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시의 아포리아

        오문석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5 No.-

        There are some widespread notions that proletarian literature is not suited to research in times of a period of ebb of progressive literary movements. As the idea of proletarian literature revealed its falsehood, it came into being a distance that could refect on the simplicity of its passion. But the distance is not only one of indifference about proletarian literature, but also one for awaits "new approaches" toward that. The new approaches would be neither past modes which affirmed proletarian literature entirely, nor present modes which take for granted of denying and averting from proletarian literature. The new approaches have to reflect a distance between entire affirmation and entire negation truly. So as to that, researchers must talk not with the front side of proletarian literature, but with the reverse side that proletarian literature could not remember for itself. The reverse side of proletarian literature is certain point of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which can make possible proletarian literature and can bring about impossibility of proletarian literature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bourgeois lyric played a that role in opposition to proletarian poetry. Bourgeois lyric opened the possibility of proletarian "poetry", but, as long as it remains as bourgeois lyric, it would not "proletarian" poetry yet. Therefore the true proletarian poetry is born from a double-distance that recognizes bourgeois lyric as the possibility of poetry, and that keep watches bourgeois lyric as the cause of impossibility of proletarian poetry. It is the point, in which inherent aporia of proletarian poetry, that permits affirmation and negation on bourgeois lyric. Such an aporia could be called as the reverse side of proletarian poetry, which have not shown itself, but existed always in a process of development of proletarian poetry. Thus, a new approach toward proletarian literature have to start not from the front side but at the reverse side of that literature, which is filled with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진보적 문학운동의 퇴조와 더불어 프로문학은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연구 대상이 아니라는 생각이 만연해 있다. 프로문학 이념의 허구성이 드러나면서 그 열정의 소박성을 반성할 수 있는 거리가 생긴 것이다. 그러나 그 거리는 프로문학에 대한 무관심의 거리이면서, 프로문학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을 기다리는 거리이기도 하다. 새로운 연구방법이란 프로문학에 대한 전적인 긍정이 허용되었던 과거의 방식도 아니고, 그것에 대한 전적인 부정과 외면을 당연하게 생각하는 현재의 방식도 아닐 것이다. 새로운 접근법은 프로문학에 대한 전적인 긍정과 전적인 부정 사이의 거리를 충실하게 반영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연구자는 프로문학의 정면과 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문학 자신도 기억하지 못하는 뒷면과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프로문학이 기억하지 못하는 뒷면이란 프로문학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프로문학의 불가능성을 초래할 수 있는 "모순"과 "역설"의 지점이어야 한다. 예컨대, 프로시에게 있어서 부르주아 서정시가 그러한 기능을 하였다. 부르주아 서정시는 프로"시"의 가능성을 열어주었지만, 동시에 부르주아 서정시에 머물러 있는 한 "프로"시는 아닐 것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프로시는 부르주아 서정시를 시의 가능성으로 인정하면서, 동시에 부르주아 서정시를 프로시의 불가능성을 초래할 것으로 경계하는 이중적 거리에서 탄생하는 것이다. 부르주아 서정시에 대한 긍정과 부정이 동시에 허용되는 지점이야말로 프로시의 아포리아가 내재하는 지점이라 할 것이다. 또한 프로시인들이 도시를 대하는 태도에서도 그러한 모순이 드러난다. 도시를 배경으로 하여 태어난 프로시는 프로시를 가능하게 만든 도시를 부정하고 농촌의 공동체적 사회를 지향하는 모습을 보인다. 농촌의 정서를 지향한다는 것은 프로시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긴 하지만, 또한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프로시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프로시는 도시에 대한 부정과 과거 농촌의 공동체적 사회로의 복귀 불가능성이라 는 모호한 지점에 서게 된 것이다. 농촌과 도시, 어디에도 소속을 정할 수 없는 프로시의 처지는 프로시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기반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프로시의 기반에 모호성과 모순, 역설이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이 프로시에 대한 연구에서는 그 중요성을 충분히 인정받지 못했다. 오히려 프로시의 이념적 자명성을 프로시의 기반이자 연구자의 기반으로 삼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프로시의 시대적 유효성이 상실되고, 그 기능의 자명성이 의심받게 되는 최근에 이르러 프로시 연구의 필요성이 현저하게 줄어든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오히려 지금과 같이 모든 프로시의 자명성이 사라진 시대가 오히려 프로시 본래의 기반에 일치하는 것이며, 연 구 대상에 대한 진정한 접근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프로시의 전개과정에서 전면에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항상 존재하였던 그러한 아포리아를, 즉 프로시의 뒷면을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시뿐만 아니라 프로문학 전반에 대한 새로운 연구는 연구 대상으로 하여금 자신의 정면만을 보게 하지 않고, 모순과 역설로 가득한 모호한 뒷면을 동시에 보게 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고 믿는다.

      • 1920년대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시인들

        권재일(Kwon,Jae Il)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1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1920년대 전반기의 체코 문단에 적용된 문학 경향으로서 사회의 불공정과 불평등을 교정하고 제거하기 위해 혁명을 지지하며, 사회의 가장 가난한 계층인 프롤레타리아의 이익에 봉사하고, 프롤레타리아의 입장에서 사물을 관찰하며, 프롤레타리아로부터 새로운 창조성의 원천을 찾으려는 문학 운동이다.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정치와 사회에 등장한 혁명 운동의 영향을 받으면서, 동시에 전후 유럽 사회의 급진주의적인 경향과도 관련을 갖는다.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또한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의 프롤레타리아 예술 운동의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특히 19세기 말의 체코 내 사회민주주의 운동과 마르크스주의 운동의 전통과도 맥이 닿아 있다.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이르는 현대 체코문학의 황금기의 시작을 장식하는 문학 운동으로서, 현대 체코 문학의 기라성 같은 거장들이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에 참여하거나 지원을 제공하였다. 시의 사이페르트. 호라, 볼케르, 소설의 반추라, 올브라흐트, 문학이론의 타이게, 샬다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최고 시인은 볼케르이다. 그의 죽음과 더불어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전성기를 마감할 정도로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에서의 그의 위치는 확고하다. 볼케르의 문학은 프롤레타리아의 해방과 혁명이라는 이데올로기를 추구하면서도, 이성과 감성, 개인과 집단의 조화와 연대를 동시에 추구하였다. 볼케르 문학의 이러한 특성이 그의 많은 시들로 하여금 이데올로기 지향적이고, 경향적인 시의 한계를 뛰어넘어 ‘체코시의 가장 귀중한 유산’으로 자리 매김 하게 만들었다.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가장 먼저 출발시킨 호라 역시 풍부한 감성과 냉철한 지성을 바탕으로 훌륭한 시들을 남기고 있고, 뒤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게 되는 사이페르트도 사회 혁명과 예술 혁명의 결합에 의한 독특한 시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렇듯 걸출한 시인들의 활동으로 체코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전후 체코 문학의 서막을 화려하게 장식한다. The movement of Czech Proletarian literature has its main phase in the first half of 1920s. After 1918 many of the Czech intellectuals supported the social revolution in newly born Czechoslovak Republic. They were inspired by the Russian Revolution as well as the domestic tradition of the Czech Social democracy and Marxist doctrines. Many writers and poets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as well. Literary theoretician Karel Teige and literary critic F. X. ?alda provided them with theoretical orientation of the movement. In contrast to prewar individualism, social experience and collectivism were to be the starting point for all literary and poetic creation. The themes like social justice, class consciousness, ideology, proletarian revolution, collective life had a leading role in their literary works. Acoording to the doctrine of the Proletarian literature, literary work should be easy enough to be understandable and acceptable by the proletariat, and the proletarian poets and writers were advised to introduce lower and folk style in their poetry and novels. Czech Proletarian literature has been applied more in the field of poetry than in the prose. This is the reason why the Czech literary historians more often use the term Proletarian poetry (prolet??sk? poezie) rather than Proletarian literature (prolet??sk? literatura). The leading poets of Czech Proletarian literature, Josef Hora and Ji?? Wolker were also the leading literary personalities of Czech literature of the 1920s. Both Jaroslav Seifert, a Nobel-prize winner in literature, and Jind?ich Ho?ej?? have started their literary career as proletarian poets. With the publication of The Difficult Hour (T??k? hodina) by Wolker in 1922 Czech Proletarian poetry reaches the peak. However, after the premature death of Wolker in 1924 Czech Proletarian poetry declines and it gives way to the new avantgarde movement, Poetism. A series of poets follow Wolker's examples, but their literary achievements are far behind their leader. Nevertheless, Czech Proletarian poetry has produced many good works. For example many of Wolker's poetry belong to the most precious property of Czech poetry. Czech literature of Proletarian and Poetism phase of 1920s marks the beginning of the Golden Age of Modern Czech literature.

      • KCI등재

        ‘전향’의 윤리, ‘혁명’의 기억 : 해방 이후 박영희의 문학사 서술에 나타난 기억의 정치

        박지영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4 No.-

        본고는 전향자이자 친일부역자인 박영희가 해방 직후 서술한 문학사를 분석하여 한국근대문학사 서술의 한 경향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해방 이후 박영희는 자신의 전력으로 인해 생긴 소외감과 고독감을 극복하기 위해서 문학사를 서술했다고 회고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학사 서술의 목적은 자신들의 전향과 친일의 경력을 역사적으로 정당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박영희의 문학사를 ‘전향 서사’로 분석하고자 한다. 해방 이전 박영희는 전향 서사를 통해서 자신의 변절 행위에 대한 윤리적 정당화를 시도한다. ‘독방’에 갇힌 개별자의 고독이 가져온 존재론적 공포를 부각시키며 생존서사로 전향서사를 탈정치화시킨다. 또한 전향자를 윤리적 인간으로 형상화하여 전향 선택에 ‘어쩔 수 없음’이라는 정당성을 부여한다. 여기에 유물론 비판이 이어지면서 전향 행위에 논리적 필연성을 가미한다. 해방 이후 서술된 문학사는 이러한 개별자의 전향 서사를 보편적 역사로 치환시켜 전향 행위를 정당화시키고자 한 박영희의 기획된 산물이다. 해방 이후 박영희는 문학사에서는 프로문학 운동사를 민족해방운동사로 치환하여 서술한다. 그러면서도 프로문학 운동의 전성기는 서술하지 않고, 대신 전단계인 신경향파 문학의 고평을 통해서 프로문학의 공적을 논하고자 한다. 이는 신경향파 문학을 프로문학의 비중만큼 부각시켜 그 시대의 정치성을 희석시키고자 한 의도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프로문학 운동이 발전하지 못하고 왜 소멸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부각시키며, 그 이유를 외부적 압력보다는 소재의 제약이라는 내부적인 한계를 통해서 증명하고자 한다. 프로문학의 정당성을 부각시키기보다는 몰락의 서사를 통해 운동사를 구성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의도는 전향소설로 프로문학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한 점이 증명해 주는 것이다. 또한 프로 문학의 소멸 이후의 문학사는 『문장』지 중심의 전통론과 역사소설로 끝맺는데, 이 관점에는 친일 서사와 민족주의 서사가 혼용되어 있는 것이다. 이처럼 박영희는 문학사 서술을 통해서 자신의 프로문학 활동을 민족해방을 위한 투쟁으로 둔갑시키는 동시에, 자신의 전향 행위도 정당화시키고자 했다. 또한 그의 근대문학사 서술에서 친일의 시대가 지워져 있는 것은 전향은 정당화될 수 있어도 친일은 용서받지 못했던 당대 사회적 상황을 의식한 행위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영희의 문학사는 전향 서사로만 매끈하게 봉합되지 않는데, 이 균열은 그가 혁명가로서의 형상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다. 비록 신경항파나 민족주의 서사 내부에서 만들어진 혁명가의 서사지만, 비밀결사와 동지, 그리고 죽음이라는 키워드로 이어지는 혁명 운동의 형상을 부각시킨 것은, 그가 전향하기 이전 혁명가상에 대한 전유를 포기하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렇게 분열된 전향자의 내면은 한국의 혁명가를 굳건한 사상가로 표현하지 못하고, 그 대상의 실체와 사상적 고뇌라는 매개 없이 낭만화된 형태로 인식하게 한다. 이처럼 박영희 문학사 서술은 전향과 친일, 그리고 해방 이후의 건국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파고 내부에서 벌어지는 여러 사상사적 변전 형태가 균열하며 봉합된 복합적 텍스트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history of literature narrated by Park Yeong-hee a convert and pro-Japanese collaborator and to discuss a tendency of the narr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Park Yeong-hee reflected that he wrote the history of literature to overcome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loneliness arising from his past. However,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his narra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to historically justify their conversion and pro-Japanese past.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Park Yeong-hee’s history of literature as “conversion narration.” Park Yeong-hee attempts to do ethical justification of his conversion act before the liberation through the conversion narration. He depoliticizes the conversion narration into survival narration by highlighting ontological fear brought about by the loneliness of the individual locked in a “cell.” Also, he justifies the choosing of conversion into “inevitability” by embodying a convert into an ethical human being. By adding materialistic criticism to this, logical necessity is added to the conversion act. The history of literature narrated after the liberation is Park Yeong-hee’s planned product to justify the conversion act by replacing the conversion narration of an individual with universal histor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liberation, Park Yeong-hee narrates by replacing the history of proletarian literature movement with the history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But he does not narrate the peak period of proletarian literature movement, and instead, he attempts to discuss the contribution of proletarian literature through the review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literature of its prior stage. This can be seen as the intention of attempting to dilute the politics of the age by highlighting the anti-conventional school literature as much as the proletarian literature. Also, he highlights why the proletarian literature movement was not able to develop further and became extinct and attempts to prove the reason through internal limitations of limited material rather than external pressure. He composed the history of movement through the narration of collapse rather than highlighting the justification of the proletarian literature. This intention is proved by his marking the end of proletarian literature age with a conversion novel. Also, the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extinction of proletarian ends up with the theory of tradition and a historical novel centering on Munjang magazine, and in this perspective, pro-Japanese narration and nationalism narration are used interchangeably. In this way, Park Yeong-hee turned his proletarian literature activities into the struggle for national liberation through the narration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attempted to justify his conversion act. Also, in the narra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the pro-Japanese age was deleted and this can be seen as the act conscious of social circumstances of the time where conversion could be justified but pro-Japanese act could not be forgiven Nevertheless, however, Park Yeong-hee’s history of literature is not stitched smoothly as conversion narration alone, and this crack results from his refusal to give up his image as a revolutionary. Although it is the narration of a revolutionary made on the inside of the narration of the anti-conventional school or nationalism, his highlighting the embodiment of revolutionary movement that is connected with the keywords as underground organization and comrade, and death shows that he did not give up the exclusive possession of revolutionary image that he had before he turned into a convert. The inner side of such a divided convert could not express a Korean revolutionary as an indomitable thinker and it is recognized in the romanticized form without the mediation of the substance of the object and ide...

      • KCI등재

        프로문학의 윤리적—미학적 조건 - ‘내용 형식 논쟁’을 중심으로

        조지혜 상허학회 2024 상허학보 Vol.71 No.-

        이 글은 프로문학운동의 첫 논쟁으로 자리매김된 ‘내용형식 논쟁’의 경과를 다시 살핌으로써, 어떻게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주체들이 ‘문학’으로 지칭되던 부르주아 문학과 다른 재현의 문법을 모색하고 만들어내려 했는지를 조명한다. 서로 다른 미감과 의식을 담지하는 주체들의 간극을 확대하여 보여주며, 「철야」는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의 변형 과정을 세밀하게 조명한다. 빈궁한 주체에게 그러한 물질적 조건과 생활에서 ‘맛’, ‘소리’, ‘건축’ 등이 어떻게 전혀 다르게 감수(感受)되고 의식되는지를 섬세하게 묘사함으로써, 이 소설은 주체가 자신의 기존 감각과 감성과 더 이상 ‘자연스러운’ 관계를 맺지 않으며 그 감수성의 형식과 단절되는 과정과 경험을 재현한다. 박영희는 묘사나 실감, 예술적 형식이 프롤레타리아 문학에서 폐기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어떤 ‘현실’과 ‘실재감’에 대한 어떤 형식의 재현이 프로문학/문인의 모델이 되어야 할지를 모색하는 일이 프로문학의 과제라는 점을 강조했다. ‘내용형식 논쟁’을 계기로 카프가 ‘박영희 노선’을 취했다고 한다면, 그 집단적 결정은 이전 시기에 무징의 ‘문학’, ‘실감’, ‘현실’이라고 지시되던 규범적 틀에 대한 비판과 반성으로서의 문학을 계속 견지해나가며 심화 발전시키기 위한 경로를 카프가 택했음을 의미한다. 부르주아가 지배적 지위에 있는 사회의 ‘정상적 규범’이 지시하는 문학과 다른 문학을 수행하기 위해 ‘문인’으로서나 ‘문학’으로서 실패하기를 무릅쓴 프로문학운동은 ‘정치’를 위해 ‘미학’을 수단화한 행위가 아니라 엄밀한 의미의 미학적인 실천으로서 집단적으로 추구되었다. 프로문학이 미학적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과 윤리적일 수 있는 조건은, 프로문인이 문학을 통해 기성의 문인 주체성을 의문시하고 자기 확신의 기반을 손상시킨다는 반성적 실천에서 구조적으로 만난다. ‘내용형식 논쟁’을 통해 표명된바 판단에 있어 ‘프로문인’의 자기 확신과 자기 주장에 대한 반감 및 주체로서의 자기 분열과 자기 소외라는 원칙은 이후 미학적 공동체로서의 카프에서 견지된다.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vs. Form’ debate as the first debate within the Proletarian Literary Movement,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subjects of proletarian literature sought to produce a grammar of representation different from that of bourgeois literature. With a detailed description of discrepancies in taste and consciousness between the subjects, the "Staying up All Night" illuminates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subjectivity. The fiction represents the protagonist’s experience of breaking off from his previous form of sensibility, showing how a subject’s perception and thoughts change under the material condition of poverty. Park Young-hee didn’t advocate discarding description, reality and artistic form in proletarian literature but rather stressed that the proletarian literature must find a form of representing a ‘reality’ for the model for proletarian literature/writer. If KAPF chose the path of ‘Park Young-hee route’ with impetus from the ‘Content vs. Form Debate’, it was a collective decision aimed at furthering the development of literature of critique and reflection, in contrast to the ‘literature’ and ‘reality’ of bourgeois literature. The proletarian literary movement, running the risk of failure as both writers and literature in a society dominated by the bourgeoisie, was not an instance of political manipulation of art, but rather an aesthetic practice of the community. The conditions for proletarian literature to exert the aesthetic force and be ethical meet structurally within the reflective practice of questioning the existing subjectivity and damaging the foundation of self-confidence. After the ‘Content vs. Form Debate’, KAPF consistently upheld principles of repugnance for self-confidence and self-assertion in judgment and of self-division and self-alienation as part of its identity as a aesthetic community.

      • KCI등재

        세계문학과 프로문학의 이름으로 -식민지시기 루쉰 수용과 ‘중국문학’의 위치

        이용범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4 No.-

        This thesis dealt with the problem of ‘Modern Korean Perception of China’ reveale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modern Chinese literature centered on Lu Xun in colonial Korea in the 1930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acceptance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is that the existence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which has an affinity with Korean literature, was concealed. Korea’s acceptance of Lu Xu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characterized by strong influence of mediation terms such as World Literature or Proletarian Literature. The authority of World Literature, which was appropriated by overseas literary groups, was also the recognition of the most general literature of the time. In colonial Korea, Lu Xun was repeatedly called out as a member of World Literature based on Romain Roland’s ‘complmentary’ rather than analysis on his work. In the course of the Chi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debate in the late 1920s, Qian Xing Cun(錢杏邨, 1900-1977), a left-wing literary critic, declared Lu Xun as an existence that could not keep up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is radical ‘death sentence’ was quickly spread throughout East Asia via the Chinese-Japanese Proletarian Literature network. Around 1930, when Lu Xun began to be introduced in earnest to colonial Korea, the mainstream of East Asian criticism on Lu Xun was the image of the “The Bygone Era of Ah Q” by Qian Xing Cun. It was Karashima Takeshi(辛島驍, 1903-1967),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hinese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who brought this perspective to colonial Korea. Although the Department of Chinese Literature at Keijo University had the authority of academia, their understanding of Lu Xun, which was followed by Takeshi Karashima, Kim Tae-Joon(金台俊, 1905-1949), and Lee Myeongseon(李明善, 1914-1950), had a fatal weakness in that it lacked direct reading of Lu Xun’s works. Nevertheless, the authority of the university system was the object of envy of intellectuals in the private academic society. Kim Gwang-ju(金光洲, 1910-1973) and Jeong Rae-dong(丁來東, 1903-1985)’s ‘companion’ network tried to appropriate the realm of Chinese literature in earnest based on local experience and Chinese reading ability.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and introduction to Chinese literature, Kim Kwang-ju was exposed to the envy of Western authority enjoyed by World Literature. The most authentic criticism on Lu Xun of colonial Korea was written by Jeong Rae-dong. Jeong directly refuted the “The Bygone Era of Ah Q” that dominated colonial Korea, while showing the true value of “Wild Grass,” the earliest period in East Asia at the time. Outside the authority of World Literature, Proletarian literature, and academia, a new level of Chinese literature research of Korea began to open. 이 논문은 19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루쉰을 중심으로 한 중국현대문학 수용 과정에서 드러난 ‘근대 한국인의 중국인식’ 문제를 다루었다. 식민지시기 한국의 루쉰수용은 세계문학이나 프로문학이라는 매개항의 영향력이 강했던 특징이 있었다. 해외문학파가 전유하고 있던 세계문학의 권위는 당대 가장 일반적인 문학에 대한 인식이기도 했다. 식민지 조선에서 루쉰은 작품론보다는 로맹 롤랑의 ‘칭찬’에 의거한 세계문학의 일원으로서 반복되어 호출되었다. 1920년대 후반 중국 혁명문학 논쟁과정에서 프로문학계열의 첸싱춘(錢杏邨)이 루쉰을 시대의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는 존재로 선언한 평론 「죽어버린 아Q시대(死去了的阿Q時代)」은 곧바로 중·일 프로문학 네트워크를 타고 동아시아 전체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1930년 전후, 식민지 조선에 루쉰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하던 시점의 동아시아 루쉰론의 대세는 「죽어버린 아Q시대」의 이미지였다. 식민지 조선에 이러한 관점을 수입한 것이 경성제국대학 지나문학과 교수 가라시마 다케시(辛島驍)였다. 경성제대 지나문학과는 아카데미즘의 권위를 지니고 있었지만, 가라시마 다케시, 김태준, 이명선으로 이어지는 루쉰론은 정작 루쉰 작품에 대한 직접적인 독서가 부족했던 치명적인 약점이 존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제도의 권위는 민간학술사회의 지식인들에게는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김광주의 정래동의 ‘동로자’ 네트워크는 현지경험과 중국어 독해능력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중국문학의 영역을 전유하고자 했다. 김광주에게는 중국문학에 대한 이해와 소개와 더불어, 대문자 문학이 향유하는 서구적 권위에 대한 선망이 노출되고 있었다. 식민지 조선의 가장 본격적인 루쉰론은 정래동에 의해 쓰여졌다. 정래동은 식민지 조선을 풍미하던 「죽어버린 아Q시대」를 직접적으로 반박하는 한편, 당시 동아시아에서 가장 이른 시기 들풀 의 진가를 알아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세계문학, 프로문학, 아카데미즘의 권위 밖에서 오히려 중국문학 연구의 새로운 경지가 열리기 시작한 것이다.

      • KCI등재

        프로소설에 나타난 미학의 정치성 연구 - 자크 랑시에르의 문학의 정치 개념을 바탕으로

        김정남(Kim, Jeong-nam)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현대소설연구 Vol.- No.8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political orient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ideological core of the proletarian novel, is realized and materialized in the aesthetic dimension of the novel, based on Jacques Rancière’s concept of the politics of literature. In particular, Rancière sees that “a system of distinction of art contains a politics or meta-politics” and that the expression “the politics of literature” has been defined as “the intervening of literature as literature within the compartments of time and space, speech and noise,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Such theoretical argument is related to the politicity of aesthetics to be identified in the text in more detail. This approach to proletarian novel is also a political work to save the proletarian literature from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not only in academia, but also in education and the reading public. The achievements of proletarian novels from the 1920s to Liberation Space clearly show that they are comparable to or exceed those of other contemporary works. Proletarian novels not only full use various aesthetic forms to embody the recognizing of colonial modernity, but also realistically describe the process of class awakening and solidarity in various spaces ranging from the barren migration space of Gando to the factories where exploitation is commonplace and the rural areas where plundering is common. Through this process, the proletarian novels concretely practice the Rancière’s literary politics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society of police’ is ‘politics’. It means the fact that is a proletarian novel that while constantly overturning the hierarchy between dominant and the dominated, good man and evil, ethical and unethical, and ethnicity and aliens, the oppressive reality was imploded through the method of rearranging the order of police in which the senses are partitioned. Proletarian nove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not able to properly evaluate their aesthetics for a long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ue to the preconceived notion of schematicity and the stigma of radicality. As in this study, when prejudice against proletarian novels is removed and the concrete Politics of Aesthetics is given a reasonable meaning, the flow and performance of the people literature and the labor literature of the 1970s and 1980s that lie in this continuum are also evaluated appropriately. Considering the lives of the people here and now, where domination and subjugation by capital become more subtle and vicious, it is clear that the distinct achievement of a proletarian novel reflecting on colonial modernity is a old future for other times of liberation.

      • KCI등재

        1920년대 후반 임화 평론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수용과 예술의 정치화

        이성혁 한국미학예술학회 2013 美學·藝術學硏究 Vol.37 No.-

        1차 세계 대전 전후에 등장한 아방가르드는 기성의 예술이 삶으로부터 분리되어 제도화되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예술과 삶의 일치를 꾀한 집단적인 예술 운동이다. 아방가르드는 기존 예술의 재현 양식을 파괴하고 여러 실험을 통해 실생활을 예술적으로 재조직하고자 했다. 일제 강점기 한국에서 이러한 아방가르드의 요건과 상당히 부합하는 활동을 보여준 이는 임화이다. 그는 당시 아방가르드 예술의 급진성을 그 누구보다도 열정적으로 수용했고, 이를 소화하여 전위적이고 정치적인 시의 창작으로까지 나아갔다. 그는 창작만이 아니라 아방가르드 이론을 수용한 평론을 발표하면서 전위적인 예술 활동을 전개했다. 임화는 이탈리아 미래주의와 소용돌이파를 소개하는 평론을 발표하면서 아방가르드 이론을 수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는 현대의 속도와 새로움을 재현하고자 했던 이탈리아 미래주의를 비판하고, 원시적 생명력을 비재현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소용돌이파를 받아들였다. 아방가르드의 이러한 선별적인 수용을 통해, 그는 "프로문학"을 프롤레타리아의 억압된 생명력이 표출되는 문예로서 이론화했다. 또한 그는 프로문학은 아방가르드처럼 미리 정해진 양식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물건"도 가능하다고도 주장하기도 했다. 여기에서 프로문학이라는 "물건"을 어떻게 제작할 것인가의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데, 이때 그는 무라야마 토모요시와 마보(MAVO)의 예술론과 만나게 된다. 1920년대 중반, 일본의 예술계를 뒤흔든 무라야마와 마보는 직업예술가로서의 전문가가 되길 거부하고 비예술 영역을 횡단하면서 작품 제작을 아방가르드적으로 실천해나갔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형성예술"(buildende kunst)의 제작 활동을 통해 혁명하고 창조하고 첨단에 서는 일이었다. 조각가 김복진은 마보의 예술론을 수용하여 프롤레타리아 예술운동과 "형성예술"을 결합시키려고 했다. 임화는 이를 이어받아 마보의 횡단적인 예술 활동 방식을 선전선동 활동으로 전환시켜 의식적으로 정치화하자는 주장을 폈다. 그는 "프로문학"이 현실을 담는 재현물이 아니라 아방가르드처럼 현실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현실을 변화시키려는 선전선동 예술이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임화는 선전선동 문학을 의식적으로 창작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 위해서 프롤레타리아 생명력의 표출이라는 프로문학론에서 더 나아가야 했다. 이는 무라야마 토모요시가 다다(DADA)와 결별하고 프롤레타리아 예술로서 러시아의 구축주의를 수용하는 전환과 관련된다. 이 수용을 통해 무라야마는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예술관을 받아들이게 되는데, 이 예술관은 바로 임화가 주장한 프로문학의 실용성인 선전선동과 상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예술을 부정함으로써 예술을 미학에서 해방시키려고 한 러시아 구축주의를 수용하면서, 임화는 예술이란 범주를 완전히 지양해야 한다는 과격한 발언까지 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임화는, 기술과 실험, 재료의 조직이 사회를 전진시킨다는 러시아 구축주의의 주장을 받아들여, "프로 예술"을 세상을 바꾸는 "무기로서의 기술"이라고 정의한다. 그 이후에 그는 당시로서는 첨단적인 기술이 필요한 예술 장르인 영화계에 들어가고, 여기서 습득한 영화적 기술을 활용하여 "단편서사시"를 창작하게 된다. Avant-garde of around the First World War was the collective art movement which tried to keep a balance between art and life. It criticized the existing art as institutionalized. Avant-garde not only has destroyed the representation of the existing art but also has tried to reorganize a real life artistically through several experiments. It was Lim Hwa that did active work of such an avant-garde in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hile Lim Hwa accepted the radicalism of avant-garde impassionedly at that time, he wrote the radical and political poems digesting this avant-garde. He announced not only a literary creation but also the literary criticism which had accepted avant-garde theory. Lim Hwa started to accept the avant-garde theory while publishing the literary criticism of introducing the Italian Futurism and Vorticism. But he criticized the Italian Futurism as representing the modern pace and freshness. He accepted the Vorticism of expressing the primitive life force with non-representational. He had made the "proletarian literature" as the literature expressed by the repressed life force of proletarian through selective acceptance of avant-garde. He had insisted that proletarian literature could be "something" because proletarian literature did not have fixed-method. Thus he was getting into trouble how to make the proletarian literature. At that time he met Murayama Tomoyoshi and the art theory of MAVO. In the mid-1920s, Murayama Tomoyoshi and MAVO who shook the Japanese art world had refused to be a professional artist. They had practiced the avant-garde work while going across the non-art world. It had been important for them to revolute, to create and to stand on state-of-the-art through manufacturing the "buildende kunst". Sculptor Kim Bok-jin tried to combine the proletarian art movement and buildende kunst accepting the art theory of MAVO. Lim Hwa insisted that the artistic activities ways of MAVO should be politicized consciously by converting it into the propaganda-agitation activities. He insisted that "proletarian literature" should not be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any more but it should be the propaganda-agitation art of changing a reality like avant-garde. In order to create the propaganda-agitation literature consciously, Lim Hwa had to surpass the proletarian literature theory which expressed the proletarian life force. It was related that Murayama Tomoyoshi not only broke with DADA but also accepted Russian Constructivism as the proletarian art. Murayama Tomoyoshi accepted the functional and practical view of art. This practicality was equivalent to the propaganda-agitation of proletarian literature practicality which Lim Hwa had insisted. Accepting the Russian Constructivism which tried to liberate the art from the esthetics, Lim Hwa employed violent language to sublate the art category completely. Simultaneously accepting the Russian Constructivism which insisted that technology, experiment and material should develop the society, Lim Hwa defined the "proletarian art" as the "art for weapons" of changing the world. Since accepting the Russian Constructivism he entered the movie world which needed the state-of-the-art technology at that time. He created the "short epic" making full use of cinematic skills acquired there.

      • KCI등재

        프로문학과 운명 그리고 법

        최병구(Choi, Byoung Goo)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4 No.-

        이 글은 프로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기하기 위해 운명과 법이라는 키워드에 주목하여 1920년대 프로소설을 분석했다. 지금까지의 프로문학 연구는 운동사/비평사적 관점에서 수행됨으로써, ‘소설과 비평의 간극’을 확대시키고, 1920년대 프로소설을 ‘이념의 미달태’로 정의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작업은 ‘이념’의 외부에서 소설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일이다. 1920년대 프로소설은 ‘운명의 무죄성’에 대한 자각과 사회제도의 모순을 비판하려는 의지로 구성되었다. 사회제도는 법권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학교, 교회 같은 기관들의 중층구조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구조는 인간의 운명을 불행으로 만드는 구조적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1920년대 프로소설은 이러한 지점들을 하나의 장치처럼 소설 곳곳에 배치시켜 놓고 있다. 이를 통해 프로소설은 사회 제도에 의해 억압된 인간을 구원하겠다는 휴머니티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 점은 프로문인이 전유했던 사회주의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앞으로의 프로문학 연구는 이러한 지점들을 고려하는 가운데 새롭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1920s proletarian novels focusing on key words of fate and law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proletarian literature. Proletarian literature studies until today have focused on history of movement and critique, expanded ‘gap between novels and critiques,’ and defined 1920s proletarian novels as ‘a form of incomplete ideolog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thing that needs to be done is to look at the inside of the novel from the outside position of ‘ideology.’ Proletarian novels of the 1920s are structured with consciousness of ‘non-guilt of fate’ and the will to criticize contradictions of the social system. The social system consists of layers such as the power of the law and facilities that support the law, such as schools and churches. This structure is presented as a structural reason that causes misfortune in the fate of people. 1920s proletarian novels place these points here and there in the stories. Through this, proletarian novels express humanity that tries to save people repressed by the social system. Above all, this is an important point because it shows what socialism claimed by proletarian writers is. Future studies on proletarian literature can find a new direction that considers such points.

      • KCI등재

        프로문인의 환상과 ‘소부르주아적 감상’: 프롤레타리아 주체화의 내부적 외부

        조지혜 민족문학사연구소 2023 민족문학사연구 Vol.83 No.-

        이 글은 프로문인들이 어떤 환상적 문법에 의해 지각과 욕망을 구조화하고 있었는지를 조명함으로써, 문학으로 프롤레타리아 운동에 참여하고자 했던 주체의 고유성과 윤리적 가능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문학에 있어 ‘소부르주아적 감상’이란 프롤레타리아의 감정과 감성을 표현하려 하였으나 문인 자신의 파토스가 표출되어 버렸다는 ‘실패’ 판정을 의미했다. 이 점에서 프로문학의 ‘감상’은 프로문인의 기획이 실패하는 국면이면서 또한 ‘프로문인’ 주체 특유의 입장이자 증상과 결부되어 있다. 프로문인이 타자의 고통이라는 실재에 대해 자신을 방어하는 환상적 스크린을 세우거나, 취약하고 위태로운 타자와의 관계를 떠난 ‘대의’에 몰입하여 귀속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조건은, 프롤레타리아의 삶에 대한 프롤레타리아 자신의 욕망을 욕망하며 프롤레타리아의 내부적 외부라는 모순적 위치에 스스로 자리하는 것이었다. 그러한 모순적 비-위치에서 이루어진 담론적 실천의 이름이 ‘프로문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ains the grammar of phantasy by which the proletarian writers structuralized their perception and desire, and aims to clarify the uniqueness and the ethical possibility of the subject that sought to participate in the proletarian movement by means of literature. The label ‘petty-bourgeois sentiment’ in proletarian literature signifies a judgment that the text ended up exposing the writer’s own pathos where it should have expressed proletarian emotion and sensitivity. In that way, the ‘sentiment’ in proletarian literature is the moment of failure for the proletarian writer’s project and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and symptom peculiar to the subjectivity of ‘proletarian writer.’ The condition for the proletarian writers to avoid pitfalls of screening off the Real of other’s pain or immersing themselves to a Cause disjoined from relation with vulnerable and precarious other was to locate themselves at the paradoxical position of internal externality of proletariat, desiring the proletariat’s desire to live. It is the name for the discursive practice made in the non-place that is the ‘Proletarian Literature’.

      • KCI등재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연애 담론과 서사 양상

        김진석(Kim Jinsuk) 한국언어문학회 2010 한국언어문학 Vol.73 No.-

        This study examined love discourses and their patterns in proletarian literature. With regard to this theme, this study discussed topics as follows. Love is one of prevailing discourses narrated in the most revolutionary language in modern novels. This is closely related to customs that comprehend the ethics and ideas of society. Nevertheless, love in proletarian literature reflects schematism as a means of class struggle. This resulted in the shrinkage of writing and separation from readers. With regard to this issue, Lee Gi yeong raised the problem of love as a part of popularization theory. In order for proletarian literature to pursue popular literature, it needs to accept love narrations. Furthermore, he emphasized the uptake of literary heritages through bourgeois literature. This means that he understood love as an important element of revolutionary romanticism One of prominent achievements of Hometown is the acceptance of love. In the first half of this novel, love stories involving In dong, Bang gae, Mak dong, etc. form an important narrative structure. Their sensual love stories reinforce the reality of the story as realism literature. This is an element that overcomes the schematism of proletarian literature and stirs up the readers' attention as popular literature. In this sense, the novel is a genre picture of love that presents realistically the romantic factor and real life of rural society. In the later half, on the contrary, love affair surrounding Ahn Gap soak and labor and peasant struggle form the core of the narration. She is a new intellectual worker who integrates 'the optimistic future of the labor class' and 'heroism' However, she suffers a love problem, caught between Kim Hee joan and Gwak Gyeong ho. This reflects the writer's intention to emphasize 'compatriotic love' for class revolution. This love narration is one of new patterns distinguished from proletarian literature of the previous generation, but it reveals literary limitations as the characters exhibit emotional attitude and consciousness of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