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4세기 전반기 프랑스 왕권의 종교 텍스트 번역 -필리프 6세 시기를 중심으로-

        홍용진 ( Yong Jin Hong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5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5

        14세기 전반기 프랑스 필리프 6세(Philippe VI, 1328-1350) 정부의 종교 텍스트 번역사업은 14세기를 전후로 이루어진 세속어 문자문화 및 문해력의 확산과 세속대중들 사이에서의 신앙심 심화와 저변확대라는 종교-문화적 현상의 큰 흐름과 그 궤를 같이 한다. 하지만 필리프 6세의 번역사업은 이러한 흐름을 단순히 뒤쫓아 가는 것이 아니라 막대한 재정을 바탕으로 이러한 흐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려는 왕권의 전략을 드러낸다. 장 드 비녜나 피에르 드 앙제스트에 의해 이루어진 5편의 종교텍스트 번역들은 한편으로는 독서문화와 신앙심의 확산이라는 당대 현상의 반영이면서 동시에 이러한 현상에 대한 왕권의 대응전략이기도 했다. 특히 후자의 차원에서 그것은 라틴어라는 권위의 언어를 잠시 뒤로 밀어두고 취약한 왕권에 정치사회 구성원들의 관심을 끌어 모으고 가장 기독교적인 왕으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치문화적 전략의 의미를 지닌다. 또 거꾸로 왕권이 번역한 텍스트들은 프랑스왕권이라는 상징성 덕택에 다른 어떤 번역들보다도 대중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이점들을 부여받게 된다. 또한 필리프 6세의 번역사업은 14-15세기에 내내 이루어질 프랑스 왕권의 프랑스어 번역사업 후원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본격적인 신호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번역사업의 일반적인 특성과 더불어 종교 텍스트들에 대한 번역작업은 다른 종류의 텍스트들에 대한 번역작업들과는 다른 내용상의 변형을 수반하게 된다. 즉 교회의 언어인 라틴어에서 세속인들의 언어이자 이제 막 적극적으로 왕권에 의해 사용되는 프랑스어로 언어매체가 변형되는 과정은 텍스트의 내용을 훼손하거나 직접 변형시키지는 않지만 텍스트 외적인 차원에서의 의미작용을 정치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나간다. 이러한 차원에서 왕권의 준종교적인 사명감은 국가체제가 등장하기 시작한 14세기 초에 왕국 전체에 대한 ‘통치’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것은 루이 9세에게서 보이는 바와 같은 성 프란체스코라는 종교적·상징적 모범을 만드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속적인 차원에서의 실질적인 국정운영과 인민들을 향한 배려에 대한 관심을 도출한다. 물론 필리프 6세의 번역사업은 양적인 측면에서 그리 대중적인 성공을 거뒀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번역 텍스트들의 종류를 다각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종교 텍스트 번역에 대한 관심이 가장 일반적이었던 『성서』에만 국한되지 않고 성자전과 전례집, 복음서 강론집, 신비주의적 명상론에 까지 이르고 있다는 점은 왕권이 교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오던 다양한 종교적 활동들을 전유하여 자신의 다양한 상징자본을 확보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그것은 종교장(champ religieux)에서 정치장(champ politique)이 분할되어 나오면서도 정치적인 것(le politique)이 종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중세 말 상황의 복잡다단한 일면을 보여준다. The translation of religious texts executed by the government of Philippe VI(1328-1350) in the First half of 14th Century France corresponds with proliferation of vernacular literacy around the 14th Century France and with religious and cultural phenomena as intensification and expansion of private devotion. But the translation of Philip VI wasn``t a simple following this trend but an expression of royal strategy for it``s pioneer. The five texts translated by Jean de Vigny and Pierre de Hangest, quasi-official royal translators, was not only a reflection of contemporary lecture culture and diffusion of devotion, but also a royal reaction on these socio-cultural phenomena. Especially it also means politico cultural strategy in order to legitimate the Valois kingship as ``rex christianissimus`` and to appeal to various members of political society in renouncing the Latin, authoritative language. In the other way, the translation of French kingship merit more popular success than any other texts due to the French royal symbolism. And the translation of Philip VI means the starting point for the translation patronization in the 14th and 15th Centuries. The vernacular translation of religious texts invovles a mutation of content, different with the translation of other kinds of texts. A language transformation from the Latin, ecclesiastical language, to the French, vernacular language and actively used by Valois kingship doesn``t modify the contents, but it emanates various political effects. In this point, the royal sense of religious duty propose the problem of ``governmentality`` in the early 14th Century around the birth of State system. It isn``t only making religious and symbolic model as saint Louis IX, but relates with state administration and consideration on people of the whole kingdom in the level of secular political community. Of course, the translation of Philip VI was not so successful in popular proliferation in the quantitative perspective. However, it suggests important meaning on the diversification of kinds of translation texts. That his translation embraces the Bible as well as Hagiography, Homely and Meditation Books presents the royal intention to ensure his divers symbolic cultures appropriating ecclesiastical activities of the Church. It show a complex scene of late Middle Ages characterized by ramification of the political field from the religious field and by dependance of le politique on the religion.(Korea University/hadrianus@hanmail.net)

      • KCI등재

        교회에서 국가로 중세 서구 정치질서의 전환: 1333년 프랑스 뱅센 토론회

        홍용진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5 동국사학 Vol.59 No.-

        This article aims to survey how and when the hierarchic dualism, the hierocracy or theocracy, typical models in Western Medieval Political thought, were weakened in the historical actualitie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France. Although the papacy already lost his authority after ‘Outrage of Anagni’ in 1303 and his settlement at Avignon, a series of political crises of French kingdom begun in 1315 permitted John XXII, pope of Avignon to restore the papacy in conformity with the pastoral idea. He could establish an elaborate administration and finance system on this basis. Meanwhile, at the time of oubreak of the Hundred Years’ War, the pope lost definitely the status as universal and spiritual leader of Western Europe.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nference of Vincennes in 1333 as a definite moment for loss of papacy in Western Europe. Philip VI of Valois, who have ascended to the throne as a collateral line of Capetian dynasty, prepared extensively the crusade expedition as a way of legitimation of his kingship. And John XXII assisted him both materially and morally as spiritual leader on the level of dispensation. On the other hand, John XXII proposed his own specific theory on the Beatific Vision and Philip VI organized a confere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theme with various theologians of University of Paris at his manor of Vincennes in 1333. Of course, this conference was profoundly theological, but it involved also a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French kingship from the papacy. Finally, the thesis of pope John XXII was judged heretic and John XXII died of shock soon. After the conference, three phenomena appeared: 1) formation of Thomist doctrin around the University of Paris; 2) establishment between the French kingship and the university of Paris; 3) unexpected outbreak of the Hundred Years’ War after failure of crusade project with the death of John XXII and the accession of Benedict XII. The conference at Vincennes cannot be an immediate cause of these three phenomena, but a turning point marking a decline of Papal universalism and its replacement for new orders in various areas. 본 논문은 서양중세 정치사상에서 가장 전형적인 구도였던 위계적 성·속 이원론과 이에 기반을 두고 있던 성직자지배론 또는 신정정치론이 역사적 현실 속에서 언제, 어떻게 약화되어 갔는가를 14세기 전반기 프랑스의 경우를 사례로 살펴보고 있다. 이미 1303년 아나니 폭거로 아비뇽 교황시대가 시작되면서 교황권이 실추되긴 했지만 1315년부터 시작된 프랑스 왕국의 정치적 위기는 아비뇽 교황 요하네스 22세에게 사목적 이상에 따른 교황권의 위상을 회복시켜 주었고 이를 기반으로 그는 치밀한 행정·재정체제를 구축해 나갈 수 있었다. 그러나 1337년 백년전쟁이 일어날 때부터 교황은 서유럽 세계 전체를 포괄하는 보편적인 영적 지도자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기 시작했다. 이에 본 논문은 서유럽 세계 내 교황권의 결정적인 실추의 계기를 1333년 뱅센 토론회로 보고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카페왕조 방계로서 왕위에 오른 필리프 6세는 왕권 정당화 작업의 일환으로 십자군 원정을 대대적으로 준비했고 교황 요하네스 22세는 영적 지도자로서 필리프 6세를 시혜적인 차원에서 물심양면 도와주었다. 이러한 와중에 교황 요하네스 22세는 자신만의 독특한 지복직관론을 주장했고 필리프 6세는 파리대학 신학자들을 동원하여 이를 검증하기 위한 대토론회를 1333년 뱅센궁에서 개최했다. 이 토론회는 어디까지나 신학적인 주제로 개최되었지만 교황권에 대한 프랑스 왕권의 독립성 천명하려는 의도 또한 지니고 있었다. 결국 이 토론회는 교황의 입장을 이단으로 몰았고 이에 충격을 받은 요하네스 22세는 곧 사망하고 말았다. 뱅센 대토론회 이후 프랑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현상이 등장했다. 첫째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을 중심으로 파리대학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신학적 교조주의이고 둘째는 파리대학과 프랑스왕권의 긴밀한 관계 구축이다. 마지막으로 요하네스 22세의 죽음은 십자군 원정에 부정적이었던 베네딕투스 12세의 즉위로 이어졌고 십자군 원정계획의 좌절은 뜻하지 않게도 백년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물론 뱅센 대토론회는 이러한 서로 다른 세 현상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다양한 영역들에서 교황권을 중심으로 하는 보편적 질서가 쇠퇴하고 새로운 질서들로 대체되는 분수령이 되었다.

      • KCI등재

        14세기 프랑스 문자기록문화의 변화양상 : 필리프 6세 십자군 문헌 모음집의 경우

        홍용진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7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9

        1332년 필리프 6세는 십자군 원정 선포에 맞춰 두 권의 문헌 모음집 수서본들을 출간하였다. 프랑스어로 집필되거나 번역된 문학, 여행기, 역사 텍스트들을 포함하고 있는 이 서적들은 필리프 6세 십자군 원정에 속인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원정의 정당성과 관련하여 이들을 설득시킬 것을 목적으로 정교하게 편집되었다. 또한 이 두 문헌 모음집들은 중세 십자군 관련 저술의 흐름에서 14세기의 다양한 문자문화의 변화양상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들은 바로 역사와 지리, 백과사전적 지식들에 관심을 갖는 속인독자대중의 등장, 산문형식의 속어로 집필된 문헌들의 대중지향성, 현실정치와의 밀접한 관계, 주로 귀족들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속인독자들의 ‘집단적 독서’, 독서의 이해를 돕거나 휴식을 위한 다양하고 화려한 이미지들의 등장 등이다. 하지만 현실 사안에 깊이 연루된 필리프 6세의 두 수서본들은 수서본에 편집된 각 텍스트들의 수많은 재생산과 유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그 자체로서는 온전하게 널리 유포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두 수서본들은 당대의 문자기록문화의 변화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라고 할 수 있다. In 1332, with the promulgation of project of crusade, Philip VI of Valois published two anthologies. Composed of literary, travel and historical texts, they were elaboratively edited for the purpose of exciting lay public's interest in the crusade and persuading them to accept it's legitimacy. In the tradition of Medieval Crusade literature, they shows also various mutations of literary culture in the 14th Century: rise of the lay public readers interested in historical, geographical and encyclopedical knowledges, popularity of lay language in prose, close relation with actual politics, 'collective reading' of lay (noble) readers, appearance of diverse and colorful images for understanding and distraction. However, the two manuscripts of Philip VI involved in actual issues didn't be largely diffused per se, in spite of many re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particular texts in anthologies. Nevertheless, they can be evidences to witness the mutations of literary culture in 14th Century.

      • KCI등재

        소통의 정치윤리: 필리프 6세 치세(1328~1350)의 정치 담론

        홍용진 ( Hong¸ Yong-j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1 사총 Vol.103 No.-

        본 논문은 정치적 정당성이 취약했던 필리프 6세 치세(1328-1350)에 나타난 정치적 담론들을 살펴보기 위해 당대에 간행된 네 편의 정치윤리서의 특징들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당대의 맥락에서 조망해보고자 한다. 이 저작들은 필리프 드 비트리가 저술한 『세 송이 백합관』, 장 드 비녜가 번역한 『테오도로스 팔라이올로고스의 교훈』과 『장기로 보는 귀족과 평민의 도덕에 대한 책』, 장 드 마리니가 저술한 『국가와 통치』이다. 그리고 앞의 두 저작은 필리프 6세에게, 뒤의 두 저작은 당시 세자인 장(장2세)에게 헌정되었다. 이 네 편의 정치윤리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공통점, 즉 1) 교회의 영향력에 대해 점점 더 자율적으로 되어 가는 정치공동체에 대한 관심 증대, 2) 정치적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한 정치공동체의 내재적 구성, 3) 왕권 신성화와는 무관한 정치적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국왕 주도권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물론 정치공동체의 자율성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필리프 4세 치세의 정치담론들이 보여주는 왕의 신체에 각인된 정치체의 신성화, 또는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표현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오히려 1330-40년대 정치적 위기들로 짓눌린 프랑스 왕궁에서는 정치공동체의 한 구성원에 불과한 국왕과 정치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실질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즉 이 저작들은 적어도 1350년대 이전까지 프랑스 왕정이 절대주의적 경향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결국 1350년에 즉위한 장 2세는 왕국의 개혁을 주도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왕권이 어떠한 주장이나 담론에 찬성이나 반대를 했다기보다 의사소통의 장이나 텍스트 생산의 영역에서 주도권을 잡아 나가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of four texts on political ethics, published in the reign of Philip VI (1328-1350) whose political legitimacy was weak, to examine political discourses at that time, and looks at their meanings in the pol itical context. These four texts are Le Chapel des trois fleurs de lis written by Philippe de Vitry, Les Enseignements de Theodore Paleologue and Le livre de la moralite des nobles hommes et des gens de peuple sus le gieu des esches translated by Jean de Vignay, and L’Estat et le gouvernement, written by Jean de Marigny. The previous two works were dedicated to Philip VI, and the latter two, to the crown prince, Jean(Jean II). These have three things in common: 1) Growing interest in the political community, which was becoming increasingly autonomous from the influence of the church ; 2) Immanent formation of polity based on political communication ; 3) Royal intiative in political communication, far from sanctification of kingship. Of course, this interest in the autonomy of the politiy does not go toward the sanctification of the political body incarnated in the king's body, or the expression “chosen people”, as demonstrated by political discourses under the reign of Philip IV the Fair. Rather, in the royal court weighed by the political crises of the 1330s-40s, they stress that actual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of the political society and the king, also as its member, should take place. In other words, these works show that the French monarchy was far from absolutist tendencies until at least the 1350s. Eventually, King Jean II, who ascended the throne in 1350, began to lead the reform of the kingdom.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 kingship, rather than for or against any argument or discourse, began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or text production.

      • KCI등재

        중세 말 프랑스의 화폐 개주와 왕권 이미지 생산(1290-1360)

        홍용진 ( Hong Yong-j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9 사총 Vol.96 No.-

        본 논문은 13세기 말부터 14세기 중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프랑스 왕정이 실시한 화폐 개주를 기존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차원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미지 생산이라는 정치문화사의 시각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이 시기 동안 수차례 이루어진 화폐 개주는 분명히 왕정의 재정 확충을 위한 편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는 당대 사회에 많은 사회ㆍ경제적 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여러 번 이루어진 화폐 개주는 그만큼 다양한 화폐 이미지들을 창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당시 왕정이 처한 여러 위기들에 대해 왕권이 이미지를 통해 정치적 의사소통을 시도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개주 화폐에 새롭게 창출된 이미지는 화폐 주권을 내세우며 화폐 이미지를 독점한 국왕의 선전물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당대의 정치적 상황에 긴밀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스스로를 정당화하기 위한 변명으로 기능하기도 했다. 즉 왕권과 화폐의 통화가치가 불안정할수록 왕권 이미지는 더욱 풍성하게 창출되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러한 의사소통은 금화나 은화와 같은 고가의 화폐를 사용하는 사회적 상층에 국한되어 있었다는 점을 지적해야 한다. 즉 재정과 정치문제에 관련하여 주요한 의견을 피력하던 대귀족이나 대부르주아들만이 이러한 이미지들을 직접 접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이들이 정치사회의 여론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화폐 이미지의 효과를 화폐 사용자에게만 국한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이 당시 프랑스에서 화폐는 정치, 경제, 문화의 영역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폐는 국가체제의 등장과 함께 전쟁과 재정, 정치적 의사소통이 교차하는 복합적인 지점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coinage conducted by the French monarchy from the end of the 13th century to the mid-14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o-cultural history of image production based on exist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tudies. Recoinage, which was held several times during this period, was clearly implemented as an expedient to the financial expansion of the monarchy, and it caused many socio-economic confus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e recoinage in several times provided the opportunity to create various monetary images. This was the result of the king's attempt at political communication with the image in relation to various crises of the monarchy. New images produced by recoinage was royal propagandas of the kingship which monopolized monetary images by his monetary sovereignty. But, in that the king was closely in response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day, it was also a pretext of political justification. The more unstable the currency value and the kingship, the richer the image of the kingship By the way, these communications were confined to the upper classes of society using high value money, such as gold and silver coins. Only nobles and bourgeoisie, who expressed principal opinions on financial and political issues, were able to see these images directly. Nevertheless, the effect of the monetary image would have exceeded the range of the currency user. In conclusion, in France at this time, money is located at the crossroads of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reas. More concretely, money becomes a complex point where war, finance, and political communication cross with the emergence of the state system.

      • KCI등재

        문화혁신과 정치수사 - 14세기 전반기 프랑스의 정치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홍용진 ( Hong Yong-jin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科學 Vol.109 No.-

        This article, with analyses on various royal images produced by French kingship in multiple political crises in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is intended to survey its various strategies in order to justify its political authority. These images are classed into two categories: three dimensional image(statue) and two dimensional image(miniature of manuscript and panel painting). In one hand, multi-layered meanings involved in these images are catched in the contemporary politico-social context, and in the other, thier receptivities are examined, depending on their properties of medium and form. Through these images, it is verified that the French kingship accepted the various contemporary cultural innov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deliver their images to people and to make them more familiar. The effects of these innovations are 1) the effort to represent contemporary people who could be verified or actual events in the style of `realism` or `naturalism`; 2) the tentative to install and expose the images in public spaces where more numerous spectators could see them. This cultural reception doesn`t mean an innovation by kingship, but an appropriation by kingship. And this became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French kingship in critical political crises, engaged with social, economic and demographic crises, to consolidate royal ideologies after the 136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