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공적 돌봄 서비스 이용량 영향요인: 중장년과 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김지민,송인주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4

        This study explored factors of formal care service usage, dividing service users between middle-aged (50-64) and older adults (65+). Despite of upsurging care needs of middle-aged adults, previous studies have not studied on their care needs. Therefore, we focused on examining the factors of service uses for understanding their needs for public care services. We used the second data from Care SOS Center in Seoul, South Korea and selected 31,265 people who used the services in 2021. Independent variables were organized into four categories - predisposing, enabling, need, and health care system factors - based on Andersen's theory of service uses, for which many previous studies have adopted. After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redisposing factors, middle-aged adults who have many family members were more likely to use care services, while older adults’ family membe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need factors such as the discharged patients were pivotal in care service uses of both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ird, older adults who had used other social care services before were less likely to use this short-term care SOS services, but the resul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middle-aged adul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such as developing intensive care services for the discharged based on community care, interlocking and connecting social care services, making interventions for the excluded who needs imminent services as well a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universal care services for both older and middle-aged adults.

      • KCI등재

        중고령 장애인의 주관적 건강 궤적 영향요인-비장애인과의 비교

        노승현,김정석,김미선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24 재활복지 Vol.28 No.2

        본 연구는 중고령 장애인들이 느끼는 건강변화와 변화요인이 비장애인과 어떻게 서로 다른지에주목하고 있다. 비교분석을 위해서, 한국복지패널 7차(2012년)부터 16차(2021년)까지의 10년간 자료를 통합하고, 50세 이상의 중고령 장애인 836명, 비장애인 4258명을 추출하였다. 주관적 건강변화와 변화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무조건부 모형 및 조건부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집단비교분석을 통해 장애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무조건부 모형 분석에 따르면, 중고령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시간 흐름에 따라 주관적 건강 수준이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중고령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주관적 건강수준의 초기값이낮았으나 변화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조건부 모형 분석을 보면, 중고령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주관적 건강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가구소득, 건강검진 여부, 위험음주 여부, 가족관계만족도, 사회적관계만족도, 여가활동 만족도였다. 장애여부별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중고령장애인에게서는 교육연수 그리고 중고령 비장애인에게서는 흡연여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건강검진여부, 흡연의 효과는 중고령 비장애인에게서 더 크게, 교육기간의 효과는 중고령 장애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의 변화율은 자원봉사활동 참여가 장애여부에 관계없이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한편 위험음주는 중고령 장애인에게, 건강검진수검은 중고령 비장애인에게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중고령 장애인의 건강증진 정책 및 서비스는 비장애인과 대비 혹은 대조되는 이들의 특성을 반영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d how self-rated health (SRH) change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adults without disabilities.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encompassing the 7th (2012) to the 16th (2021). the study extracted 836 adults with disabilities aged 50 or older and 4,258 adults without disabilities. Potential growth models (unconditional and conditional models) were analyzed to identify subjective health changes and factors influencing such changes. Multi-group comparison analysis method was adopted to examine differences by disability. In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the SRH of both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adults without disabilities tended to decrease gradually over time. Adults with disabilities had a lower initial value of SRH than adults without disabilities,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rate of change. In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gender, age, household income, health checkups, risk of drinking,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variables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itial values of SRH of adul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Looking at the influencing factors by dis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education training was significant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the effect of smoking was significant for adults without disabilities.The effects of age and smoking were more significant in adul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years of education and health checkups were more significant in adults with disabilities. Volunteer activitie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change in SRH regardless of disability. On the other hand, dangerous drin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change in SRH of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having medical checkup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at of adults without disabilities. The results suggest that health promotion policies and services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need to reflect their characteristics compared or contrasted with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out disabilities.

      • KCI등재

        중고령자의 노인낙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화불안의 매개효과

        임정숙,정세미,정순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ld-age stigmaon depression, with the mediating role of aging anxiety o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for reducing depress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Respondents include 59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from the 'Survey on Age Integration', conducted on behalf of Initiative for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with funding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 medi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aging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ld-age stigma and depression, but the direct effect old-age stigma on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 demonstrates the role of aging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depress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erefore, social welfare means to decrease and prevent aging anxiety are required.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developing programs of old age preparation and aging adaptation, and building practical social support network that can stabilize life in old age as specific means to prevent aging anxiety. Furthermore, intergenerational exchanges that can reduce old-age stigma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노인 낙인이 노화불안을 경유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중고령자의 우울감소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2018년 연령통합 및 세대통합조사’ 자료의 45세 이상 중고령자 590명을 대상으로 분석였으며,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낙인과 우울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노인낙인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볼 때, 중고령자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노인낙인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화불안 감소와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화불안 예방을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노년기 준비 및 노화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노후의 삶의 안정을 위한 실제적 사회 안전망 구축 등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노인낙인을 감소하기 위한 연령교류의 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하였다.

      •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황지영(Ji Young Hwang) 한국복지실천학회 2022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4 No.1

        This study verified the digital capabilities, and the role of a social support among the induction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nd older peopl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from August 2, 2022 to September 7 targeti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over 50 years of age who live in capital area. The final 284 questionnaire copies were used as the analysis objects of this study. Summarizing the results of having been shown in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technology competence, which is a sub-factor of digital capabil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to be significant (F=18.488,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e utilization capability appeared to be meaningful (F=17.212,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emotional suppor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social support was seen to be significant (F=17.212,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e informational support was indicated to be meaningful (F=24.956,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e material suppor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social support, was shown to be significant (F=21.488,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e appraisal support appeared to be meaningful (F=23.899, p<.001)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upon the life satisfaction. Third, the interactive moderating effect (β=.23) of the digital capability and the emotional support can be known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t=2.85, p<.01). The possibility that the life satisfaction will grow due to the improvement in digital capability comes to be expanded as the emotional support is strengthened. Thus, the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digital capability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can be considered to be moder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motional support (Hypothesis 3-1). Fourth, the interactive moderating effect (β=.18) of the digital capability and the informational support can be known to have a positive(+) meaningful impact (t=2.02, p<.05). The possibility that the life satisfaction will increase owing to the betterment in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comes to be extended as the informational support is intensified. Thus, the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digital capability in middle-aged and older people can be mentioned to be moderated depending on the level of informational support (Hypothesis 3-2). Fifth, the interactive moderating effect (β=.11) of the digital capability and the material support can be understood to have a positive(+) significant impact (t=2.01, p<.05). The possibility that the life satisfaction will grow due to the improvement in digital capability comes to be magnified as the material support is tightened. Thus, the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digital capability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can be seen to be moder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erial support (Hypothesis 3-3). Sixth, the interactive moderating effect (β=.11) of the digital capability and the appraisal support can be known to have a positive(+) meaningful impact (t=2.03, p<.05). The possibility that the life satisfaction will increase thanks to the betterment in digital capability comes to be expanded as the appraisal support is strengthened. Thus, the influence upon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digital capability in middle-aged and older people can be considered to be moderated depending on the level of appraisal support (Hypothesis 3-4). 본 연구는 중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발요인들 중에서 디지털역량과 사회적지지의 역할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2년 8월 2일부터 9월 7일까지 수도권지역에서 생활하고 직업이 있는 50세∼69세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284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인인 디지털역량의 하위요인인 기술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F=18.488, p<.001)되었고, 활용역량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17.212, p<.001). 둘째,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7.212, p<.001), 정보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24.956, p<.001).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도구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21.488, p<.001), 평가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23.899, p<.001). 셋째, 디지털역량과 정서적지지의 상호조절효과(β=.23)는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t=2.85, p<.01), 디지털 역량 향상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가능성은 정서적지지가 강화될수록 확대하게 되므로,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적지지 정도에 따라서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가설3-1). 넷째, 디지털역량과 정보적지지의 상호조절효과(β=.18)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t=2.02, p<.05), 디지털역량 향상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가능성은 정보적지지가 강화될수록 확대하게 되므로,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은 정보적지지 정도에 따라서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가설3-2). 다섯째, 디지털역량과 도구적지지의 상호조절효과(β=.11)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t=2.01, p<.05), 디지털 역량 향상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가능성은 도구적지지가 강화될수록 확대하게 되므로,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도구적지지 정도에 따라서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가설3-3). 여섯째, 디지털역량과 평가적지지의 상호조절효과(β=.11)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t=2.03, p<.05), 디지털역량 향상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가능성은 평가적지지가 강화될수록 확대하게 되므로, 중고령자의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평가적지지 정도에 따라서 조절된다고 할 수 있다(가설3-4). 이는 중고령자가 인지하는 디지털역량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할 때, 평가적지지를 받게 되면 중고령자가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의 정도는 다소 확대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디지털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는 미미하였으며, 조절변수로서 사회적지지를 적용하여 분석한 국내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역량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적지지 변인이 조절적 역할을 한다는 것이 검증됨으로서 사회적지지 변인 적용은 새로운 연구로서의 가치를 부여하였고, 하위변수인 정서적지지와 정보적지지, 도구적지지와 평가적지지의 요인들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접근 차원에서 유용한 연구결과이며, 향후 디지털 격차 해소와 사회복지서비스 강화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중고령 성인의 자기통제력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의 매개효과

        노수림,최원일,김주현 한국건강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9 No.1

        Loneliness is a distressing emotional state characterized by feelings of emptiness and isolation when social relationship needs are frustrated or unfulfilled, posing risks to both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control on lonelines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loneliness. A total of 694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40 to 71 yea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and a serial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echniques.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elf-control on loneliness via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This indicates that those with poor self-control skill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and that frequent experiences of social exclusion and lack of sense of belongingness, in turn, tended to increase loneliness. In addition, the serial mediation influences of self-control on loneliness via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were documented in the mediation model. These findings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health stat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Furthermore, subgroup analysis comparing middle-aged (40-50 years) and older adults (60 years and above)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self-control in social relationships as a contributing factor to lonelines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t also highlighted the intervening roles of social exclusion and thwarted belongingness in this process. The discussion section addressed the importance of self-control in preventing and reducing lonelines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외로움은 사회적 관계 욕구가 좌절되거나 충족되지 않을 때 느끼는 공허함 혹은 쓸쓸함과 같은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정서를 뜻하며, 신체 및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중고령 성인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형성과 유지에 주요한 심리적 자원인 자기통제력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통제력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40∼71세 중고령 성인 총 69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자기통제력은 사회적 배제, 좌절된 소속감, 그리고 외로움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기통제력은 외로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을 각각 매개로 하여 외로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통제력이 사회적 배제와 좌절된 소속감을 순차적으로 거쳐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상태, 인구통계학적 특성 그리고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였으며, 40-50대 중년과 60대 이상 집단을 비교한 다집단 분석 결과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부족이 중고령 성인의 외로움을 높이는데 기여하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배제 경험과 좌절된 소속감의 증가를 통해서도 외로움이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고령 성인의 외로움 예방 및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관련 요인

        최봄이,박하영,송시영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o verify the factors relevant to these trajectories. Method: To achieve this, a three-step approach to the Latent Class Growth Model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sample of 4,616 married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ged 45 and above who participated in the 13th to 16th (2018-2021)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Results: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revealed thre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igh-level increasing’ (68.9%), ‘moderate-level decreasing’ (26.5%), and ‘low-level decreasing’ (4.6%). The ‘high-level increasing’ group showed that marital satisfaction, which began at a relatively high level, increased further since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in the case of ‘moderate-level decreasing’ and ‘low-level decreasing’, marital satisfaction continued to decline with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age, household incom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relevant to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Thus, wh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conditions were low,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belonging to the trajectories of maladaptive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terogeneity within the group must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have experienced external family stressor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Also, this study confirms how socioeconomic resources and health characteristics are relevant to the trajectories of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y considering the heterogeneity in patterns of couples’ adaptation and sub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ornerstone for practical effort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families in the post-COVID-19 era.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의 변화유형을 파악하고, 변화유형과 관련한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3-16차(2018-2021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만 45세 이상 유배우자 4,616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성장모형 3단계 접근법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잠재계층성장분석 결과,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은 ‘고수준 상승형(68.9%)’, ‘중수준 감소형(26.5%)’, ‘저수준 감소형(4.6%)’으로 도출되었다. ‘고수준 상승형’은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시작된 부부관계 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수준 감소형’과 ‘저수준 감소형’의 경우 부부관계 만족도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지속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관련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 연령, 가구소득, 가구원 수, 교육수준, 주관적 건강, 생활만족도, 우울이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수준이 낮을 때 부적응적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외부적 가족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한 중·노년기 기혼자의 부부관계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집단 내 이질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며, 사회·경제적 자원과 건강 특성이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부부가 적응하는 양상의 이질성과 변화유형의 특성을 세분화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가족의 이해를 증진하는 실천적 노력의 초석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디지털 격차와의 관계: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엄사랑,윤희정,신혜리,김영선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the digital divide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o verify the gender differe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community-dwelling Koreans aged 55 years and older, and 500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had a higher level of health literacy had a higher level of the digital divid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esides, mal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ad a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the digital divide, but femal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had no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emphasized that improving health literacy should be preceded as an action plan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especially for male middle-aged and older adults 본 연구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과 디지털 격차의 관계를 검증하고, 성별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총 500명의 최종 대상자를 수집하였으며,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기술 활용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성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성 중・고령자는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기술 활용 수준이 통계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여성 중・고령자는 연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격차를 경감시키기 위한 실천방안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증진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이 선행되어야 하며, 특히 남성 중・고령자에게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 KCI등재

        Depressive Symptoms and Mortali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South Korea

        Yun Hyeon-Seung,Kim Jae-Hyun,Bae Sung-Man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2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9 No.4

        Objective This study’s aim is to verify the longitudinal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on all-cause mortality depending on the age group.Methods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s data from 2006 to 2016 were assessed using longitudinal data analysis, and 10,145 participants (age [mean±standard deviation], 61.7±11.1 years; males, 4,426 [43.6%]; females, 5,719 [56.4%]; middle-aged adults, 6,036 [59.5%]; older adults, 4,109 [40.5%]) were included at baseline. The chi-square test, log-rank test, factor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mortality. To verify that which feelings and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mortality, factor analysis was used to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and it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negative and positive affects.Results The hazard ratio (HR) of all-cause mortality for the Q1 (high) of the negative affect factor was higher than the Q3 (low) of this factor (HR, 1.489; 95% confidence interval, 1.284–1.728). Additionally, the association between negative affect and all-cause mortality was stronger in middle-aged adults than older adults.Conclusion The study provided evidence of the longitudinal effect of depressive symptoms on all-cause mortality regardless of age. However, middle-aged adults could be more sensitive to negative feelings and behaviors than older adults.

      • KCI등재

        중장년층,노년층의 노화인식과 세대간 결속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순둘 ( Soon Dool Chung ),이루리 ( Lu Ri Lee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 of recognition of aging and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on life satisfaction of two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the middle-aged and the older adults, and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for later life. A total of 702 respondents consisted of people aged 40-64 and aged 65 and above were used for the analysis, which was the part of data collected by quota sampling method from 1,000 Korean adults aged 20 and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mong those two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m. The common factors to predict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the older adults were self-rated economic status and affectional solidarity. 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 the middle-aged. While a self-rated economic statu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for the middle-aged, an affectional solidarity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for older adults. Based on the results, countermeasures for improving life satisfaction for later life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 중년층과 고령층의 차이 비교를 중심으로

        엄사랑(嚴사랑),신혜리(申慧利),김영선(金英善)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물질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으며, 연령집단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령집단은 중년층(55~64세) 247명과 고령층(65세 이상) 253명을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Analysis)을 실시하여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연령이, 사회적 요인에서는 사회활동, 개인적 요인에서는 교육수준, 자기효능감, 물직적 요인은 컴퓨터 접근성이 기술활용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중년층의 경우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제외한 경제적 요인(취업여부), 사회적 요인(사회활동), 개인적 요인(교육수준, 자기효능감), 물질적 요인(컴퓨터 보유)과 같이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요인을 가지고 있는 반면, 고령층의 경우 개인적 요인(교육수준, 자기효능감)과 물질적 요인(컴퓨터 및 스마트폰 보유)의 영향요인만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기술활용도 영향요인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연령집단 별 상이한 양상을 보임으로 중・고령자의 기술관련 논의를 확장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정보역량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 중년층의 경우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개인적 요인, 물질적 요인을 전반적으로 고려한 통합 기술활용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며, 고령층의 경우 컴퓨터 접근성 및 스마트폰 접근성 등의 물질적 차원을 높이는 단기성・일회성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자기효능감 프로그램과의 병행 운영 등 개인적 차원을 함께 높여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utilization in the middle and Older Adults by demographic, economic, social, personal, and material factors.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over 55 years old(total participants= 500), and for the analysis of age group was classified as Middle-Aged(55-64), Older Adults(65+).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among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for Middle and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in demographic factors(age), social factors(social activity), and physical factors(education, self-efficacy). In addition, by age group, middle-aged were significant in economic factors(employment status), social factors(social activity), personal factors(education, self-efficacy), and physical factors(computer access). On the other hand, the Older Adults were significant in personal factors (education, self-efficacy) and material factors(computer and smartphone access).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factors influencing of technology utilization are multidimensionally verified, and the age groups showed different patterns. So, in order to promote the technology utilization, middle-aged people should provide an integrated technology utilization promotion program that considers economic factors, social factors, personal factors, and material factors. On the other hand, for Older Adults, need to provide a long-term program that improves personal dimension such as a self-efficacy program, along with short-term programs that increases the material dimension of computer and smartphone acces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