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조절을 위한 슬픈 음악의 심리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강경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ffects of sad music based on psychological, physiological, evolutionary and neurological theory and to provide the psychoeducational use of sad music for self-regulation.. Sad music gives psychological reward of emotional catharsis and the capacity to cope with the acceptance of sadness. In addition, the time of contemplation and insight through sad music is useful for adaptive life in the futur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evolutionary theory of utility of sadness. As psychological rewards and the emergence of emotional mechanisms favorable to evolutionary survival, the benefits of the experience of sadness through music is not pleasure of sadness but regulation of sadness. It is the time for meeting with externalized our own sadness by music and communicating with it when we listen to sad music that reflects our emotion as feeling sad. This process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music in order to regulate sadness and lead to self-therapeutic results. The aesthetic experience physiologically activate prolaction against virtual sadness of sad music to control sadness and neuroscientifically it prevents activating displeasure of sadness in the corresponding brain area. Most of all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ad music controls psychological resistance and defense and induce empathy and absorption mental space for self- exploration and insight. Therefore, sad music for self-therapy must give aesthetic experience, draw empathetic feeling and provide mental space for contemplation. 본 논문은 슬픈 음악의 효과에 대하여 심리학적, 생리학적, 진화론적, 뇌신경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설명하고 자기조절을 위한 슬픈 음악의 심리 교육적 활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슬픈 음악은 정서적 카타르시스와 슬픔의 수용 대처능력이라는 심리적 보상을 준다. 또한 슬픔 음악을 통한 숙고와 통찰의 시간은 앞으로서의 삶에 적응에 유용하게 작용하는데 이것은 슬픔의 감정 유용성에 대한 진화론적 이론에 부합한다. 음악을 통한 슬픔의 경험이 주는 혜택은 심리적 보상으로나 그리고 진화론적으로 생존에 유리한 감정 기제의 발현으로나 슬픔의 유희가 아니라 슬픔의 조절이다. 슬플 때 자신의 슬픔을 반영하는 슬픈 음악을 듣는 것은 음악을 통한 외현화된 나의 슬픔과 만나고 소통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 슬픔의 조절과 자기 치료적 결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음악의 미적체험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미적체험은 생리적으로 슬픔 음악의 가상적 슬픔에 대항하는 프로락틴을 활성화하게 하여 슬픔을 조절하고 뇌신경학적으로는 슬픔이라는 불쾌감정의 활성화를 차단한다. 슬픈 음악의 미적체험은 무엇보다도 심리적으로 저항과 방어를 제어함으로서 감정이입과 몰입을 유도하고 탐색과 통찰의 정신적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슬픈 음악의 자기 치료적 사용은 미적체험을 줄 수 있는 음악, 개인적 감정을 이입할 수 있는 음악, 그리고 숙고의 공간을 줄 수 있는 음악이어야 한다.

      • 고려시대 육자진언(六字眞言) 문물(文物)의 현황과 의의

        엄기표 ( Eom Gi-pyo ) 한국밀교학회 2024 불교학밀교학연구 Vol.5 No.0

        육자진언은 고대 인도에서 형성되었으며, 중앙아시아와 중국으로 전래하였다. 특히, 밀교가 발달한 티베트불교에서 체계적이고 중요한 신앙의 대상으로 발전하였다. 진언은 밀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육자진언은 가장 많이 신앙한 대표적인 진언이었다. 이러한 육자진언이 한반도에 전래한 시기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관련 기록 등으로 보아 고려 초기에 전래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런데 고려시대 육자진언이 수록되거나 새겨진 문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고려시대 육자진언이 새겨진 문물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그러한 것을 통하여 육자진언의 전래 시기와 전개 과정, 육자진언 문물의 의의 등을 살펴보았다. 현재 고려시대 육자진언이 수록되거나 새겨진 문물은 종이로 된 다라니를 비롯하여 향완, 경갑, 금고, 상감청자, 묘지석, 동종, 기와 등 다양한 재질과 여러 유형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 중에 편년이 확실한 문물로 보아 육자진언이 고려에 전래한 시기는 11세기경으로 추정되지만, 육자진언신앙이 보급된 것은 12세기 중엽부터로 보이며, 13세기대에 널리 확산하면서 본격적으로 신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육자진언 신앙은 고려 후기에 원나라 밀교의 영향을 받아 14세기대에 크게 성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당시 육자진언은 공양이나 공덕을 쌓기 위한 밀교의 중심적인 진언으로 인식되었으며,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된 통진언으로 인식되었다. 이처럼 육자진언이 수록되거나 새겨진 고려시대 문물은 고려시대 육자진언의 보급과 성행 등 전개 양상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이다 The Sadākśari Mantra was formed in ancient India and passed down to Central Asia and China. In particular, Tibetan Buddhism, where esoteric Buddhism has developed, has developed into a systematic and important object of faith. The mantr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oteric Buddhism, and among them, the Sadākśari Mantra was the most religious. Although it is not clear when the Sadākśari Mantra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it is understood that it was introduc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based on related records.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texts that contain or engrave the Sadākśari Mantra of the Goryeo Dynasty. Accordingly, the text engraved with the Sadākśari Mantra of the Goryeo Dynasty was summarized in general, and through those, the timing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adākśari Mantra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adākśari Mantra were examined. Currently, the texts containing or inscribed with the Sadākśari Mantra of the Goryeo Dynasty are identified in various materials and types, including paper dharani, Hyangwan, Gyeonggap, Celadon, Cemetery stone, Bronze Bell and Tile. Among them, it is estimated that the Sadākśari Mantra was introduced to Goryeo around the 11th century, considering that the civilization of the Sadākśari Mantra was a definite period. It seems that the spread of the Sadākśari Mantra began in the middle of the 12th century, and it seems that it was widely spread in the 13th century and was believed in earnest.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Sadākśari Mantra faith was greatly popular in the 14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esoteric Buddhism of the Yuan Dynasty in the late Goryeo Dynasty. At that time, the Sadākśari Mantra was recognized as a central mantra of esoteric Buddhism to build offerings or meritorious deeds. It was recognized as a transcendent mantra used in various fields. As such, the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which contains or is inscribed with the Sadākśari Mantra, is a useful material for grasping the development of the Sadākśari Mantra in the Goryeo Dynasty, such as its spread and prevalence.

      • KCI등재

        논문(論文) : 농암(農巖)의 애사(哀辭)에 나타난 문장기법 연구

        오석환 ( Sok Hawn Oh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3 No.1

        애사는 눈물을 짓지 않고 애도하는 글이며 어려서 일찍 죽은 사람을 위해서 짓는 글이니, 혹 재주가 있는데 쓰이지 못함을 애상히 여기고, 혹 덕이 있는데 장수하지 못함을 애통히 여긴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농암의 대표작으로 제시한 작품은 그의 제자와 재종형제에 관한 글인 만큼, 농암이 심혈을 기울였으리란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는 여기에서 여러 가지 문장기법을 사용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자연스럽게 슬픔에 젖어들게 하고 있다. 먼저 감정과 논리를 연결하여 情으로부터 논리를 세워나가거나[由情立理]논리에 정을 깃들이는[寄情于理] 방법을 사용하였고, 논증의 방법으로 고사를 빌려 지금을 증명하거나[借古證今] 허구를 가지고 사실을 증명하는[以虛證實]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정신적인 품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겉모습을 그리는 동시에 내면의 모습까지 담아내는 기법을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슬픔이 몰려오게끔 하고 있다. 산문의 일반적인 기능은 실용에 있다. 특히 애사는 죽은 사람의 영전에 고하는 글이다. 따라서 그 주안점은 당연히 슬픔에 있는 것이다. 아무리 뛰어난 문장가의 아름답고 화려한 글 솜씨가 있다 하더라도, 내용에 슬픔이 결여돼 있거나 죽은 자와 산 자로 하여금 절실한 슬픔을 느끼게 할 수 없다면, 이는 죽은 글이다. 그렇다고 노골적이고 사실적으로 슬픔을 표현한다면 이는 글이 천박해질 뿐이다. 농암의 애사는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철저히 슬픔에 그 주안점을 두었고, 다양한 문장기법을 통하여 슬픔에 대한 노골적이거나 사실적인 표현이 없으면서도 산 자와 죽은 자가 하나가 되어 함께 흐느끼며 슬픔을 주체할 수 없게 하고 있다. The sad story does not make a tear and not to be is a writing which grieves and a writing which makes respects the dead person young early from is, maybe there is a talent cannot be used grief to think, maybe there is a virtue does not live long without being able, said that grief thinks. The work which from here presents with the master piece of Nong-arm about his disciples and the second cousin sibling the writing as is, will be able to guess the fact that Nong-arm puts the heart and soul. He uses a many kinds sentence technique from here and between he does not know naturally to being sad he gets wet and to make hold he is doing letting oneself with the person. First connected a sentiment and a logic and to build a logic from(由情立理), or the method which builds a nest(寄情于理) an affection in logic used. Used an examination with method of demonstration and proved(借古證今) and or proves the fact to use a fiction the method which used(以虛證實).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ignity which is mental until features of the inside puts in the same time when draws a surface shape and the technique and uses is sad naturally and to come in flocks is doing. The function which prose is general is to a utility. Specially, the sad story is the writing which informs in promotion of the person who is dying. Consequently, thing is the keynote the justly sad. The no matter how superior author to be beautiful there is a writing skill which is gorgeous, but being sad in contents, this lacks, letting is earnest with the person and the person who is living being sad and if there is not a possibility of doing to make feel, this the gruel is the writing.. But, outspoken and factually being sad, if expresses, this the writing is only will become shallowly. The sad story of Nong-arm when seeing from like this viewpoint, to being sad thoroughly, put the keynote. The sentence technique which is various leads, is about sad outspoken, or there is not expression which is factual. Also the person who is living and becomes own one is dying and feels sad together, is sad and a possibility of doing there not to make be subject is doing.

      • KCI등재

        슬픔은 어디에서 오는가?

        김경호(Kim Kyungh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2 철학탐구 Vol.31 No.-

        이 글은 슬픔의 메커니즘과 슬픔의 이해 방식을 알아보고, 우리는 슬픔을 어떻게 개념화하여 긍정적인 힘으로 바꾸어나갈 것인가를 모색한다.필자는 슬픔이라고 하는 추상적 감정은 신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경험화되고 개념화되어 일상적으로 나타나지만, 항구적으로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결국은 사라지는 감정이라는 관점을 취한다. 이 글은 먼저, 레이코프와 존슨이 제안하고 있는 ‘신체화된 마음 (embodied mind)’의 개념을 통해 ‘슬픔의 신체성’을 논의하고, 다마지오의 인지생물학적 논거를 반으로 ‘슬픔(감정)의 발현 메커니즘’을 조망한다. 아울러 언어철학과 인지언어학 분야의 논의를 근거로 슬픔의 개념화 방식과 이해의 가능성을 고찰한다. 또한 신체를 기반으로 한 슬픔의 양상을 ‘주체-자아’ 은유와 ‘행위-위치’ 은유를 적용하여 상실과 좌절의 두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자연적 감정인 슬픔을 ‘도덕적 슬픔’으로 포착하고 있는 맹자의 시도를 ‘슬픔의 도덕화’란 관점에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현재적 슬픔을 넘어서려는 적극적 시도를 ‘슬픔의 상징화 과정’으로 파악하고, 이를 ‘슬픔의 파도타기’라는 맥락에서 논의한다. 왜곡된 수동적 슬픔으로부터 균형 잡힌 슬픔으로 전환시키려는 실존적 분투는 타자와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타자로서의 자신과도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량이자 치유적 힘이다. This paper tries to know the mechanism of sadness and a way of understanding sadness, and to explore how sadness is changed into affirmative power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sadness. Above all, this writing, based on experientialism perspective which sees "embodied mind" as its core, suggested by Lakoff and Johnson, explores sadness which is an aspect of "embodied mind". And this study views "mechanism of emotional manifestation" to explore how sadness is manifested based on the basic argument of cognitive biology of A. Damasio. Furthermore, based on the discussion in the fields of Philosophy of Language and Cognitive Linguisti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y in which conceptualizing sadness is made. Through exploration for emotion of sadness based on human body, two layers of sadness are reviewed. This study also looks into trial where emotion of sadness is moralized from the point of ‘moral sadness’, ‘moralizing sadness’, and ‘moral imagination’ by Mencius. Finally, instead of conclusion, ‘process of symbolizing sadness’ is proceeded with discussion of ‘rolling on the waves with sadness’. I have this point of view that abstract emotion of "sadness" is originated from "embodied mind" and sadness is reproduced - amplified or reduced - but does not continue forever, in the end, will disappear.

      • KCI등재

        육자배기 토리 민요의 정서 표출과 음악적 표현 원리

        김혜정(Kim Hey jung) 국립국악원 2008 국악원논문집 Vol.17 No.-

        동일한 음악이라도 듣는 사람에 따라 느끼는 정서는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음악을 대상으로 거기에 담긴 정서를 이야기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음악학자들은 음악의 정서와 미학을 논하려는 시도를 한다. 왜냐하면 음악이 인간의 감정을 담아내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음악의 정서 논의는 자칫하면 주관적인 것으로 나아가기 쉽고, 실증적 분석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좀 더 객관적인 논의를 위하여 몇 가지 기준을 세워 대상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첫 번째, 상대적 가치의 문제로 정서를 다루어야 한다. 두 번째, 음악의 정서 논의는 동일한 연주층과 동일한 향유층, 동일한 기능의 음악을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세 번째, 향유층의 정서 인식 태도를 중요하게 살펴야 한다. 네 번째, 음악에서 정서의 유형을 결정하는 사항들을 찾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위의 기준 아래에서 민요의 정서 표출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육자백이토리의 향토민요로 한정할 것이다. 음악이 표현할 수 있는 정서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지만 우선 가장 분명히 드러나는 두 가지는 슬픈 느낌과 흥겨운 느낌이다. 물론 이러한 느낌은 노래를 부른 제보자들의 생각과 반응에 따른 것이다. 육자백이토리 민요 가운데 슬픈 곡으로 곡소리와 흥글소리를, 흥겨운 곡으로 동요와 강강술래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조직에 있어 슬픔을 담은 노래들은 do-Si음이 우세하게 사용되며, 흥겨움을 담은 노래에서는 Mi와 La음이 우세하게 사용된다. do-Si의 이른바 꺾는 음이 슬픔을 자아낸다는 통념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 안정감을 주는 La음과 Mi음은 슬픔보다는 안정감, 흥겨움에 가까운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선율 진행 방법에 있어 슬픔을 담은 노래들은 do-Si음을 중점적으로 사용하면서 하행하는 구조였고, 흥겨움을 담은 노래들은 La와 Mi음 사이를 오가는 형태, 특히 Mi에서 La로의 4도 상행 진행을 많이 사용하였다. 선율의 하행과 상행의 차이가 음악의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슬픔을 담은 노래는 주로 가장 낮은 음인 Mi음으로 종지하였고, 흥겨움을 담은 노래들은 주로 Mi음에서 La음으로 상행 종지하였다. 셋째, 장단에 있어 슬픔을 담은 노래들은 속도가 느리고 대개 한 숨을 단위로 하는 호흡 구조로 되어 있다. 박자가 불규칙하지만, 2+2+2 또는 3+3의 틀이 판소리의 진양조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또 흥겨움을 담은 노래들은 빠른 3소박 4박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판소리의 중중모리, 또는 자진모리에 해당하는 속도이다. 판소리에서도 진양조와 중모리가 장엄하거나, 극도로 슬픈 광경을 묘사하는데 사용되며, 중중모리가 주로 춤추는 장면에, 자진모리가 빠른 상황 전개나 열거에 사용되는 점과 유사하다. 한편 흥겨움을 담은 노래에서도 슬픔의 요소들이 사용되고 슬픈 노래에도 흥이 담긴다. 이러한 정서의 이중성은 민요에 있어 정서 표출의 원리라 할 수 있다. 마치 소금과 설탕처럼 정서의 두 요소는 함께 있을 때 더욱 빛을 발한다. 슬픈 가운데 흥겨움이, 흥겨운 가운데 슬픔이 적절히 조화될 때 비로소 노래가 되고, 노래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The emotion one feels when listening to the same music differs greatly; that is why it is difficult to talk about emotion in music. Nonetheless, many music scholars make attempts to discuss emotions and aesthetics of music. Because music is an art to express human being s emotions. Discussions for emotions in music have tendency to incline toward subjectivity, and consequently they lack substantial analysis in many cases. Therefore, in this article, several criteria have been set up to approach the objects for more objective discussion. Firstly, we should deal with emotions as a relative value. Secondly, discussions for emotion in music should target the same layer of players and enjoyers as well as the music of the same function. Thirdly, we need to examine carefully the attitudes of the enjoyers in terms of emotion recognition. Lastly, we should look for the matters that decide the types of emotion in music. In this article, under the criteria mentioned above,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expressing condition for emotion in folksong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bject has been confined to folksongs of Yukjabaekitori. There may be several kinds of emotion music can express. The most noticeable ones are the emotions of sadness and delight. Certainly, these emotions are in accord with the opinions of the informants and their reaction. Goksori and Heunggulsori from Yukjabaekitori folksongs have been selected for sad songs while traditional children s songs and Kangkangsullae are selected for delightful song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in the organization of sounds, songs with sadness show dominant use of do-si sounds while delightful songs Mi and La. This is in harmony with the common idea that the bending sound of do-Si expresses sadness. La and Mi which gives stability has the function closer to stability and delight rather sadness. Secondly, in the procession of melody, songs of sadness primarily use do-Si sounds and go downward while delightful songs show the pattern of coming and going between La and Mi, especially chord progression from Mi to La.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in melody seem to affect emotion in music. Likewise, songs with sadness end in Mi, the lowest sound while delightful songs end in La from Mi, an upward termination. Thirdly, in beat, the songs of sadness are slow and have the respiration structure that use one-breathing as a unit. Though beats are irregular, their 2+2+2 or 3+3 frame bear resemblance to Jinyangjo in Pansori. Delightful songs utilize fast 4 beat, Consist of 3 little beat; this is the speed equivalent to Jungjungmori or Jajinmori in Pansori. This is similar that In Pansori Jinyangjo and Jungmori are used to describe solemn or extremely sad scene; Junjunmori is used for dancing scene; and Janjinmori is used for quick scene development or enumeration. The elements of sadness are used in delightful songs and there is excitement in sad songs as well. This duplicity of emotion is a principle for expressing emotion in folklore. Just like sugar and salt, they produce synergy effect when they work together. When there is the optimal combination of pleasure in sadness and sadness in pleasure, a true song is made and it functions well for which it was written.

      • KCI등재

        The Effect of Ambient Sadness on Hedonic Choice

        최낙환,Tamir Oyunbileg,Naranzul Tsogtbayar 한국유통과학회 2015 유통과학연구 Vol.13 No.3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strength of sadness and the belief it will last, as regards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self-extension to the sad-evoking event on choice behavior related to self-control dilemma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an experiment involving high and low self-extension groups, 261 undergraduates answe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AMOS 19.0 and path analysis. Results –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elf-extension to the sad-evoking event and hedonic vs. utilitarian food choices was mediated by the belief that the sadness will last. There is a significant indirect path from the degree of self-extension (to the sad-evoking event) to the strength of the sadness, and to the belief that it will last with respect to hedonic vs. utilitarian food choic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 that beliefs about sad emotion transience depend on both the degree of self-extension to the sad-evoking event and the strength of sadness, and that the belief that sad emotions are transient makes sad people susceptible to temptation when facing self-control related dilemmas.

      • KCI등재

        Difference of Motive and Coping Strategy between Anger and Sadness

        Nak-Hwan CHOI 한국유통과학회 2020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11 No.6

        Purpose: Current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s of ambient anger versus sadness on motive type and coping strategy type when consumers make decision. It focused on whether the negative affects of the anger and the sadness differentially induce approach versus avoidance motive at the place of making decision, and also explored the coping strategy differences between the consumers under the anger and those under the sadness, that is, which strategy is more used between problem-focused strategy and affect-focused strategy when they are under each negative affe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of group such as the anger-felt group and the sadness-felt group.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he between-subjects design based on the anger and the sadness.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assigned to each of the anger group and the sadness group operated by the scenario method, and the data were used to verify research hypotheses by t-test. Results: – First, the anger induced the approach motive more rather than the avoidance motive in making decision. Second, to cope the negative affects, consumers under the anger used problem-focused strategy more than affect-focused strategy, while those under the sadness used affectfocused strategy more than problem-focused strategy. Therefore, this article contributes to the theory related to motive and making decision taken place to consumers under ambient negative emotions. Conclusions: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could be managerial implications to brand or product marketing managers. Checking which affect consumers previously felt between anger and sadness when they are under negative affects is at issue to the brand or product marketers when they appeal their brand or product to the consumers. The marketers should build and communicate the messages about their product or brand in the respect of the points of showing problem solution or the best way to handle things to appeal the consumers under the anger. And they should develop and communicate the messages about their product or brand emphasizing the aspects of letting consumers‟ sad feelings out somehow or controlling their emotions to the consumers under sadness.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에 기독 학부모의 신앙성숙이 사회 회피 및 불안(SAD)에 미치는 영향과 기독교 교육적 함의

        조혜정(Hye Jeong Cho)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5

        코로나19(COVID-19)의 발생과 급격한 확산으로 3월 21일-5월 5일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되었다. 접촉억제의 고육지책으로 마련된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 기간 동안 온라인 개학, 재택근무의 사회적 분위기와 동시에 교회는 현장중심의 예배나 소모임을 중단하고 가능한 인터넷 실시간 예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예기치 않은 팬데믹의 강한 전파력과 사회적 관계의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할 때 교회학교 학부모들이 갖는 사회회피 불안은 어느 정도이며 자녀의 신앙성숙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신앙성숙과 이 사회회피 불안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서울 수도권 소재 지역교회에 다니는 191명의 교회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2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사회회피 불안(SAD)척도의 신뢰도는 .92이며 신앙성숙도 척도의 신뢰도는 .94이다. 연구결과는 SAD의 총점 범위가 28-140일 때 코로나19 기간 동안 연구대상자의 SAD는 일반인의 76.67보다 높은 80.53점으로 약한 정도를 넘어 중간 정도의 증상에 해당되었다. 신앙성숙과 SAD의 관계를 회귀분석할 때 신앙성숙의 하위영역인 코이노니아가 높을수록 SAD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1%을 지닌다. 학부모의 사회회피 불안을 낮추기 위한 개인, 가정, 그리고 교회차원의 신앙성숙을 위한 방안과 대책이 무엇보다 절실한 시점이 되었다. Due to the outbreak and rapid spread of Corona 19 (COVID-19), strict social distancing was conducted from March 21 to May 5. During this social distancing period which was designed to curb contact, following the societal trends of online schooling and working from home, the church stopped on-site oriented worship services and conducted real-time worship services on the Internet. As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unexpected spread of this pandemic and its impact on social relationships we will take a closer look at the degree of social avoidance anxiety among Sunday school par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spiritual maturity and the social avoidance anxiety that affects their children"s spiritual matur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191 Sunday school par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SPSSWIN 22.0. The reliability of the Social avoidance & distress(SAD) scale is .92, and the reliability of the spiritual maturity scale is .94. The study found that when the total score range of SAD is between 28-140, the SAD of the study subject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over 80.53 points, which is higher than the general population score of 76.67. This corresponds to the moderate symptoms displayed in the test subjects.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AD, when there is a lower level of spiritual maturity along with a high level of Koinonia, SAD is shown to decrease with a 11% explanatory power. Now is an urgent time to find methods to support spiritual maturity on an individual, family, and church level to reduce parents" anxiety about social avoidance.

      • Emotional Level of Sadness for Normal and Dementia Subjects by NIRS

        Shinichi Yoshino,Katsuhisa Furuta,Tetsuo Shiotsuki,Yukihito Suzuki,Hideto Shimizu,Hiroki Takase 동국대학교 정보융합기술원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Assistive Robotics and Sy Vol.11 No.1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measure the level of sadness by the 52 channels signals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S). Normal and dementia subjects are measured while they watch the sad video story. The analysis has been done by using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of 52 measured signals, and the paper proposes to classify sadness into two classes; sequence of emotional reactions defining ‘dynamic sadness’ and accumulation of sadness defining ‘static sadness’. Both represent the feeling of sadness. They are measured quantitatively by the power over the certain frequencies and the time average of principal components of the measured NIRS signals. The measured signals of the normal subjects show that weight distribution parameters are rather large in the prefrontal cortex area corresponding from 32 to 52 channels, which indicates the subjects understanding the story. This paper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the sad emotion between the normal and dementia subjects is found by using both time average and power of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of NIRS signals over the whole measurement time. These informations may be used to test brain activities of both normal and dementia subjects.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used to measure other brain activities using NIRS signals.

      • H.264에 적용을 위한 SEA기반 고속 움직임 탐색 기법

        임찬,김영문,이재은,강현수,Lim Chan,Kim Young-Moon,Lee Jae-Eun,Kang Hyun-Soo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2 No.2

        본 논문에서는 연속제거 알고리즘(successive elimination algerian)을 기반으로 하여 H.264 부호화기의 복잡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변 블록에 대한 움직임 추정을 효율적으로 생략함으로써 고속으로 움직임 벡터를 탐색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7가지 모드의 가변 블록에 대하여 기존의 SEA를 계층적으로 적용한다. 즉, SEA를 사용해서 $4\times4$ 블록 단위로 SAD 또는 sum norm을 조합하고 이것을 각 모드의 최소 SAD 값과 비교 검색함으로써 불필요한 SAD 계산을 줄이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SEA의 SAD와 sum norm의 부등 관계에서 경계범위를 좁게 만들 수 있다. 단위 블록의 크기를 $4\times4$ 이하로 할 경우에는 경계 범위를 더욱 좁게 만들 수 있으나 계산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제안된 기법을 적용했을 때에 각 실험영상에 따른 전체적인 계산량은 H.264의 고속 전역 탐색 방식에 비하여 약 $60\%\~70\%$의 일관된 감소가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successive elimination algorithm (SEA) which can dramatically reduce heavy complexity of the variable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in H.264 encoder. The proposed method applies the conventional SEA in the hierarchical manner to the seven block modes. That is,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move the unnecessary computation of SAD by means of the process that the previous minimum SAD is compared to a current SAD for each mode which is obtained by accumulating sum norms or SAD of $4\times4$ blocks. As a result, we have tighter bound in the inequality between SAD and sum norm than in the ordinary SEA. If the basic size of the block is smaller than $4\times4$, the bound will become tighter but it also causes to increase computational complexity, specifically addition operations for sum norm. Compared with fast full search algorithm of JM of H.264, our algorithm saves 60 to $70\%$ of computation on average for several image sequ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