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 전자정부법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임지봉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08 世界憲法硏究 Vol.14 No.1

        It has not been long since E-government made an appearance in orderly fashion whose initial catch phrase was `paperless administration.` In the Unietd States, it had not been fully driven forward until Clinton administration pushed it. In Korea, the government decided the pursuit of E-governmen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governmental tasks long ago to make advantage of the cutting-edge technology of Korean IT, and has made many efforts for E-government to enact and revise various kinds of E-government legislations since Korean E-government Act in 2001. Among many governmental projects for E-government, `the joint-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s among government agencies` and `the enforcement and its enlargement of electronic civil service` could be two major ones. However, since then, many administrative documents provided for electronic civil services have been easily fabricated and altered, and many people worry over the enforcement and the enlargement of electronic civil services. In addition, although the bill for `joint-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s among government agencies` was submitted to Korean Congress in 2006, it has not passed the Congress yet in various weak excus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aiming at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in Korean E-legislations focusing on `the joint-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s among government agencies` and `the enforcement of electronic civil service,` and exploring the legal reform measures. For this, this study starts by examining the purports and basic ideas of E-government legislations through `Korean E-government Act,` the basic law of E-government legislations in Korea. Then, it examines the major contents of Korean E-government legislations by analyzing `Korean E-government Act,` `Basic Law for Promotion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s from Public Agencies Act,` and `Solution of Information Gap Among People Act.` Beside, it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bill for `joint-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s among government agencies` although the bill has not passed Korean Congress yet. Then, it examines many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Korean E-government legislations focusing on the security issue, weak role of Korean Social Security Number, information gap among people, remaining problems from the reopening of electronic civil servi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legal reform measures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enacting the statue for the joint-use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s among government agencies an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joint-use, maintaining the legal provisions to strengthen the punishment upon criminals fabricating and altering the administrative documents provided for electronic civil services, re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of demand for electronic civil services and rectifying the concerned problematic existing practices, and providing measures letting fair use of electronic civil service through the solution of information gap among Korean people.

      • KCI등재

        시카고 한인 사업가 ‘킹’ -재미한인 김경의 생애와 경제활동-

        연효진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7

        김경은 시카고 초기 정착자로 한인 카페테리아 사업을 처음으로 시작하여 시카고 한인 사업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타고난 사업 수완과 판단력, 재미화교사회를 중심으로 한 외국 인사들과의 관계, 도심에 위치한 카페테리아 등 여러 요인으로 사업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카페테리아 사업의 번영으로 1920년대 중후반에는 시카고 한인 사업가 ‘킹’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김경의 영향으로 시카고 한인 대다수는 카페테리아 사업에 뛰어들었고, 김경은 뒤따른 한인 사업가들을 지원했다. 김경은 카페테리아 사업의 성공을 바탕으로 1930년 5월 한미무역회사 김배상회를 설립하고, 1934년 시카고박람회에서 상해가를 운영하는 등 사업의 범위와 규모를 확장했다. 30년 가까이 시카고에 거주했던 김경은 대한인국민회 시카고지방회장, 부회장, 총무, 법무원, 실업부원, 대의원, 교회 이사부장 등 한인단체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으며 한인사회를 이끌었다. 그리고 평소 안창호를 존경하며 임시정부를 후원했다. 1926년 임시정부로부터 재정지원에 대한 감사장을 받았으며, 1929년에는 임시정부 임시재정후원회 위원장을 맡아 임시정부가 어려운 시기에 임시정부의 존립을 위해 노력했다. 김경은 사업의 경험을 통해 일찍부터 경제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그는 경제활동을 모든 일의 근본으로 삼고, 독립을 위한 한인의 경제력 자립을 최우선으로 생각했다. 김경은 재미한인 경제활동과 독립운동 두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는 경제활동을 통해 한인사회의 기반을 확립했을 뿐만 아니라, 임시정부를 적극적 지원하여 재미한인 경제활동과 독립운동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King Bernard Kim was an early settler in Chicago who started his first successful Korean-American cafeteria business. His success was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his natural business acumen and judgment, his connections with foreigners, especially in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and his cafeteria’s downtown location. The prosperity of his cafeteria business earned him the nickname “King” of Chicago’s Korean-American businessmen in the mid-to-late 1920s. Under his influence, many of Chicago’s Korean Americans followed him into the cafeteria business, and he supported Korean American entrepreneurs who started their cafeterias. Based on the success of his cafeteria business, Kim expanded the scope and scale of his business, founding the Korean-American Trading Company Kim-Pai Co. in May 1930 and operating the Streets of Shanghai at the 1934 Chicago World’s Fair. King Bernard Kim has lived in Chicago for nearly 30 years and has held important positions in Korean-American organizations, including president, vice president, secretary, officer of the Legal Dept, business department, delegate, and church board president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of Chicago. Kim always admired Ahn Chang-ho and supporte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1926, he received a letter of appreciation from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for his financial support, and in 1929, he served as the chairma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s Temporary Financial Sponsorship Committee, working to ensure the survival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during its difficult times. Through his business experience, King Bernard Kim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conomic activities early on. He made economic activities the fundamental basis of all his work and prioritized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Koreans for autonomy. He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community through economic activities. He actively supporte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leaving a distinct mark on the history of Korean economic activities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태평양 전쟁기 영국의 한국 독립운동진영의 주목 계기와 그 인식 -김원봉과 조선민족혁명당을 중심으로-

        한승훈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79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oment when Britain paid attention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 war against Japan during the Pacific War and how they recogniz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in the series of processes. Specifically, it tried to find out how Britain identified the Korean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and Kim Wonbong, who led the dispatch of the human-faced light bulb task force, amid changes in Korea’s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 Pacific War. Before the Pacific War, Britain looked at the reality of colonial Joseon based on favorable perceptions of Japan, but after the Pacific War, Britain paid attention to the resistance of Koreans. The reason is that it was judged that the case of Korea could refute Japan’s advocated right to co-ownership in Greater East Asia. In addition, the British believed that it would be useful for Koreans to conduct wars against Japan, including propaganda warfare. I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British perception of the Indo-Burma Front as part of the British S.O.E. The positive perception of Kim Won-bong and he Korean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contrasted with the negative evaluation of the Korea Independence Party, which was the main pilla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particular, from the British point of view, the Korea Independence was seen as an organization that focused only on the diplomatic approval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highly appreciated Kim Wonbong and the Korean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who led the dispatch of the KNALU(Korean National Army Liaison Unit). 이 글은 태평양 전쟁기 영국이 대일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한국 독립운동 세력에 주목한 계기와 그 일련의 과정 속에서 한국 독립운동 세력을 어떻게 인식했는가에 대해서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영국이 태평양 전쟁을 전후로 보여준 한국 인식의 변화 속에서 영국이 인면전구공작대의 파견을 주도한 민혁당과 김원봉을 어떻게 파악했는가를 규명하고자 했다. 태평양 전쟁 이전까지 영국은 일본에 대한 우호적인 인식에 기초해서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바라보았지만, 태평양 전쟁 이후로 영국은 한국인의 저항에 주목하였다. 그 이유는 한국의 사례를 통해서 일본이 주창한 대동아공영권을 반박시켜줄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영국은 한국인들이 선전전을 비롯해서 대일전을 수행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았다. 인면전구공작대가 영국의 S.O.E 소속으로 인도-버마 전선에서 활동할 수 있었던 데에는 영국의 이상과 같은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김원봉과 민혁당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임정의 주축을 이룬 한독당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대비되기도 했다. 특히 영국 입장에서 한독당은 임정의 외교적 승인에만 집중하는 단체로 비추어지면서 인면전구공작대의 파견을 주도한 김원봉과 민혁당을 높이 평가하였다.

      • KCI등재

        해방 후 귀환구호운동의 전개와 미군정의 대응

        황선익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5 No.-

        The United States, which took a lead the postwar settlements, decisively exercised to East Asian migration of the 10 million, including oversea koreans, Japanese, Chinese and Taiwanese. GHQ/SCAP led a return in the Asia and Pacific area.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became a responsible agency of the oversea Korean’s return program as a subordinate of the United States Pacific Command. The G-3 in the command of USAFIK XXIV Corps, each units of the region and the U.S. military rule the foreign affairs section took a charge of the return of overseas Koreans and Japanese repatriation. The foreign affairs section also focused on Koreans from Japan, in locally. The USAMGIK took a passive stance to accept the GHQ department’s decision rather than took the lead in a work directly about the Korean extradition. The negoti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was started with repatriation of Japanese companies in China and the return of Koreans in the middle of October, 1945. The USAMGIK dispatched contact forces in Shanghai, Tingtao and Tianjin to take charge of extradition of Koreans in early 1946. However, contact forces of the USAMGIK only supported a task of the headquaters commender of China. In Korea, the issue of overseas Koreans extradition were recognized as a national task, since after the liberation. So, for the efforts of relief and return of overseas Korean were actively deployed. The nation`s major groups and members were called people, who was returned from abroad, as the Relief Society for War Sufferers, because they suffered the ravages of war with colonial rule. Event though, repatriation aid and interest on the Relief Society for War Sufferers were getting hotter, but slumped amid tightened control of the USAMGIK. ‘Korean War Relief Organization, Committee to Aid Countrymen from Abroad’, which was consisted of middle-grounders, urged to give better treatment to the returners and stable settlement. Also, they raised objections about the problems, which gave Japanese nationality in Koreans in Japan, and strongly condemned the USAMGIK. However, the movement of the return in domestic has the limitation, because of the USAMGIK’s policy of domestic and conflicts between the right and left. In other words, the preparing committee for establishing a new nation, which was to install Public Health and Welfare from the beginning and showed and enthusiastic attitude about overseas Koreans return, could not worked, because of the suppression of the USAMGIK. Also center-right relief organizations acted incompletely. At that time the various relief organizations were flooded, because of this systematic relief efforts failed. Relief movement were could not achieve complete success, because of the Chinese Civil War in the China, conservative swing of the Japanese society and a precarious domestic situation.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전후처리를 주도한 미국은 해외 한인 및 일본인·중국인·대만인 등을 포함한 1천만 명의 동아시아 인구이동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연합군총사령부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귀환을 주도했으며, 주한미군정은 38선 이남의 점령당국이자, 미태평양육군총사령부의 예하부대로서 한인 귀환의 책임 주체가 되었다. 일본인 송환과 해외 한인의 귀환은 제24군단 사령부의 G-3와 해당 지역 각급부대, 그리고 미군정 외사과가 담당했다. 초기 외사과의 임무는 주로 한인에 대한 정보 수집 및 통제에 한정되었다. 지역적으로도 일본에서 귀환하는 한인에 대해서만 관심을 기울였다. 주한미군정은 일본지역 한인 귀환에 대해 직접 업무를 주도하기보다 일본의 연합군총사령부 담당부서의 결정을 수용하는 소극적 자세를 견지했다. 일본과 중국지역 귀환이 순차적으로 추진되는 속에서 미군정은 현지 조사반을 파견하였지만, 귀환항구에서의 인원을 통제하고 연락을 담당하는 선에서 역할하였다. 국내에서 해외 한인의 귀환문제는 해방 직후부터 민족적 과제로 인식되었다. 이를 대변하듯 해방과 함께 해외 한인의 귀환과 구호를 도모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민족’과 ‘동포’에 대한 의식이 제고되는 가운데 전재동포인 귀환자들에 대한 관심과 구호 열기는 뜨거웠지만, 귀환 구호단체의 난립과 미군정의 통제속에서 1946년 들어 구호운동은 침체되었다. 결국 귀환구호운동은 미군정의 국내정책, 좌우간의 대립양상에 의해 한계를 보였다. 즉 초기부터 원호부를 설치하며 한인귀환에 적극 나섰던 건국준비위원회는 미군정의 탄압으로 제대로 활동할 수 없었고, 비교적 활동이 자유로웠던 중도우파의 원호단체들은 진용에 비해 미비한 활동을 보이고 있었다. 그런 사이에 각종 원호단체가 난립하며 체계적인 구호활동을 전개하지 못하였다. 또한 미·소 간의 대립과 좌우간의 충돌, 중국 대륙에서의 국공내전, 일본 사회의 우경화 등으로 온전한 성과를 거두기 힘들게 되었다.

      • KCI등재

        한국 전자정부시스템 발전에 있어서 행정 표준의 역할과 관리체제의 변화 연구

        김수림,양희동,안중호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3

        2년마다 실시되는 UN의 전자정부시스템 평가에서 한국의 전자정부 시스템은 2010, 2012, 2014년 3차례 걸쳐 1위로 평가되었다. 1978년 시작되어 이제는 해외로 수출까지 되는 한국 전자정부 시스템의 진화에 있어서 표준의 역할에 대해서는 그다지 알려진 바가 없 다. 한국의 전자정부 시스템 발전에 어떠한 표준들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러한 표 준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하여 어떠한 제반 환경이 필요하고, 어떠한 노력이 경주되었는지 사 례 연구를 수행하여 밝히고자 한다. 행위자 연결망 이론(Actor Network Theory)과 구조화 이론(Structuration theory)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표준이 행위자 연결망 이론 관점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 왔는지를 전자정부 시스템 발전에 직접 관여되었던 행정자치부 전자 정부담당 현/전직 관리자급 공무원, 표준담당관, NIA 표준 담당관, 민간 SI 업체 등 관련 전 문가(관리자급)분들과의 인터뷰와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shows the case of the evolution of Korean e-Government services in the theoretical lens of Actor-Network Theory and Structuration Theory. It presents how human actors (i.e. presidents and the central administrations) and non-human actors (i.e. law, standards, and relay systems) have established as the one network together, and how this network affects the evolution of Korean e-Government services. This case demonstrates in public sector can adopt not only Actor-Network Theory, but also Structuration Theory to explain both micro and macro contex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given especially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in pursuing the rapid development process of e-Government service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대북 보건안보와 남북 보건협력 거버넌스

        조한승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8 평화학연구 Vol.19 No.3

        Today, health is being treated as a public good in terms of health security, and therefore, development partners and philanthropic institutions as well as tradition health-related actors become more influential in health governance. Also, the ICT industr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tributes to health governance to achieve universal healthcare. In the current development process of inter-Korean relations, inter-Korean health cooperation should be transformed from unilateral and benevolent aid to mutual and sustainable cooperation. And to do so, it is desirable to combine the concept of health security with the ICT industry. North Korea’s indigenous infectious diseases and possible diseases and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can pose serious threats to health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To counter such threat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concept of eHealth governance using ICT industry should be applied to the Inter-Korean health cooperation, and that interactive, sustainable and reciprocal health cooperative business items should be identified. 오늘날 보건은 공공재로서 보건안보의 차원에서 접근되고 있으며, 이를 다루기 위한 보건 거버넌스에서도 보건의료 분야뿐만 아니라 개발협력기구, 자선재단 등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보건 거버넌스는 보편적 보건의료를 향한 인류의 노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본 논문은 한반도 정세의 긍정적 변화를 대비하여 대북 보건협력 거버넌스도 기존의 일방적, 시혜적 성격의 보건지원에서 벗어나 다양한 위협요인을 고려한 보건안보 개념와 4차 산업혁명 시대 첨단기술을 결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북한의 토착 전염병 전파와 한반도 온난화로 인한 새로운 질병 발발과 각종 재해 가능성 등 보건안보의 위협에 대비하여 ICT 기술을 활용한 e헬스 거버넌스를 대북 보건협력에 적용하여 쌍방향적이고 지속가능하며 상호호혜적인 보건협력 사업 아이템을 발굴해야 한다. 본 논문은 원격진료, 전염병 핫라인, 대북질병감시체제, 한반도 질병지도, 고부가가치 사업 협력, 환경변화 공동대응 등의 아이템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향 요법 복부 경락마사지가 뇌성마비 아동의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

        김태임,남미정 한국아동간호학회 2007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3 No.1

        Effects of Abdominal Meridian Massage with Aroma Oils on Relief of Constipation in Institutionaliz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KCI등재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의 파견 배경과 성격

        류동연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5 No.-

        This study is on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of the dispatch of KNALU. The background of the KNALU dispatch can be found in the activities of the S.O.E India Mission during World War II and the external activities of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However, due to the checks of the Kuomintang of China and the Korea Independent Party and the indifference of S.O.E., the KNALU centered on the Korean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could not be dispatched. Nevertheless, the Korean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managed and operated the KNALU, and based on this, it wanted to take the leading positio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us, the KNALU can be interpreted as a “diplomatic” activity with the Korean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and the Allied Powers during World War II. And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Nationalist Revolutionary Party wanted to take an advantageous posi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make the situat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post-liberation political situation in their favor. 이 글은 한국광복군의 대표적 활동으로 평가받는 인면전구공작대의 파견 배경과성격을 살핀 글이다. 인면전구공작대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영국 S.O.E India Mission 의 활동과 민혁당을 중심으로 하는 재중국 한인독립운동 좌파세력의 대외 활동에서파견 배경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영국 S.O.E India Mission의 I.F.B.U.에 소속되어대적선전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공작대 파견은 민혁당의 노력이 결정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국민당과 한독당의 견제, 영국 측의 무관심 등으로 민혁당 중심의 공작대는 파견되지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혁당은 공작대를 관리ㆍ운영하며 자신들의 세력을확대하고, 독립운동의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고자 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인면전구공작대는 제2차 세계대전기 민혁당과 연합국과의 ‘외교’ 활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민혁당이 국제관계의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여 한국독립운동과 해방 후 정국 상황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만들어나가고자 했던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3학년용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 연구

        조고은,황윤정,이인화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2 국어교육연구 Vol.29 No.-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language arts online(KLAO) schooling course for middle school 3rd graders in 2011. In order to reflect the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 courses, a review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ll 12 government approved textbooks were conducted and furthermore, various media resources were presented. The ‘Core Concepts’ was newly added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for fulfilling achievement targets. KLAO courses were divided into 3 levels such as Basic level(70 lessons) where the learners find out for oneself the principles of the lesson, Core Concepts level(20 lessons) which provides problems and solutions similar to authentic assessments and Intensive level(35 lessons) which emphasizes in-depth reading. All achievement targe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lesson objectives of textbooks were used to develop each level.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는 2011년에 중학교 3학년용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의 내용 개발을 담당하였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온라인 학습의 특성을 모두 반영한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우선 교육과정과 12종의 검인정 교과서를 분석하는 한편, 다양한 매체 자료를 제시하였다. 특히 중학교 3학년의 위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학업 성취도 향상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핵심정리’ 콘텐츠를 신설하였다. 수준별 콘텐츠는 학습 주제는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내용의 원리를 발견하는 기본 콘텐츠, 실전과 유사한 평가 문항 및 해설을 담은 핵심정리 콘텐츠, 텍스트에 대한 깊이 읽기를 강조한 심화 콘텐츠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콘텐츠 별로 교육과정의 28개의 성취기준과 4종의 교과서 단원별 학습 목표를 고려하여 기본 주제 70개, 핵심정리 주제 20개, 심화 주제 35개로 총 125개의 학습 주제를 도출했다. 이 주제들을 각각의 콘텐츠 성격을 살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또한 교실환경에서 교사나 학습자 모두 콘텐츠를 좀 더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예년에 비해 콘텐츠의 접근성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의 개발은 내용적․기술적으로 세련된 양상을 갖추어가고 있으나, 여전히 기술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의 접합이 자연스럽지 않다는 한계를 보인다. 또한 저작권 문제 등 교육내 용을 풍성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이 존재하고 있어 사이버가정학습 또한 교육의 일환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평화를 향한 국제정치학 패러다임의 일고찰: 한반도 평화체제의 미래상에 대한 함의

        이정우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8 평화학연구 Vol.19 No.3

        This paper is written for seeking a clue for the peace of Korean Peninsula by understanding international political paradigms.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but not anyone tell us ‘the whole things.’ Each approach has its own strength, so each gave us its own logics. Historically, the strongers take their interests according to their power rather than communications or dialogues among nations. In this respect, Korea is still lesser power than surrounding super powers, therefore it does not seem easy to make a new way of peace through breaking the old armistice system in Korean Peninsul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in hegemonic competition, and Korean Peninsula is trying to seek a new order by denuclearization and inter-Korean reconciliation. Apart from the memory of Korean War, Current situation of South-North Korean relationship seems good. For South Korea, this is the time to set strategies how to be a pivotal player, manipulating current complex environment positively and anticipatorily. 이 논문은 국제정치를 이해하는 여러 패러다임을 통해 현 단계 한반도의 평화에 대한 단초를 얻기 위해 쓰여 진 것이다. 국제정치를 해석하는 다양한 시각과 접근법 그리고 여러 관점들은 하나의 세계를 여러 각도와 특정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그러나 그 어떠한 것도 우리에게 ‘전부’를 알려주지는 않는다. 현실주의의 냉혹한 현실과 이상주의의 장밋빛 미래향은 항상 공존하며 한편으로 군비를 증강하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평화를 논의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칸트의 이상주의적 접근, 현실주의의 냉혹함, 카아의 절충 그리고 세계화에 따른 세계시민주의 개념의 재등장 및 글로벌 거버넌스의 유행은 우리에게 다양한 사고방식과 해법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많은 소통과 대화는, 애초의 의도와 다르게, 때로는 혼란으로 이어지고 결론은 여전히 상대적으로 힘이 센 국가들의 이익을 관철하는 과정으로 전개되곤 하였다. 한반도의 경우에도, 남북한은 여전히 주변 4강에 비해 상대적 약소국이다. 65년 전 만들어진 정전체제가 해체되고 동북아 탈냉전의 새로운 세계를 열기 위한 길은, 대체로 험난한 길이 될 것이고 또한 우리가 바라는 장밋빛 미래를 충족시키기 힘들 수 있다. 현재 세계의 패권 다툼은 미국과 중국 간에 이루어지고 있다. 한반도는 이러한 미중 갈등의 한 축으로 기능하고 있고, 북한의 비핵화라는 이벤트를 통해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고 있다. 다행히 현재의 상황은 과거 남북한이 냉전의 대리전으로 동족상잔의 비극을 경험한 것과 반대로, 남북한이 화해와 협력을 통해 변화의 주도권을 확보한다면, 민족의 상생 나아가 동북아 평화를 통한 미중 갈등의 완화를 이끌 수 있는 능동자 행위자의 위치에 설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미・중의 전략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함께 남북한이 변화의 모멘텀을 능동적・선제적으로 만들어 나가는 핵심적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