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혁신학의 성찬론의 특징과 그 구원론적 함의

        김광열(Kwang Yul Kim) 신학지남사 2018 신학지남 Vol.85 No.1

        The Reformed view of the Lord’s Supper ha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it. The Reformed view explained by John Calvin does not accept the Roman Catholic’s view of transubstantiation. Furthermore, it is different not only from Lutheran view of Consubstantiation, but also from Zwingli’s understanding of it. Such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Reformed view on the Lord’s Supper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eformed view on salvation explained by John Calvin. Calvin understood salvation as spiritual blessings given in one’s union with Christ. In his understanding of Lord’s Supper, the believer’s drinking the wine and eating the bread is to be more than a simple ceremony in remembrance of Lord’s death. It is the moment of experiencing the spiritual, real presence of our Lord by the mysterious work of the Holy Spirit. When the believer participates in the Lord’s Supper, he is actually receiving the spiritual food by the work of Holy Spirit in his union with Christ. The Reformed view is different from both the Roman Catholic’s view of transubstantiation and Lutheran view of consubstantiation, which argue for the literal meaning of wine and bread (manducatio oralis). It also differs from the Zwingli’s understanding that regards Lord’s Supper simply as a ceremony in remembrance of Christ’s death. For Calvin, it is not an empty ceremony. Because the mysterious work of Holy Spirit is given in the Lord’s Supper. Through those spiritual foods,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Lord’s Supper receive some spiritual awakening and experience the real presence of our Lord through the mysterious work of Holy Spirit. Therefore, it is not simply a ceremony of remembering the “past Christ” who died on the cross, but the gracious time of embracing the blessings of the “present Christ” who had risen from death and ascended into heaven and seated on the right side of God. In that sense, it has some soteriological significance for the believer may receive the spiritual blessings in his fellowship and union with Christ through the mysterious work of Holy Spirit in the Lord’s Supper.

      • KCI등재후보

        설교와 성만찬 찬송 시를 통해 본 존 웨슬리의 성만찬 이해

        이세형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이 논문은 “은혜의 수단”과 “성찬을 규칙적으로 시행해야 할 의무”라는 웨슬리의 설교 두 편과 『웨슬리 형제의 성만찬 찬송』(Hymns on the Lord's Supper)에 나타난 웨슬리의 성만찬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국 교회의 예배 갱신을 제안한다. 웨슬리의 성만찬은 하나님께서 제정하신 은총이 임하는 통로요 수단이다. 성만찬에서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억하고, 그리스도의 현재적 은총을 경험하며, 종말로 하나님 나라의 백성임을 보증 받는다. 또한 성만찬에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한 봉헌제물이 되시고 우리도 주님을 향해 봉헌제물이 됨으로써 주님과 연합을 경험한다. 이 연합은 생명의 역환으로서 구원의 자리이다. 웨슬리는 초대 교회를 모델로 삼아 성만찬을 예배 속에 회복시켰고, 자신의 부흥 운동에 활용하였다. 성찬상에 나오는 자들은 겸손히 자신을 낮추어 스스로 제물이 되시고 동시에 자신들을 위해 대언하시는 대제사장으로서의 주님을 만났다. 이 겸손한 봉헌이 영국 교회를 새롭게 한 원동력이었다. 오늘 한국의 교회는 웨슬리의 성만찬에서 만나는 복음적 회심, 성화적 양육, 겸손한 봉헌의 영성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both understand John Wesley's Lord's Supper by exploring his two sermons, “The Means of Grace” and “The Duty of Constant Communion,” and his Hymns on the Lord's Supper and to suggest the renewal of Korean church worship. Wesley understands the Lord's Supper as the means of God's grace. In the Lord's Supper, the partakers remember the suffering of Jesus Christ, experience the spiritual presence of the Lord Jesus Christ in the Holy Spirit, and have the pledge to confirm that they are people of the Heavenly Kingdom. Also, in the Lord's Supper, Christ himself becomes an offering for all of us and we are an offering ourselves to the Lord by being united in Christ. I called this unity as the exchange of life between the partaker and Jesus Christ. John Wesley recovered the power of the Lord's Supper in Christian worship by appealing to the Early Church model and he used the Lord's Supper as the means of his evangelical movement. In this sense, his sacrament is an evangelical sacrament. The partakers in his days humbly came to the Lord's table and met Jesus Christ who became an offe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riest. This humble offering was the dynamic power which brought about growth in the English church. Today, we the Korean churches need earnestly the spirit of such evangelical conversion, along with sanctificational nurture, and humble offering.

      • KCI등재

        말콤 파슬리(Malcolm Parsley)의 주의 만찬에 관한 연구

        신용구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24 피어선 신학 논단 Vol.13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말콤 파슬리의 주의 만찬에 관한 연구를 통해 선교사들이 한국 교회에 전한 환원운동의 사상이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데 있다. 파슬리의 ‘주의 만찬’ 이해를 분석하면서 환원운동의 신학적 주장을 고찰하고, 환원운동과 ‘오직 성서만’으로를외치며 성서적 교회의 본질로 돌아가자는 종교개혁운동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파슬리는 주의 만찬에 대한 이해에서 종교개혁자들처럼 로마가톨릭의 화체설을 비판한다. 그의 주의 만찬의 기념설과 상징주의적 이해는 쯔빙글리의 이해와 유사했지만, 주의 만찬의 횟수에서는 쯔빙글리가 한 해에 네 번 정도로 고정한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았다. 파슬리의 주의 만찬을 매주 드려야 한다는 주장은 종교개혁 전통 속에그 뿌리가 있고 그리스도의 교회의 환원운동과 그 궤를 같이한다. 파슬리는 신약성서에 근거하여 “주의 만찬”이라는 용어가 성서적이라는 자신의 입장을 제시한다. 이는 그가 “교회는 성서로 돌아가야 한다”라는 환원운동의 주요 원리를충실하게 따르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모든 사람의 의견이나 교파를 반영하는 교리와전통에 매이는 바리새주의적 형식주의를 넘어서 성서에 근본을 두는 초대교회 공교회적 보편주의를 본받자는 종교개혁 정신도 성실히 따르고 있다. 파슬리의 주의 만찬에대한 이해는 성서가 말하고 있는 주의 만찬의 가르침과 초대교회에서 주의 만찬이 무엇이었느냐에 대한 깊은 성찰과 더불어 성서에서 해답을 찾고 성서가 증언하는 대로살겠다는 환원운동의 주의 만찬 신학을 대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rguments of the Restoration movement through Malcolm Parsley'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It will then explain how the Restoration movement relates to the Reformation, which sought to return to the essence of the biblical church through the Bible alone. Parsley, like the Reformers, criticizes Roman Catholic transubstantiation in hi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His memorial and symbolic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is similar to Zwingli's. However, he disagree on the frequency of the Lord's Supper, which Zwingli set at four times a year. Parsley's advocacy of a weekly Lord's Supper is rooted in the Reformation tradition and is consistent with the restoration movement of the church of Christ. Parsley strongly believes that the term “Lord's Supper” is based on the New Testament. This is in line with what he calls the main principle of the Restoration Movement, which is that the church must return to the Bible. He is also faithful to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which called Christians to move beyond Pharisaical formalism, which is tied to doctrines and traditions that reflect everyone's opinion or denomination. He also asserts that Christians should emulate the ecumenical universalism of the early church, which is rooted in the Bible. Parsley'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is a deep reflection on what the Bible teaches about the Lord's Supper and what the Lord's Supper was like in the early church. Parsley’s theory of the Lord’s Supper reflects the Lord’s Supper theology of the Restoration movement, which looks to the Bible for answers and lives by what the Bible testifies.

      • KCI등재

        몰트만의 종말론적 희망의 상징으로서의 성찬 이해가 교회에 주는 의미

        최승태 ( Seungtae Choi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1 No.-

        이 논문의 목적은 몰트만의 성찬 신학을 잘 이해하고, 그것의 실천적 의미를 밝혀서, 한국교회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모티브를 마련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는 것처럼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님이하나님 나라에 대해 언급하셨다: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가 포도나무에서 난 것을 이제부터 내 아버지의 나라에서 새것으로 너희와 함께 마시는 날까지 마시지 아니하리라”(마 26:29). 이 말씀은 성찬을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즉 성찬은 하나님 나라에서의 마지막 잔치를 상징한다고 말할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성찬은 종말론적 관점에서 이해해야 된다. 왜냐하면 구원의 최종완성을 의미하는 하나님 나라에서의 마지막잔치는 기독교 종말론의 구성 요소이기 때문이다. 몰트만은 특히 성찬을 종말론적 관점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신학자이다. 하지만 그의 종말론적 관점은 언제나 희망과 관련되어 있다. 그래서 그는 성찬을 “반복되는 희망의 상징”이라고 부른다. 여기에서“반복”은 일생에 한번만 하는 세례에 반해, 성찬은 계속 시행된다는 점을 가리킨다. 즉 몰트만은 성찬이 종말론적 희망의 상징이라는 것이다. 몰트만이 성찬을 종말론적 희망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주된 이유는 종말론을 현재와 관련시키기 위해서이다. 일반적으로, 종말론은 재림이나 환란 같은 마지막 때에 일어나는 사건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따라서 종말론은 현재와 상관이 없는 미래의 일로 치부되어 버린다. 그러나 몰트만은 종말론은 마지막 때의 사건들을 다루는 미래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오히려 항상 현재와 관련되는 이야기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기독교 자체가 종말론이라고 말한다. 만일 종말론이 현재와 관련되어 있다면 그리고 특히 성찬이 종말론적 희망의 상징이라면, 그것은 오늘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들을 극복할 수 있는 모티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경우, 그것은 정의와 사랑을 바탕으로 하는 하나님 나라가 지금 여기에 임하고 있음을 선포하는 의식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몰트만의 종말론적 희망의 상징으로서의 성찬 이해는 오늘 우리 교회의 위기 극복에 좋은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Jurgen Moltmann``s theology of the Lord``s Supper, and to search for its meaning for the church which has the problem to overcome its current crisis. As we know, Jesus mentioned the kingdom of God when he celebrated the Last Supper, from which the Lord``s Supper stems: “I tell you, I will not drink of this fruit of the vine from now on until that day when I drink it anew with you in my Father``s kingdom”(Matthew 26:29). This word becomes the basis on which the Lord``s Supper can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gdom of God. In other words, the kingdom of God will will be fulfilled in the end, and the final banquet of salvation will be celebrated in the kingdom. And if the Lord``s Supper symbolizes the eschatological banquet in the kingdom, it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eschatological perspective, which is the constitutive element of the Christian eschatology. Moltmann is one of the theologians who deal with the Lord``s Supper from the eschatological view. But his eschatological perspective is in relation to hope. He calls the Lord``s Supper “the repeatable sign of hope.” By “the repeatable sign of hope” Moltmann means that the Lord``s Supper is a symbol of the eschatological hope. The main reason why Moltmann understands the Lord``s Supper from the perspective of eschatological hope is to relate the eschatology to the present. In general, we tend to deal with eschatology in relation to the events that will happen at the final time. Here, eschatology often becomes a future which is not related to the present. But the Christian eschatology is not about the final event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present. Rather, it is always related to the present because it is always open to the future and the future is being realized in the present. That is why Moltmann says that Christianity itself is eschatology. If eschatology is related to the present, and further, if the Lord``s Supper is the sign of the eschatological hope, it can help us overcome the difficulties which confront us, for it proclaims that God``s kingdom of justice and love is coming to the present. In this respect, Motlmann understands the Lord``s Supper as the sign of the eschatological hope. And it can help the church realize its mission and role in society.

      • KCI등재

        웨슬리의 성만찬 신학

        이세형 ( Se Hyoung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이 논문은 은혜의 수단과 성찬을 규칙적으로 시행해야 할 의무라는 웨슬리의 설교 두 편과 『웨슬리 형제의 성만찬 찬송』( Hymns on the Lord`s Supper)에 나타난 웨슬리의 성만찬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국교회의 예배 갱신을 제안한다. 웨슬리의 성만찬은 하나님께서 제정하신 은총이 임하는 통로요 수단이다. 성만찬에서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억하고, 그리스도의 현재적 은총을 경험하며, 종말로 하나님 나라의 백성임을 보증 받는다. 또한 성만찬에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한 봉헌제물이 되시고 우리도 주님을 향해 봉헌제물이 됨으로써 주님과 연합을 경험한다. 이 연합은 생명의 역환으로서 구원의 자리이다. 웨슬리는 초대 교회를 모델로 삼아 성만찬을 예배 속에 회복시켰고, 자신의 부흥운동에 활용하였다. 성찬상에 나오는 자들은 겸손히 자신을 낮추어 스스로 제물이 되시고 동시에 자신들을 위해 대언하시는 대제사장으로서의 주님을 만났다. 이 겸손한 봉헌이 영국 교회를 새롭게 한 원동력이었다. 오늘 한국의 교회는 웨슬리의 성만찬에서 만나는 복음적 회심, 성화적 양육, 겸손한 봉헌의 영성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both understand John Wesley`s Lord`s Supper by exploring his two sermons, The Means of Grace and The Duty of Constant Communion, and his Hymns on the Lord`s Supper and to suggest the renewal of Korean church worship. Wesley understands the Lord`s Supper as the means of God`s grace. In the Lord`s Supper, the partakers remember the suffering of Jesus Christ, experience the spiritual presence of the Lord Jesus Christ in the Holy Spirit, and have the pledge to confirm that they are people of the Heavenly Kingdom. Also, in the Lord`s Supper, Christ himself becomes an offering for all of us and we are an offering ourselves to the Lord by being united in Christ. I called this unity as the exchange of life between the partaker and Jesus Christ. John Wesley recovered the power of the Lord`s Supper in Christian worship by appealing to the Early Church model and he used the Lord`s Supper as the means of his evangelical movement. In this sense, his sacrament is an evangelical sacrament. The partakers in his days humbly came to the Lord`s table and met Jesus Christ who became an offe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priest. This humble offering was the dynamic power which brought about growth in the English church. Today, we the Korean churches need earnestly the spirit of such evangelical conversion, along with sanctificational nurture, and humble offering.

      • KCI등재

        코로나 시대와 성만찬: 웨슬리의 성만찬 이해를 통한 교회론적 조언의 모색

        박영범 ( Park¸ Young Bum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8

        교회의 표지는 “말씀의 순수한 가르침”(evangelium pure docetur)과 “올바른 성례전의 집행”(recte administrantur sacramenta)이다. 또한 교회는 예배(Leiturgia), 증인됨(Martyria), 섬김(Diakonia)과 함께 사귐(koinonia)을 본질적인 기능으로 한다. 이 모든 것은 전통적으로 대면적 만남이라는 공간에서 실현되었다. 그러나 비대면적 만남이 일상이 된 오늘날은 교회의 본질적 특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여전히 뜨거운 논쟁이 되는 교회론적 주제가 있다. 바로 성만찬에 관한 논쟁이다. 즉,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른바 언택트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교회는 성만찬에 직접 참여해야 하는가? 혹은 온라인을 통한 성만찬은 가능한가? 특히 이런 상황에서 교회는 성만찬의 본래적 의미를 어떻게 계속 보존할 수 있는가? 이제 교회는 성만찬에 대한 진지한 신학적 논의를 시작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다. 본 논문은 오늘날 성만찬에 관한 교회의 질문에 교회론적 조언을 모색하려는 동기를 갖는다. 먼저, 교회의 현실적 질문으로 다가온 성만찬을 주목한다. 그리고 성만찬의 비대면적 집행에 대한 단순한 찬반의 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성만찬이 지니고 있는 본질적 의미와 함께 전통적인 논쟁점을 간략하게 연구사적 측면에서 정리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교회를 향한 질문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낼 것이며, 조언으로서 웨슬리의 성만찬 이해의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본다. 그리고 오늘날 비대면 언택트 시대를 살아가는 교회가 성만찬에 대한 웨슬리적 원칙을 보존해야 함과 더 나아가 성만찬에 관한 교회적 질문의 전환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Churches are certified as being authentic by two essential marks of the true church: “evangelium pure docetur et recte administrantur sacramenta (the Gospel is preached in purity and the holy sacraments are administered).” These marks are inseparably concerned with the key functions of the true church such as worship (leiturgia), witness (martyria), service (diakonia), and community (koinonia). All these functions have been realized through congregational gathering. Today, however, new interpretations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are required due to the prevailing contactless communication in daily lives. Accordingly, the Lord’s Supper has become one of the most keenly debated issues in churches. How can the church preserv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Lord’s Supper and, as it were, reinterpret it for the church? The church has now reached a point where it must begin a serious theological discussion of the Lord’s Supper. This study is aimed at offering ecclesiological insights into the Lord’s Supper in today’s peculiar situation. First, the issue of the Lord’s Supper will be discussed as a practical question for the church. And in order to overcome the simpl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e contactless execution of the Lord’s Supper, the traditional views of its core meanings will be briefly examined. This will clarify the questions for today’s churches. Meanwhile, some features of Wesley’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will be taken into account. And finally, this study will assert that the church, which faces the challenge of contactless interactions, should preserve Wesley’s principle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and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deepen the church’s question about the Lord’s Supper.

      • KCI등재후보

        신앙교육의 주요 요소로써의 성찬에 관한 고찰

        신현광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9 복음과 실천신학 Vol.19 No.-

        현대 한국의 개신교 교회는 성찬 중심의 예배보다는 말씀 편중의 예배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은혜의 수단으로서의 성찬의 의미를 잃어 버리거나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성찬의 신앙교육적 의미를 되새기고 그 올바른 시행을 위한 기초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성찬에 관련된 몇 가지 주제를 고찰해 보았다. 그것은 성찬의 형성, 계시의 기능으로서의 성찬, 말씀의 보증으로서의 성찬, 가시적인 말씀으로서의 성찬, 연합과 신비로서의 성찬, 설교와의 조화 이상으로서의 성찬,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찬의 신앙교육적 의미이다. 우리들은 이 성찬의 시행을 통해서 주님의 명령을 지키며, 동시에 그 깊은 의미를 되새겨 영적인 유익을 얻어야 할 것이다. 성찬 예식은 기독교의 구속의 진리를 일깨우고, 그리스도인의 적극적인 삶을 자극하는 거룩한 예식이며 동시에 교육적인 의미가 깊이 담겨있는 예식이다. 성찬은 교육적으로 볼 때, 그리스도에 관한 기본 진리 이해와 더불어 모든 기독교 신앙인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라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신앙적 공동체 훈련의 기능도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교회의 성찬에 대한 강조는 크게 예배의 갱신과 교회의 갱신이라는 두 가지 실천적인 이유 때문이다. 우리는 성찬에 대한 바른 이해와 시행을 통해 그 신앙교육적 의미를 되살리고 교회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일에 더욱 힘써야 할 시점에 와 있음을 자각해야 한다. Contemporary Korean protestant church neglects the meaning of theLord’s Supper as means of grace and education for the believers. Thispaper dealt with the institution of the Lord’s Supper, the Lord’s Supperas function of revelation, the Lord’s Supper as assurance of the Word,the Lord’s Supper as visible Word, the Lord’s Supper as union andmystery, the Lord’s Supper beyond harmony with the preaching, andth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in the light of faith education.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Jesus promised to be with his disci-ples everywhere and through all time. The Lord’s Supper, as an act ofworship, is therefore a particularly fruitful opportunity for meeting withhim. It is likely that Christ’s special presence in the sacrament is influ-ential rather than metaphysical in nature. The Lord’s Supper, properlyadministered, is a means of inspiring the believer’s faith and love as heor she reflects again on the wonder of the Lord’s death and the factthat those who believe in him will live everlasting.The Lord’s Supper is therefore a memorial provided to assist ourweakness; for if we were otherwise sufficiently mindful of the death ofChrist, this help would be superfluous. This applies to all sacraments,for they help us in our weakness. We shall soon learn what sort ofmemorial of Himself Christ wanted us to keep in the Supper. The empha-sis on the Lord’s Supper was and is now caused by the need of therenewal of worship and church, especially concerning about faith edu-cation for the believers in Korea.

      • KCI등재

        A Study on The Lord’s Supper as a Whole : Reconstructing The Agape Meal as a Communal Meal Rite in the Lord’s Supper.

        Kim, Myung-Sil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3

        The Eucharist is one of two parts of the Lord's Supper or the Lord's Table, and the other of the Lord’s Supper is the Agape as the Eucharistic Meal in a proper rite. The Lord's Supper has been regarded for a long time as a communal meal, the agape or as a different name for the Eucharist. Meanwhile,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Eucharist is only a rite that Jesus institutes and wants to be celebrated, while the Agape might be just ordinary meal for fellowship and thus has been disappeared or rarely held in the Church history. However, the related biblical texts and some early Christian documents suggest that there are various Eucharistic traditions reflecting a community's historical and theological contexts. In almost all cases, the Lord’s Supper includes both the Eucharist as a sacramental rite and the Agape meal as an appropriate rite though sometimes the Eucharist seems to be woven with the Agape meal rite. Further, the Agape has been practiced in a rite unlike the supposition that the Agape was an ordinary fellowship meal in the Bible and Christian history. This article traces the origins of the Lord’s Supper in the Bible, Christian writings, and historical events, and concludes that we can reconstruct the Lord’s Supper as a whole, bringing the Agape a communal meal rite in or after Eucharist in sequence.

      • KCI등재
      • KCI등재

        주의 만찬의 교제적 성격

        이용진(Yong-Jine Lee)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2

        본 논문은 역사적 예수의 만찬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둔다. 신약성서에 보도되는 주의 만찬 전승은 마가-마태의 전승과 누가-바울의 전승으로 대별할 수 있다. 마가의 전승은 다른 공관복음서의 보도와 같이 주의 만찬이 유월절 만찬이며, 속죄적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의 만찬에 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마가의 전승이 원초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만찬이 속죄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는 연구였다. 그러나 바울의 만찬 전승과 마가의 만찬 전승을 비교해본 결과 논자는 바울의 전승이 더 원초적임과 그에 따라 주의 만찬이 속죄적 성격보다는 교제적 성격에 초점이 있음을 밝혀냈다. 특별히 바울의 주의 만찬 전승이 기록된 고린도전서 11장과 그 주변에 포진된 바울의 언명들은 주의 만찬이 어떻게 고린도교회라는 삶의 자리에서 기능했는지를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누가는 마가와 바울의 전승을 적절하게 연결시켰다고 보이는데, 주의 만찬의 보도 뒤에 제자들의 다툼 기사를 배치함으로써 주의 만찬의 의미가 공동체의 균열, 즉 교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Several texts concerning the Lord"s Supper are found in the New Testament, especially in the Synoptic Gospels and the Pauline letters. Each describes the Lord"s Supper in its unique way. The Lord"s Supper traditions in the New Testament are divided into two: namely the pro-Pauline tradition group and pro-Markan tradition group. The Lukan tradition is derived from the Pauline tradition. These two types of traditions have their own unique ways of understanding the Lord"s Supper. We can know this through analysing the context of the Lord"s Supper traditions in the cup-saying and bread-saying. The Markan tradition has the meaning of Paschamahl and redemptional atonement; the Pauline and Lukan traditions have the new meaning of supper, that is, the fellowship. The important thing in this part is to determine which tradition is more akin to the orignal. Thus I tried to find out in many ways the original tradition, and found the Pauline tradition in 1 Cor 11:23b-25 to be proven to be the original. If the Pauline tradition is the original, we can be convinced that th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of Jesus lies in fellowship, but not in Paschamahl and redemptional atonement. This was brought when Paul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Corinthian"s broken fellowship with this Lord"s Supper tradition. Paul understood the Lord"s Supper as tradition. He received it and passed it on to the Corinthians, and with that he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mmunity. Lukan tradition seems to combine the Markan and the Pauline one. Because Luke describes the Lord"s Supper tradition as Paschamahl and simultaneously he added the story of the struggle of the disciples. Therefore th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according to Lukan tradition is related to the fellowship with each other after the death of Jesus. In conclusion, the Pauline tradition of the Lord"s Supper must be understood as a describing of the table fellowship for the earthly church, not the meaning of redemptional atonement. The church of the Corinthians accordingly would live in this world as a health community that God des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