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경찰제의 정착화 방안

        최응렬(Choi Eung Ryul) 한국공안행정학회 200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3 No.-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200만여 건의 각종 범죄가 발생하여 국민생활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경찰에서는 이러한 범죄문제에 적절히 대처하여 국민생활의 평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범죄예방 활동에 중점을 두고 경찰력을 집중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경찰에서는 범죄예방 활동을 담당하는 최 일선 경찰조직으로 파출소제도를 유지하여 왔다. 그러나 파출소 중심의 범죄예방 체제는 경찰력의 분산에 따른 현장대응 능력의 취약, 관서 형태의 운영에 따른 문서처리 증가로 범죄예방 업무의 소홀, 공권력 도전행위에 대한 대처 미흡 등의 문제점들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2003년 8월부터 경찰은 지역경찰제를 표방한 순찰지구대제도를 실시하였다. 순찰지구대제도는 경찰서 단위에서 인구, 면적, 주민생활, 교통망 등 지역실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 파출소가 치안을 담당했던 소규모 구역들을 3-5개씩 묶어 권역별로 순찰지구대를 편성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이 제도는 현장대응성 강화 및 업무 집중성의 향상 등에서 성공적이라고 평가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 연구는 순찰지구대 소속 경찰관들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지역경찰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운영취지에 맞게 잘 운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지역경찰제의 정착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지역경찰제의 시행으로 인력부족 문제와 경찰력 분산문제의 해결에는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으나 예방순찰활동의 강화, 과중한 행정업무의 경감, 국민의 신뢰 개선 등에는 큰 성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경찰제 시행 후 경찰과 지역주민간의 관계 개선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지역경찰제의 효과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경찰제가 본래 의도했던 취지대로 시행되기 위한 방안으로 경찰인력의 효율적인 배치, 치안수요를 고려한 순찰지구대의 재편성, 경찰과 지역주민 관계개선을 위한 도보순찰의 강화, 지역경찰제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In South Korea, there are around 20 million reported crimes annually. The Korean National Police has made efforts to protect Korean people from those crimes. Especially, the Korean National Police has concentrated its resource on the crime prevention. Previously, the Korean National Police has used the police box system as the front-line of crime prevention. However, the police box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with several reasons. The police box system showed weak field response ability because of dispersed police power. This system showed negligence in crime prevention due to huge amounts of paper works in police box level. Also, the police box system was inappropriate to respond to threats against the police authority. To remedy problems of the police box system, the Korean National Police has introduced the patrol division system which combines three to five police boxes into one division considering local situations such as population, jurisdiction, life style, and traffic condition since August, 2003. The patrol division system has been evaluated as the successful system because it increased the field response ability and the effectiveness by concentrating resources. However, there are still several problems with this new patrol system. Therefore, this study did survey research against police officers and local citizen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new patrol system. The results shows that the patrol division system has increased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who can participate in the crime prevention. Also, the problem of dispersed police power has been solved by this system. However, There have been no effects on the emphasis of crime prevention, the reduction of paper workloads, and the confidence from citizens. Especially, there was no improvement in the police-citizen relations after the initiation of the new patrol system.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the effective positioning of police personnel, the reorganization of patrol divisions according to demands of police services, the improvement of police-citizen relations by means of foot patrol, and the proactive image enhancement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 KCI등재후보

        광복 후 일본의 독도 침략과 한국의 수호 활동

        박병섭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5 독도연구 Vol.- No.18

        Japanese invasion on Dokdo started from 1953 after WWⅡ. On May, Japanese government practiced a ‘Takeshima(Dokdo) crackdown patrol’ when ‘Shimane-maru(島根丸)’, a boat of Shimane Prefecture confirmed Korean fisher’s activity on Dokdo. Armed officers of Japan Coast Guard (JCG) landed on Dokdo and set up territory poles and ordered Korean fishers to withdraw from the island after interrogating them. Japanese government believed a possibility of recapturing Dokdo by this patrol. First way of recapturing is to strengthen the patrol activity on the island and prevent Korean fishery activity. Indeed, JCG patrol boats invaded 26 time to Dokdo during a year. These invasions angered Korean people. Once, Korean police patrol team, Sunlaban have shot Japanese patrol boat and removed territory identity poles. However, Japan set up every time territory poles as soon as she knew removal of poles. As a result, Japan occupied Dokdo 80% of the term until middle May of 1954 by setting them up. The second way of recapturing Dokdo is to resume Dokdo fishery activity by Japanese, which was practiced on May 1954. The result of fishing off Dokdo was not satisfactory for them and they never tried fishing again. The second way was naturally abolished. Also recapturing the island by Japan became difficult when Korea Marine Police strengthened patrol activity. Futhermore, Koreans strengthened Dokdo guard from Aug. 1954 by the cooperation between civilian and police. They repelled JCG patrol boats by firing. Then, Japanese government abandoned recapturing Dokdo by force and started to search a diplomatic solution. From 1960s, invasions of JCG patrol boats to Dokdo was decreased to once a year except some cases. But when Japan put ‘12‐mile Limit Law of Territorial Waters’ into effect, JCG patrol boat announced that Takeshima (Dokdo) was Japanese territory at the nearest distant of Dokdo. Soon, it was evacuated by the Korean defense activity. Next year, Korean enforcement of ‘12-mile Limit Law of Territorial Waters’ deterred Japanese invasion on Dokdo waters except special cases. 광복 후 일본정부의 독도 침략은 1953년에 시작되었다. 5월에 시마네현(島根縣) 수산시험선 ‘시마네마루(島根丸)’가 독도에서 한국 어민들의 어로를 확인하자 일본정부는 ‘다케시마(독도) 단속’를 결정하였다. 6월 일본 순시선의 무장한 임검반이 독도에 상륙해 일본의 영토표주를 세우는 한편, 어로 중인 한국 어민들을 심문하고 퇴거를 명하였다. 이즈음 일본정부는 독도 탈환의 구체적인 방도를 세웠다. 첫째 방도는 순시선을 자주 독도에 파견해 한국 어민의 어업을 막는 것이며, 그 후 1년 동안에 26번이나 순시선을 침입시켰다. 한국 측은 이런 활동에 분노해 어느 때는 울릉경찰서 순라반이 순시선을 총격하고 일본의 영토표주를 철거한 일도 있었다. 그러나 일본은 영토표주가 수차례 철거되어도 그때마다 새 영토표주를 곧 세웠다. 결국 영토표주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1954년 5월 중순까지 독도는 80% 일본에 침탈당하였다. 독도 탈환의 둘째 방도는 독도와의 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일본 어민들의 두절된 어업을 부활시키는 것이며, 1954년 5월에 실시되었다. 이 어업의 성과는 적으며, 일본 어민들은 독도는 가치가 낮은 섬임을 알고 다시는 독도에서 어업을 하지 않았다. 자연히 독도 탈환의 둘째 방도는 사라졌다. 또한 탈환의 첫째 방도도 5월부터 한국 해양경찰대가 독도에 드나들기 시작했기 때문에 실시가 어렵게 되었다. 또한 8월부터 한국은 관민 공동으로 독도를 본격적으로 경비하고 순시선을 총격 혹은 포격하였다. 이 때문에 일본은 독도 탈환 방도를 포기해 외교적으로 해결하기로 방침을 바꾸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 순시선의 침입은 줄고 특별한 사건이 없는 한 매년 1번 정도로 됐다. 그러나 1977년에 일본이 ‘영해 12해리법’을 시행하자 순시선이 독도 지근거리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반격을 받아 퇴거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다음해에 한국도 ‘영해 12해리법’을 시행하자 일본 순시선은 특별한 변화가 없는 한 독도 해역으로 침입할 것을 삼가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중단위 파출소 전환을 통한 경찰치안력 강화방안

        양승돈,임유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2 치안정책연구 Vol.26 No.2

        지구대와 파출소와 같이 지역경찰은 경찰조직의 최일선에서 국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지역사회 주민들과 밀착하여 최고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경찰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기대 그리고 치안서비스 요구의 변화와 함께 파출소는 대단위 파출소, 광역파출소, 경찰서 집중순찰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모하여 왔다. 이에 2003년에는 범죄 대응력 향상, 치안서비스 강화를 위한 경찰조직 내 인력의 재배치와 경찰관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근무여건 개선을 이유로 경찰서 관할구역을 인구·면적·범죄발생 건수 등의 치안수요 요건들을 지역실정에 적절하게 권역별로 인력·장비를 집중시켜 순찰지구대를 발전시켰다. 또한, 순찰지구대에서 제외된 기존의 파출소는 치안센터라는 명칭으로 민원담당관을 배치하여 민원봉사에 중점을 두고 각종의·치안서비스 제공, 관내 주민여론 수렴, 협력방범활동 등을 통해 치안서비스 활동을 강화하였다. 하지만 지역적으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는 치안여건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다시 지역사회경찰활동을 위한 파출소 제도를 적절하게 운영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결국, 순찰지구대의 중단위 파출소 전환을 통한 경찰의 치안대응력 향상방안으로 지역사회 실정에 알맞은 지역경찰업무 수행, 경찰서와 지역경찰관서의 경찰기능과 업무 및 인력의 효율적인 재배치, 경찰의 지휘부서와 업무 수행부서의 중복된 업무 지양, 지역경찰관서 단위의 단순사건 해결 권한 부여 등을 통해 탄력적이고 유동적인 지역경찰 업무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Local police protect people's lives and property at the forefront in organizations such as police box, and provide the best policing service closely with local communities. Also, citizens required awareness and expectations and policing services of police. Police box has changed in the form of various(Large-scale police box, Metro-police box, Focusing patrol), In 2003, crime responsiveness, police service to strengthen the relocation of personnel and police officers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were improved. So the police jurisdiction population, area, and incidence of crime, policing, and demand requirements, as appropriate to local restaurant with regional personnel and equipment were developed by focusing patrol division. In addition, the patrol division are excluded from the existing police box focuses on civil service by placing the policeman in police operation center. Policing services, residents vitro consensus, cooperation and crime prevention activities strengthened the police service activity. But police box for community policing operate properly practice is increasing by considering the security situation in recent years. Eventually, policing service by the conversion of medium-scale's police box in the patrol division system improve responsiveness. Local polices through tasks of the police and the efficient reallocation of labor, the police department and the department's mission avoid duplicate work, the authorization of the simple case resilient and flexible local police work should be performed.

      • KCI등재

        순찰지구대의 인력재배치 방향

        노호래(Roh Ho Rae) 한국공안행정학회 200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3 No.-

        In October 2003, the Republic of Korea replaced its local area police box system, which had operated for 58 years, with Patrol Force Divisions under the name of the "Community Police System". The manpower and equipment of existing police boxes were combined into groups of 3 - 4 in one place and formed Patrol Force Divisions. The aim was to improve the effect of policing by converting police boxes and mobile patrol teams, which were devoted to preventing crime 24 hours per day and patrolling communities, into Community Policing Centers, which would be responsible for serving the local community. The study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find if the six independent variables(criminal statistics, traffic accidents, population, population rate, calls for police service, police districts areas) that were assumed to influence the staffing of patrol-force did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staffing level). The variable that most heavily influenced the staffing level was 112 calls for police service. Community characteristics such as location and economics will have a much greater bearing on police-staffing levels than population alone. Local conditions and needs will vary, but the basis method of regression analysis will provide a good framework for determining staffing needs. Once the needed staffing level has been established(and presumable attained), the next task for the patrol administrator is to develop a deployment strategy that will ensure maximum effectiveness and productivity as well as optimum utilization of personnel resources. 적정한 인력산출모형은 거시적 방법과 미시적 방법(업무량분석 등)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 방법인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지구대의 현원을 종속변수로 보고 독립변수로 각 순찰지구대의 인구, 면적, 인구밀도, 5대범죄, 112건수, 교통사고로 설정하여 인력산출 회귀방적식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순찰지구대의 인력배치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회귀방정식으로 근무인원을 결정할 수 없을 경우 비슷한 도시비교를 통하여 인력을 배치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대체로 신도시보다는 전통이 있는 도시에 더 많은 인력이 배치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시골지역은 치안수요는 적지만 범죄의 광역화와 범죄자의 이동성를 고려하여 치안공백상태로 방치할 수 없는 측면이 있으므로 3교대 근무교대가 가능하고 긴급한 경우 대처가 가능하도록 적정한 인력을 배치해야 한다. 즉 시골지역은 치안수요가 적기 때문에 치안수요보다는 돌발상태에 대비하는 대기인력 혹은 고정배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인력의 배치방법은 치안수요가 적은 시골의 인력을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가 우선적으로 결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력재배치 방법은 고정적으로 배치할 수밖에 없는 부분부터 기준을 만들어 우선적으로 배치결정을 한다는 의미에서 "시골에서 도시로"라는 방법이 합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순찰지구대의 관할면적이 넓은 경우 국민의 도움요청이 있는 경우 적절한 시간내에 현장에 도착하여 국민의 신체와 재산을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가? 혹은 "시골에 사는 소수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관할면적이 200평방 km이상인 145개 정도의 지구대는 과거의 파출소제도로 환원시키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농촌도시 순찰지구대 운영에 대한 일선경찰관들의 인식분석

        박동균(Park Dong Kyun) 한국도시행정학회 2005 도시 행정 학보 Vol.18 No.2

        The national Korean police force is comprised of the headquarter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central police organization, 14 provincial police agencies, 231 police stations, 2930 branch offices. Recently, community policing is the first major reform in policing. The goals of community policing are generally characterized as controlling crime, reducing the fear of crime, maintaining order, and th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neighborhoods. Under theses situations, many efforts are underway to accomplish a radical reorganization of the structure of police administration that will be more conducive to achieve the prevailing goal of community service. Current innovations in police patrolling procedures reflect the movement away from crime-fighting and toward a sensitivity to the local community. In these contexts,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tarted new patrol division system which combining 3-5 police boxes into one patrol division to increase efficiency and to perform positive community policing since 2003. Th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patrol division system in rural areas, with the case of Andong city. This study is methodological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research(using data from 246 living in Andong police station). As statistical analysis, mainly simple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package. Conclusionally, To solve the problem and obstacles of patrol division system and to realize the community policing in rural areas, the police agencies should come up with new policies fitting the patrol division system in rural areas.

      • KCI등재

        한국지역경찰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 최근 바뀐 순찰지구대 운영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석청호 ( Cheong Ho Seok ) 한국경찰학회 2003 한국경찰학회보 Vol.5 No.2

        Countries of the world come up with new policies and ideas to prevent crimes and to reduce the fears of crimes. In the past, governments looked upon preventing crime for the people as public goods and initiated crime prevention activities. But we think of the problems of crimes as the problems of the societies and take the Community Policing to resolve the problems with the people living in the districts these days. We have been talking about the efficiency problems of a police box since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ism.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started Patrol Division System combining 3-5 police boxes into one patrol division to increase efficiency and to perform positive community policing since August, 2003. This study is based on the statistics surveyed on the students on re-training at Police Comprehensive Academy from Aug 18 to Aug 29, 2003 to check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ng based on the patrol division system_ It shows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and police officers` abilities to handle drunk people. It shows that police officers` job contentment is increasing as well. But there are some problems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It is hard to cooperate with the private police in the districts, to garner crime information, and to change the shifts due to the smallness and confusions of the police division centers. To minimize the problems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and to maximize the community policing, we have to come up with new policies fitting the patrol division system. To interact with the residents, the police should focus on patrolling on foot. When the police use cars to patrol the districts, they should find out new techniques to contact with the residents as often as possible.

      • KCI등재

        순찰지구대 체제하의 치안서비스 공동생산에 관한 연구 : 지역경찰의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손능수(孫能銖) 한국정책과학학회 2007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1 No.2

        본 연구는 순찰지구대 체제하의 치안서비스 공동생산 활동에 대한 경찰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 치안서비스 공동생산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순찰지구대와 치안서비스 공동생산의 이론적 측면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치안서비스 공동생산의 평가가준으로 체계화시킨 경찰과 민간경비의 관계, 경찰과 협조하의 시민개인활동, 그리고 경찰과 협조하의 시민단체활동의 세 가지 분석수준을 기반으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찰과 민간경비의 관계에서 볼 때, 경찰은 민간경비가 경찰에 비해 전문성이 낮으며, 또한 치안서비스의 주체로 보기에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경찰과 협조하의 시민개인활동에 있어서는 범죄 목격자의 증인출석에서 매우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경찰과 협조하의 시민단체활동 측면에서 볼 때, 네 가지 지표에서 보통 이하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주민들은 자율방범활동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자율방범활동에의 참여의지도 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지역별로 볼 때, 경찰과 민간경비의 관계, 경찰과 협조하의 시민개인활동, 그리고 경찰과 협조하의 시민단체활동의 여러 항목에서 집단간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police officers' recognition on co-production in police service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and co-production in police service. Secondly, the analytical framework is formulated based on three levels developed for co-production in police service such as a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nd private security, individual activity in cooperation with police agencies, and collective activity in cooperation with police agenc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nd private security is below the average in specialty and identity in police service. Secondly, In relation to individual activity, presenting oneself as a witness is in low level. Thirdly, the level of collective activity is below the average in four factors. Fourthly, compared in the level of the area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n all levels. Finally,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level of co-production in police service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is explo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 KCI등재

        경찰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상운(Kim Sangw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이 연구는 경찰 지구대에서 근무하는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완성을 위하여 현직 지구대 소속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자료를 통계적 기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지구대는 민생치안의 최일선에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는 부서로서 양질의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속 경찰관들은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직무의 난의도가 높고, 업무량이 많은 탓에 지구대 소속 경찰관은 많은 직무스트레스를받고 있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는 소속 경찰관들을 정신적ㆍ육체적으로 탈진시키기 때문에 경찰관 개인적으로도 큰 문제이지만 양질의 치안서비스를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구대 소속 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를 구성하는 직무관련 스트레스는 감정고갈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관련 스트레스 또한 감정고갈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관계 관련 스트레스는 감정고갈과 직업효능감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구대 소속 경찰의 직무스트레스는 결국 직무소진에 일부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매뉴얼 개선, 인사상ㆍ금전적 보상강화, 경직된 조직문화 개선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job stress of officer working at a police patrol on burnou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police patrol officers in service and analyzed the survey results statistically to prove the hypothesis. Police patrol is a division that provides the security service in the first line and police patrol officers are trying their best to provide high-quality security service. However, police patrol officers are suffering from high level of job stress due to difficulty of duty and overloads. Such job stress not only causes emotional and physical exhaustion of police patrol officers in individual level but also prevents police patrol officers from providing high-quality security service. This study examined how job stress of police patrol officers influenced on burnout and the jobrelated stress in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Also, reward-related str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Meanwhile, personal relationship-related str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and decrease in job efficacy. These proved that job stress of police patrol officers have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urnout. To solve this issue, this study suggested on developing manuals for actively responding to issue, providing personnel and financial rewards, and improving a rigid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지역사회경찰활동에 근거한 지역경찰제의 실행 과제

        이미정(Lee Mi Je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04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

        급증하는 치안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찰은 2003년 8월부터 경찰서단위의 파출소 3-5개를 통합한 광역권 순찰지구대를 중심으로 '지역 경찰제'를 실시하고 있다. 지역경찰제의 핵심은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치안수요가 많은 지역에 인력과 장비를 증가시켜 현장대응력을 증대시키는 한편 순찰과 대민봉사에 주력하여 범죄예방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특히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범죄예방과 지역주민들과의 협력관계의 강화라는 점에 있어서 지역경찰제는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이념에 근거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현형 순찰지구대의 현황을 살펴보면,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범죄예방과 주민 참여에 있어서 오히려 기존의 파출소제도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지역경찰제 실시의 정당성을 점차 상실해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경찰제가 지역사회 경찰활동이라는 이론적 근거에 맞게 현행 제도를 실행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has been started new patrol division system which combing 3-5 police boxes into one patrol division to confront increasing public order demand efficiently since August 2003. This system concentrates on not only improve crime prevention ability through patrol activity and civil service but also increase field confrontation ability concerning region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 the respect of strengthening crime prevention and cooperation between police and residents, new patrol division system is based on the idea of community policing. But in present, this system didn't practice crime prevention and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uld lose its good reas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a direction that new patrol division system is suitable and practicable for community policing.

      • KCI등재

        순찰지구대 경찰관의 직무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우열(Woo-Yeoul Jung),손능수(Neung-Su Son) 서울행정학회 2006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police officer’ job satisfaction and its determinants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At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police officer’ job satisfaction in the four factors. In relation to determinants, survey questionnaires were made on the basis of five principles of job satisfaction determinants, including private factors, job environment, job content, ability, and police environmen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the police officer’ job satisfaction of the patrol division system is normal. Secondly, In relation to determinants, job environment, human relation, and the term of one’s service a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general level of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environmen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general level of the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