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시가와 대중가요에 대한 원근법적 이해의 구도와 연구사적 전망

        김윤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39 No.-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major research on classical poetry and popular songs and explore significant points of contention and productive directions in the discourse that can be identified through this process. The intersection between classical poetry from the past, where the attributes of poetry and song coexisted, and modern-day popular songs lies in the fact that they are “songs in mother tongue.” Despite the tremendous differences in era and media environment, the awareness that we can obtain by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of contact is not insignificant. When we focus on the attributes of songs reflected in classical poetry works, we can explore the vitality and cultural usefulness found in the intrinsic artistry of native language songs and the continuity problem. Furthermore, there has been progress in scholarly discussions of the literary and artistic aspects of Korean popular songs, from 1920s songs to K-pop, which has recently gained global popularity. It is, therefore, an opportune time for more active discussions in the Korean literary communit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the literature of poetry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has been deeply analyzed by scholars in various fields such as modern poetry, classical poetry, and musicology. In particular, it has been argued in many ways that traditional poetry and literature functioned as a significant "semantic body" rather than being discontinued or extinct, and the intersection between classical poetry and popular so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had a very broad range. It has been proven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materials categorized as classical poetry, popular songs, or modern poetry have crossed the open boundaries and have been enjoyed as “songs.” Therefore, the 1920s can be seen as a period in which poetry and song were separated academically, and it i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ers to find parts that can reconnect or may already be connected between poetry and song. Through this process,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perspective based on a perspectival vision that enables productive problem consciousness is require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phenomenological similarity between classical poetry and popular songs. In particular, media that enjoy Korean popular songs have grown from the golden age of records to today's web platforms, becoming a song culture that communicates globally beyond the nation. Therefore, if we consid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urrent academic segmentation units of classical poetry and popular songs will continue in the next 50 or 100 year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beyond the boundaries in various ways on both topics. 본 연구는 고전시가와 대중가요에 대한 그간의 주요 연구사를 검토하고 이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유의미한 쟁점이나 생산적 담론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시와 노래의 속성이 공존해있던 과거의 고전시가와 오늘날 대중가요의 접점은 ‘우리말로 된 노래’라는 점에 있다. 시대와 매체 환경의 엄청난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모국어 노래’라는 접점에 유의함으로써 우리가 확보할 수 있는 문제 의식은 적지 않다. 고전시가 작품들에 반영된 노래의 속성에 주목했을 때 확인되는 생명력과 문화적 효용성은 모국어 노래가 지닌 근원적 예술성, 연속성의 문제에 대한 고찰을 가능케 한다. 또한 1920년대 가요에서부터 근래 세계적 인기를 누리고 있는 케이팝에 이르기까지 한국 대중가요의 문학성과 예술성에 대한 학술적 논의도 진전되고 있는 상황이라 국문학계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된 것으로 보인다. 연구사를 검토한 결과 20세기초 시가 문학은 오늘날 현대시, 고전시가, 음악학 등으로 분절된 학문 영역의 학자들에 의해 깊이 있게 분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통 시가 문학이 단절되거나 소멸된 것이 아닌 유의미한 ‘의미체’로 기능했음이 다양한 방식으로 논증되고 있어 20세기 초반의 고전시가와 대중가요는 교집합의 범위가 매우 넓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오늘날 고전시가와 대중가요, 근현대시로 구획된 성격의 자료들이 열린 경계를 넘나들며 ‘노래’로 향유된 사례가 많았음이 논증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1920년대는 학문적으로 시와 노래가 결별한 시기로 볼 수 있으며 다시 시와 노래가 만날 수 있도록 혹은 이미 접속해 있을 수도 있는 부분들을 앞으로 연구자들이 찾아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고전시가와 대중가요의 현상적 유사성보다는 생산적인 문제 의식을 가능하게 하는 원근법적 시각에서의 고찰이 요구됨을 확인해 보았다. 특히 한국의 대중가요를 향유하는 매체는 유성기 음반에서 출발하여 오늘날 웹플랫폼에 이르면서 국내를 넘어 전세계적으로 소통되는 노래 문화로 성장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50년, 100년 후에도 현재 고전시가와 대중가요에 대한 학문적 분절 단위가 지속될 수 있을까의 문제를 생각한다면 양자에 대한 연구가 경계를 넘어 다양한 방식으로 고찰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조선문학가동맹 '詩部'의 시 대중화 운동과 시론

        박민규(Park Min-kyu)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이 논문은 해방기 남한의 대표적인 진보적 민족문학 단체였던 조선문학가동맹(문맹)의 조직적 시운동을 검토하고, 문맹의 시론들을 그 당시 시운동과의 상관성 하에 맥락화하면서 분석, 평가하였다. 특히 문맹의'시부위원회'가 전개한 활동의 궤적에 주목하였다. 시부(詩部)는 46년 2월에 문맹의 결성과 함께 조직되었다. 결성 초기에 시부는 '시의 대중화'를 주요 활동 방향으로 선언하지만, 추상적이고 감정적인 구호에 그쳐 있었다. 이후 시 강연과 시 낭독을 활발히 전개하면서 시 대중화 운동은 구체적인 것이 되어 갔다. 특히 각종 행사에서의 시 낭독은 대표적인 조직적 활동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초창기인 46년 상반기에 시부는 계몽화 운동의 소박한 취지에서 비정치적인 시까지도 다양하게 대중에게 보급하였다. 그러나 46년 중반에 미소공위가 휴회하면서 시 낭독은 대중에게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정치적 '분노'의 시와 시 낭독이 성행했는데, 김기림은 이를 신인의 육성이란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46년 하반기에 문맹은 잇따른 조직 개편과 대중화 결정서들을 마련하면서 문학대중화 방침을 더욱 강화해간다. 10월 항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활로의 모색을 위해 문화 투쟁을 통한 대중과의 적극적 결속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시인들은 개편된 조직들의 전면에 배치된다. 특히 대중에 대한 관점이 기존의 계몽적 시혜성에서 정치적 연대성으로 변모하게 되자, 문맹의 서울지부 시부 위원장인 김광균이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당시 추진되고 있던 문화공작자 혁신안이 결정적 원인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47년에 접어들어 시부의 시 낭독 행사는 대형화되고 종합예술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시 자체의 낭독에 그쳤던 46년과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시 낭독은 대형 예술제와 문화공작대 등에서 음악, 연극, 무용 등과 협연된다. 이는 시 낭독의 종합예술화를 제안했던 조허림의 시론이 현실화됐음을 뜻한다. 그러나 일차적으로는 대중의 정치적 결집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훗날 김기림은 시 낭독의 공과를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검토하면서 앞으로 시 낭독이 대중의 전형을 파악해야 하며, 시사적 내용에 치우치지 말아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하지만 문맹의 활동이 봉쇄된 상태에서 그의 주문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rganized movement for poetry by Korean Writer's Alliance(Chosŏn-Munhakga-Dongmaeng),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national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and evaluates the poetics of it, contextualizing under the relation with poetry movement of the time. Especially, it focuses on the trajectory of activitie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Poetry Division in Korean Writer's Alliance. Poetry Division was organized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February 1946. At the early period, it announces 'Popularization of Poetry' as an important direction of its activities, however, it ends in an abstract and emotional slogan. Movement for popularizing poetry becomes more detailed with the active development of poetry lecture and reciting. Reciting poems in various event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organized activities. In the first half of 1946, Poetry Division introduces various types of poems including nonpolitical ones with the simple purpose of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n the mid-1946,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declared a recess and poem reciting changed into delivering political message to the public. Especially, reciting poems expressing political 'rage' is prevailed and Kim, Gi-rim positively assessed it at the level of fostering new figures. In the second half of 1946, Korean Writer's Alliance intensifies the policy of popularizing literature, carrying out a successive reshuffle and preparing Written Decision for Popularization. It changes the direction toward active unity with the public through culture struggle to seek a way out going through People's Uprising in October 1946. Poets are dispatched in the front line of reshuffled organization. When the viewpoint toward the public changes from the existing enlightening dispensation to political solidarity, Kim, Kwang-gyun, chairman of Poetry Division of Korean Writer's Alliance in Seoul strongly criticizes this. Innovation plan of culture craftsman seems to be the decisive reason for his criticism. Entering into 1947, the scale of poem reciting event of Poetry Division becomes larger and bigger and composite art. It is different from the event of 1946, which ends in reciting poem. From 1947, poem reciting accompanies with music, play, dance and so on at large scale art festival and by the group of culture craftsman. This means that the poetics of Cho, Hur-rim who suggested make poem reciting as a composite art has realized. However, the primary purpose of it was to draw political concentration of the public to the maximum. Later, Kim, Ki-rim said that poem reciting should grasp the stereotype of the public and not be biased to contents of current events, examining merits and demerits of poem rec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However, his suggestion remains as a difficult task to be realized when the activity of Korean Writer's Alliance is blocked.

      • KCI등재

        한국 현대 대중시 생산/수용의 변화 양상과 사회문화적 재인식 - 뉴미디어 결합 양식의 소통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박윤우(Park Yoon-Woo)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8

        본 연구는 한국현대시사의 흐름 속에 형성, 변화되어 온 대중시적 지향의 양상들을 재조명함으로써 그 존재조건으로서 사회문화적 맥락과의 관련을 통해 대중시의 현실적, 수용론적 의미를 평가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한국 현대시사의 흐름속에 나타난 ‘대중시’의 전개과정은 의외로 긴 연원과 그 형태나 양식상의 고유성을 확보한 채 진행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 현대시사상에서 ‘대중시’의 양상이 나타난 배경은 이중적 모습을 보이는데, 일제강점하의 프로문학 내에서 논의된 대중화론의 연장선에서 제기된 대중시 창작론은 피식민국의 민중이 지닌 계급적 특수성을 ‘대중’의 개념으로 인식했다는 점에서 관념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으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한국사회가 본격적인 대중사회로 진입한 1960년대 이후 현대시의 주류로서 서정시의 흐름이 1980년대 후반 민주화를 거친 사회변화의 배경 아래 일반 대중의 시민적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독자중심의 작품 생산과 수용의 경로 변화가 새로운 의미의 대중시의 흐름을 주류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둘째, ‘대중시’의 양식성 확립의 측면에서 임화의 시가 지닌 감상주의적 공감이나 정서적 전파력이 프로문학의 현실적 이념 확산을 위한 전략으로서 당대의 일반적인 대중문학의 고유 자질로서 통속성을 일반화하려 한 것에 비해, 한참의 시기를 지난 1990년대의 서정적 대중시는 문체상 일견 자유로운 글쓰기의 실현을 통해 해방후 이어진 기존의 관념적 순수서정시의 주류를 벗어나 대중친화적인 의미전달의 가능성을 보인 점에서 대중문화 및 대중문학에 대한 엘리트주의적 관점 및 비판적 관점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기호/소통/문화론의 측면에서 현대 대중시의 생산 · 수용 양상은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복합매체 표현양식의 작품들 및 작품집 생산 형태나, SNS를 통한 소통방식이 직접 언어표현으로 구현된 새로운 시 형태들에 이르기까지 유독 ‘대중시’의 영역에서 형태 혁신 및 양식적 해체의 시도를 보여준 것은 오히려 현대시의 양식적 고정성으로서 모더니티의 혁신을 유발시킴으로써 독자대중으로 하여금 수동적인 수용자에서 머무는 데서 벗어나 소위 ‘소비생산자’로서의 주체적 소통의 당사자로서 문화적 실천의 공간을 창출하도록 하였다. In this Research, by examining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acceptance environment that make the meaning regulation, character and poetry exist as popular poetry, or the trend of change in distribution path, it is expected that the aspects of popular poetry orientation that have been formed and changed in the flow of Korean modern poetry can be reexamined and through this, the realistic and receptive conditions of popular poetry can be reconstructed. If you summarize the contents, you can summarize them with some features as follow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aspect of "popular poetry" in the modern Korean poetry is dual. The theory of popular poetry creation, which was raised in the extension of popularization theory discussed in the pros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s an ideological aspect in that it recognized the class specificity of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concept of "popularity", but it has a concept of modern poetry since the 1960s when Korean society entered into a full-scale mass society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change of the path of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the works of the reader-centered work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civic meaning of the general public under the background of social change that the flow of lyric poetry as a mainstream was democratized in the late 1980s provided an opportunity to mainstream the flow of popular poetry in a new sense. Second, in terms of establishing the stylistic nature of "popular poetry", the sentimental sympathy and emotional propagation of the poems of Lim Hwa tried to generalize the popular character as the unique qualities of the popular literature of the time as a strategy for the realistic ideology of prose literature, while the lyrical popular poetry of the 1990s, which had been a long time,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meaning delivery, and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going beyond the elite view and critical view of popular culture and popular literature. Third, in terms of the signal, communucative, cultural theory of text, it showed the attempt of the transformation and dismantling of form in the domain of poisonous "popular poetry". The new poetic forms in which the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SNS was directly expressed in language. By inducing modernity innovation as a stylistic fixation of modern poetry, the readers were allowed to create a space of cultural practice as a party to the subjective communication as a so-called "consumer producer", away from staying in passive prisoners.

      • KCI등재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대중가요와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설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9 한국어 교육 Vol.30 No.4

        This study notes the affinity that exists between poetry and popular songs which can be useful to poetry reading education and conducted an experiment to observe how advanced learners read modern Korean poetry using popular songs. In accordance with their reading patterns, this study seeks an effective way to teach students modern Korean poetry. Poetry is considered difficult to access due to ambiguity and connotation, while popular songs are easily understood by simple language and repetitive structure which are different from poetry. However, these two genres have links in visible aspects such as poetic language, subject matter, rhythm, format and structure, so that learners can react with these links and read poetry more independently. The positive role of popular songs in the learners’ poetry reading process can be seen in Korean learners’ reading patterns. The learners supplemented or modified their understanding of poetry through connecting the poetry and songs, and their understanding could be deepened when the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Furthermore, they reconstructed the meaning of poetry in their own cont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 this study raises a few suggestions which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odern Korean poetry reading education using popular songs.

      • KCI등재후보

        중국 고전 詩詞와 현대 음악과의 상관성 연구

        박남용,김영명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1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25

        This study is about the existing state of the conversion of music from Classic Chinese poetry and Ci poetry to modern songs. The correlation between Chinese literature and music is studied using the method of comparative literature on this paper. Beginning from Shi jing(詩經) and Chu ci(楚辭), the tradition of Chinese poetry has achieved the most dominant position in Chinese culture through the present day and is having a great effect on Chinese socioculture today. In this respec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nversion of music from Classic Chinese poetry and Ci poetry to modern songs has been made up pretty high. Specially these days we can see Chinese popular singers are creating new modern popular music writing the lyrics with Song Ci poetry. Many works of Classic Chinese poetry and Ci poetry were created into modern lyrical songs, chorus, or revolutionary songs about 1940s, since 1920s. There are two cases on this happening, one is the music to be created on the base of Classic Chinese poetry and the other is the music to be created on the base of Chinese Tang Song Ci(唐宋詞).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re are ‘Jian Jia(蒹葭)’, ‘Lu ming(鹿鳴)’ and etc. in Shi jing and the symphonic poem, ‘the Flow of the Guluo river(汨罗沉流)’ which is made in memory of the decease of Qu Yuan(屈原). Also there are many cases of the conversion of music with the works of Li bai(李白) who wrote the best poetry among poets of his time. In the case of the latter, the representative works had the conversion of music such as the ones of Su Shi(蘇軾), Yue Fei(岳飛), Li Qing Zhao(李淸照), Jiang Kui(姜虁), and etc. mostly. This existing state of the conversion of music from Classic Chinese poetry and Ci poetry to modern songs is happening because the musical character of poetry and Ci poetry have the affinity that makes it easy to be the conversion of music and because they have the outstanding familiarity with the audience when the poetry and Ci poetry in familiar to the readers become the conversion of music. Through the mutual correlation between this literature and music, we can understand literature refreshingly and comprehend the phenomenon of diffusion in the popular culture of literature.

      • KCI등재

        중국 고전 텍스트에 대한 해석과 대중화 — 葉嘉瑩의 역대 詩詞에 대한 비평을 중심으로

        김선,최병학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3

        Ye Jiaying persevered in the face of hardship, adhering to the belief of disseminating Chinese poetry. At the age of 94, she still stood on the rostrum to impart poetry, and trained many talented person. This paper told how Ye Jiaying, a global female scholar, interpreted classical poetry. She not only explained how the poet expressed his indignation and sadness through poetry when facing the hardships of life and political and social setbacks. Ye Jiaying used the image of abandoned wife to describe the poet's depressed psychology abandoned by the monarch. She commented on the hardships faced by Quyuan, Sima Qian, Wang Can, Cao Zhi, Tao Yuanming, Du Fu, Li Shangyin, Su Shi, Lu You and Wu Wenying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creation. She combed the injustice in the poet's heart delicately. It also revealed that modern people can seek spiritual comfort and healing by appreciating ancient poetry and combining suffering with similar experiences of poets. Ye Jiaying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writer's emotion, style and artistic conception, and found out the poet's life and era background, character, learning accomplishment and artistry. Ye Jiaying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Ci, and combed the origin and influence of the writers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history. Ye Jiaying said that Zhang Huiyan in Qing Dynasty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bixingjituo" and was suitable for appreciating Wen Tingyun's and Wei Zhuang's works. Wang Guowei's theory in modern times was influenced by western philosophy and aesthetics, which was suitable for appreciating the works of Feng Yansi and Li Yu. Ye Jiaying explored the western critical theory, and used Tang and Song dynast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oetry from the perspectives of Western Europe's hermeneutics, phenomenology, new criticism, reception aesthetics and reader response theory. Ye Jiaying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degree and expression of feeling in poetry, and highly appraised works that directly conveyed the vitality of feeling like Ci of Li Houzhu in the Southern Tang Dynasty. Ye Jiaying has guided traditional poetry in Beijing, Taipei, Canada, the United States, Tianjin and other countries for 60 years, contributing to the popularization of Chinese classical poetry. 葉嘉瑩은 自身이 겪은 苦難에 대해 굴하지 않고 詩詞를 傳播하겠다는 一念 下에 93歲의 高齡에도 詩詞를 강의하며 後學을 養成하고 있다. 그녀는 詩人들이 直面한 個人的인 苦痛이나 政治 社會的인 挫折과 낙심 속에서 그들이 어떻게 詩를 통해 現實을 反映하고 內心의 鬱憤과 悲哀를 詩로 表現했는지에 대해 評論하였다. 葉嘉瑩은 버림받은 여성의 이미지로 시인들이 자신이 군주에게 버림받은 억울한 심리를 비유했다고 지적하고 비교의 관점에서 屈原, 司馬遷, 王粲, 曹植, 陶淵明, 杜甫, 李商隱, 蘇東坡, 陸遊, 吳文英이 직면한 고난과 시사창작의 특색에 근거하여 시인 내면의 고통스러운 정감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現代人들이 中國 古典 詩歌를 鑑賞하는 것을 통해 自身과 類似한 아픔과 苦難을 詩로 表現했던 詩人들과의 만남을 통해 마음이 治癒될 수 있다고 時事하였다. 葉嘉瑩은 詞人의 感情과 風格 및 意境의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詞人의 생평과 시대 배경, 성격과 학문 수양 및 예술성을 고려하여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葉嘉瑩은 詩詞의 장르적 특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詞의 발전 과정 맥락 속에서 개별적인 詞人이 지니는 특색의 연원과 영향을 파악하여 詞史에서 갖는 역할과 지위에 대해 탐색하였다. 葉嘉瑩은 전통적인 관점에서 詞를 비평하는 청대 張惠言 식의 비흥 기탁을 중시하는 감상 방법은 溫庭筠과 韋莊의 詞를 분석하기에 적합하고 서구의 美學과 哲學의 영향을 받은 근대 王國維 식의 감상 방법은 馮延巳나 李煜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제시하였다. 葉嘉瑩은 영미 비평 이론을 탐구하여 중국 고전 詩詞를 연구하는데 운용하였다. 그녀는 서구의 해석학, 현상학, 신비평, 수용 미학과 독자 반응론의 이론으로 唐宋詞를 참신하게 분석하였다. 葉嘉瑩은 詞에 담긴 感興의 정도와 感興을 전달하는 표현력을 매우 중시하였고 비유나 비흥보다는 남당 李後主 사처럼 직접적으로 간발의 생명력을 전달하는 작품을 높이 평가하였다. 葉嘉瑩은 60년 동안 북경, 대만, 캐나다, 미국 등 각 나라를 돌아다니며 唐宋詞를 가르치며 중국 고전 詩詞를 전파하였다. 그녀는 각 나라에 우수한 제자들을 배양하였고 여러 대학이 초청에 부응하여 자신의 생명을 걸고 중국 고전 詩詞를 다양한 연령의 계층에게 전달하고 학술상과 대중성을 동시에 확보하였고, 자신이 詩詞를 창작하고 아동을 위한 詩詞 選集을 출판하였고 전통적인 詩詞 비평 이론에 해박하면서도 서구의 비평 이론에도 전문적이고 영어로 중국 고전 詩詞를 강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세계적인 학자로서의 위상을 드러냈다.

      • KCI등재

        문화 콘텐츠 창작 소재로서의 현대시의 가치에 대한 연구

        강철수 ( Chull Su Kang ),김용범 ( Yong Bum Kim ) 한국언어문화학회 2008 한국언어문화 Vol.0 No.37

        The proper function of poetry is Music. However, modern poetry tends to seek some pictural factors rather than musical ones which are the traditional trend in poetry. This tendency has made ambiguity in modern poetry, and made readers indifferent to it. These days, however, as it is corresponded with popular music, modern poetry has existed as brand-new valuable material. so Noraebang has become remarkable place for people not only to communicate with using music but also to enjoy poetry unconsciously. As poetry is used as lyrics of popular music, moreover, the fact that composers can make money of copyright is very suggestive in that copyright fees contribute to improvement in their economy. These show that there is a possibility popular music can be a essential mean of modern poetry. According to the survey, 25 modern poets were surveyed in Keumyoung Noraebang and they were very various from poets of ballad such as Kim so-woul, and poets of imagism like Kim Kwang-kyu to popular poets, Kim nam-ju. 33 singers who made modern poems into songs were also searched. This survey shows that modern poetry can be a new exit of popular music in that poetry has the variety of themes not used in popular music. Although there are some drifts of focusing on these values and using poems as songs, thorough and specific preparations, composition and advertising strategies are necessary to make modern poetry more valuable. In addition, These efforts can be another way to let many people know modern poems not ruin themselves. The literary men`s association of the world of modern-poetry need to follow the current of the times, exercise their right such as copyright, and, through these acts, try to make economical interest.

      • KCI등재

        인터랙티브 시의 가능성과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임수영(Im, Soo-Young)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58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독자와의 괴리라는 고질적 병폐를 앓고 있던 한국현대시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할 교두보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이제까지 뉴미디어를 활용한 현대시 대중화 노력들이 이렇다 할 획기적인 전환을 이끌어내지 못했음도 주지의 사실이다. 많은 경우 이러한 모색들은 시를 전달하는 매체의 변화에 방점을 둬왔다. 이 지점에서 디지털을 일상으로 받아들이는 독자층의 변화에 시선을 돌려 현대시 대중화 문제를 검토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글에서는 그 방법을 뉴미디어로서의 SNS에서 찾아보았다. 인쇄매체로 전달되던 기존의 시들와 구별되는 SNS 시의 특성과 현황, 그에 대한 독자의 반응을 대학 강의의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이 참여한 인터랙티브 시 쓰기 실험과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삼아 시교육에서의 뉴미디어 활용방안과 그 가치를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시 향유방식과 현대시의 대중화 문제를 탐구하였다. This paper searches for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focusing on poetic creation and enjoyment in the digital era, esp. in case of poetry lecture at university classroom. In there Students read and write poetry by using SNS, i.e. new media. First of all, students read SNS poetry and evaluated those. Most of them read poems in SNS. Proximity is very important elements in the popularity of culture. Students commented on this new SNS poetry in the affirmative. After tha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of interactive poetry. With using their own SNS, they took parts in cooperative poetry creation by writing comments and sharing SNS posts, images, videos etc. They deluded themselves that they didn’t work on academic project but participated in some ‘play’ voluntarily. It is a work that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Interactive poetry enjoying which is generated among readers or occurred in relations between writer and readers, and suggests a poetry education method which uses SNS to university lecturers.

      • KCI등재

        현대시의 대중적 소통에 관한 고찰

        오수연(Su-youn, Oh) 어문연구학회 2011 어문연구 Vol.70 No.-

        Although the comment on the crisis of literature is not fresh any more, literature has been advancing as the product of the times, taking the power of renewal as its essence. However, not only the ripple effect of modern poetry has weaken in Korean literature but also the number of pure poetry readers apart from poetry researchers or reviewers has dropped sharply practically. This means it is time to study communication issues in modern poetry. In this research, I confirmed the real communication problem of poetry from the different views among poets, readers and researchers. Furthermore, I tried to find the clues of improvement through general and popular proposals about poetry reading. The phenomenon that poetry is ignored by readers is because poetry isolates itself as the product of the absolute aesthetic values rather than appealing to readers’ senses and emotions. So are uncomfortable awareness of poets toward the popular poems read by readers or researchers’ wait-and-see attitude toward the world of poetry in the leaders’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oems trying to communicate with readers, Ahn Do-hyun, Jeong Ho-seung, Ham Min-bok’s poems apply. In their poems everyday life or concreteness arousing readers’ sympathy are revealed and so are implication and musicality as moderate rhetor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asons of poetry readers today, who want to reflect on their life and be consoled and touched. Also, as the mediators alleviating the misunderstanding between poetry and readers and bridging the gap, researchers including critics should actively search the methodology about ‘kind communication’ not as leaders but as ‘guides’. To find the meaning of popular communication between readers and poetry is not the matter to chase readers’ tastes or their levels but the matter to understand poetry readers’ desire today. Thus, when there is an opportunity for readers to communicate with poetry, we could find out readers reading and enjoying poems voluntarily and the value and meaning of poetry could be placed there. 문학의 위기에 대한 지적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문학은 갱신의 힘을 본질로 삼아 시대의 산물로서 발전해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 문학에 있어서 현대시가 갖는 파급력은 약화됐을 뿐만 아니라, 연구나 비평의 목적을 제외한 순수한 시 독자의 수가 급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현대시가 소통의 문제에 관한 연구를 필요로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는 의미이다. 본고는 시의 소통 부재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시인과 연구자 그리고 독자와의 서로 다른 입장을 통해 확인하고, 시 읽기에 대한 보편적이고 대중적인 제안을 통해 개선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시가 독자들로부터 외면당하는 현상은 시가 독자들의 감각과 감정에 ‘호소(呼訴)’하기보다 절대적인 미적 가치의 산물로서 스스로를 고립시키기 때문이다. 독자들에게 많이 읽히는 시에 대해 갖는 시인들의 불편한 인식이나 지도자의 위치에서 시단을 관망하는 연구자의 태도 등이 그러하다. 한편 독자들과의 소통을 시도하고 있는 시편들도 있는데, 안도현, 정호승, 함민복의 시들이 해당된다. 이들의 시에는 독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삶의 일상성이나 구체성이 드러나며, 과도하지 않은 수사로서의 함축성, 음악성 등이 잘 드러난다. 따라서 오늘날의 독자들이 시를 읽는 이유는 삶을 성찰하고 사유하며, 위로 받고 감동하기 위한 것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평가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시와 독자 사이의 오해와 간극을 해소해주는 역할자로서, 그리고 지도자가 아닌 ‘안내자’로서 ‘친절한 소통’에 관한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독자와 시의 대중적 소통의 의미를 찾는 것은 독자의 취향이나 수준을 좇는 문제가 아니라 시를 읽는 이 시대의 독자의 욕망을 파악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독자가 시와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때 자발적으로 시를 읽고 즐기는 독자를 발견하게 되고, 거기에 시의 의미와 가치가 새겨질 수 있다.

      • KCI등재

        朴寅煥 詩의 모더니티와 詩史的 意味

        김정남(Kim Jeong-nam) 중앙어문학회 2011 語文論集 Vol.48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odernity and value as history of Korean poetry of Pak, In-hwan' poetry. His poetry appear aspect of complexity and diversity that is not remain modernism as the trend of literary thoughts. His early works show cognition of reality is based on the realism, and intellectualistic poetry is based on the nihilistic existentialism published after that organize 'Hubangi' group and experience of Korean-war. Poetry that give shape to the traveling in America sharply captures the alienation of an individual and a group, what is called cultual criticism, to which has occurred due a small and weak nation and diseases incidental to modem civilization. And his poetry show popular poetry are based on the nihilistic sentimentalism. Like this, his poetry mixed various poetic trends. His poetry of a distinctive feature by reason of experience of Korean-War, disorder of postwar days. The other reason is his poetry that are wrote twenties. Therefore his poetic world go through the process of formation in this period. This poetic trend is a contrast to a vanguard poetry of 'Jo hyang' or modernistic intellectualism poetry of 'Kim, gyu-dong' on 1950's. Therefore, Pak, In-hwan' poetic identity is in course of formation while confront against a stormy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