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리자의 성별과 조직우선주의가 의사소통애로에 미치는 영향

        김현동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26 No.3

        The current study used 2008 and 2010 Korean Women Manager Panel(KWMP) to examine the interactions between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and gender on communication difficulty of company manager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includes 2,358 managers from 2nd KWMP in 2008 and 1,784 managers from 3rd KWMP in 2010. Company managers’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communication difficulty of company managers. Manager gender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effects of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on communication difficulty of company managers. Specifically, compared to female managers, male managers experience communication difficulty with female colleagues and subordinates. Male managers also experience communication difficulty with subordinates.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suggest that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ies of male managers may ameliorate communication difficulty when they need to collaborate with colleagues and subordinates to achieve team and organizational outcomes. 현 연구는 2008년과 2010년에 조사된 여성관리자패널을 대상으로 관리자의 성별이 조직을우선시하는 문화와 부하직원과 직장동료와의 의사소통애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하였다. 2008년 2차여성관리자패널조사 2,358명 2010년 3차관리자패널조사 1,784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우선시문화가 높은 직장에서 관리자는 동료부하직원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애로사항을 경험하게 되었다. 조직우선주의가 높은 직장에서 여성관리자는 남성관리자와 비교하여 여성동료부하직원과 유의미하게 낮은 수준의 의사소통애로를 경험한다고나타났다. 여성관리자가 팀 그리고 조직의 리더로서 동료부하직원들의 요구를 세심하게 개별적으로 배려하면서 이들의 직장생활과 업무성과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관계지향적 리더십을발휘하면 조직 내에서 조직우선주의문화를 개선시키는 중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관리자가 관계지향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조직우선주의의 부정적측면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

        배우자의 돌봄분담이 남녀 관리자의 직업생활 만족도 및 가정-일 전이에 미치는 영향

        양은모,배호중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社會科學硏究 Vol.49 No.1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caring time for their child and spouseʼs share of child care on job satisfaction and family-to-work transfer using Korean Women Manager Panel(KWMP) data. We focus on both male and female managers raising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In particular, we empirically analyze the home-work spillover of managers with their children by taking into account the spouseʼs share of child ca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and spouse. First, maleʼs job satisfaction and family-work enrichment (FWE) is higher than femaleʼs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female managersʼ family interfering work (FIW) is higher than male managersʼ FIW. The average daily child caring hours is 1.5 times longer for female managers (3.7 hours) than male managers (2.5 hours). The individual child caring hour varies by gender. For example, the spouseʼs share of child care is 63.2% for male and 37% for female. Second, the higher the spouseʼs share of car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spouseʼs share of child car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female managers. Third, the longer the respondents themselves spend taking care of their child, the higher level of their FIW. The longer the spouseʼs child care hours, the lower level of respondentsʼ FIW. In addition, the lower the spouseʼs share of child care, the higher level of respondentsʼ FIW.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tried to examine the conflicts between male and female managersʼ child care and work using representative statistical data.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onfirms that the child care burden of household is still mostly distributed based on the traditional stereotypes of gender roles. In other words, it confirms that the care burden can be one of barrier factor to accumulate femaleʼs care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본 연구는 「여성관리자 패널조사(2021년)」 자료를 이용해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남녀 관리자를 대상으로 본인 및 배우자의 돌봄시간과 배우자의 돌봄 분담 정도가 직업생활 만족도 및 가정→일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가구 및 배우자의 특성, 배우자의 돌봄분담 정도를 고려하여 유자녀 관리자의 가정-일 전이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업생활 만족도와 가정→일 촉진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았으며, 가정→일 갈등 정도는 여성관리자가 높았다. 일평균 돌봄시간은 남성관리자(2.5시간)에 비해 여성관리자(3.7시간)가 1.5배가량 길었으며, 배우자의 돌봄분담 비율(%)이 남성은 63.2%, 여성은 37.0%로 돌봄을 위한 시간투입에서 남성관리자 배우자의 돌봄 분담 비율이 여성 관리자 돌봄 분담비율의 1.7배 수준이었다. 둘째, 배우자의 돌봄분담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관리자의 경우 배우자의 돌봄분담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생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본인의 돌봄시간이 길수록 가정→일 갈등 정도가 높고, 배우자의 돌봄시간이 길수록 가정→일 갈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배우자의 돌봄분담 정도가 낮을수록 가정→일 갈등 정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통계자료를 이용해 그간 연구가 부족했던 관리자들의 일-가정 및 가정-일을 둘러싼 생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 여전히 돌봄을 둘러싼 역할분담이 전통적인 성역할 관념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돌봄부담이 여성들의 인적자본 축적에 지속적인 어려움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근속 여성관리자가 인식하는 직위별 특성 분석

        정지애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9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1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job position as a role model for female career adaptation. To do this, we used the KWMP data to conduct a Multinomial logit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tenure women managers. As a result, first, section chief position showed a low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showed difficulty of beginner’s manager. Second, it is predicted that the position of the Deputy Head of Department will establish the identity of work as an intermediate manager. Third, head of department Director showed a high age, target status,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target, and duration of the next job. Fourth, executive level has the least averag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on monthly average wage. It wa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individual career by recognizing that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personnel management a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positions. It was found that age,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personnel management, goal status, possibility of achieving goals, next job tenure period, monthly average wage, welfare, and life satisfaction factor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women career adjustme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여성의 진로적응에 역할모델로서 직위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자료를활용하여 근속 여성관리자의 직위별 특성요인을 살펴보고자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과장직위는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초급관리자의 어려움을 나타냈다. 둘째, 차장직위는 중급관리자로써 일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셋째, 부장직위는 연령, 목표지위, 목표달성 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이 높게 나타나 친화적인 조직분위기에서 근속에 의한 안정화 기제가 작용되었다. 넷째, 임원직위는 높은 월평균임금에 차별경험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차장직위에비해 낮게 연령과 다른 직위에 비해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도 낮게 인식하여 개개인의 적극적인 진로개발이 중요함이 시사되었다. 모든 직위에 공통으로 연령,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목표지위, 목표달성 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 월평균임금, 복리후생, 삶 만족도 요인이 여성의 진로적응에 결정적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여성임원의 경제활동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성효용,김난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4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the economic impact of female representation on corporate boards to find out the effect of raising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households, firms and society.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n Women Manager Panel(KWMP) Survey at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we find that the presence of female executives in firms positively affects financial performance. Both net income to capital stock and net income to sal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gender board diversit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0% level. We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e leadership and corporate performance of companies with no women on boards and top 25% companies with women on boards. Top 25% firms with women on boards have on average 28% points higher net income to sales than those with no women on the board. The major finding of this paper is that firms with women on boards have higher rates of financial performance than those without. Consequently, the more women on boards, the higher the financial performan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introduction of mandatory allocation of gender representation on boards may improve firm performance in South Korea.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가계ㆍ기업ㆍ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여성임원의 경제활동과 기업의 재무성과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업의 이사회 구성과 관련된 여성임원 확대의 경제적 효과 분석을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관리자패널조사」 7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임원의 존재는 기업의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임원의 경제활동이 자본금순이익률과 매출액순이익률에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사회의 여성임원 확대가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여성 임원이 없는 기업과 여성임원의 구성이 상위 25%인 기업의 재무성과를 비교하였다. 여성임원의 비율이 상위 25%인 기업들의 매출액순이익률이 여성임원이 없는 기업들의 매출액순이익률보다 28%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임원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성과가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 성장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여성대표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스마트워크가 여성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백대현 ( Dae Hyun Baek ),박정호 ( Jeongho Park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0 여성경제연구 Vol.17 No.3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하여 스마트워크가 기업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그런데 여성의 노동활동과 고용형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스마트워크가 여성의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삶을 촉진하는 일(WLF), 삶에 갈등을 유발하는 일(WLC), 일을 촉진하는 삶(LWF), 일에 갈등을 유발하는 삶(LWC)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유형화하여 스마트워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워크는 삶의 영역에서 일의 영역으로 발생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유형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ICT를 바탕으로 한 스마트워크의 도입이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여성들의 사회·경제적 활동을 유지·지속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궁극적으로는 일과 삶의 경계가 무너지고 이로 인하여 삶의 영역이 일의 영역을 잠식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Due to the COVID-19 pandemic, companies are extensively adopting smart work to their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labor activities and employment forms, the impact of smart work on women's work-life balance(WLB) seems necessary to be confirmed.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mart work on women’s work-life balance. The survey of the Korean Women Manager Panel(KWMP) and the OLS regression analysis were exploited. The analyses are implemented on four categories of WLB as dependent variables: Work-to-Life Facilitation(WLF), Work-to-Life Conflict(WLC), Life-to-Work Facilitation(LWF) and Life-to-Work Conflict(LWC).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women’s use of smart work intensifies negative influence of LWC. Thus, it needs to consider the two sides of the smart work. The introduction and use of smart work may aid women to overcom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nd sustain their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however, simultaneously, it may erode women’s boundary between work and life and ultimately make life domain to devour the work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