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aCI의 농도가 느타리버섯과 푸른곰팡이 병원균의 균사생성에 미치는 영향

        전창성,박정식,설화진,공원식,유영복,천세철 한국버섯학회 2004 한국버섯학회지 Vol.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NaCl treatment on growth oyster mushroom and Trichoderma spp. on PDA and in rice straws. We also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oyster mushroom cultivation using rice straw harvested from the reclaimed land having been drained sea water. Mycelial growth of oyster mushroom was increased by treatment of 0.2% NaCl but decreased by treatment of the higher concentration of NaCl. In the case of the mycelial growth on PDA of Trichoderma spp., no change was found in 0.5%∼1.0% NaCl, but decreased in the range of 1.0%∼3.0% NaCl and drastically decreased at 5.0% NaCl. In the rice straw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NaCl solution, mycelial growth of oyster mushroom showed almost same result compare to PDA. The spore formation of Trichoderma mould was almost same in both 0% and 0.3% NaCl, decreased in 0.5% and was not found spores i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NaCl. As increasing salt concentration in the rice straws, the NaO contents were increased. The K2O contents were decreased before and after sterilization. The moisture content of rice straws showed no difference by treatment of 3.0% NaCl but decreased the moisture by treatment of 5.0% NaCl. No pH change was found in the rice straws treated with NaCl. Mushroom yield in the rice straw of reclaimed land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normal paddy land straw. The duration of primordium formation was not affected by NaCl concentration in rice straws. The yield of fruiting body in 0.3% NaCl treatment was 2,700kg, which was almost same to non-treated plot, but decreased in 0.5% NaCl. EC value of soaking water after submerging rice straw was higher than before, but NaO content was not changed at both condition.

      • KCI등재

        NaCl 함량에 따른 내염성 느타리버섯 선발과 재배적 특성

        최종인 외 한국버섯학회 2005 한국버섯학회지 Vol.3 No.2

        국내의 NaCl 함유한 부존자원중 버섯배지화 하기 위하여 내염성 느타리버섯 균주를 선발하고, 선발된 균주를 NaCl 함유 톱밥배지에서 재배하여 생장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느타리 버섯 64품종중 NaCl이 3% 첨가한 PDA 배지에서 김제 10호, 농기2-1호, 명월, 병느타리1호, 부평소엽1호, 삼복, 춘추2호 등이 다른품종에 비해 균사생장 및 균사밀도가 양호하였다. 나. 명월은 NaCl 0.5%, 김제10호, 부평소엽1호는 1.0%, 농기2-1호, 병느타리1호, 삼복, 춘추느타리 2호는 1.5%까지 자실체 형성이 가능하였다. 다. 톱밥배지에서 염농도가 높아질수록 배양기간이 길어졌으며 대가 짧아지고 가늘어졌으며 수량이 감소했다. 라. 배지내에 NaCl 함량이 높아질수록 버섯의 K₂O, CaO 흡수능은 감소되었으며 자실체내의 NaCl함량은 배지내 NaCl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oyster mushroom strains tolerant to salinity and characteristic cultivation by different NaCl concentration. Among the 64 strains, Kimjae-10ho, Nongki-2-1ho, Myungyul, Byungneutari-1ho, Bupyungsoyae-1ho, Sambok and Chunchu-2ho resulted in higher mycelial growth and density on PDA medium containing NaCl. The maxium NaCl concentration possible to fruit body formation was 0.5% NaCl in Myungyul, 1.0% NaCl in Kimjae-10ho and Bupyungsoyae-1ho, 1.5% NaCl in Nongki-2-1ho, Byungneutari-1ho, Sambok and Chunchu-2ho, respectively. Increased NaCl concentration on sawdust medium prolonged culture period, while decreased total quantity and come to be short and thin in Length and thickness of stipe. Higher NaCl concentration in the medium decreased the uptake rate of K₂O and CaO, whereas increased the NaCl uptake rate.

      • SCOPUSKCI등재

        닭다리살 유화물의 염화나트륨(NaCl) 첨가수준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박신영(Sin-Young Park),김학연(Hack-You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는 NaCl 첨가량에 따른 닭다리살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분과 회분은 NaCl 1.2%와 1.5%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p<0.05), 단백질은 NaCl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가열 전 유화물에서 NaCl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가열 후 닭다리살 소시지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 측정 결과 가열 전·후 명도(lightness)는 NaCl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황색도(yellowness)는 가열 전 유화물은 NaCl 1.2%와 1.5% 처리구는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p<0.05), 가열 후에는 NaCl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색도(redness)는 가열 전 유화물에서 NaCl 첨가수준이 1.2%까지 상승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가열 후 적색도는 NaCl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열수율과 유화안정성 측정결과, 가열수율은 NaCl 0.6% 처리구부터 NaCl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p<0.05). 유화안정성 중 수분 분리율은 NaCl 0.9-1.5% 처리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분 분리율을 보였으며(p<0.05), 지방 분리율은 NaCl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점도(viscosity) 측정결과 NaCl 첨가량이 높은 처리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점도를 나타내어, NaCl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점도 또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hardness)는 NaCl 1.2%와 1.5% 처리구가 0.28-0.30 kgf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검성(gumminess)과 씹힘성(chewiness)은 경도와 동일하게 NaCl 1.2%, 1.5%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닭다리살 유화형 소시지에 NaCl을 1.2% 첨가하였을 때 NaCl 1.5% 처리구와 이화학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닭다리살을 이용한 저염 육제품 제조 시 NaCl을 1.2% 첨가하는 것이 이화학적인 특성 저하를 일으키지 않는 적정 수준일 것으로 판단된다.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icken-thigh emulsion manufactu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Cl (0, 0.3, 0.6, 0.9, 1.2, and 1.5%) were examined. Moisture and ash contents of samples containing 1.2% and 1.5% NaC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samples (p<0.05). Protein conte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The pH values of batter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p<0.05). The lightness values of uncooked and cooked samples showed an upward tren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NaCl.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of uncooked batters containing 1.2% and 1.5% NaC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samples (p<0.05). The cooking yield and viscosity of the samples increased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Samples containing 1.2% and 1.5% NaCl showed higher viscosities than the controls and samples containing 0.3-0.9% NaCl.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addition 1.2% NaCl in chicken thigh products is beneficial.

      • SCOPUSKCI등재

        NaCl 첨가량에 따른 돈육 유화물의 이화학적 특성

        박신영(Sin-Young Park),김학연(Hack-Yo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는 돈육 유화물을 저염 육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돈육 유화물 제조 시 NaCl 첨가량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처리구별로 돈육 유화물 제조 시 NaCl 첨가량을 0%, 0.3%, 0.6%, 0.9%, 1.2%, 1.5% 첨가하여 6개의 처리구로 분류하여 제조하였다. 수분 함량은 NaCl 1.5% 첨가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가졌다(P<0.05). 회분 함량은 NaCl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NaCl 첨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열 전 pH는 NaCl 0.9%, 1.2%, 1.5%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가열 후에는 모든 NaCl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pH를 나타내었다(P<0.05). 색도 측정 결과 가열 전 명도는 모든 NaCl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가열 후 명도와 황색도는 NaCl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보수력과 가열수율은 NaCl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0.9% 처리구부터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점도는 NaCl 1.2%, 1.5% 처리구가 69.60~71.41 Pa・s로, 대조구와 NaCl 0.3% 처리구의 51.13~51.61 Pa・s보다 높은 점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결과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경도와 검성, 씹음성은 NaCl 1.5% 처리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돈육 유화물에 NaCl이 저염 수준인 0.9~1.2% 첨가되었을 때 NaCl 1.5% 첨가구와 이화학적으로 유사한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돈육 유화물을 이용한 저염육제품 제조 시 염 농도를 0.9%, 1.2%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Cl concentr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emulsion. Pork emulsion was produced containing 0% (control), 0.3%, 0.6%, 0.9%, 1.2%, and 1.5% NaCl. Proximate composition of pork emulsion containing 1.5% NaCl showed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P<0.05). The ash contents of pork emuls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NaCl, and protein conte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The pH levels of uncooked pork emulsion containing 0.9%, 1.2%, and 1.5% NaCl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P<0.05), and the pH level of cooked pork emulsion containing NaCl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CIE L<SUP>*</SUP> value of the uncooked pork emulsion samples containing NaC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whereas CIE a<SUP>*</SUP> and CIE b<SUP>*</SUP> values of samples with NaCl were lower than the control (P<0.05). CIE L<SUP>*</SUP> and CIE b<SUP>*</SUP> values of cooked pork emuls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NaCl level, and CIE 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P<0.05). Viscosity of the pork emuls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NaCl. Texture profile analysis of pork emulsion containing NaC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ringiness or cohesiveness (P>0.05). Pork emulsion containing 1.5% NaCl showed the highest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rk emulsion containing 0.9% and 1.2% NaCl can be used as a low-salt meat product.

      • KCI등재

        Changes in Root Water Uptak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Rice( Oryza sativa L. cv. Dongjin) Seedling under NaCl Stress

        Hyun Sik Chun(전현식)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2

        염분에 대한 벼 유식물의 생리학적 광화학적 반응을 잎의 상대수분함량, 엽록소 형광 및 뿌리의 수분흡수를 통하여 연구하였으며, 벼 유식물이 농도가 다른 NaCl에 노출되었을 경우, 500 mM 이상의 농도와 4일, 5일간 스트레스를 준 처리구에서 식물체의 외관상 심각한 장해 징후가 나타났다. 500 mM에서는 5일간, 1,000 mM 에서는 4일간 스트레스를 준 처리구와 NaCl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 간의 광합성 Fv/Fm에서 유의성이 있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러나 뿌리 수분흡수에서는 Fv/Fm에 비해 스트레스 기간이 짧은 2일에서도 수분흡수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NaCl에 노출된 식물에서 잎의 상대수분함량은 외부 염분의 농도가 증가하고, 스트레스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잎의 상대수분함량 결과에서 1,000 mM농도로 1일간 처리된 경우(88%)와 비교 했어 2일 이상 NaCl를 처리한 경우들(58-67%)에서 보다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NaCl 스트레스는 4일과 5일간 처리한 경우 etiolate된 벼 유식물의 광 유도 녹화과정에서 NaC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심하게 억제하였다(각각의 R²=0.812 과 0.918). 염분 스트레스 기간과 NaCl농도가 증가되었을 때, NaCl의 농도가 같음에도 잎의 Fv/Fm보다는 뿌리의 수분흡수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아 잎에서의 장해보다는 뿌리에서의 반응이 먼저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hysiological and photochemical responses of rice seedling to NaCl stress were investigated through measuring leaf relative water content (RWC), root water uptake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When plants were exposed to increased salinity stress, the visual symptoms of injury were significant at ≥500 mM NaCl concentration for 4 and 5 day stress periods. The differences in Fv/Fm between control treatment and plants treated with 500 mM and 1,000 mM NaCl were evident after 5 day and 4 day, respectively, whereas in root water uptake its effect was observed at 500 mM and 1,000 mM NaCl at 2 day of salt-stressed periods. Leaf RWC in salt-stressed plants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salinity in exogenous solution and duration of salt stress, and these decrease showed leaf RWC of 58-68% atduration over 2 day stress of 1,000 mM NaCl treatment and 88% at 1 day stress. NaCl stress led to a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light-induced greening in etiolated rice plants, especially in 4 and 5 day salt-stressed plants, which linearly decreased with NaCl concentration (R²=0.812 and 0.918, respectively). The effects of NaCl stress in rice seedlings indicate that water uptake in root is more sensitive to increasing NaCl concentration and stress duration than Fv/Fm in leaves compared with the same NaCl concentration.

      • KCI등재

        NaCl 농도가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발아와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李康壽,崔善英,崔喆元 韓國作物學會 199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0 No.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염해반응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NaCl의 8개 농도에서 14개 품종(2배체:7 4배체:7)의 발아율과 유묘건물중, 엽록소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1. 발아율은 NaCl 300mM 이상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에 대한 50%의 발아감소 NaCl농도는 344mM이었다. 2배체품종은 4배체품종보다 감소 정도가 컸으며 NaCl의 농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에 대한 품종들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2. 지상부 건물중은 NaCl 166mM에서 대조구에 대한 50%의 감소율을 보여 발아기보다 유묘기에 NaCl에 대한 영향이 더욱 컸는데, 품종들의 발아율과 지상부 건물중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3. 지하부 건물중은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 정도가 커서 NaCl 148mM에서 50%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품종들의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지상부 건물중과 지하부 건물중은 NaCl의 각 농도에서 2배체가 4배체보다 높았다. 5. Total 엽록소 함량은 NaCl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는다 엽록소 a가 엽록소 b보다 함량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a는 4배체가 2배체보다 높았으나 엽록소 b는 2배체가 4배체보다 높았다. 품종들의 엽록소 a함량과 지상부 건물중과는 NaCl 150mM 이상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6. 유리 proline함량은 NaCl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축적되었는데 2배체와 4배체 사이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들의 지상부 건물중과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alt stress of Italian Ryegrass. Fourteen cultivars including 7 diploid and 7 tetraploid were subjected to eight levels of NaCl treatments during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stages. Germination percentage decreased remarkably over 300mM of NaCl concentration. The NaCl concentration that inhibited germination of 50% of the viable seeds in the cultivars was 344mM. The decreasing degree of germination percentage was higher in tetraploid type than in diploid type. The varietal difference of germination percentage was shown to be very conspicuous as the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Top dry weight in 166 mM NaCl was decreased by 50%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Inhibition of NaCl appeared to be more in early seedling stage than in germination stage. Top dry weight of cultivars in NaCl stress was not related with germination capacity. Root dry weight in 148mM NaCl decreased by 50%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Root dry weight of cultiva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p dry weight in NaCl treatment. Top dry weight and root dry weight was higher in diploid type than in tetraploid type at each 8 levels of NaCl concentration. Total chlorophyll conten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and the degree of increase in chlorophyll a was higher than that in chlorophyll b. Chlorophyll a was higher in tetraploid type than in diploid type. But chlorophyll b was higher in diploid type than in tetraploid typ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lorophyll a and top dry weight of cultivars over 150mM of NaCl concentration. Free proline content accumulated remarkably in NaCl treatment compared with control and was not difference between diploid type and tetraploid type. Free proline content of cultivars was not related with top dry weight in NaCl treatment.

      • NaCl을 이용한 홍고추 및 홍피망의 MA저장 효과

        이귀현,정천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0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9 No.1

        생홍고추 및 생홍피망의 장기저장 방법으로 HDPE 및 LDPE 포장내에 시료와 함계 서로 다른 양의 NaCl을 삽입함으로써 MA저장 효과를 조사하였다. HDPE 및 LDPE 포장내의 NaCl 함량은 0 g, 15 g, 20 g, 25 g이었으며, 대조구로 무포장이 사용되었다. 홍고추 및 홍피망의 각각 50일 및 35일간 MA저장 동안 주기적으로 중량 변화와 곰팡이 발생율을 조사하였고, 저장 초기와 말기에는 색도와 경도를 측정·비교하였다. NaCl을 포함하지 않은 처리구에 있어 HDPE와 LDPE 포장 모두 홍고추 및 홍피망의 중량 감소율은 각각 4∼5% 및 3∼4%의 범위로 매우 낮았다. 그러나, 대조구인 무포장의 경우 중량 감소율이 저장 말기에 홍고추 및 홍피망 각각 45%와 22%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포장 내의 NaCl을 포함한 경우 홍고추 및 홍피망의 중량 감소율은 각각 19% 및 6% 이하로 무포장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무포장인 홍고추 및 홍피망의 저장에 있어 곰팡이 발생율이 각각 5% 및 12.5%로 매우 낮았으나, NaCl을 포함하지 않는 HDPE 및 LDPE 저장에 있어서는 55∼6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NaCl 함유량이 15 g, 20 g 25 g 일 때 HDPE 및 LDPE 포장에 저장된 홍고추 및 홍고추의 곰팡이 발생율은 20∼45%의 범위로 나타났다. NaCl을 포함하지 않는 HDPE와 LDPE 포장내에 저장된 홍고추 및 홍피망의 색도차는 각각 0.74와 1.50 이하로 매우 낮았다. 또한, 15∼25 g의 NaCl을 포함하는 MA 저장된 홍고추 및 홍피망의 색도차도 각각 0.85∼0.88 및 1.56∼1.61의 범위에 있었다. 그러나, 저장습도가 낮은 무포장의 경우 홍고추 및 홍피망의 색도차는 각각 1.15 및 1.78로 다른 처리구보다 매우 컸다. 무포장의 경도 감소는 홍고추 및 홍피망이 각각 1.70 ㎏ 및 0.71 ㎏으로 크게 나타났으나, 무포장에 비해 NaCl을 함유한 HDPE 및 LDPE 포장의 경우 홍고추 및 홍피망의 경도 감소는 각각 0.75∼1.02 ㎏ 및 0.15∼0.49 ㎏의 범위로 낮게 나타났다. The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MA) storage for fresh red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investigated with storing in high and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s (HDPE, LDPE) with various NaCl contents(0 g, 15 g, 20 g, 25 g). During the storage of pepper fruits, the weight loss, color change, mold emergence, and firmness were evaluated. The weight loss of pepper fruits packaged in HDPE and LDPE without NaCl was 3∼5%, even though it was 6∼19% in pepper fruits packaged with NaCl. The rates of mold emergence of red pepper and red bell pepper fruits were lowered to 20∼45% as stored in HDPE and LDPE with NaCl, but those of fruits stored in films without NaCl were high as 55∼65%. The color and firmness of pepper fruits were not much chang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non-packaged fruits as stored in HDPE and LDPE with or without NaCl.

      • KCI등재

        NaCl처리에 대한 벼 원형질체 생존율과 캘러스내 양이온 함량의 품종간 차이

        이영만,정창남,장미순,신서호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1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8 No.1

        NaCl에 대한 내성이 다른 CI5309, 동진벼, 낙동벼의 원형질체와 캘러스에 NaCl 0, 0.3, 0.6, 0.9%를 처리하여 원형질체의 생존율과 캘러스의 proline 및 이온 함량을 조사하였다. 원형질체에 NaCl을 처리하였을 때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품종간에 생존율의 차이가 컸다. 유묘검정에서 내성이 높은 CI5309와 동진벼는 차이가 거의 없으나 낙동벼는 이들보다 생존율이 현격하게 낮았으며 그 정도는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커졌다. 캘러스 내의 proline함량은 NaCl 농도 증가에 따라 내성인 CI5309와 동진벼는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감수성인 낙동벼는 현격하게 적었으며 0.9%의 높은 농도에서 CI5309, 동진벼, 낙동벼의 순으로 함량이 많았고 이 순서는 유묘의 내성정도와 일치하였다. NaCl 농도 증가에 따라 캘러스 내의 Ca는 세 품종 다 감소하나 그 정도는 크지 않았으며 K도 감소하나 0.9%에서 세 품종이 같았다. Mg도 농도증가에 따라 세 품종 모두 감소하였으나 동진벼가 가장 낮았고, Na는 무처리에 비하여 월등히 많았으나 세 품종 다 농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그 양은 CI5309, 나동벼, 동진벼 순이었다. Protoplast and callus of three rice varieties, CI5309 (salt-tolerant), Dongjinbyeo (moderately tolerant), Nakdongbyeo (salt-sensitive), were cultured on the MS medium containing 0, 0.3, 0.6, and 0.9% of NaCl. The survival rates of protoplast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hours after NaCl treatment, and the survival rates of protoplast differed among three varieties at 9∼l2 hours after treatment. The contents of proline of CI5309 and Dongjinbyeo were almost the same at the different levels of NaCl, and that of Nakdongbyeo, however, was greatly decreased at the high concentration of NaCl. The contents of Ca, K and Mg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NaCl concentrations, but the contents of those did not differ among three varieties at the high concentration of NaCl. The contents of Na in each varieties were almost the same at the three levels of NaCl.

      • KCI등재후보

        Sodium Chloride가 치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저염치즈 개발 기술: 총설

        천정환 ( Jung Whan Chon ),김현숙 ( Hyun Sook Kim ),김동현 ( Dong Hyeon Kim ),김홍석 ( Hong Seok Kim ),송광영 ( Kwang Young Song ),정동관 ( Dong Gwan Jeong ),김수기 ( Soo Ki Kim ),서건호 ( Kun Ho Seo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5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3 No.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식료품에 함유된 NaCl을 낮출 것을 권하고 있으며, 식품 내 NaCl 수치감소시키는 것은 중요한 연구분야가 되었다.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의 과다 섭취는 고혈압, 골다공증, 뇌졸증, 신장결석, 심혈관계 질환 등의 다양한 질병과 직접또는 간접적으로 많은 연관되어 있다. 산업국가에서는 치즈등의 가공식품을 통해 많은 양의 소금을 섭취하고 있기 때문에, 치즈 내 NaCl의 함유량 감소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최근에 치즈 내 NaCl의 함유량을 감축하기위한 많은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NaCl은 치즈 내에서 방부제 역할을 하며, 식품의 풍미를 높이고, 치즈의 주요 기능적 특성을 담당하기 때문에, 치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치즈에 함유된 NaCl을 감소하는 것은 쉽지 않다. 대체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치즈에 함유된 NaCl을 감축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NaCl 감소 시에 발생하는 식품의 관능적 특성, 유동학 및 안정성 문제들이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식품 내 NaCl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NaCl 대체(NaCl substitution)라고 불리는 방법이 있으며, 이 방법은 NaCl을 부분적으로 다른 염분(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으로 대체함으로써 식품에 함유된 NaCl 수치를 감소시킨다. 실례로 자연치즈에 함유된 NaCl을 KCl로 대체하였을 때 치즈의 특성, 특히 맛에 변화와 안정선에 문제가 야기되었다. 반면, 가공치즈에 함유된 NaCl을 KCl로 대체하였을 때, 치즈의 특성이 큰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하여 치즈에 함유된 NaCl의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연치즈 내의 NaCl 함량을 감축하기 위해서는 치즈에 함유된 NaCl의 역할, NaCl과 건강문제, NaCl 감소 방법, 다른 염분(특히 염화칼륨으로 NaCl 대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방법 등에 관한 더 많은 향후 연구가 많이 필요하며, 적극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Sodium is an essential nutrient with very important functions, including regulation of the extracellular fluid volume and active transport of molecules across the cell membranes. Since high levels of dietary sodium are associated with a high prevalence of hypertension, prehypertension, and other adverse effects on health, many national and international health organizations (WHO, FAO, etc.) recommend that sodium intake should b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eveloped nations, cheese products, from among many processed foods, can cause high salt intake. Hence,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duce the content of salt in cheese processing, using various substitutes of sodium chloride (NaCl). In general, salt (NaCl) has been used as a food preservative to limit and (or) kill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and spoilage organisms by decreasing the water activity, and to improve texture and flavor. To maintain public health, the salt content in cheese should be decreased without influenc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es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outline the upcoming technologies used to reduce the salt content in different types of cheese using various substitutes.

      • KCI등재

        온도와 NaCl 농도가 이탈리안라이그래스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崔善英,李康壽 韓國作物學會 199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0 No.3

        이탈리안라이그래스의 발아기 내염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온도가 25℃ , 20℃ 및 15℃ 인 조건에서 NaCl의 농도를 350mM까지 8개의 수준으로 조절하여 2배체형의 9품종과 4배체형의 11품종을 치상하여 발아상태를 조사하였다. 1. 발아율은 온도, NaCl의 농도 그리고 품종들에 따라 각각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2. NaCl의 무처리에서 품종들의 발아율은 20℃ 에서 90.1%로 25℃ 에서의 87.8%나 15℃ 에서의 87.5%보다 높았다. 3. 품종들의 평균발아율은 NaCl의 농도가 200mM에서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감소농도는 20℃ 에서 15℃ 나 25℃ 보다 높았다. 4. 20℃ 에서 품종들의 발아속도는 NaCl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늦어졌고 발아율도 낮았다. 5. 평균발아일수는 온도가 낮고 NaCl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점차 길어졌다. 6. 2배체형은 4배체형보다 온도와 NaCl의 농도에 관계없이 발아율이 높았으며 평균발아일수는 짧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salinity tolerance in Italian Ryegrass. Seeds of 20 cultivars that contained diploid(9 cultivars) and tetraploid(l1 cultivars) types were exposed to eight levels of NaCl concentration ranging from 0 to 350 mM under three levels (15~circC , 20~circC and 25~circC ) of temperature.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rmination percentage among the levels of NaCl concentration, levels of temperature and cultivars, respectively. Average germination percentage of cultivars in control(no NaCl was higher at 20~circC (90.1%) than that of 25~circC (87.8%) or 15~circC (87.5%). Average germination percentage of cultivars began to decrease over 200mM of NaCl concentration. The degree of decrease in germination was higher at 25~circC than that of 15~circC or 20~circC . At 20~circC , the germination percentage and gemination speed were gradually decreased as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The average germination day was lengthened by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he germination percentage in diploid types were higher than that of tetraploid types but the average germination day in diploid types was shortened more than that of tetraploid types, regardless of temperature and NaCl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