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D협력 활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범철(Beom Cheol Cin)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1 경영과 사례연구 Vol.43 No.1

        이 논문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6년 제조업 부문 한국기술혁신조사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R&D협력 활동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유형별 기술혁신, 혁신 장애, 기술정보의 원천으로 지식의 유입과 유출, 그리고 전유성의 조건이 R&D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직적 협력, 수평적 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모형에서 확률오차 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다변량 프로빗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수직적 협력, 수평적 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모형의 확률오차 간 상관관계의 추정계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협력 모형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프로빗 기법에 따라 추정할 경우, 편의적 결과가 유발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3개의 연구개발 협력이 상호보완적으로 고려되어 동시적으로 결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기술혁신은 유형에 따라 R&D협력 활동에 달리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제품혁신은 R&D협력 활동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신제품혁신이 기업의 수직적 협력, 수평적 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활동을 촉진하지만, 공정혁신은 기업의 수평적 협력 활동을 오히려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혁신의 장애요인이 R&D협력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의 유형과 장애요인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다. 기술혁신의 자금조달 애로와 과도한 기술혁신 비용의 부족은 수직적 협력을 촉진하는 반면 시장의 불확실성과 경쟁 심화에 의한 경제적 위험성의 상승은 대학과 연구기관의 협력을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혁신 보호 방법으로 전략적 방법은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의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학 및 연구기관의 R&D협력 활동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법률적 보호 방법은 대학 및 연구기관의 협력 활동에서만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편 외부 정보 유입은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가 산학연의 R&D협력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 보호 방법을 강화하여 기업의 전유성 확대하고 외부로부터의 혁신기술정보의 유입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다변량 프로빗 모형의 추정 결과는 유의수준 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계수의 크기는 다소 달리 나타났다. 특히, 다변량 프로빗 모형에서는 개별 수직적 R&D협력은 연구 비용과 전략적 전유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지만, 수평적 협력은 전략적 전유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determinant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using 2016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for manufacturing sectors. In doing so, multivariate probit procedure is employed to control for interdependence among three different types of cooperation activities such as vertical R&D cooperation, horizontal R&D cooperation, and R&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universit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Empircal results are summraized as follows. First of all, estimated coefficients for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type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he seperate estimation of the cooperation models by probit procedure should produce biased results. Next, the results show that new product innovation activities can lead to higher probability of participation in all type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whereas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 can reduce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on only in R&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universit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Finally, other factors such as barriers to innovations, methods of protecting innovations and information flows a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electing the type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 KCI등재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에서 연구개발투자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송영조,김종호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1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sis what extend the R&D can cause impact on the job creation, based on the Survey of the Business Activities from 2006 to 2016 conducted by Korea Enterprise Data Ltd., and National Statistics. In this report, SMEs have been categorized as leading enterprises, primary cooperation enterprises, secondary cooperation enterprises and non-cooperation enterprises. Through the analysis, following results can be deducted. First, cooperation enterprises have caused positive impact on job creation through their R&D in long and short term, and non-cooperation enterprises also have shown long term positive impact of R&D on job creation. Second, thanks to the size effect, the number of jobs increases as the scale of R&D increases, and this has been observed from both primary and secondary enterprises. However, whilst primary cooperation enterprises show long term positive impact on job creation, but secondary enterprises cannot create any significant effects. Third, in terms of technology level, the impact of R&D on job creation illustrates different results on both cooperation enterprises and non-cooperation enterprises. In the low and medium tech industry sectors, the R&D of cooperation enterprises did not create any significant impacts on job creation through both short and long terms, however, the one of non-cooperation enterprises causes positive effects in the long term. In the observations from high tech industries, the R&D impact caused by cooperation enterprises shows positive, however, any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have not been observed from the one of non-cooperation companies. The size effect which causes negative impact on job creation has not been observed on all analysis, this is estimated that subjects of analysis consist of small scaled SMEs. 본 연구는 2006∼2016년 한국기업데이터(주)와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를 이용하여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을 선도기업 1∼2차협력기업과 비협력기업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협력기업과 비협력기업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협력기업의 경우 장·단기에 걸쳐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존재하였고, 비협력기업의 경우에도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긍정적 장기영향이 존재하였다. 둘째, 협력기업 차수별 분석결과를 보면, 1·2차협력기업 모두에서 규모효과가 존재하여 R&D가 증가함에 따라 일자리가 체증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그렇지만, 1차협력기업의 경우 일자리에 미치는 긍정적 장기영향이 존재했지만, 2차협력기업의 경우 일자리에 미치는 장기영향은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았다. 셋째, 기술수준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기업과 비협력기업에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중·저기술산업에서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기업의 경우 장·단기에 걸쳐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았지만, 비협력기업은 장기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첨단·고기술산업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기업의 경우 장·단기에 걸쳐 일자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비협력기업의 경우 장·단기 모두에 걸쳐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았다.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크기효과는 모든 분석에서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분석대상이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추론된다.

      • KCI등재

        상보성에 기반한 한일 간 R&D 국제협력의 진화

        서정해 한일경상학회 2016 韓日經商論集 Vol.70 No.-

        Most of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actively deployed the international R&D cooperations at global level. Considering the fusion and converg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on, the paradigm of open innovation, and the grow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Korea, the patterns of R&D cooperation between Koran and Japan will evolve as follows; 1) The R&D cooperation will evolve from the government oriented pattern to market oriented one guided by government, and from a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o a multilateral one including the east Asian countries. 2) The R&D cooperation between Koran and Japan will evolve from a technology transfer or exchange of personnels to a R&D consortium, and various cooperations will be occurred in a framework of a joint R&D. 3) The R&D cooperation between Koran and Japan will evolve in a consideration of an industrial competitivenes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linked with their promoting policies of emerging industries. 4) The government policy of science & technology focused on an innovation and industrial technology will facilitate the evolution of a market oriented cooperation, a joint R&D, and the cooperation of considering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common principle in the R&D cooperation is the reciprocity. And it is necessary for the each partner to have the complementary capabilities.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for Korea and Japan to make various and continuous efforts based on an trust in the evolution of R&D cooperation. 세계 각국은 범세계적 차원에서 R&D 국제협력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의 융복합, 글로벌 기술경쟁의 심화, 개방형 혁신의 등장, 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 등을 고려할 때 한일 양국의 R&D 국제협력은 다음과 같이 진화할 것이다. 1) R&D 국제협력은 정부주도에서 정부유도에 기반을 둔 민간 시장주도의 협력으로, 그리고 정부유도 협력 틀에서 한일 간 쌍방협력에서 다자간 협력의 형태로 진화한다. 2) 한일 간 R&D 국제협력은 기술도입, 인적 교류 등 개별적 단편적 관계에서 공동연구 형태로 진화하여 다양한 R&D 국제협력이 국제 공동연구의 틀 속에서 이루어진다. 3) 한일 간 R&D 국제협력은 한중일 산업경쟁력을 고려하여 각국의 성장동력정책과 연계한 형태로 진화한다. 4) 산업기술 및 이노베이션 정책과 연계되는 과학기술정책은 한일 간 R&D 국제협력이 민간주도형, 공동연구형, 산업경쟁력을 고려한 국제협력의 형태로 진화함에 있어서 그 촉매제 역할을 한다. 이러한 R&D 국제협력의 진화에서 공통적인 원리는 호혜성이며, 협력 당사자가 보완적 역량을 갖추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한일 간 새로운 R&D 국제협력으로의 진화에는 상호 신뢰에 기초하여 다방면에 결처서 지속적인 협력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외부협력, 정부지원, 기업규모의 상호작용이 혁신 R&D 투자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방성식,박상연 한국국제회계학회 2020 국제회계연구 Vol.0 No.93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external cooperation, government support, and firm size on R&D investments and corporate performance, and to explore related implications. [Methodology]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s and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which are external cooperation, government support, and firm size, this study proposed and tested eight hypotheses. Data was utilized from the 2018 Korea Innovation Survey; the software used in the analysis was PLS 3.0. [Findings]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innovation-related R&D invest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Second, external cooperation had no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s and corporate performance. Third, government support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s and corporate performance. Fourth, firm size had a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s and corporate performance. Fifth, the interaction between external cooperation and firm size, government support and firm size, and external cooperation and government support had a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s and corporate performance. Sixth, the interaction among external cooperation, government support, and firm size had a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s and corporate performance. [Implications]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nduct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external cooperation, government support, and firm 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s and corporate performance. It is especially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interaction among external cooperation, government support, and firm size.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협력, 정부지원, 기업규모가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혁신 관련 R&D 투자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혁신 관련 R&D 투자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외부협력, 정부지원, 기업규모의 상호조절효과를 종합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8개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분석을 위해 2018년도 기술혁신조사 자료와 SmartPL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 관련 R&D 투자는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외부협력은 R&D 투자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셋째, 정부지원은 R&D 투자와 기업성과 사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규모는 R&D 투자와 기업성과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부협력과 기업규모, 정부지원과 기업규모, 외부협력과 정부지원은 R&D 투자와 기업성과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외부협력, 정부지원, 기업규모의 상호작용은 R&D 투자와 기업성과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R&D 투자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분석이 아닌, 외부협력, 정부지원, 기업규모가 R&D 투자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외부협력, 정부지원, 기업규모의 상호작용을 통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술혁신성과에 있어서 R&D협력과 내부R&D투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최은영,박정수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1

        본 연구는 2012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기술혁신조사(KIS)를 이용하 여, R&D협력과 내부R&D투자와의 양방향성 관계를 규명하고, 내부R&D투자와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주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기업의 내부R&D투자와 R&D협력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해서는 두 개의 방정식을 설정하고 SUR 모형으로 동시에 추정하였고 내부R&D투 자와 R&D협력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Probit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국내 R&D 활동에 관한 기존 문헌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R&D협력, 내부R&D투자 및 기술혁신과 정의 구조적 체계를 감안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R&D협력과 내 부R&D투자의 관계는 서로 양방향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내부R&D투자는 기술혁신 실현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내부R&D투자와 R&D협력간의 양방향성과 보완성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높이는 것이 R&D시스템의 효율성 제 고에 도움이 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2012 Korea Innovation Survey (STEPI)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R&D cooperation and in-house R&D investment. The study further analyzes the effect of the R&D cooperation and in-house R&D investment on technical innovation. First, the relation between company's in-house R&D investment and R&D cooperations is estimated with the two equations using SUR models. Second, the effect of in-house R&D investment and R&D cooperation on the company's technical innovation is estimated using Probit model.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existing R&D studies using Korean data in that empirical models are based o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house R&D, R&D cooperation, and technical innova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D cooperation expands the in-house R&D investment and the in-house R&D strengthen the R&D cooperation. Furthermore, In-house R&D investment increases the chances of success in innovation. As we obtain evidence of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R&D cooperation and in-house R&D invest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nvironment conducive to this complementarity in order to have more efficient R&D system.

      • KCI등재

        R&D 협력 파트너 유형 및 의존도와 혁신의 성과: 한국 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김나미 ( Nami Kim ),김언수 ( Eonsoo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6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지식과 자원이 부족한 벤처기업이 외부의 다양한 유형의 파트너와 R&D 협력 관계를 효율적으로 활용, 관리하는 것을 통해 혁신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살펴보고 있다. 혁신은 벤처기업의 생존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일반기업과 달리, 벤처와 같이 자원의 제약이 있는 신생 기업의 경우 R&D 그 자체에 있어 필요한 자원이나 혹은 이러한 신기술 또는 아이디어를 독자적으로 상품화하고 시장에 내놓는데 필요한 자원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보완해줄 외부 협력 파트너를 찾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이슈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들은 하나의 협력 관계만을 보유하지 않고, 다수의 R&D 협력관계를 동시에 맺고 여러 파트너들과 교류하고 있다. 학자들은 이러한 여러 협력 관계를 포트폴리오적인 차원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여 왔다. 협력관계를 맺고 유지하는데 있어서도 상당한 양의 시간과 자원 투자가 요구되며 관리차원의 주의(managerial attention)가 필요하기 때문에, 협력 관계를 전사(全社)차원에서 관리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자원의 부족이라는 벤처기업의 근본적인 특성을 생각해 볼 때, 벤처기업에게 있어서 더욱이 전사차원의 효율적 협력 관계 관리에 대한 고찰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벤처기업의 협력 파트너 종류의 다양성과 협력 파트너에 대한 의존도의 다양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협력 파트너 구성에 대하여 포트폴리오적인 시각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2010년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한국기업혁신조사(KIS)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존 기업 대비 벤처기업에게 있어서 R&D협력이 혁신성과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벤처기업은 이를 전사차원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데, 외부 파트너 유형의 다양성과 혁신성과는 비선형적 관계(역 U자형)를 나타내므로, 다양성만을 지속적으로 추구할 것이 아니라 긍정적 효과를 상쇄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각 파트너들에 대한 의존도는 다양하게 가져가는 것이 혁신성과에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icient way for ventures to achieve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R&D cooperative arrangements. Achieving innovation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for the survival of ventures. Unlike established firms, ventures often do not have the specialized assets necessary to take technological developments to the product and market stages. Young and resource-constrained firms can achieve innovation by finding and accessing to the complementary resources from R&D cooperation. In the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many firms are likely to engage in multiple simultaneous R&D cooperations with different partners. Recent research stream addresses the importance of efficient cooperation management from the holistic portfolio perspective. Since maintaining the multiple cooperative relations require substantial amount of time and effort, manag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play a more important role to resource-constrained firms. In order to find an efficient composition of R&D cooperative partners, we mainly focus on the diversity of partner type and dependence level in partnership. We analyze the data on Korean manufacturing ventures collected in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which was conduct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STEPI). The KIS questionnaire assesses the existence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different types of partners respectively. The types of cooperating partners are affiliated companies, suppliers, clients & customers, competitors or other firms in the same industry, consulting firm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We confirm that ventures obtain relatively higher benefits from R&D cooperation compared with established firms in terms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a moderate level of diversity in cooperative partner type composition increases innovation. Moreover, diversity of cooperation dependency among the partners enhances innovation performance. Likewise, concentrating on the quality aspects of cooperative composition, such as diversity of partners and degree of dependencies, this study offers some implications for ventures in managing partners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 KCI등재

        중소기업의 R&D와 기술혁신 : 기능부서간 협력 및 지역산업문화의 조절효과

        신진교,황수정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6

        중소기업의 와 기술혁신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R&D 일관된 연구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중소기업의 R&D와 기술혁신 간의 관계,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기능부서간 협력과 산업협력문화의 역할을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151개 중소기업으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분석한 결과 중소기업의 R&D는 기술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중소기업의 R&D와 기능부서간 협력의 상호작용 항목은 기술혁신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소기업의 경우 R&D 투자와 기능부서간 협력과 연계될 때 기술혁신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산업협력문화와의 상호작용 항목은 유의한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혁신에 대한 R&D의 주 효과와 기능부서간 협력의 상호작용 효과를 동시에 고려하는 연구가 타당함을 암시하고 있다. 논문의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결과에 요약, 해석과 토론,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 그리고 향후의 연구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MEs deploy their R&D, cross functional cooperation and industrial cooperation culture for successful technology innov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ses the main effects of R&D intensity on technology innovation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above variables. The survey data of 151 SMEs were collected and integrated as the empirical base for testing the hypotheses.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R&D intensity was influential determinant to SMEs' technology innovation. Also, R&D intensity and cross functional cooperation complement each other. SMEs' cross functional cooperation can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technology innovation. The SMEs' technology innovation is a complex task and there is no single best way available for all firm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학·연 연구개발 협력시스템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이옥선(Lee, Ok-Sun),김지대(Kim, Ji-Dae),김성용(Kim, Seong-Yong),이재욱(Lee, Jae-Wo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6

        다양한 연구개발 협력파트너와의 활동이 규모와 범위를 넘어 광대해 짐에 따라 성공적인 연구개발성과 확보 를 위하여 협력활동을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전략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질자원분야를 대상으로 대학과 출연(연), 두 연구개발주체 간의 연구개발 협력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공동 연구개발프로그램 수행, 연구자 교 류, 연구개발인프라 활용, 기술사업화 및 기관 교류활동으로 구성된 학·연 연구개발 협력시스템을 통한 협력활동은 연구개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혁신환경정도를 구분하여 학·연 연구개발 협력시스템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을 때, 높은 혁신환경에서 협력시스템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큼을 확인하였다. 또한 협력활동 종 류에 따라 개별 연구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에 따라 연구개발협력 목적에 따라 활용 가능한 협력활동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As R&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various partners are becoming huge in scale and scope, to achieve successful R&D performance, we need to systematically divide by its characteristics and to stratagemically carry out R&D cooperation activ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R&D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R&D institute in the geoscience field. The cooperation system can include activities of joint R&D program execution, R&D researcher exchange, R&D infrastructure us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business exchange. Its system seems to positively affect on R&D performance and when considering the level of innova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situation of high innovation environment its system is able to positively affect on the R&D performance. For different effect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on individual cooperation performance we can choose proper cooperation activities for R&D cooperation purposes.

      • KCI등재

        R&D협력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흡수능력의 조절효과 -

        박정수,허문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5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기업 간 R&D협력과 제품혁신과의 관계를 실증분석 한다. 더 나아가 R&D협력의 유형을 공급사슬상의 협력(수직적 협력)과 경쟁사와의 협력(수평적 협력)으로 구분하여, 기업의 흡수능력과 R&D협력의 상호관계가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 제조업 대상으로 진행된 기술혁신조사(KIS) 자료를 이용했다. 연구결과,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이 제품혁신이 정(+)의 관계가 있다는 기본 가설을 지지되었으나, 수평적 협력이 수직적 협력보다 제품혁신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기업의 흡수능력을 잠재적 흡수능력과 실제적 흡수능력으로 구분하여 R&D협력과의 상호작용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나타났다. 잠재적 흡수능력과 수직적 협력의 상호작용효과는 제품혁신에 정(+)의 관계를 가졌지만, 잠재적 흡수능력과 수평적 협력, 실제적 흡수능력과 수직적 협력, 실제적 흡수능력과 수평적 협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흡수능력을 세부적으로 분류함에 따라 흡수능력을 논의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e develop the hypotheses which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cooper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absorptive capacity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R&D cooper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tudy classifies R&D cooperation into cooperation on the supply chain (vertical cooperation) and cooperation with competitors (horizontal cooperation). We examined the hypotheses using KIS (Korea Innovation Survey) data. The results show that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cooper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product innovation. However, the hypothesis that supposes horizontal cooperation should influence product innovation more than vertical cooperation was not supported. Also, this study classifies absorptive capacity into potential absorptive capacity and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The specific hypotheses are as follow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cooperation and product performance is stronger when potential capacity is high. However other hypotheses are not supported.

      • KCI등재

        국가 R&D 사업의 국제공동연구에서 협력특성과 특허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공공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조현정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1

        This study has analyzed empirically the effect of internationaljoint R&D cooperative characteristics on the patent performance inNational R&D Program. The international joint R&D cooperative characteristics werepresented as the size factors and the pattern of R&D cooperation. Thesize factors of R&D cooperation were measured by the number offoreign organizations which participated in the joint R&D assignment,the ratio of the researchers involved and the coorperative research fundsduring the research period, respectively. The output variable wascomposed of the number of patent produced from the joint R&Dassignment.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researchers involvedand the coorperative research funds among the size factors of R&Dcooperation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patent positively. In addition,the pattern of R&D cooperation also appear to have an effect on theoutput of patent. However, the effect of the number of foreignorganizations on the performance of patent appear to be not statisticallysignificant. 본 연구는 국가 R&D사업의 국제공동연구에서에서 R&D협력의 특성이 R&D사업의 성과의 중요 지표중의 하나인 특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국제협력이 주로이루어지고 있는 공공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가 간 공동 R&D협력특성은 협력 규모요인 및 협력참여 유형으로 구분하고각각 하위측정변수를 선정하여 측정하였고, 특허성과는 국내외 특허출원수로 측정하였다. 연구모형의 실증분석을 위해 NTIS 시스템을 이용해 국가 R&D사업에서 국가 간 공동 R&D협력과제를 수행하는 공공연구기관 273개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음이항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가 간공동 R&D의 규모요인 중 협력연구 참여인력비율과 협력연구비비율은 특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협력참여기관수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국가 간 공동 R&D의 참여유형이 특허성과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