in 2D histogram and searching graph structure. Optimal scale image best describes the shape of densely distributed parts of pixels in 2D histogram. In the final step, cerebrum images are segmented using FCM algorithm with its initial centroid value as the outstanding clusters centroid value. The proposed cluster's centroid accurately. And also can get better segmentation results from the proposed segmentation algorithm with multi spectral analysis than the method of single spectral analysis.

      • KCI등재

        말단흑색점흑색종 판별을 위한 전처리 과정

        함성원,오병호,양세정,Ham, S.W.,Oho, B.H.,Yang, S.J.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5 의공학회지 Vol.36 No.1

        Melanoma is originated from the melanocyte producing the melanin which determines the complexion, and it has the highest mortality among skin cancers. Acral lentiginous melanoma(ALM) arises from extremities such as hands, feet or fingernails. Since the appearance of ALM is different from melanoma on the body, conventional auto diagnosis systems for melanoma is inappropriate to detect ALM. Therefore, ALM is typically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general nevus, resulting in delayed diagnosis and bad prognosis. In this paper, we firstly introduce a determination method for ALM by dermatologists and propose a method to rotate dermoscopic images automatically as a pre-processing for facilitating the easy determination of ALM and to select the optimal value of the Gaussian differentiation filter parameter which is significant for precise pattern extraction using the scale space analysis. From experimental results, it is shown that there exists the consistency between empirical values of the Gaussian differential filter parameter and optimal values derived from the scale space analysis to distinguish nevus and ALM.

      • KCI등재후보

        홍채 영상을 이용한 생체 인식

        양우석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07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7 No.6

        본 논문은 스케일-스페이스 필터링 기법을 활용한 홍채 인식에 사용할 수 있는 홍채 특징 추출 방법을 소개한다. 추출된 특징을 이용한 홍채 코드는 신뢰성 있는 실시간 홍채 인식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홍채 추출 알고리즘은 우선 홍채 부분만을 영상에서 분리하고 중심과 반경을 구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다시 제거한다. 얻어진 홍채 영상은 극좌표 영상으로 변환하고 스케일 스페이스 필터링을 한다. 필터링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섬세한 특징은 홍채 코드로서 만들어진다. 제시한 알고리즘의 입증을 위하여 10명의 양쪽 눈, 즉, 20개의 홍채를 대상으로 각 10장씩 200개의 홍채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시한 특징추출 방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